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필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필순은 1878년 황해도 장연군에서 태어난 한국 최초의 개신교 집안 출신으로, 배재학당을 졸업하고 제중원에서 에비슨의 통역 및 조수로 일하며 의학 서적 번역에 참여했다. 1908년 제중원의학교를 졸업한 후,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신민회에 가입, 105인 사건으로 만주로 망명하여 병원을 운영하며 독립군 자금을 지원했다. 이후 치치하얼에서 병원을 운영하며 이상촌 건설을 추진했으나, 1919년 독살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 김염은 중국 배우로 활동했으며, 1977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의사 - 원용덕
    원용덕은 일제강점기 만주국 군의관으로 복무하고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했으며, 정치적 사건에 개입하여 정치 군인으로 평가받았고, 4·19 혁명 이후 구속되었다가 사면된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의 의사 - 박동균 (1919년)
    박동균(1919년)은 일제강점기 만주군 군의관으로 복무하고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참여하여 육군의무감, 육군군의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했으며, 간호장교 제도 창설에 기여했으나 2008년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되었다.
  • 1919년 사망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1919년 사망 - 칼 라르손
    스웨덴 화가 칼 라르손은 수채화, 유화, 프레스코화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가족과 집을 주제로 한 그림, 일본 미술의 영향을 받은 화풍, 그리고 《구스타프 바사의 스톡홀름 입성》과 《동지제의 희생》 등의 대표작으로 유명하다.
  • 1878년 출생 - 뤼시앵 페브르
    뤼시앵 페브르는 마르크 블로크와 함께 아날 학파를 창시하여 총체적 역사와 심성사를 개척하고 다양한 사료 활용 및 학문 간 협력을 강조하며 20세기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역사학자이다.
  • 1878년 출생 - 잭 존슨 (권투 선수)
    흑인 최초로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등극한 잭 존슨은 1908년부터 1915년까지 챔피언으로 활동하며 인종차별 속에서 "세기의 대결" 승리 후 인종 폭동을 야기하기도 했지만, 맨 법 위반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수감되었고 사후 사면된, 도전적인 삶으로 후대 복서들에게 영감을 준 전설적인 권투 선수이다.
김필순
기본 정보
김필순
김필순
출생1878년 2월 2일
사망1919년 3월 18일 (41세)
국적대한제국
학력
최종 학력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졸업
종교
종교기독교
가족
배우자윤정원
자녀3남
기타 정보
직업의사, 독립운동가
분야의학, 독립운동
소속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요 활동3·1 운동 참여
훈장건국훈장 애족장 (1995년)

2. 생애

김필순은 1878년 황해도 장연군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우리나라 최초의 기독교 집안 중 하나였다. 김필순은 어려서 한학을 공부하였으나, 언더우드 등 선교사들과 교류하며 서울에서 신식 교육을 받았다.

1885년경 학창시절 김필순이 다녔던 제중원


김필순이 근무한 서양식건물 병원


김필순과 졸업생들


김필순이 학창시절 작성한 해부학 교과서


김필순은 배재학당을 졸업하고, 1899년부터 제중원에서 에비슨의 통역 및 조수로 일했다. 에비슨을 도와 의학 서적을 번역했고, 1906년 해부학 교과서를 번역했으나 화재로 소실되어 다시 번역하였다. 1908년 제중원의학교를 졸업하고, 에비슨의 후원으로 학교 발전에 기여했다.

안창호와 의형제를 맺고 신민회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2] 105인 사건으로 체포가 임박해지자 1911년 중국으로 피신하여 만주 통화에서 병원을 개설하고, 수입금을 조선독립군 군자금으로 기부하였다.[2]

1916년 치치하얼로 도피하여 병원을 개설하고 조선인을 위한 이상촌 건설을 시작하였다.[2] 그러나 1919년 일본 특무요원으로 추정되는 일본인 의사가 건네준 독약이 든 우유를 마시고 사망하였다.[2]

김필순은 1977년 독립유공자로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2]

2. 1. 어린 시절

김필순은 1878년 황해도 장연군에서 김성섬과 안성은의 5남 4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일찍 개화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기독교 집안에 속하였다. 김필순은 어려서 한학을 공부하였으나 일찍부터 언더우드 등 선교사들과 자유롭게 접촉할 기회를 가져서 서울에서 신식 교육을 받게 되었다.

2. 2. 의사가 되는 과정



김필순은 언더우드집에 머물면서 배재학당을 졸업하고, 1899년부터 제중원에서 셔톡스와 에비슨의 통역 및 조수로 일했다. 에비슨을 도와 해부학, 외과총론, 화학, 해부생리학, 내과학 등 다양한 의학 서적을 번역했다. 1906년 해부학 교과서를 번역하였으나 화재로 소실되었고, 이후 다시 번역하였다. 비록 영어를 잘했지만, 번역에 미흡한 점이 있어 에비슨이 직접 가르치며 번역을 도왔다. 이러한 경험으로 졸업 전 저학년 학생들의 강의도 담당했다. 1908년 제중원의학교를 졸업했다.

김필순은 의학도로서 병실 및 외래 진료를 보조하고, 병원 경영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쌓았다. 에비슨은 그의 능력을 인정하여 세브란스병원의 책임자이자 한국 의학을 이끌 재목으로 키우려 했다. 1908년 제중원의학교 졸업 후, 에비슨의 후원으로 학교 발전에 기여했다.

2. 3. 독립 운동 및 생애 후반

안창호와 의형제를 맺고 그를 도왔으며, 안창호, 양기탁, 신채호, 이동휘, 김구 등이 조직한 비밀 정치 결사 신민회에 가입하여 비밀리에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2] 105인 사건으로 체포가 임박해지자 1911년 말 중국으로 피신하였다.[2] 그는 만주 통화에서 병원을 개설하고 모든 수입금을 조선독립군의 군자금으로 기부하였다.[2]

통화가 점차 일본의 영향권에 들며 압박이 심해지자 1916년 몽골 근처의 치치하얼로 도피하여 그곳에서 다시 병원을 개설하고 땅을 매입하여 평소 꿈꾸던 조선인을 위한 이상촌 건설을 시작하였다.[2]

그러나 1919년 일본 특무요원으로 추정되는 이웃 일본인 의사가 건네준 독약이 든 우유를 마신 후 귀가 중 말에서 떨어져 사망하였다.[2]

김필순의 아들 김덕봉은 의사가 되어 간도 용정의 제창병원에서 근무하였으며, 셋째 아들 김염은 1930년대 중국 영화계에서 활동한 유명한 배우로서 '상해의 영화황제'라는 호칭을 얻었다.[2] 김필순은 1977년 독립유공자로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2]

3. 가족 관계

김필순의 가족 및 친인척으로는 독립운동가, 교육자, 배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이 있다. 샛째 아들 김염은 중국에서 배우로 활동했고, 조카 김마리아는 독립운동가였다. 여동생 김순애는 독립운동가 김규식의 부인이었다. 또 다른 여동생 김필례는 근우회 창립 멤버였고, 해방 후 정신여자중고등학교 교장, 이사장을 지냈다. 김필례의 남편 최영욱은 의사로 해방 후 전남도지사를 지내다가 6.25 전쟁 때 공산군에게 피살되었다.[3]

3. 1. 주요 가족 및 친인척

관계이름설명
셋째 아들김염중국 배우 (1910년~1983년)
여동생김순애독립운동가 (1889년~1976년), 김규식의 부인
매제김규식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주석 역임
조카김우애김규식과 김순애의 딸 (1925년~ 2001년 1월)
여동생김필례근우회 창립 멤버, 정신여자중고등학교 교장, 이사장 (1891년~ 1983년)
제부최영욱세브란스 의과전문학교 출신, 미군정 시기 전라남도 도지사 역임[3]
조카김마리아독립운동가


3. 2. 가계도

관계이름
아버지김성섬
어머니안성은
본인김필순
샛째 아들김염
김윤방
김윤오
김윤렬
누이김구례
누이의 배우자서병호
누이김노득
누이의 배우자양은수
누이김순애
누이의 배우자김규식
누이의 딸김우애
누이김필례
제부최영욱[3]
동생김인순


참조

[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wangsank[...] 2016-06-06
[2] 뉴스 의사신문: 집필자(저작권자) : 황의호(연세대 명예교수)및 의사신문 소속 http://m.doctorstime[...] 의사신문
[3] 서적 하나님의 나라와 하나님의 선교 대한기독교서회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