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라 숙사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라 숙사하는 만주족 팔기군 출신으로, 청나라 순치제와 강희제 시기에 활동한 인물이다. 도르곤을 섬기다 순치제의 신임을 얻어 고명대신으로 임명되었으며, 정지룡 처형에 관여했다. 이후 오보이와 갈등을 겪다 24가지 죄목으로 모함받아 처형되었으나, 강희제에 의해 명예가 회복되었다. 그는 군사적 업적을 통해 의정왕대신 회의 구성원이 되었고, 만주어, 몽골어, 중국어를 구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 할라 - 멍거불루
    멍거불루는 1360년경 건국된 하대의 국주로, 명나라 개입과 건주 여진과의 갈등, 내부 분열을 겪으며 누르하치에게 멸망당했다.
  • 나라 할라 - 나라 싱더
    나라 싱더는 청나라 초기의 시인이자 관료로, 강희제의 측근에서 활동하며 남당 이후주의 시풍을 계승하여 섬세하고 슬픈 감성을 담은 《음수사》 등의 작품을 남겼고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재해석되고 있다.
  • 만주 정백기인 - 완룽
    다우르족 출신인 완룽은 청나라 마지막 황제 푸이의 황후였으나, 정략결혼과 불행한 삶, 아편 중독, 수감 생활 끝에 사망했다.
  • 만주 정백기인 - 효숙예황후 (청나라)
    청나라 가경제의 황후 효숙예황후는 도광제의 생모로, 가경제 즉위 후 황후에 책봉되었으나 곧 병사했으며, 황제의 생모가 된 유일한 청나라 황후이다.
  • 1607년 출생 - 야규 미쓰요시
    야규 미쓰요시는 도쿠가와 쇼군을 섬긴 야규 무네노리의 아들이자 신음류 검술의 대가로, 쇼군의 검술 사범을 지냈으며 해임 후 12년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츠키노쇼"를 저술했고 복직 후 감찰관으로 활동하다 고향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삶과 검술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었다.
  • 1607년 출생 - 이치히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딸 이치히메는 다테 마사무네의 아들 다테 다다무네와 약혼했으나 요절하여 혼인하지 못했다.
나라 숙사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숙사하의 초상화
숙사하의 초상화
만주어 이름ᠰᡠᡍᠰᠠᡥᠠ
만주어 로마자 표기Suksaha
씨족예허 나라 씨족
사망1667년
부모수나 (아버지), 아이신 교로 씨 (어머니)
관직
직위강희제의 섭정
임기 시작1661년
임기 종료1667년
군주강희제
동료 섭정소니, 어빌룬, 오보이
군사 정보
소속청나라
만주 양백기
복무 기간알 수 없음
계급알 수 없음
지휘알 수 없음
참전 전투알 수 없음
이후 활동알 수 없음

2. 생애

나라 숙사하는 만주 정백기(正白旗) 출신으로, 이름은 만주어로 "송아지" 또는 "큰 다리"를 의미한다. 순치제도르곤을 섬겼으나, 도르곤 사후 순치제에게 협력하여 신임을 얻었다. 1661년 순치제 임종 시, 허서리 소닌, 구왈기야 오보이, 니오후루 어빌룬과 함께 고명대신으로 임명되어 현엽(강희제)을 황위에 올렸다.

숙사하는 1630년대1640년대조선명나라에 대한 군사 작전에서 공을 세웠고, 1641년 쑹산과 진저우 전투에서 명나라 지휘관 홍승주가 청나라에 항복하는데 기여했다. 군사적 성공으로 의정왕대신 회의의 구성원이 되었고, 1647년 삼등 갑랄 장경, 1650년 삼등 남작 작위를 받았다. 1655년부터 호남에서 유문수 등을 토벌하여 이등 자작 작위를 받았다.

1661년 순치제가 사망하고 강희제가 즉위하면서, 숙사하는 소닌, 액빌론, 오보이와 함께 보정대신이 되었다. 이들은 어린 황제를 보좌하고 권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임명되었으나, 서로 이권을 다투었다. 1667년 소닌이 사망하면서 오보이가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고, 숙사하는 오보이와 갈등을 겪다가 24가지 죄목으로 모함을 받아 1669년 교수형에 처해졌다. 이후 강희제에 의해 숙사하의 명예는 회복되었고, 세직은 소상수가 계승했다.

2. 1. 초기 활동과 도르곤 시대

나라 숙사하는 만주 정백기(正白旗) 출신으로, 긴타이시와 같은 부족 출신이었다. 그는 만주어, 몽골어, 중국어를 구사했다. 1630년대1640년대조선명나라에 대한 군사 작전에서 두각을 나타냈다.[1] 특히 1641년 쑹산과 진저우 전투에서 싸웠는데, 이 일련의 전투는 1642년 명나라 지휘관 홍승주가 청나라에 항복하는 결과를 낳았다.[1]

섭정왕 도르곤(1612–1650)이 이끄는 만주족의 중국 정복 동안, 숙사하는 군사적 성공에 대한 보상을 받아 의정왕대신 회의의 구성원이 되었다. 1647년(순치 4년) 삼등 갑랄 장경, 1650년(순치 7년) 삼등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이듬해 의정대신으로 임명되었다. 1655년(순치 12년)부터 호남에서 유문수 등을 토벌했고, 그 공로로 이등 자작 작위를 받았다.

순치제 즉위 후, 숙사하는 효장문 태후의 신뢰받는 조언자가 되었다.

2. 2. 순치제 시대

만주 정백기(正白旗) 출신으로, 순치제 때 섭정왕 도르곤을 섬겼다. 도르곤 사후 순치제에게 협력하여 신임을 얻었다. 1661년(순치 18년) 순치제 임종 시 허서리 소닌, 구왈기야 오보이, 니오후루 어빌룬과 함께 고명대신으로 임명되어 황태자 현엽(강희제)을 황위에 올렸다. 당시 타이완에서 문제를 일으키던 정지룡을 처형하라는 명을 내려 강희제의 신임을 얻었다.[1]

1647년(순치 4년) 삼등 갑랄 장경, 1650년(순치 7년) 삼등 남 작위를 받았고, 이듬해 의정대신이 되었다. 1655년(순치 12년)부터 호남에서 유문수 등을 토벌한 공로로 이등 자 작위를 받았다.

1661년 순치제가 붕어하자, 강희제를 보좌할 4명의 보정대신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보정대신은 소닌, 숙사하, 액빌론, 오보이 순으로 서열이 높았다. 순치제는 어린 시절 도르곤에게 권력을 빼앗겼던 경험 때문에 강희제가 같은 일을 겪지 않도록 권력을 분산하고 서로 견제시키기 위해 4명을 임명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은 서로 이권을 다투었고, 연장자이자 최고위직인 소닌에 의해 간신히 균형을 유지했다.

2. 3. 강희제 시대와 4대 보정대신

만주 정백기(正白旗) 출신이다. 순치제 때 섭정왕 도르곤을 모셨으나, 도르곤이 죽은 후 순치제에게 적극 협조하여 신임을 얻었다. 1661년 순치제 임종 시, 허서리 소닌, 구왈기야 오보이, 니오후루 어빌룬과 함께 고명대신으로 임명되어 황태자 현엽(강희제)을 황위에 올렸다. 당시 타이완에서 문제를 일으키던 장수 정지룡의 살해를 명하여 강희제의 신임을 얻었다.[1]

1667년 보정대신 소닌이 죽자, 소닌의 부탁과 함께 강희제를 보호하는 대신 다른 보정대신인 오보이를 견제하려 하였으나, 이미 군권을 장악한 오보이는 숙사하가 선황 순치제의 황릉을 돌보지 않아 선황을 배반하였다는 이유 등 모두 24개의 죄목으로 숙사하를 모함, 강희제는 어쩔 수 없이 숙사하를 처벌하였고 나라 숙사하는 1669년교수형 집행되었다.[2]

숙사하는 강희제 초기에 명나라 충신 정지룡의 처형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그는 황제의 미성년 기간 동안 오보이와 정치적, 개인적 분쟁에 휘말렸다. 결국 그는 오보이와 결정적으로 갈라섰다. 오보이는 다른 세 섭정을 깎아내려 자신의 손에 권력을 통합하려 했다. 소니는 늙고 허약했고, 이빌룬은 약하다고 여겨졌다. 따라서 숙사하는 오보이의 유일한 심각한 정치적 경쟁자가 되었다. 소니가 1667년 8월에 사망하여 더 이상 이러한 갈등을 중재할 수 없게 된 지 며칠 후, 숙사하는 노령과 질병을 이유로 은퇴를 요청했다.

오보이의 조언에 따라, 강희제는 즉시 의정왕대신 회의에 숙사하의 동기를 조사하라고 명령했다. 이틀 후인 9월 2일, 회의는 숙사하와 그의 모든 남성 친족을 체포하라고 명령했다. 9월 4일, 그는 숙사하에게 24가지 "중죄"의 죄를 인정하고, 그를 능지형으로 처형할 것을 권고했다. 그들은 또한 숙사하의 책략에 공모한 것으로 추정되는 많은 황실 경비대원과 함께 그의 많은 남성 친족을 처형할 것을 제안했다. 숙사하의 형은 교수형으로 감형되었다. 몇 년 후, 황실은 그의 이전 선고가 성급하게 이루어졌음을 인정하고 그의 아들과 남성 친족에게 벌을 주는 명령을 철회했다. 숙사하의 아들 중 한 명인 수창수는 숙사하가 불명예스럽게 되기 전에 보유했던 귀족 작위를 상속받을 수 있었다.

순치제1661년에 붕어했을 때, 강희제를 보좌하도록 임명된 4명의 보정대신 중 한 명이 되었다. 보정대신 4명을 지위가 높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소닌, 숙사하, 액빌론, 그리고 오보이였다. 어린 시절 도르곤의 권세에 압도되었던 순치제는, 자신의 후계자인 강희제가 이와 비슷한 고난을 겪지 않도록 권력을 분산시키고 서로 견제하기 위해 4명을 임명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4명은 서로의 이권을 놓고 다투게 되었고, 노년이며 최고위직인 소닌에 의해 간신히 미묘한 균형이 유지되었다.

1667년 (강희 6년)에 소닌이 사망하자, 곧 오보이의 세력이 다른 이들을 압도하여 패권을 잡게 되었다. 오보이와 숙사하는 특히 관계가 좋지 않았으므로, 신변의 위험을 느낀 숙사하는 "준화로 가서 선제의 능묘를 지키고 싶다"라고 말하며 관직을 사임하려 했다. 이 시점에서 보정대신 중 가장 지위가 높았던 숙사하가 사임하면, 오보이 또한 보정대신으로 남아 있을 근거를 잃게 되므로, 오보이는 숙사하에게 24개 조항의 죄상을 참소했다. 처음, 강희제는 그 참소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결국 오보이에 의해 위협을 받아 그 참소를 받아들였다. 숙사하는 교살형에 처해졌고, 일족도 함께 처형되었다.

2. 4. 오보이와의 갈등과 죽음

만주 정백기(正白旗) 출신으로, 원래 순치제 때 섭정왕 도르곤을 모셨으나, 도르곤이 죽은 뒤 순치제에게 적극 협조하여 신임을 얻었다.[1] 1661년(순치 18년) 순치제 임종 시, 허서리 소닌, 구왈기야 오보이, 니오후루 어빌룬 등과 함께 고명대신으로 임명되어 황태자 현엽(강희제)을 황위에 올렸다. 당시 타이완에서 문제를 일으키던 장수 정지룡을 살해하라는 명을 내려 강희제의 신임을 얻었다.[1]

1667년 보정대신 소닌이 죽자, 소닌의 부탁과 함께 강희제를 보호하는 대신 다른 보정대신인 오보이를 견제하려 하였으나, 이미 군권을 장악한 오보이는 숙사하가 선황 순치제의 황릉을 돌보지 않아 선황을 배반하였다는 등 24개 죄목으로 숙사하를 모함했다. 강희제는 어쩔 수 없이 숙사하를 처벌하였고, 1669년 교수형이 집행되었다.[2]

숙사하는 네 명의 섭정 중 가장 어렸으며, 강희제 초기에 명나라 충신 정지룡의 처형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황제의 미성년 기간 동안 오보이와 정치적, 개인적 분쟁에 휘말렸고, 결국 오보이와 결정적으로 갈라섰다. 오보이는 다른 세 섭정을 깎아내려 자신의 손에 권력을 통합하려 했다. 소니는 늙고 허약했고, 이빌룬은 약하다고 여겨졌기에 숙사하는 오보이의 유일한 정치적 경쟁자였다. 소니가 1667년 8월 사망하여 더 이상 갈등을 중재할 수 없게 되자, 숙사하는 노령과 질병을 이유로 은퇴를 요청했다.

오보이의 조언에 따라 강희제는 즉시 의정왕대신 회의에 숙사하의 동기를 조사하라고 명령했다. 이틀 후인 9월 2일, 회의는 숙사하와 그의 모든 남성 친족을 체포하라고 명령했다. 9월 4일, 숙사하에게 24가지 "중죄"를 씌워 능지형으로 처형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숙사하의 책략에 공모한 것으로 추정되는 많은 황실 경비대원과 그의 남성 친족도 처형할 것을 제안했다. 숙사하의 형은 교수형으로 감형되었다. 몇 년 후, 황실은 이전 선고가 성급하게 이루어졌음을 인정하고, 아들과 남성 친족에게 벌을 주는 명령을 철회했다. 숙사하의 아들 중 한 명인 수창수는 숙사하가 불명예스럽게 되기 전에 보유했던 귀족 작위를 상속받을 수 있었다.[2]

1667년(강희 6년) 소닌이 사망하자, 곧 오보이의 세력이 다른 이들을 압도하여 패권을 잡았다. 오보이와 숙사하는 특히 관계가 좋지 않았으므로, 신변의 위험을 느낀 숙사하는 "준화로 가서 선제의 능묘를 지키고 싶다"라며 관직 사임을 요청했다. 이 시점에서 보정대신 중 가장 지위가 높았던 숙사하가 사임하면, 오보이 또한 보정대신으로 남아 있을 근거를 잃게 되므로, 오보이는 숙사하에게 24개 조항의 죄를 씌웠다. 처음 강희제는 참소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결국 오보이에게 위협을 받아 받아들였다. 숙사하는 교살형에 처해졌고, 일족도 함께 처형되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清史稿 列传
[3] 문서 「大腿」の意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