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홍재는 일본에서 태어난 지휘자로, 도호가쿠엔대학에서 지휘를 전공하고 오자와 세이지 등에게 사사했다. 1978년 도쿄 시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데뷔 후, 도쿄 국제 지휘 콩쿠르에서 수상하며 방송 활동을 시작했다. 1980년대에는 일본의 주요 오케스트라를 지휘했으며, 윤이상에게 사사하며 그의 작품을 일본과 아시아에서 초연했다. 1990년대에는 크로스오버 활동과 미국 데뷔를 했고, 2000년 한국에서 공연을 시작으로 국내 활동을 시작하여 울산시립교향악단 상임지휘자를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호 가쿠엔 대학 동문 - 나카무라 히로코
나카무라 히로코는 일본의 피아니스트이자 수필가로,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입상하며 국제적으로 알려졌고, 이후 음악계 발전에 기여했다. - 도호 가쿠엔 대학 동문 - KOKIA
일본의 싱어송라이터 KOKIA(요시다 아키코)는 맑고 깨끗한 음색과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 꾸준한 앨범 발매 및 공연 활동, 게임/애니메이션 주제가 참여, 솔로 활동 및 인도주의적 활동, 작사/작곡 능력, 다양한 언어 활용 음악 스타일로 알려져 있다. - 이타미시 출신 - 다나카 마사히로
다나카 마사히로는 '마군'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일본의 우완 투수로, 라쿠텐 시절 압도적인 기량과 메이저리그 활약, 그리고 요미우리 자이언츠 입단까지 일본과 미국 프로야구에서 큰 족적을 남겼으며, 뛰어난 제구력과 다양한 변화구를 바탕으로 수많은 타이틀과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 이타미시 출신 - 아리무라 카스미
아리무라 카스미는 2009년 데뷔하여 드라마 《아마짱》과 영화 《불량소녀, 너를 응원해!》등 다수의 작품에서 주연을 맡으며 활발히 활동하는 일본의 효고현 이타미시 출신 배우이다. - 대한민국의 지휘자 - 임원식
임원식은 평안북도 의주 출신으로, 일본과 미국에서 음악을 수학하고 지휘자, 피아니스트, 교육자로 활동하며, 아시아인 최초로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했고, 고려교향악단, KBS 교향악단, 국립교향악단 지휘자를 역임했으며,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설립하여 초대 교장을 지냈다. - 대한민국의 지휘자 - 장수철 (음악가)
장수철은 숭실대학교와 중앙신학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역임하고 선명회어린이합창단을 창단하여 세계 순회공연을 지휘했으며, 킹스 칼리지 명예음악박사 학위와 대한민국 문화포장을 받은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김홍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김홍재 |
한글 | 김홍재 |
한자 | 金洪才 |
로마자 표기 | Gim Hongjae |
일본어 표기 | キム・ホンジェ |
출생일 | 1954년 10월 10일 |
출생지 | 일본 효고현 이타미시 |
직업 | 지휘자 |
활동 연도 | 알 수 없음 |
국적 | 조선적 → 대한민국 |
2. 생애
김홍재는 도호 학원 대학에서 클라리넷을 전공하다 지휘로 전과하여 오자와 세이지, 아키야마 카즈요시 등에게 배웠고, 1978년 도쿄 시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특별 연주회에서 데뷔하였다. 1979년 도쿄 국제 음악 콩쿠르〈지휘〉 부문에서 2위와 특별상(사이토 히데오상)을 수상했다. 1989년부터 베를린에서 작곡가 윤이상에게 지도를 받았다. 1998년 나가노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에서 지휘를 맡았고, 같은 해 와타나베 아키오 음악상을 수상했다.
2000년 10월,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 유럽 회의(ASEM) 축하 공연에 초청되어 KBS 교향악단을 지휘했으며, 2007년부터 울산 시립 교향악단의 예술 감독을 맡았다. 2016년에는 광주 시립 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로 취임했다.[6]
연도 | 내용 |
---|---|
1973년 | 도호 학원 대학 입학, 오자와 세이지, 아키야마 가즈요시 등에게 지휘 사사 |
1978년 | 도쿄 시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특별 연주회 데뷔 |
1979년 | 도쿄 국제 음악 콩쿠르 <지휘> 부문 2위 및 특별상 수상 |
1981년 | 도쿄 시티 필 지휘자 취임 |
1984년 | 나고야 필하모니 교향악단 지휘자 취임 |
1987년 | 교토시 교향악단 지휘자 취임 |
1989년 | 윤이상에게 사사 (독일) |
1991년 | 오사카시 음악단 수석 지휘자 취임 |
1992년 | 카네기 홀 미국 데뷔 |
1998년 | 나가노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 지휘, 와타나베 아키오 음악상 수상 |
2000년 | 아시아 유럽 회의(ASEM) 축하 공연 (서울), KBS 교향악단 지휘 |
2007년 | 울산 시립 교향악단 상임 지휘자 취임 |
2016년 | 광주 시립 교향악단 상임 지휘자 취임 |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53년 ~ 1977년)
김홍재는 1953년 교육자 부부였던 아버지 김정민과 어머니 이판생 사이에서 2남으로 효고현 이타미시에서 태어났다.[4] 이타미 조선초급학교를 거쳐 아마가사키 중급학교에 입학, 취주악부에서 클라리넷을 배우면서 음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4] 어린 시절 음악을 처음 접한 것은 어머니의 친가에 있던 피아노를 통해서였다.[5] 1967년, 아마가사키 조선중학교에 입학하여 학교 관현악단에서 클라리넷을 배웠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보내온 개량된 한국 전통 악기를 배우기도 했다.[5] 1969년, 아마가사키 조선중학교 관현악단은 그의 지휘 아래 '재일 한국인 학생 음악 콩쿠르'에서 대상을 수상했다.[5]고베 조선 고급학교를 졸업한 뒤 1973년에 조선적 소지자로서는 최초로 도호가쿠엔대학 음대에 클라리넷 전공으로 입학했으며,[4] 1975년에는 지휘로 전공을 바꾸고 타카세키 켄과 오토모 나오토에게 사사했다.[5] 1977년 졸업 전에 오자와 세이지, 아키야마 카즈요시, 모리 타다시, 쓰쓰미 슌사쿠 등의 수업을 들었다.[5] 쓰쓰미 슌사쿠에게 실력을 인정받아 도쿄 시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부지휘자로 활동했으며,[4] 쓰쓰미의 추천으로 도호 재학 중 도쿄 시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로 임명되었다.[5] 1977년, 도호 가쿠엔 졸업 연주회에서 오자와 세이지와 함께 도호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5]
2. 2. 데뷔, 콩쿠르 수상 및 방송 활동 (1978년 ~ 1988년)
김홍재는 도호 학원 대학 음악 학부에서 클라리넷을 전공하다 지휘로 전과하여 오자와 세이지, 아키야마 가즈요시 등에게 배웠다. 재학 중 쓰쓰미 슌사쿠에게 실력을 인정받아 도쿄 시티 필의 부지휘자로 활동했으며, 1978년 3월 14일 도쿄 시부야 공회당에서 도쿄 시티 필과의 특별 연주회로 데뷔했다.[4]1979년에는 평양에서 조선국립교향악단을 지휘했고, 그해 9월 도쿄 국제 지휘 콩쿠르에 참가해 2등상과 특별상인 '사이토 히데오 상' 을 수상했다.[4] 1980년에는 일본 전역을 돌며 수상자 기념 연주회를 가졌고, TBS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오케스트라가 왔다' 의 전속 지휘자가 되어 신일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를 비롯한 일본의 대표적인 관현악단들과 방송 연주회를 했다.
1981년에는 NTV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나의 음악회' 의 전속 지휘자로 발탁되어 요미우리 일본 교향악단과 방송 연주회를 했다. 이 기간 동안 우치다 미츠코, 나카무라 히로코 등 일본 국내외의 유명 연주가들과 협연했다.
방송 출연 이후 도쿄 시티 필(1981년-1989년), 나고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1985년-1989년), 교토 교향악단(1987년-1989년)의 지휘자를 차례로 역임했고,[4] 교토 교향악단과는 1987년에 일본 관현악단으로서 첫 북한 공연을 평양과 원산에서 개최해 화제가 되었다. 1988년에는 베이징에서 중국 광파(방송) 교향악단을 지휘했고, 교포 여성 1000명으로 구성된 합창단과 오사카에서 공연하기도 했다.[4]
2. 3. 윤이상과의 만남과 독일 유학 (1989년 ~ 1990년)
1989년 김홍재는 모든 직책을 사임하고 독일로 유학하여 윤이상에게 1년간 개인적으로 사사했다.[4] 1990년 평양에서 개최된 범민족통일음악회에서 조선국립교향악단과 윤이상의 '서주와 추상'을 공연하여 호평을 받았고, 이후 '한겨레 음악회(1989-1993)'를 비롯한 무대에서 윤이상의 주요 관현악 작품들을 일본 혹은 아시아 초연했다.2. 4. 크로스오버 활동, 한겨레 음악회 및 기타 활동 (1991년 ~ 2000년)
1991년부터 미야자키 하야오와 기타노 다케시 등의 영화음악으로 유명한 작곡가 히사이시 조와 함께 정기적으로 연주회를 가졌으며, 공연 실황은 'Symphonic Best Selection', 'Super Orchestra Night' 등의 음반으로 발매되기도 했다.[4] 1992년 9월에는 뉴욕 카네기 홀에서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여 미국 데뷔를 했다.[4]1998년에는 나가노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 공연을 지휘했으며,[4] 그해 6월 와타나베 아키오 음악상을 수상했다.[4] 2000년 6월에는 교포 바이올리니스트 정찬우와 '유니티 콘서트'를 개최했는데, 이는 1985년에 시도되었다가 당시 대한민국에서 활동 중이던 정찬우의 방일 불허 방침으로 무산된 바 있었다.
2. 5. 대한민국 활동 (2000년 ~ 현재)
2000년 6월, 김홍재는 재일동포 바이올리니스트 정찬우와 함께 '유니티 콘서트'를 개최했다. 이 콘서트는 1985년에 시도되었으나, 당시 대한민국에서 활동 중이던 정찬우의 방일 불허 방침으로 무산된 바 있었다.[1][2]2000년 10월 20일, KBS 교향악단과 함께 2000년 서울 아시아·유럽 정상회의 축하 예술의 전당 10월 음악제의 일환으로 첫 대한민국 공연을 가졌다. 이 공연에서 피아니스트 백건우와 함께 페루초 부소니의 피아노 협주곡을 아시아 초연했다. 이후 KBS 교향악단,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서울 시립 교향악단을 부정기적으로 객원 지휘하고 있다.
2004년에는 통영 국제 음악제의 개막 공연으로 윤이상의 오페라 '유령의 사랑'을 아시아 초연했다. 2006년 10월 19-20일 양일간 국립극장에서 개최된 '2006 겨레의 노래뎐' 에서는 국립국악관현악단을 지휘했다.
2005년에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했으며,[3] 2007년 11월에는 울산 시립 교향악단의 상임지휘자로 취임해 대한민국에서 본격적인 첫 직책을 맡게 되었다.
김홍재는 윤이상 음악을 비롯해 남북 관현악 작품을 적극적으로 공연하고 있으며, 대학 관현악단이나 직장인 관현악단 등 아마추어 관현악단과의 공연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3. 주요 활동
도호 학원 대학 음악 학부를 졸업하고 쓰쓰미 슌사쿠, 아키야마 카즈요시, 오자와 세이지 등에게 지휘를 배웠다. 1978년 도쿄 시티 필하모닉 관현악단 특별 연주회에서 데뷔했다.[4] 1979년 도쿄 국제 음악 콩쿠르 지휘 부문에서 2위와 특별상(사이토 히데오상)을 수상했다.[4] 1980년 TV 프로그램 『오케스트라가 왔다』, 1981년 NTV 계열 『나의 음악회』의 전속 지휘자로 선정되었다.[4]
도쿄 시티 필하모닉 관현악단, 나고야 필하모니 교향악단, 교토 시 교향악단, 히로시마 교향악단의 지휘자를 역임했고, 요미우리 일본 교향악단, 도쿄 도 교향악단, 신일본 필하모니 교향악단 등 일본 주요 오케스트라에 객원 출연했다.[4] 1988년 7월, 중국 국립 방송 관현악단을 지휘했고,[4] 1989년부터 베를린에서 작곡가 윤이상의 지휘 아래 연찬을 쌓았다.[4] 1991년 귀국 후 윤이상의 작품, 교향곡 제2번, 제3번을 비롯한 다수의 관현악 작품을 일본에서 초연했다.[4]
1992년 9월, 뉴욕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여 카네기 홀에서 미국 데뷔를 했다.[4] 1998년 나가노 패럴림픽 개막식 연주의 지휘를 맡았고,[4] 같은 해 와타나베 아키오 음악상을 수상했다.[4]
2000년 10월 서울에서 열린 아시아 유럽 회의(ASEM) 축하 공연에 초청되어 한국 KBS 교향악단을 지휘했고, 2001년, 2003년, 2005년에 객원 출연했다.[4] 2002년 7월에는 한국 교향악단 정기 연주회에 객원 출연했다.[4] 2004년 10월, 문화청 주최 공연으로 서울시립교향악단 내한 공연과 서울 공연을 지휘했다.[4]
2001년 10월 대한민국 예술의 전당 오페라 하우스에서 베르디의 오페라 "가면 무도회"를 공연했고,[5] 2003년 9월에는 한일 제휴 공연 푸치니 "나비 부인"을 지휘했다.[5]
2007년부터 대한민국 울산 시립향의 예술 감독으로 취임했다.[6] 2012년 6월 미국, 캐나다에서 공연했고, 2015년 6월 미국 공연에서는 카네기 홀, 유엔 본부 회의장 홀에서 공연했다.[6]
2016년 6월 대한민국 광주 시립향 창립 40주년 기념 내한 공연을 지휘했고,[6] 같은 해 11월 광주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로 취임했다.[6]
주요 활동을 연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도 | 내용 |
---|---|
1970년 | 고베 조선 고급학교 입학 |
1973년 | 도호 학원 대학 입학. 오자와 세이지, 아키야마 가즈요시, 모리 타다시, 쓰쓰미 슌사쿠에게 지휘 사사 |
1978년 | 도쿄 시티 필하모닉 관현악단 특별 연주회 데뷔 |
1979년 | 도쿄 국제 음악 콩쿠르 <지휘> 2위 및 특별상 (사이토 히데오상) 수상 |
1981년 | 도쿄 시티 필하모닉 관현악단 지휘자 취임 |
1984년 | 나고야 필하모니 교향악단 지휘자 취임 |
1987년 | 교토시 교향악단 지휘자 취임 |
1991년 | 오사카시 음악단 수석 지휘자 취임 |
1992년 | 코리안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 뉴욕 카네기 홀 미국 데뷔 |
1998년 | 나가노 동계 패럴림픽 개막식 지휘, 와타나베 아키오 음악 기금 음악상 수상 |
2000년 | 서울 아시아 유럽 정상회의(ASEM) 축하 공연, KBS 교향악단 지휘 |
2007년 | 울산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 취임 |
2016년 | 광주시립교향악단 상임 지휘자 취임 |
4. 음반 목록
음반명 | 발매사 | 비고 |
---|---|---|
조선관현악 특집 I | 코리아 아트센터(K.A.C.)/신세카이 레코드 | |
조선관현악 특집 II | 코리아 아트센터(K.A.C.)/빅터 레코드 | |
윤이상 서거 10주년 기념음반~윤이상 관현악 | 신나라레코드 | |
조선관현악특집~임진강 | 신나라레코드 | |
고지라 교향 환상곡~이후쿠베 아키라의 세계 | VAP | 2CDs |
히사이시 조~Symphonic Best Selection | 도시바 EMI | 국내 발매: Jave/Rock Records |
히사이시 조~Super Orchestra Night 2001 | 원더 시티 | |
히사이시 조~Orchestra Stories & Symphonic Suite 'My Neighbor Totoro' | 도쿠마 재팬 커뮤니케이션즈 | |
히사이시 조~공상미술관 (2003 Live Best) | 일본 유니버설 뮤직 | |
바이오 하자드 오케스트라 앨범 | 캡콤 | |
취주악 명곡선 제27집~북구와 동구편 | 도시바 EMI | |
취주악 명곡선 제9집~프랑스편 | 도시바 EMI | |
취주악 명곡 베스트 시리즈~프로코피에프 | 킹레코드 | |
오페레타 새잡이 취주악 셀렉션 | 브레인 뮤직 | |
데뷰 30주년 기념 음반~드보르자크 교향곡 제8번 외 | 신나라레코드 | |
데뷰 30주년 기념 음반~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제23번, 드보르자크 교향곡 제9번 외 | 신나라레코드 | 2CDs |
5. 관련 서적
- 김홍재, 나는 운명을 지휘한다한국어 (김홍재 구술, 박성미 엮음. 김영사)[1]
- 김홍재, 나는 운명을 지휘한다한국어, 김홍재 (집필) & 박성미 (편집), ㈜김영사 (한국어)[2]
참조
[1]
간행물
ASEM 축하공연 지휘맡은 김홍재씨
http://isplus.live.j[...]
JoongAng Ilbo
2002-02-23
[2]
간행물
北 지휘 南 연주 윤이상을 듣는다
http://article.joins[...]
JoongAng Ilbo
2002-02-25
[3]
간행물
김홍재씨 공업도시 울산에 ‘클래식의 봄’ 시향 지휘 맡아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08-02-24
[4]
웹사이트
金 洪才 - 指揮者紹介 - 久留米市民オーケストラ
http://www.kurumeshi[...]
[5]
웹사이트
金洪才 Kim Hong-jae - 町田フィルハーモニー交響楽団
https://mpso.jp/peop[...]
[6]
웹사이트
金 洪才(キム・ホンジェ) - ミリオンコンサート協会
http://www.millionco[...]
[7]
뉴스
음악회 여는 재일동포 지휘자 김홍재
https://m.mk.co.kr/n[...]
매일경제
2008-03-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