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횡단산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극횡단산맥은 로스해와 웨델해 사이의 남극 대륙을 가로지르는 약 3,500km 길이의 산맥으로, 동남극과 서남극의 경계를 이룬다. 최고봉은 퀸 알렉산드라 산맥에 위치한 마운트 키르크패트릭(4,528m)이며, 맥머도 드라이 밸리와 같은 얼음으로 덮이지 않은 지역이 존재한다. 1841년 제임스 클라크 로스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1900년대 초 탐험대들이 횡단했다. 산맥은 화강암과 편마암 기반 위에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많은 화석이 발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남극횡단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남극 |
최고봉 | 커크패트릭 산 |
해발고도 | 4,528m |
길이 | 3,500km |
지질학적 정보 | |
시대 | 신생대 |
조산 운동 | 해당사항 없음 |
좌표 |
2. 지리
남극횡단산맥은 로스해와 웨델해 사이, 남극 대륙 전체를 가로질러 뻗어 있으며, 총 길이는 약 3500km로 지구상에서 가장 긴 산맥 중 하나이다. 남극 안데스 산맥은 이보다 더 길지만, 케이프 아데어에서 퀸 모드 산맥에 이르는 구간은 남극횡단산맥과 겹친다. 남극 안데스 산맥은 화이트모어 산맥과 엘스워스 산맥을 거쳐 남극 반도까지 뻗어 있다. 폭이 100km에서 300km에 달하는 남극횡단산맥은 동남극과 서남극의 경계를 이룬다. 동남극 빙상은 동반구 쪽에서 남극횡단산맥 전체를 따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산맥의 서반구 쪽은 빅토리아 랜드의 케이프 아데어에서 맥머도 해협까지는 로스해, 맥머도 해협에서 스콧 빙하 부근까지는 로스 빙붕, 그리고 그 너머로는 서남극 빙상으로 경계를 이룬다.
남극횡단산맥의 거대한 봉우리와 건조 계곡은 남극에서 얼음으로 덮이지 않은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며, 최고봉은 해발 4500m 이상이다. 맥머도 드라이 밸리는 맥머도 해협 근처에 있으며, 강수량이 극히 적고 계곡 내 얼음이 승화되어 눈과 얼음이 없는 특별한 남극 현상을 보인다. 남극횡단산맥의 최고봉은 퀸 알렉산드라 산맥에 있는 해발 4528m의 마운트 키르크패트릭이다.
2. 1. 주요 산맥 및 빙하
주요 산맥 및 빙하 |
---|
펭귄, 물개, 바닷새 등이 빅토리아 랜드의 로스해 해안선을 따라 서식하며, 남극횡단산맥 내륙의 생명체는 지의류, 조류, 세균, 곰팡이로 제한된다.[1] 한때 남극 대륙에는 윌레미 소나무와 남방참나무를 포함한 숲이 있었다.[1] 그러나 곤드와나의 분리와 관련된 점진적인 냉각으로 인해 이러한 숲은 점차 사라졌다.[1] 남극 대륙에 마지막으로 나무가 있었던 곳은 남극횡단산맥으로 추정된다.[1]
남극횡단산맥은 1841년 제임스 클라크 로스 선장이 로스해에서 처음 발견했다. 이 산맥은 로스 빙붕에서 남극점으로 가기 위해 반드시 건너야 하는 자연 장벽이다.
남극횡단산맥은 로스해와 웨델해 사이 남극 대륙 전체를 가로질러 뻗어 있다. 총 길이 약 3500km로 지구상에서 가장 긴 산맥 중 하나이다. 폭은 100km이며, 동남극과 서남극의 경계를 이룬다. 남극횡단산맥의 거대한 봉우리와 건조 계곡은 남극에서 얼음으로 덮이지 않은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이며, 최고봉은 해발 4500m 이상이다. 맥머도 드라이 밸리는 맥머도 해협 근처에 위치하며 강수량이 극히 적고 계곡 내 얼음이 승화되어 눈과 얼음이 없는 지형이다. 남극횡단산맥의 최고봉은 퀸 알렉산드라 산맥에 있는 해발 4528m의 마운트 키르크패트릭이다.
1841년, 제임스 클라크 로스가 로스해를 발견했을 때 남극횡단산맥이 역사에 처음 등장하였다. 이 산맥은 로스해와 남극 대륙을 나누는 경계임이 밝혀졌다. 1908년, 어니스트 섀클턴 일행은 비어드모어 빙하를 통해 이 산맥을 횡단했다.[2] 1911년에는 로버트 팰컨 스콧이 섀클턴과 같은 비어드모어 빙하를 통과했고, 같은 시기에 로알 아문센은 악셀 하이베르그 빙하를 통과했다.
[1]
서적
The Wollemi Pine
Text Publishing
2000
3. 생물
4. 역사
1902~1904년 영국 남극 탐험대가 로스 빙붕에서 남극횡단산맥을 처음으로 횡단하였다. 앨버트 아미티지가 지휘하는 정찰대는 1902년에 2700m 고도에 도달했다. 다음 해, 탐험대장 로버트 팰컨 스콧은 페라르 빙하에서 동남극으로 건너갔다. 페라르 빙하는 탐험대의 지질학자를 기려 명명되었다. 그들은 페라르 빙하를 통해 돌아오기 전 남극 고원의 빅토리아 랜드 일부를 탐험했다.
1908년, 어니스트 섀클턴의 탐험대는 비어드모어 빙하를 통해 산맥을 횡단했다. 스콧은 1911년에 비어드모어 빙하로 돌아왔고, 로알 아문센은 악셀 하이베르그 빙하를 통해 산맥을 횡단했다.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까지 이 산맥의 대부분은 탐험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었고, 하이점프 작전과 국제 지구 관측년(IGY)과 같은 임무에서 항공 사진을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대륙 전체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집중적으로 수행했다. "남극횡단산맥"이라는 명칭은 IGY 현장 조사를 수행한 지질학자 워렌 B. 해밀턴의 1960년 논문[2]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1962년 미국 지명 당국인 남극 지명 자문 위원회에서 권고되었다. 이 순수하게 기술적인 명칭(남극의 다른 많은 지리 명칭과는 대조적으로)은 현재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퀸 모드 산맥의 레버렛 빙하는 맥머도 기지와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 사이의 육상 보급로를 위한 남극횡단산맥 통과 계획 경로이다.
5. 지질
남극횡단산맥은 대륙의 다른 산맥들보다 훨씬 오래되었으며, 다른 산맥들은 주로 화산 기원이다. 이 산맥은 약 6,500만 년 전 초기 신생대에 동쪽에 있는 서남극 열곡계가 열리면서 지각 융기되었고, 곧 빙하로 덮였다.[3]
이 산맥은 화강암과 편마암의 기저 위에 놓인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퇴적층에는 실루리아기부터 쥐라기까지 퇴적된 비콘 슈퍼그룹의 사암, 실트스톤, 석탄 등이 포함된다. 많은 지역에서 비콘 슈퍼그룹은 쥐라기 시대의 페라르 돌러라이트의 암맥과 암상에 의해 관입되었다. 남극에서 발견된 많은 화석은 이러한 퇴적 지층 내에서 발견된다.
동남극 빙상의 얼음은 일련의 출구 빙하를 통해 남극횡단산맥을 지나 로스해, 로스 빙붕, 그리고 서남극 빙상으로 흘러간다. 이러한 빙하들은 일반적으로 산맥의 방향에 수직으로 흐르며, 지맥과 봉우리 그룹을 정의한다. 이러한 출구 빙하의 많은 부분이 대규모 지질 단층의 흔적을 따른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무선 빙하학 조사에서 "빙상 분할대 아래의 산악형 빙하 하부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세 개의 깊은 빙하 하곡이 발견되면서, 얼음 흐름 이론은 재평가될 것이다.[4] 이러한 지형적 특징은 남극횡단산맥 지역을 통한 얼음 흐름과 관련된 모델 및 계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4]
6. 한국의 남극 연구와 남극횡단산맥
1940년대부터 1950년대에 걸쳐 하이점프 작전과 같은 남극 조사가 이루어졌고, 국제 지구 관측년에는 항공 사진을 이용하여 남극 전역의 지형 조사가 실시되었다. 1962년 미국의 남극 지명 위원회에 의해 이 산맥의 이름이 명명되었고, 이 명칭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지지를 받아 그대로 남극 횡단 산맥이 되었다.[2]
맥머도 기지와 아문센-스콧 남극 기지를 잇는 맥머도-남극점 도로 계획에서 이 산맥을 넘는 지점으로 퀸 모드 랜드에 위치한 레버렛 빙하가 거론되고 있다.
참조
[2]
서적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0
[3]
저널
60 million years of glaciation in the Transantarctic Mountains
2022-09-21
[4]
저널
Topographic Steering of Enhanced Ice Flow at the Bottleneck Between East and West Antarctica
[5]
웹사이트
디지털대사전의 해설
https://kotobank.jp/[...]
코토뱅크
2018-02-24
[6]
저널
Variations of the effective elastic thickness over the Ross Sea and Transantarctic Mountains and implications for their structure and tectonics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