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태는 라틴어 'acedia'를 번역한 것으로, 무관심을 의미하며 기독교에서 주요 악덕 중 하나로 여겨진다. 영적으로는 하느님에 대한 의무에 대한 무관심, 정신적으로는 무감정, 육체적으로는 게으름으로 나타난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나태를 영적인 선에 대한 슬픔으로 정의했으며, 단테는 신곡에서 나태를 충분하지 않은 사랑의 결과로 묘사했다. 현대에는 우울증과 유사하게 해석되기도 하며, 악마 벨페고르가 나태를 관장한다고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칠죄종 - 질투
    자신이 가진 것을 잃을까 봐 두려워하거나 타인이 더 많은 것을 가졌다고 느낄 때 발생하는 질투는 분노, 불안, 열등감 등 복합적인 감정을 포함하며 개인의 자존감, 사회문화적 배경, 관계 맥락 속에서 다양하게 해석된다.
  • 칠죄종 - 게으름
    게으름은 심리학, 경제학, 문학, 종교, 동물 행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석되는 복합적인 현상으로, 심리적 문제, 경제적 선택, 문학적 묘사, 종교적 의미, 동물 행동 전략 등 다양한 관점을 포괄한다.
  • 도덕 - 윤리학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와 가치를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로, 고대부터 다양한 사상이 발전해 왔으며, 규범 윤리학, 응용 윤리학, 가치론 등 다양한 분야로 나뉜다.
  • 도덕 - 양심
    양심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내적 도덕적 인식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개인의 도덕적 판단과 사회적 행동, 그리고 초국가적 문제와도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진다.
나태
개요
죄악기독교의 일곱 가지 죄악 중 하나
내용게으름, 무관심, 무기력, 회피
반대되는 덕목근면
정의
의미"육체적, 정신적 노력을 싫어하고 꺼리는 상태"[1]
"해야 할 일을 회피하고 미루는 습관"[1]
설명단순한 게으름을 넘어, 영적인 나태와 무관심을 포함
신앙 생활과 선행을 게을리하는 것
기독교적 관점
교리육체적 게으름뿐 아니라, 정신적, 영적인 무관심을 포함
하느님, 이웃, 자신에 대한 의무를 소홀히 하는 것
죄악의 정도대죄에 해당 (심각한 죄)
회개와 노력을 통해 극복해야 함
윤리적 관점
문제점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저해
사회 전체의 활력을 떨어뜨림
극복 방법목표 설정 및 실천
긍정적인 마음가짐 유지
주변 사람들과의 협력
역사적 관점
중세 시대수도원에서 중요한 문제로 여겨짐
영향예술 작품, 문학 작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묘사

2. 정의

"나태"라는 단어는 라틴어 ''acedia''(중세 영어, ''acciditties'')를 번역한 것으로 "무관심"을 의미한다. 영적으로 ''acedia''는 처음에는 여성과 종교인에게 나타나는 질병을 지칭했는데, 이들은 하느님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무관심하게 여기게 되었다.[1] 정신적으로 ''acedia''는 여러 특징적인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무감정, 즉 자신이나 타인에 대한 어떠한 감정도 없는 상태로, 이는 지루함, 원한, 무관심, 수동적이고 무기력하거나 둔한 사고를 낳는다. 육체적으로 ''acedia''는 기본적으로 움직임의 중단과 일에 대한 무관심을 의미하며, 이는 게으름, 나태함, 그리고 무기력으로 나타난다. 나태는 '''''게으름'''''으로도 불릴 수 있다.[1] 두 논평가는 ''acedia''의 가장 정확한 번역은 "자기 연민"이라고 여기는데, 이는 "이 상태의 우울함과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자기 중심성을 모두 전달하기 때문이다."[3]

3. 기독교

토마스 아퀴나스는 나태를 "영적인 선에 대한 슬픔"으로 정의했으며,[4] 가톨릭교회 교리서에서는 나태를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기쁨을 거부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5] 나태는 성령의 은사를 무시하여 영적 진보를 늦추고, 이웃에 대한 자선 의무를 소홀히 하며, 하느님에 대한 적개심을 불러일으킨다.[6] 다른 주요 죄악과 달리 나태는 욕망이나 행위가 부족한 소홀함의 죄악이다.[6]

단테 알리기에리신곡연옥편에서 나태를 충분하지 않은 사랑의 결과로 보았다.[7] 대구법의 논리에 따라, 나태한 자들은 끊임없이 달리기를 통해 그들의 악덕을 정화한다.[8]

3. 1. 가톨릭

토마스 아퀴나스는 저서 ''신학대전''에서 나태를 "영적인 선에 대한 슬픔"이자 "선을 행하는 것을 게을리하는 마음의 우스움"으로 정의했다.[4] 가톨릭교회 교리서에 따르면, 나태는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기쁨을 거부하고 선함에 의해 쫓겨나는 정도에 이른다.[5]

나태는 성령이 부여한 일곱 가지 은사 (지혜, 지성, 견해, 지식, 경건, 용기, 주님을 경외함)를 무시한다. 이러한 무시는 삶을 향한 영적 진보를 늦추고, 이웃에 대한 자선의 여러 의무를 소홀히 하며, 하느님에 대한 적개심을 불러일으킨다.[6]

다른 주요 죄악과 달리, 나태는 소홀함의 죄악이며, 욕망이나 행위의 결여이다. 헨리 에드워드 매닝은 나태의 상태와 습관은 대죄이지만, 마지막 나태 상태로 향하는 영혼의 습관은 특정 상황을 제외하고는 그 자체로 대죄가 아니라고 주장했다.[6]

3. 2. 정교회

필로칼리아에서는 "나태" 대신 "낙담"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 낙담에 빠진 사람은 삶에 대한 흥미를 잃기 때문이다.

3. 3. 기타 기독교적 관점

나태는 해야 할 일을 하지 않는 것으로 정의되기도 하며, 이는 무관심, 냉담함, 특히 하느님에 대한 냉담함이나 지루함의 징후로 이해되었다.[9] 이러한 무관심은 충분하지 않은 사랑으로 볼 수 있다.[7]

정서적, 인지적으로 악덕인 *아케디아*는 세상, 세상 속의 사람들, 또는 자신에 대한 감정의 결여로 표현된다. *아케디아*는 감각적 자아가 먼저 세상과, 다음으로는 자기 자신으로부터 소외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상태의 가장 심오한 형태는 다른 사람이나 자기 자신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참여나 관심으로부터의 철회에서 발견되지만, 덜하지만 더 불쾌한 요소도 신학자들에 의해 언급되었다. 그레고리오 1세는 *슬픔*(''tristitia'')으로부터 "악의, 앙심, 비겁함, [그리고] 절망..."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제프리 초서는 *아케디아*의 속성을 다루면서 절망, 졸음, 게으름, 지각, 부주의, 나태함, 그리고 "분노" 또는 "짜증"으로 다양하게 번역되는 *wrawnesse*를 죄의 특징으로 꼽았다. 초서에게 인간의 죄는 쇠약해지고 움츠러드는 것으로, 선을 세우는 상황이 너무 고통스럽고 견디기 어렵다고 스스로에게 말하면서 선행을 시작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이다. 초서의 관점에서 *아케디아*는 따라서 모든 근원과 일의 동기의 적이다.[10]

나태는 신체의 생계를 파괴할 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식량을 돌보지 않으면서 정신을 둔화시키고, 중요한 문제에 대한 주의를 멈추게 한다. 나태는 인간이 의로운 일을 하는 것을 방해하고 멸망으로 가는 길이 된다.[10]

페터 빈스펠트의 *악마 분류*(''Binsfeld's Classification of Demons)에 따르면, 벨페고르는 나태의 주 악마이다.[11]

기독교 작가이자 임상 심리학자인 윌리엄 백커스 박사는 나태와 우울증의 유사점을 지적했다. "우울증은 노력에 대한 혐오를 포함하며, 나태의 도덕적 위험은 이러한 특성에 있다. 자신의 의지를 사용하여 도덕적이고 영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관련된 일은 특히 바람직하지 않고 요구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나태한 사람은 자신의 의지가 없다고 확신하며 죄의 습관 속에서 흘러가고, 이러한 주장은 나태에 대한 생물학적, 환경적 원인과 의학적 치료법만을 지속적으로 찾는 사람들에 의해 지원된다."[12]

4. 현대적 해석

나태는 우울증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다. 기독교 작가이자 임상 심리학자인 윌리엄 백커스 박사는 우울증이 노력에 대한 혐오를 포함하며, 나태의 도덕적 위험이 이러한 특성에 있다고 말한다. 나태한 사람은 자신의 의지를 사용하여 도덕적이고 영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을 꺼리고, 자신의 의지가 없다고 확신하며 죄의 습관 속에서 살아간다. 이러한 주장은 나태에 대한 생물학적, 환경적 원인과 의학적 치료법만을 지속적으로 찾는 사람들에 의해 지원된다.[12]

5. 문학 및 예술에서의 나태

(결과값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5. 1. 단테의 신곡

단테신곡의 ''연옥'' 제18곡에서 나태를 주요 악덕으로 묘사한다. 단테는 연옥 산의 네 번째 테라스에서 나태한 자들을 만나며, 그의 안내자인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는 나태가 충분하지 않은 사랑의 결과라고 설명한다.[7] 대구법의 논리에 따라, 나태한 자들은 끊임없이 달리기를 통해 그들의 악덕을 정화한다.[8]

참조

[1] 서적 The Seven Deadly Sins: Society and Evil
[2]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sloth http://www.dictionar[...] 2016-05-03
[3] 서적 Experiencing Spirituality: Finding Meaning Through Storytelling Tarcher Perigee
[4] 웹사이트 The Summa Theologica II-II.Q35.A1 (Sloth) http://www.newadvent[...] New Advent
[5] 간행물 Cite CCC
[6] 서적 Sin and Its Consequences https://archive.org/[...] Burns and Oates
[7] 서적 Lectura Dantis: Purgatorio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 서적 Purgatorio http://worldcat.org/[...]
[9] 웹사이트 Lazy Busy http://www.desiringg[...] 2015-03-04
[10] 서적 The Seven Deadly Sins: Society and Evil Rowman & Littlefield
[11] 문서 Encyclopedia of Demons and Demonology Facts on File
[12] 서적 What Your Counselor Never Told You Bethany House
[13] 서적 The Seven Deadly Sins: Society and Evil
[14] 웹인용 the definition of sloth http://www.dictionar[...] 2016-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