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 침례교 신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침례교 신학교는 1835년 설립이 제안되어 1859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에서 개교한, 남침례회 소속의 신학교이다. 미국 남북 전쟁으로 잠시 문을 닫았다가 1877년 켄터키주 루이빌로 이전했다. 1951년 듀크 맥콜 총장 재임 기간에 흑인 학생의 입학을 허용하여 시민권 운동에 영향을 미쳤고, 여러 차례 총장 교체와 학교 조직 개편을 거쳤다. 현재는 신학부, 빌리 그레이엄 선교, 전도 및 사역 학교, 보이스 칼리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1938년 인증을 받은 이후 미국 및 캐나다 신학대학협회, 남부 대학 및 학교 협회의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이빌의 대학교 - 루이빌 대학교
    루이빌 대학교는 켄터키주 루이빌에 위치한 공립 연구 대학으로, 1798년 제퍼슨 신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기관과 통합 후 켄터키 주립 대학교 시스템에 합류, 다양한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특히 의과대학은 의학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 켄터키주의 기독교 - 미국장로교
    미국장로교(PCUSA)는 개혁주의 전통의 미국 개신교 교단으로,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이민자들을 통해 전파되었고, 분열과 통합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진보적 사회적 입장, 내부 갈등, 교인 수 감소 등의 특징과 장로교 정치, 에큐메니컬 활동을 가지고 있다.
  • 켄터키주의 기독교 - 트랜실베이니아 대학교
    트랜실베이니아 대학교는 1780년 버지니아 의회에 의해 설립된 켄터키주 렉싱턴의 사립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앨러게니 산맥 서쪽 최초의 대학이며, 다양한 학부 과정과 평화 봉사단 준비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 1859년 개교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는 1859년 예수회가 설립한 필리핀의 사립 대학교로, 케손 시티에 메인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며 사회 참여를 강조한다.
  • 1859년 개교 - 메어리 인스티튜트 앤드 세인트 루이스 컨트리 데이 스쿨
    메어리 인스티튜트 앤드 세인트 루이스 컨트리 데이 스쿨(MICDS)은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위치한 사립 남녀공학 학교로, 스미스 아카데미 폐교 후 세인트루이스 컨트리 데이 스쿨로 설립되어 메리 인스티튜트와 통합되어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남녀공학 교육과 다양한 프로그램, 학교 역사 기념 활동을 제공한다.
남 침례교 신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남침례신학대학교 로고
남침례신학대학교 로고
모토진리를 위하여. 교회를 위하여. 세상을 위하여. 하나님의 영광을 위하여.
설립일1859년
종류사립
종교적 제휴남침례교
기부금9550만 달러
총장R. 알버트 몰러 주니어
교무처장폴 M. 아킨
도시루이빌
켄터키주
인가ATS
SACSCOC
제휴켄터키아나 메트로버시티
보이스 칼리지
웹사이트sbts.edu
학생 수4,448명 (2021–2022)
교수진72명
캠퍼스교외
100 에이커
위치
관련 단체
교단남침례교
관련기관북미 선교 위원회
국제 선교 위원회
라이프웨이 기독교 자료
여성 선교 연합
윤리 및 종교 자유 위원회
주 총회
침례교 언론
파운더스 사역
신학교
계열 신학교게이트웨이 신학교
미드웨스턴 침례 신학 대학원
뉴올리언스 침례 신학 대학원
사우스이스턴 침례 신학 대학원
남침례신학대학교
사우스웨스턴 침례 신학 대학원

2. 역사

배질 매니 시니어가 1835년 남침례신학교 설립을 처음 제안한 이후, 남침례교 신학교는 여러 우여곡절을 겪으며 성장했다. 19세기 중반 제임스 P. 보이스의 노력으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에서 시작된 신학교는 미국 남북 전쟁 이후 켄터키주 루이빌로 이전하여 재건되었다. 존 A. 브로더스, 윌리엄 휘치트, 에드거 영 멀린스 등 역대 총장들의 헌신 속에, 목회학 석사(M.Div.), 철학 박사(Ph.D.) 학위 과정이 개설되고 여성의 입학이 허용되는 등 발전을 거듭했다.

20세기 중반, 듀크 킴브로 맥콜 총장 재임 시기에는 종교 교육 학교 설립, 빌리 그래함 전도학 교수 신설, 목회학 박사(D.Min.) 프로그램 개설 등 괄목할 만한 성장이 이루어졌다. 보이스 칼리지 또한 이 시기에 성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로이 허니컷 총장 시대를 거쳐, R. 앨버트 몰러 총장 시대에는 보수적인 신학적 입장을 강화하고 학부 대학을 재편하는 등 변화를 겪었다. 2021-2022년 기준, 남침례교 신학교에는 4,448명의 학생이 등록되어 있다.

남침례교 총회에는 남침례교 신학교 외에도 다음과 같은 신학교들이 있다.

학교 이름위치설립 연도
남부 침례 신학교켄터키 주 루이빌1859년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그린빌에서 설립)
사우스웨스턴(남서부) 침례 신학교텍사스 주 포트워스1908년
뉴올리언스 침례 신학교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1916년
게이트웨이 신학교캘리포니아 주 온타리오1944년
사우스이스턴(남동부) 침례 신학교노스캐롤라이나 주 웨이크포레스트1950년
미드웨스턴(중서부) 침례 신학교미주리 주 캔자스시티1957년


2. 1. 19세기 ~ 20세기 초 (1835–1950)

배질 매니 시니어는 1835년에 남침례신학교 설립을 처음 제안했다. 이후 20년 동안 그는 남침례신학대학원 설립 운동의 원동력이었다.[6]

1856년, 사우스캐롤라이나 침례교인들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에 모여 제임스 P. 보이스와 함께 신학교 재정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그 회의에서 남침례교인들은 신학대학 설립을 위해 100000USD를 기부하기로 약속했다. 1857년, 보이스는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열린 총회 회원들을 설득하여 남침례신학대학원 설립 안건을 통과시켰다. 1859년 가을, 남침례신학대학원은 26명의 학생으로 첫 학년을 시작했다. 이 신학교는 미국 남북 전쟁으로 인해 1861년부터 1865년까지 일시적으로 문을 닫을 때까지 계속 성장했다. 전쟁 후, 이 신학교는 다른 장소에서 재건되어야 했다. 이사회는 보이스와 함께 새로운 위치를 신학교의 현재 위치인 루이빌로 결정했다.[6]

1891년 남침례신학대학원


1889년, 존 A. 브로더스가 신학교의 두 번째 총장이 되었다. 출석률과 등록률이 계속 증가했고, 1890년대 초부터 목회학 석사(M.Div.)와 철학 박사(Ph.D.)가 대학원 학위로 제공되기 시작했다.[7] 브로더스 이후, 윌리엄 휘치트가 1895년 남침례신학대학원의 세 번째 총장이 되었다.[8] 그 기간 동안 침례교인들 사이에서 랜드마크주의와 관련된 논란과 함께 어려운 임기를 보낸 후, 휘치트는 에드거 영 멀린스(보이스의 칼리지 기숙사의 주요 건물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에게 총장직을 물려주었다. 멀린스 재임 기간 동안 신학교는 약 1800000USD의 기금을 모금했다. 1900년대 초에 여성들이 수업에 입학하기 시작했다.[9]

2. 2. 현대 (1950년대–현재)

1951년, 듀크 킴브로 맥콜이 남침례교 신학교 총장이 되었다. 맥콜의 지도 아래, 기독교 교육을 위한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해 종교 교육 학교가 설립되었다. 종교 교육 학교, 신학 학교, 음악 학교의 세 개의 학술 학교가 조직되었다. 1966년에는 미국 전도사 빌리 그래함을 위한 전도학 교수가 신설되었다. 남침례교 신학교는 1970년에 목회학 박사(D.Min.)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맥콜 재임 기간 동안 등록 학생 수는 약 1,500명에 달했다. 보이스 칼리지(당시 보이스 성경 칼리지로 알려짐)는 1974년에 성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설립되었다. 맥콜은 1981년에 은퇴했으며 그의 유산은 칭찬과 논란을 불러일으켰다.[1]

1981년, 로이 허니컷은 맥콜의 뒤를 이어 남침례교 신학교의 8대 총장이 되었다. 그의 지도 아래 신학교는 카버 교회 사회 사업 학교를 개설했으며 1986년에 역대 최고 등록 학생 수를 기록했다. 허니컷은 또한 현재 남침례교 보수 부흥으로 알려진 남침례교 총회 내의 격동적인 시기에 신학교를 이끌었다. 애드리안 로저스가 남침례교 총회 회장으로 선출된 후, 신학교는 성경의 무오성 등 전통적인 신학적 입장으로 서서히 복귀하기 시작했다. 허니컷은 1992년에 은퇴했다.[1]

1993년, 신학교 이사회는 R. 앨버트 몰러를 남침례교 신학교의 9대 총장으로 선출했다. 몰러의 지도 아래, 모든 교직원은 "원리 요약"과 "침례교 신앙 및 메시지"로 알려진 신학교의 신앙 고백에 서명해야 했다. 또한 성경에 오류가 없다고 믿어야 했다. 당시 성인 교육 프로그램이었던 보이스 성경 칼리지는 학부 대학으로 재편성되어 설립되었다. 2017년, 신학교는 5,000명 이상의 학생이 등록하여 학교 역사상 최대 등록 학생 수를 기록했다.[1] 2021-2022년에는 4,448명의 학생이 있었다.[2]

3. 캠퍼스

남북 전쟁 이후, 신학교는 수년간 휴강했다.[14] 존 D. 록펠러를 비롯한 여러 부유한 침례교 신자들과 새로운 캠퍼스 건설을 약속한 켄터키의 사업가 그룹의 재정적 도움을 받아,[15][16] 신학교는 1877년 켄터키주 루이빌 시내의 Fifth Street와 브로드웨이로 이전했다.

1926년, 남부 총장 에드가 Y. 멀린스의 재임 기간 동안, 신학교는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 사가 설계한 시내 중심부 동쪽에 있는 100acre 규모의 교외 캠퍼스인 "비치스"로 이전했다.[17] 이 캠퍼스에는 현재 조지아 건축 양식의 10개의 학술 및 주거 건물과 기혼 학생들을 위한 3개의 주거 마을이 있다.

4. 시민권 운동

1951년, 듀크 킴브로 맥콜 총장은 공공 시설의 분리를 규정한 켄터키 주법에 반하여 캠퍼스를 통합했다.[18] 시민권 운동이 절정에 달했을 때, 남침례교 신학교는 침례교 목사이자 시민권 지도자인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방문을 유치한 유일한 남침례교(SBC) 기관이었다(1961년).[18] 킹 목사는 남침례교 신학교에서 연설하면서, 어머니가 전미침례교회 여성 부속 단체의 오르간 연주자였기 때문에 과거에 어머니를 따라 여러 번 신학교 예배당에 방문했었다고 언급했다.[19]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1961년 서던 신학교 예배당에서 설교했다. 킹 목사는 헨리 바네트, 놀란 하우잉턴, 앨런 그레이브스 교수(왼쪽부터)와 만났다.


그 결과, 많은 기부자들이 남침례교 신학교에 대한 기부를 중단했고, 일부는 킹 목사가 신학교 예배당에서 연설하도록 허용한 맥콜 총장의 사임을 요구했다.[20]

2018년에는 노예제도와의 연관성에 대한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이 문제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었고, 여러 인종의 목사 연합은 남침례교 신학교에 인근 흑인 대학을 재정적으로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 요청에도 불구하고 남침례교 신학교는 이를 거부했다. 이에 대해 앨버트 모흘러 주니어 총장과 F. 매튜 슈머커 이사회 의장은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했다.

> "우리는 이와 관련하여 남침례교 협약의 정책에 동의하며, 재정적 배상이 적절한 대응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설립자들은 50명 이상의 노예를 소유했다는 주장이 있다.[21]

5. 조직 및 운영

남침례신학교는 신학 교육의 혁신을 주도해 왔으며, 다음과 같은 최초의 기록들을 가지고 있다.


  • 1892년: 최초의 종교학 박사 과정 설립
  • 1902년: 최초의 기독교 선교학과 설립
  • 1925년: 최초의 종교 교육 과정 설립
  • 1984년: 최초의 인증된 신학교 기반 사회 사업 프로그램 설립


1953년, 맥콜 총장과 이사회는 학교를 소규모 대학 형태로 재조직하여 신학부(학장 펜로즈 세인트 아마), 종교 교육부(학장 게인스 S. 도빈스), 교회 음악부(학장 포레스트 헤렌) 등 3개의 대학원-전문학교로 나누었다.

1984년, 앤 데이비스는 카버 교회 사회 사업 학교의 초대 학장이 되었고, 이 학교는 사회 사업 교육 협의회(1987년)의 인증을 받은 최초의 신학교 기반 사회 사업 석사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 학교는 1997년 신학교 행정부에 의해 해산되었는데, 그들은 세속적인 사회 사업이 신학교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복음 전도자, 선교사 및 교회 성장 전문가를 양성하는 학교로 대체했다.[24]

1968년, 남침례신학교는 켄터키애나 메트로버시티(Kentuckiana Metroversity) 설립을 도왔다. 이 컨소시엄은 2개의 신학교, 2개의 주립 대학교, 1개의 커뮤니티 칼리지, 2개의 사립 칼리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동 도서관 목록, 모든 회원 기관 학생의 상호 등록, 교직원 및 문화 교류를 제공한다. 1970년에는 중부 아메리카 신학 교육 협회(TEAM-A) 설립을 도왔는데, 이는 장로교(Presbyterian), 웨슬리 교회(Wesleyan Church)|웨슬리 감리교회, 그리스도의 제자회(Disciples of Christ), 로마 가톨릭(Roman Catholic) 및 침례교 전통과 관련된 5개 학교의 컨소시엄으로, 미국 최초의 신학교 "클러스터" 중 하나이다. 이들은 기관 간 팀 티칭, 학생 간 상호 등록, 공동 도서관 목록을 제공한다.[25]

채플

5. 1. 조직 구조

남침례신학교는 남침례교 총회(SBC)에서 지명하고 선출한 이사회[26]에 의해 운영된다. 학교는 SBC의 협력 프로그램(교회가 교단 기관에 기부하는 통일된 재정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연간 예산 3100만 달러의 거의 3분의 1을 지원받는다. 2007–08 회계 연도에 남침례신학교는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950만달러를 받았다. 학교의 기부금과 투자된 준비금은 총 7800만달러였다.[27]

현재 남침례신학교는 다음 3개의 학교로 구성되어 있다.[29]

  • 신학부
  • 빌리 그레이엄 선교, 전도 및 사역 학교
  • 보이스 칼리지(Boyce College)



5. 2. 인증

미국 및 캐나다 신학대학협회(Association of Theologica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에서 1938년에 인증을 받았으며, 이는 해당 협회의 인증을 받은 최초의 신학교 및 신학 대학 그룹에 속했다.[22] 1968년에는 남부 대학 및 학교 협회(Southern Association of Colleges and Schools)에서 인증을 받은 최초의 신학교 중 하나가 되었다.[23]

5. 3. 재정

이 신학교는 남침례교 총회(SBC)에서 지명하고 선출한 이사회[26]에 의해 운영된다. 이 학교는 SBC의 협력 프로그램(교회가 교단 기관에 기부하는 통일된 재정 지원 시스템)으로부터 연간 예산 3100만달러의 거의 3분의 1을 지원받는다. 2007–08 회계 연도에 남침례신학교는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950만달러를 받았다. 이 학교의 기부금과 투자된 준비금은 총 7800만달러였다.[27]

6. 교육 철학 및 교수진

남 침례교 신학교의 사명은 "주 예수 그리스도의 통치 아래, 하나님의 말씀으로서 성경에 전적으로 헌신하고, 대위임령을 우리의 사명으로 삼고, 더 충실한 봉사를 위해 복음의 사역자들을 훈련시키고, 교육하며, 준비시킴으로써 남 침례교단의 교회를 섬기는 것"이다.[1]

1993년, 신학교 총장 앨버트 몰러는 1858년에 만들어진 신학교의 "원리 요약"을 재확인하며 취임했다. 이 헌장은 모든 교수가 "원리 요약"에 따라 가르쳐야 하며, 이를 어길 시 이사회의 사임 또는 해임 사유가 된다고 명시했다.[33]

몰러 총장은 교수들에게 "원리 요약"과 침례교 신앙과 메시지(BF&M)를 준수할 것을 요구했다. 대부분의 교수진은 "원리 요약"을 긍정했지만, 일부는 최근 수정된 BF&M의 일부 교리를 긍정하지 않아 해고되거나 사임했다.[34] 이후 신학교는 "원리 요약"과 BF&M을 모두 준수하는 새로운 교수진으로 대체했다.

7. 주요 학위 과정

남침례교 신학교는 1890년대 초부터 목회학 석사(M.Div.)와 철학 박사(Ph.D.) 학위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1970년에는 목회학 박사(D.Min.) 프로그램이 추가되었다.[7][8]

7. 1. 학위

1890년대 초부터 목회학 석사(M.Div.)와 철학 박사(Ph.D.)가 대학원 학위로 제공되기 시작했다.[7] 1892년부터 미국 최초로 박사 학위를 제공한 신학교 중 하나였다. 1903년부터 종교 교육 관련 과정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1953년에 종교 교육 학교로 확장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미국에서 가장 큰 종교 관련 박사 학위 과정을 운영했다.

1953년, 남 침례교 신학교는 교회 음악 분야에서 정식 학위 과정을 제공하는 몇 안 되는 신학교 중 하나가 되었다. 1980년대에는 공인된 신학교 기반의 사회 복지 석사 학위를 제공하는 교회 사회 사업 학교를 설립한 최초의 신학교 또는 신학 대학원이었다.

7. 2. 프로그램

존 A. 브로더스가 1889년 신학교의 두 번째 총장이 된 후, 출석률과 등록률이 계속 증가했다. 1890년대 초부터 목회학 석사(M.Div.)와 철학 박사(Ph.D.) 학위가 대학원 과정으로 제공되기 시작했다.[7] 1970년에는 목회학 박사(D.Min.)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8]

8. 저명한 동문 및 교수진

이름설명
제이슨 K. 앨런 (Jason K. Allen)미드웨스트 침례 신학교 총장 (2012년 ~ 현재)
찰스 C. 볼드윈 (Charles C. Baldwin)미국 공군 군종감 (2004년 ~ 2008년)
레지날드 비비 (Reginald Bibby)사회학자
라본 버틀러 (LaVerne Butler)루이빌의 9th & O 침례교회 목사 (1969년 ~ 1988년), 메이필드의 미드-컨티넨트 대학교 총장 (1988년 ~ 1997년), 1970년대 ~ 1980년대 남침례교 보수 부흥 운동의 지도자[45]
더글러스 카버 (Douglas Carver)미국 육군 군종감 (2007년 ~ 2011년)
크리스 클라크 (Chris Clarke)켄터키주 및 인접 주 승마 커뮤니티의 선교사
W.A. 크리스웰 (W. A. Criswell)텍사스주 댈러스 제일 침례교회 목사, 남 침례회 총회 회장 (1969년 ~ 1970년)
미겔 A. 데 라 토레 (Miguel A. De La Torre)히스패닉 종교 생활 저술가, 콜로라도주 덴버의 일리프 신학대학 사회 윤리학 교수 (1999년 ~ 현재)
마크 데버 (Mark Dever)캐피톨힐 침례교회 목사, 유명 강사, 저술가, 신학자
암지 딕슨 (Amzi Dixon)일리노이주 시카고의 무디 교회 목사 (1906년 ~ 1911년), 런던 메트로폴리탄 타버내클 목사 (1911년 ~ 1919년)
윌머 클레몬트 필즈 (Wilmer Clemont Fields)남부 침례교 대회 홍보 담당 부사장, 침례 기록침례 프로그램 편집자, 침례교 출판부 이사[46]
스티븐 퍼틱 (Steven Furtick)엘리베이션 교회 목사, 유명 목사, 강사, 저술가
데이비드 P. 거시 (David P. Gushee)기독교 윤리학자, 역사가, 공공 지식인, 홀로코스트 학자
폴 R. 하우스 (Paul R. House)학자, 저술가, 신학교수
벤 캠벨 존슨 (Ben Campbell Johnson)컬럼비아 신학대학원 명예 교수, 저술가
클라렌스 조던 (Clarence Jordan)코이노니아 농장 설립자 (인간 주거를 위한 선구자)이자 남부 시민 운동 시대의 통용어를 사용하여 신약성경을 코튼 패치 버전으로 번역한 그리스 학자
R.T. 켄달 (R. T. Kendall)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 채플 목사 (1977년 ~ 2002년)
데이비드 고든 리옹 (David Gordon Lyon)하버드 신학대학원 홀리스 신학 교수 및 셈족 박물관 창립 큐레이터
제임스 메리트 (James Merritt)목사, 남부 침례교 총회 회장 (2000년 ~ 2002년)
그래디 너트 (Grady Nutt)종교 유머 작가이자 전국적인 텔레비전 인물, 1982년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47]
루이스 G. 페드라자 (Luis G. Pedraja)라틴 아메리카 신학자, 철학자, 저술가, 학자, 교육자
시세로 워싱턴 프루잇 (Cicero Washington Pruitt)중국 북부 선교사
브론슨 레이 (Bronson Ray)남 침례회 해외 선교 위원회 사무총장 (1928년 ~ 1932년)
윌리엄 벨 라일리 (William Bell Riley)세계 기독교 근본주의 협회 설립자
리 로버슨 (Lee Roberson)테네시 템플 대학교 설립자, 사우스와이드 침례교 연합의 영향력 있는 지도자, 테네시주 채터누가에 있는 하이랜드 파크 침례교회의 전 목사
그레고리 앨런 손버리 (Gregory Alan Thornbury)뉴욕 시티 킹스 칼리지 총장 (2013년 ~ 2018년)
제프 스트루커 (Jeff Struecker)목사, 저술가, 전 미국 육군 레인저 군목
에드 스테처 (Ed Stetzer)저술가, 강사, 연구원, 목사, 교회 개척자, 기독교 missiologist
제임스 에머리 화이트 (James Emery White)목사, 저술가, 신학과 문화 교수
스티브 윌리스 (Steve Willis)목사 및 건강 운동가
브라이언트 라이트 (Bryant Wright)목사, 남부 침례교 총회 회장 (2010년 ~ 2011년)
R. 앨버트 몰러 주니어 (R. Albert Mohler Jr.)현 총장, 조직신학 교수
마이클 헤이킨 (Michael Haykin)교회 역사 교수
티모시 폴 존스 (Timothy Paul Jones)기독교 가족 사역 (2007년 ~ 현재)의 사과 학자이자 C. Edwin Gheens 회장
토머스 슈라이너 (Thomas Schreiner)신약학자이자 바울서신서의 세계적 권위자
피터 젠트리 (Peter Gentry)구약학자 및 Semitic 언어 학자
브루스 웨어 (Bruce Ware)신학자,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의 성서 및 체계 신학부 전 회장,[48] 복음주의 신학회 회장[49]
그렉 엘리슨 (Gregg Allison)조직신학 교수
토마스 네틀스 (Thomas J. Nettles)세계적인 침례교 역사신학 학자 (은퇴)
제임스 페티그루 보이스 (James Petigru Boyce)교수진 (1859년 ~ 1887년), 총장 (1888년)
존 앨버트 브로드 (John Albert Broadus)총장 (1888년 ~ 1895년)
윌리엄 헤스 윗사이트 (William Heth Whitsitt)총장 (1895년 ~ 1899년)
에드거 영 멀린스 (Edgar Young Mullins)총장 (1899년 ~ 1928년)
존 리처드 섬피 (John Richard Sampey)총장 (1929년 ~ 1942년)
엘리스 아담스 풀러 (Ellis Adams Fuller)총장 (1942년 ~ 1950년)
듀크 킴브로 맥콜 (Duke Kimbrough McCall)총장 (1951년 ~ 1982년)
로이 리 허니컷 (Roy Lee Honeycutt)총장 (1982년 ~ 1993년)
돈디 E. 코스틴 (Dondi E. Costin)미국 공군 군목감 (2015년 ~ 2018년), 리버티 대학교 제6대 총장 (2023년 ~ 현재)
플레전트 다니엘 골드 (Pleasant Daniel Gold)침례교 목사 및 신문 발행인
매트 로켓 (Matt Lockett)켄터키 주 하원 의원 (2021년 ~ 현재, 제39선거구)
러셀 D. 무어 (Russell D. Moore)윤리 및 종교 자유 위원회 제2대 회장
J. 프랭크 노리스 (J. Frank Norris)근본주의 침례교 목사, 사우스웨스턴 침례 신학대학 이사, 알링턴 침례교 대학 설립
웨인 오츠 (Wayne Oates)일중독자라는 단어를 만든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종교 교육자
존 D. W. 와츠 (John D. W. Watts)구약 학자 및 신학자, 워드 성경 주석 구약 편집자, 교수
노먼 바튼 우드 (Norman Barton Wood)목사, 저술가, 강사
크로포드 하웰 토이 (Crawford Howell Toy)히브리어 및 구약학자 (1869년 ~ 1879년), 성경 영감과 진화론에 대한 그의 견해로 해임


9. 남침례회 소속 신학교

학교 명칭위치설립 연도비고
남부 침례 신학교켄터키 주 루이빌1859년사우스캐롤라이나 주 그린빌에서 설립
사우스웨스턴(남서부) 침례 신학교텍사스 주 포트워스1908년1901년 텍사스 주 웨이코의 베일러 대학교 신학부에서 유래
뉴올리언스 침례 신학교루이지애나 주 뉴올리언스1916년뉴올리언스의 침례 성경 신학교로 설립
게이트웨이 신학교캘리포니아 주 온타리오1944년캘리포니아 주 오클랜드에 설립
사우스이스턴(남동부) 침례 신학교노스캐롤라이나 주 웨이크포레스트1950년
미드웨스턴(중서부) 침례 신학교미주리 주 캔자스시티1957년


참조

[1] 웹사이트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 Data USA https://datausa.io/p[...] 2020-06-16
[2] 웹사이트 Provost https://www.sbts.edu[...] 2022-07-30
[3] 웹사이트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Academic Overview https://www.collegee[...] 2023-05-29
[4] 웹사이트 Faculty http://www.sbts.edu/[...] 2017-05-04
[5] 웹사이트 Annual of the 2015 Southern Baptist Convention http://www.sbcec.org[...] 2016-01-23
[6] 웹사이트 SBTS – Founding: 1859–1878 https://archives.sbt[...] 2020-06-16
[7] 웹사이트 SBTS – Calm: 1889–1895 https://archives.sbt[...] 2020-06-16
[8] 웹사이트 SBTS – Conflict: 1895–1899 https://archives.sbt[...] 2020-06-16
[9] 웹사이트 SBTS – Progressivism: 1899–1919 https://archives.sbt[...] 2020-06-16
[10] 웹사이트 SBTS – Tension: 1950–1981 https://archives.sbt[...] 2020-06-16
[11] 웹사이트 SBTS – Resurgence: 1993–Present https://archives.sbt[...] 2020-06-16
[12] 웹사이트 2016–2017 President's Report –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https://www.sbts.edu[...] 2020-06-16
[13] 웹사이트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Student Population and Demographics https://www.univstat[...] 2023-05-25
[14] 서적 Memoir of James P. Boyce
[15] 웹사이트 New York Hall – SBTS https://web.archive.[...] Archives.sbts.edu 2005-02-24
[16] 웹사이트 Norton Hall (1893) – SBTS https://web.archive.[...] Archives.sbts.edu 2005-02-24
[17] 웹사이트 Norton Hall (1926) – SBTS https://web.archive.[...] Archives.sbts.edu 2005-02-28
[18] 웹사이트 The Civil Rights History Project: Survey of Collections and Repositories https://www.loc.gov/[...] The American Folklife Center 2015-01-10
[19] 웹사이트 Address by MLK at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http://www.thekingce[...] JPMorgan Chase 1961-04-19
[20] 서적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1859–2009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1-10
[21] 뉴스 Southern Baptist seminary denies request for reparations https://religionnews[...] 2019-06-07
[22] 웹사이트 ATS Member Information Page http://www.ats.edu/M[...] Ats.edu 2011-04-07
[23] 웹사이트 Commission on Colleges, Southern Association of Colleges and Schools, Institutional Details https://web.archive.[...] 2016-06-02
[24] 웹사이트 ACE | Cora Ann Davis https://web.archive.[...] Acenet.edu 2011-04-07
[25] 웹사이트 Team – A http://www.eteama.or[...] Eteama.org 2011-04-07
[26] 웹사이트 Annual of the 2009 Southern Baptist Convention http://www.sbcec.net[...] 2010-02-24
[27] 웹사이트 Annual of the 2009 Southern Baptist Convention http://www.sbcec.net[...] 2010-02-24
[28] 웹사이트 R. Albert Mohler Jr. {{!}} 25 Years of Service – The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https://www.sbts.edu[...] 2020-06-23
[29] 웹사이트 About http://www.sbts.edu/[...] 2013-06-20
[30] 서적 Who's Who in Christian History https://books.google[...] Tyndale House Publishers
[31] 웹사이트 Norton Lectures http://www.sbts.edu/[...] SBTS 2011-04-07
[32] 웹사이트 Chafin To Fill Graham Chair of Evangelism http://media.sbhla.o[...] News Service of the Southern Baptist Convention 2013-06-20
[33] 웹사이트 Abstracts of Principles With Statement https://web.archive.[...] Founders
[34] 웹사이트 Young, Restless, Reformed https://web.archive.[...] 2009-04-19
[35] 간행물 Biblical Therapy 2007-01-23
[36] 뉴스 Liberty University taps S.C. college leader, Air Force veteran as president https://www.washingt[...] 2023-03-31
[37] 웹사이트 Board unanimously appoints Maj. Gen. (Ret.) Dondi E. Costin, Ph.D., as president, Pastor Jonathan Falwell as chancellor » Liberty News https://www.liberty.[...] 2023-03-31
[38] 웹사이트 CHAPLAIN DONDI E. COSTIN https://www.af.mil/A[...] 2023-03-31
[39] 웹사이트 Wilmer Clemont Fields Papers http://www.sbhla.org[...] 2018-12-04
[40] Handbook n.d.
[41] 웹사이트 Bruce A. Ware http://www.sbts.edu/[...]
[42] 뉴스 SBTS' Bruce Ware is ETS' new president http://www.bpnews.ne[...] 2008-12-01
[43] 웹사이트 Faculty https://www.sbts.edu[...] 2020-07-23
[44] 웹인용 Annual of the 2015 Southern Baptist Convention http://www.sbcec.org[...]
[45] 간행물 Obituary of LaVerne Butler Baptist Press 2010-12-21
[46] 웹인용 Wilmer Clemont Fields Papers http://www.sbhla.org[...] 2018-12-04
[47] Handbook n.d.
[48] 웹인용 Bruce A. Ware http://www.sbts.edu/[...]
[49] 뉴스 SBTS' Bruce Ware is ETS' new president http://www.bpnews.ne[...] 2008-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