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인더스파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동인더스파크역은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있는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이다. 1937년 남동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나, 남동산업단지 개발 및 수인선 폐선으로 폐역되었다가 2012년 수인선 재개통과 함께 남동인더스파크역으로 영업을 재개했다.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근에 한국산업단지공단, 인천공단소방서 등이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4년 폐지된 철도역 - 달월역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에 위치한 달월역은 지형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폐역 후 전철역으로 재개업하여 수인분당선이 운행되고, 주변에 아울렛과 차량사업소가 있다. - 1994년 폐지된 철도역 - 소래포구역
소래포구역은 1937년 소래염전 소금 수송을 위해 소래역으로 시작하여 1994년 폐역되었다가, 2012년 수인선 재개통과 함께 현재 위치에서 소래포구역으로 영업을 재개했으며, 수인분당선이 운행되는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 인천 남동구의 전철역 - 간석역
인천 남동구 간석동에 위치한 간석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환승역으로, 1994년 개업 후 수인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 기능을 강화했으며, 주변에 여러 시설이 위치해 있다. - 인천 남동구의 전철역 - 운연역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종착역인 운연역은 서창이라는 부역명을 가지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반지하역으로, 개통 초기 이용률이 저조했으나 도로 개통 및 버스 노선 확충으로 이용률이 증가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압구정로데오역
압구정로데오역은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지하철역으로, 2012년 개통 이후 압구정로데오거리와 인접하여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역명 제정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역 - 오이도역
오이도역은 2000년에 개통된 안산선 지상역으로,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었으며,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모두 정차하고, 주택단지와 공업단지 인근에 위치한다.
남동인더스파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남동인더스파크역 |
로마자 표기 | Namdongindeoseupakeuyeok |
한자 표기 | 南洞인더스파크驛 |
역 번호 | K264 |
주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은청로 17 (고잔동 970-14) |
좌표 | '37.407767, 126.695237'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역 종류 | 보통역 |
승강장 형태 | 2면 4선식 고가역 |
개업일 | 2012년 6월 30일 |
역사 정보 | |
스크린도어 | 설치됨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역 |
통계 정보 | |
2023년 하루 평균 이용객 | 3,926명 |
2023년 하루 평균 승차 인원 | 1,856명 |
노선 정보 | |
이전 역 | 호구포역 |
다음 역 | 원인재역 |
이전 역 간 거리 | 1.3km |
다음 역 간 거리 | 1.0km |
기타 정보 |
2. 역명
이 역의 공사 당시 가칭은 '''남동공단역'''이었으나, 개통 당시 역명은 '''남동역'''이었다. 이후 지역 이미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한국산업단지공단 경인본부의 요청에 따라 현재의 역명인 '''남동인더스파크'''로 최종 결정되었다.[7]
역명을 국한문혼용으로 표기할 경우 '南洞인더스파크'가 되어야 하지만, 공식 한자 표기는 '''南洞産業團地'''(남동산업단지)로 확정되었다. 이는 한자 표기를 '中央公園'(중앙공원)으로 사용하는 센트럴파크역과 유사한 사례이다. 또한 이 역의 공식 약칭은 한글과 한자 모두 '''남동산단'''(南洞産團)으로 정해졌다.[8]
3. 역사
4. 역 구조
상대식 승강장 2면 4선의 고가역이다. 승강장 남쪽으로 물류 처리를 위한 측선 3개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원인재역 방향으로 바라보면 원인재역 승강장이 바로 보인다.
4. 1. 승강장
5. 역 주변
6. 이용객 변동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2년 6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85일 기준으로 환산한 것이다.
7. 사진
8. 인접한 역
(청량리 방면)
(인천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