김택수 (192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택수는 1926년 경상남도 김해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그는 경남수직공업 주식회사 전무와 경남 체육회장을 역임하고, 제3공화국에서 민주공화당 경상남도 당 지부 위원장 등을 지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국회 건설 분과 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이후 제7대,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1966년 아시아 아마추어 복싱 연맹 회장 및 국제 아마추어 복싱 연맹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1971년에는 대한체육회 회장 겸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1977년 국제 올림픽 위원이 되었다. 3선 개헌에 반대했으며, 1981년 서울 올림픽 유치에 기여했다. 1983년 간암으로 사망했다. 대한민국 체육훈장 청룡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 - 콘스탄티노스 2세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국왕로, 재위 기간 중 정치적 혼란과 군사 쿠데타, 왕정 폐지를 겪었으며, 올림픽 요트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 - 토마스 바흐
토마스 바흐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변호사, 기업 임원 등을 거쳐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올림픽 어젠다 2020을 추진했으나, 일부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고 2024년 파리 올림픽 이후 IOC 위원장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 간암으로 죽은 사람 - 김영한 (1957년)
김영한은 1982년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 대검찰청 공안1과장,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공안1부장, 대구고등검찰청 차장검사, 청주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수원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검찰청 강력부장 등을 역임한 법조인이며, 법무법인 바른 변호사, 박근혜 정부의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대구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냈다. - 간암으로 죽은 사람 - 유완희
유완희는 1901년에 출생하여 1964년에 사망한 언론인이자 시인으로, ≪경성일보≫ 등 여러 언론사에서 기자로 활동하며 문학 작품을 발표하고 일제강점기에는 반일 활동으로 투옥되었으며 해방 이후에는 언론인과 교편을 겸했다. - 경남고등학교 동문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경남고등학교 동문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김택수 (192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택수 |
한자 표기 | 金澤壽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26년 9월 10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남도 김해군 (現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
사망일 | 1983년 7월 17일 |
본관 | 김해 |
직업 | 미상 |
종교 | 미상 |
정치 경력 | |
의원 선수 | 3선 |
의원 대수 | 6, 7, 10대 |
정당 | 민주공화당 |
훈장 | |
훈장 내역 | 대한민국체육훈장 청룡장 |
2. 생애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김해군(현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김한수는 형이다.[2] 경남고등학교를 거쳐 1952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했다.[1] 그 후 경남수직공업 주식회사 전무를 역임했다.[3]
정계 은퇴 후 스포츠계 활동에 전념했으며, 특히 1981년 서울 올림픽 유치에 큰 공헌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2. 1. 정치 활동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여 제6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63년 11월 26일에 실시된 제6대 총선에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국회 건설 분과 위원장, 민주공화당 당무위원을 역임했다.[3]1967년 6월에 실시된 제7대 총선에 같은 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재선되었으며, 민주공화당 원내총무 등을 역임했다. 김종필 계열의 핵심으로서 3선 개헌 강행에 반대하며 1969년 개헌 파동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1]
1978년 12월 12일에 실시된 제10대 총선에 같은 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3선 국회의원이 되었지만, 제5공화국 출범과 함께 정계에서 은퇴하였다.[1]
2. 2. 체육 행정 활동
1961년 경상남도체육회 회장[8], 1966년 아시아 아마추어복싱 연맹 회장 겸 세계 아마추어복싱 연맹 부회장을 역임하였다.[1] 1971년 대한체육회 회장 겸 한국올림픽위원회 위원장[3][4], 1973년 소련 모스크바 하계 유니버시아드 한국 대표단 단장, 1974년 국민체육진흥재단 이사장, 1975년 세계 아마추어복싱 연맹 집행위원 등을 역임하였고, 1977년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2. 3. 사망
1983년 7월 17일, 국제 올림픽 위원회 위원으로 재임하던 중, 지병인 간암으로 자택에서 5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 같은 해 7월 21일에 대한체육회의 주최로 장례식이 거행되었다.[6]3. 서훈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63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39,713표 (59.54%) | 1위 | 당선 | 초선 |
1967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62,591표 (72.09%) | 1위 | 당선 | 재선 |
1978년 | 총선 | 민주공화당 | 68,324표 (52.42%) | 1위 | 당선 | 3선 |
참조
[1]
웹사이트
김택수(金澤壽)
http://encykorea.aks[...]
2022-08-09
[2]
웹사이트
"[김운용이 만난 거인들 ] 김택수 전 대한체육회장 {{!}} 일요신문"
https://ilyo.co.kr/?[...]
2023-09-13
[3]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2-08-09
[4]
웹사이트
體育會長(체육회장) 金澤壽(김택수)씨 滿場一致(만장일치)로 선출
https://newslibrary.[...]
2022-08-09
[5]
웹사이트
IOC委員(위원) 金澤壽(김택수)씨別世(별세)
https://newslibrary.[...]
2022-08-09
[6]
웹사이트
故(고) 金澤壽(김택수) IOC위원 體育會葬(체육회장) 엄수
https://newslibrary.[...]
2022-08-09
[7]
웹인용
김택수(金澤壽)
http://encykorea.aks[...]
2022-08-09
[8]
웹인용
"[김운용이 만난 거인들 ] 김택수 전 대한체육회장 {{!}} 일요신문"
https://ilyo.co.kr/?[...]
2023-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