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미국의 침례교 목사이자 시민 운동가로, 흑인 인권 운동을 비폭력적인 방식으로 이끌며 미국 사회의 인종 차별 철폐에 크게 기여했다. 1929년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출생하여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을 시작으로 흑인들의 투표권, 학교 인종 차별 철폐 등을 위한 시위를 조직하고 이끌었다. 1963년 워싱턴 대행진에서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로 인종 차별 철폐의 이상을 제시했으며, 1964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68년 멤피스에서 흑인 청소 노동자 파업을 지원하던 중 암살당했으나, 그의 비폭력 사상과 업적은 미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살된 미국의 활동가 - 맬컴 엑스
    맬컴 X는 미국의 인권 운동가이자 이슬람 지도자로, 초기에는 흑인 분리주의를 주장하며 급진적인 흑인 해방 운동을 이끌었지만 메카 순례 후 온건한 입장으로 변화했고, 네이션 오브 이슬람 탈퇴 후 암살당했으나 그의 삶과 사상은 흑인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암살된 미국의 활동가 - 프레드 햄프턴
    프레드 햄프턴은 미국의 흑표당 일리노이주 지부 의장이자 무지개 연합 창립자로, 뛰어난 조직력과 연설 능력으로 전국적 지도자로 성장했으나 FBI 정보 제공자의 협조 하에 시카고 경찰의 급습으로 살해되어 FBI의 불법적인 COINTELPRO 프로그램 개입 의혹과 인권 침해 논란을 야기하며 흑인 해방 운동에 기여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 로자 파크스
    로자 파크스는 1955년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촉발시킨 버스에서의 용기 있는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의 핵심 인물이 된 미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 랠프 애버내시
    랠프 데이비드 애버내시는 미국의 목사이자 흑인 민권 운동의 지도자로서,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함께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주도하고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를 공동 설립하는 등 시민권 운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킹 목사 사후에는 SCLC 회장직을 이어받아 활동하며 가난한 사람들의 캠페인과 운디드 니 사건 해결에도 기여했다.
  • 조지아주 출신 작가 - 지미 카터
    지미 카터는 해군 장교와 땅콩 농장 운영을 거쳐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하고 도덕적, 진보적 이미지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퇴임 후 카터 센터 설립과 인도주의 활동으로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미국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 조지아주 출신 작가 - 로절린 카터
    로절린 카터는 미국의 영부인이자 사회 운동가, 작가이며, 정신 건강 문제 개선과 국제 분쟁 해결, 인권 증진, 질병 퇴치에 기여하고 여성 인권 및 아동 복지를 위해 활동했으며, 다섯 권의 책을 저술했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검은 양복을 입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흑백 초상화
1964년의 킹
존칭목사 박사
출생명마이클 킹 주니어
출생일1929년 1월 15일
출생지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사망일1968년 4월 4일
사망지미국 테네시주 멤피스
사망 원인총격 암살
안장지마틴 루터 킹 주니어 국립 역사 공원
배우자코레타 스콧 (1953년 6월 18일 결혼)
자녀욜란다
마틴 3세
덱스터
버니스
부모마틴 루터 킹 시니어
앨버타 윌리엄스 킹
친척크리스틴 킹 패리스 (누나)
A. D. 킹 (동생)
알베다 킹 (조카)
교육모어하우스 대학교 (BA)
크로저 신학교 (BDiv)
보스턴 대학교 (PhD)
직업침례교 목사
활동가
기념물전체 목록
운동시민권
평화
반전
수상노벨 평화상 (1964년)
대통령 자유 훈장 (사후, 1977년)
의회 명예 황금 훈장 (사후, 2004년)
서명
주요 활동
단체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 (SCLC)
주요 업적비폭력적 차별 철폐 추진 운동
정치 운동비폭력 아프리카계 미국인 시민권 운동
평화 운동
종교기독교
교단침례교 프로그레시브 내셔널 침례교 연맹
직책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 의장재임 시작: 1957년 1월 10일
재임 종료: 1968년 4월 4일
전임자: 직책 신설
후임자: 랠프 애버내시
캠페인
캠페인 목록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자유를 위한 기도 순례
통합 학교를 위한 청소년 행진
올버니 운동
버밍햄 캠페인
자유 행진
일자리와 자유를 위한 워싱턴 행진
세인트 오거스틴 운동
셀마 몽고메리 행진
시카고 주택 개방 운동
공포에 맞선 행진
멤피스 위생 파업
가난한 사람들의 캠페인
죽음과 기념
죽음과 기념암살
장례식
미국 연방 공휴일
제정
국립 기념관
국립 역사 공원

2. 생애

보스턴 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교회에 부임하였다. 1955년 12월 몽고메리 시립 공영 버스의 흑인 좌석차별 사건 이후,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버스 보이콧 운동을 비폭력 평화 시위로 이끌어 1년 만에 범국민적 지지를 얻어 승리를 거두었고, 이후 흑인 해방 운동 및 흑인 인권 운동을 주도했다.

1960년대흑인 권리 운동과 인권 운동을 통해 법률적인 성과를 획득하였고,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에도 참여하였다. 그는 맬컴 엑스의 폭력주의 노선에 반대하고 비폭력적인 저항 운동을 주도했다. 1968년 4월 테네시주의 흑인 미화원 파업운동을 지원하러 멤피스에 갔다가 그곳에서 총탄을 맞고 사망하였다.

1964년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1954년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의 덱스터 애버뉴 침례교회의 담임목사직을 맡았다. 당시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침례교회에서 목사안수는 받았지만, 모어하우스 대학교를 졸업하지 않았기 때문에 목회와 공부를 병행하고 있었다. 1955년 백인들은 '몽고메리 시에서 운영하는 버스에 흑인은 탈 수 없다'는 규정을 만들려고 하였고, 그는 이를 반대하였다.

킹은 흑인 차별 철폐운동 외에도 인종차별 철폐, 노동 운동, 시민 권익 운동에도 참여, 이를 후원하였다.

그의 활발한 사회운동은 미국의 인종 차별주의자 외에도 미국의 우파와 정부 인사들까지 자극하여, 당시 FBI 국장이자 우파인사였던 존 에드거 후버는 흑인들의 권리를 요구하는 킹을 위험 인물이라고 규정하여 활동 내역을 감시하였다.

1964년 10월 14일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50년 동안 FBI 국장으로 8명의 역대 미국 대통령을 정보 정치와 공작 정치로 벌벌 떨게 만들었던 에드거 후버에게, 급성장한 킹은 위험인물이자 제거 대상이었다.[396] 에드가 후버는 킹의 노벨 평화상 수상이 결정되자 분노하였다.[396] 한편 후버는 사람들을 고용, 그가 여러 여성들과 성관계를 하는 장면을 녹화, 사진 촬영하여 각 미국의 각 신문사에 보냈다. 그러나 이를 보도한 신문사는 없었다. 오히려 후버에게 치졸하게 남의 뒤를 캔다는 야유가 돌아왔고, 후버의 분노는 극에 달하였다.

킹과 맬컴 엑스는 흑인 해방 운동에서 온건파와 과격파의 핵심으로 여겨졌으며, 종종 대립했다. 폭력적인 수단을 포함한 강경한 방법으로 인종 차별 문제 해결을 주장하며, 같은 시기에 급격히 지지를 얻으며 부상하기 시작한 맬컴 엑스1965년 2월 암살되자, 말콤 X와는 그 수단에 있어 상당한 차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콤 X의 암살은 비극이다. 세상에는 아직도 폭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람들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몇 년 후, 킹 자신도 암살당한다. 암살당한 나이도 그와 같은 39세였다.

1968년 테네시주흑인 청소노동자들의 파업투쟁을 지원하러 그해 4월 멤피스로 내려와 모텔에서 생활하며 흑인 청소노동자들의 투쟁에 동참하였다. 당시 루터 킹 목사는 "주님의 자녀들인 여러분들이 적절한 임금을 받고자 한다면, 투쟁해야 합니다"라고 파업투쟁을 지지하는 설교를 했다.

베트남 전쟁 장기화 시기인 1968년 4월 4일 멤피스의 한 모텔 2층 발코니에서 잠입해 있던 테네시 출신 백인 우월주의자이자 인종차별주의자인 제임스 얼 레이가 쏜 총에 킹 목사는 머리를 맞고 죽었다. 옆방에 있던 친구들이 총소리를 듣고 달려왔을 때 그는 아직 숨을 쉬고 있었다. 다른 친구들이 근처 다른 방에서 침구와 지혈제를 가져와 조치했지만, 그는 과다 출혈로 병원 이송 도중 구급차에서 사망하고 말았다. 미국 대통령 린든 B. 존슨은 킹 목사의 장례식을 국장으로 선포하였다.

킹이 암살당한 로레인 모텔은 현재 국립 시민권 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1929년 1월 15일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침례교 목사인 아버지 마틴 루터 킹 시니어와 어머니 알버타 킹 사이에서 태어났다.[1][4][3] 아버지의 원래 이름은 마이클 루터 킹이었으나, 1935년 마틴 루터로 개명하면서 아들의 이름도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되었다.[391] 아버지와 할아버지 모두 침례교 목사였다.[391]

아버지 마틴 루터 킹 시니어 목사


그의 집안은 아일랜드계와 아프리카계 혈통이 섞인 아이리시-아프리카계 흑인이었다.[392]

어린 시절, 킹은 백인 소년과 친구였으나, 여섯 살 때 그 소년의 부모가 인종을 이유로 킹과의 놀이를 금지시켰다.[10] 킹은 이 일로 부모에게서 노예 제도와 미국의 인종차별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충격을 받았다.[10]

킹의 아버지는 인종차별에 적극적으로 맞섰다. 경찰이 아버지를 "꼬마"라고 부르자, 아버지는 "꼬마는 여기 있는 아들입니다."라고 항의했고, 경찰은 사과했다.[393] 또, 신발 가게에서 흑인이라는 이유로 뒷자리에 앉으라는 점원에게 항의하며 가게를 나섰다. 이러한 아버지의 모습은 킹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393]

소년 시절 킹은 침례교 신앙에 회의를 품기도 했지만, 13세 때 주일학교에서 "의심을 버리고 앞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고 한다.[394] 그는 성서에 심오한 진리가 담겨 있다고 믿고 신학교 진학을 결심했다.

그는 9학년과 12학년을 월반하여 15세에 모어하우스 대학교 신학과에 입학했다.[394] 대학교 재학 중에도 흑인 차별을 경험했지만, 펜실베이니아주 체스터의 크로저신학교를 졸업하고 보스턴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했다.

1955년 보스턴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95] 박사 과정 중 그는 기독교 근본주의 신앙에서 사회 참여를 강조하는 진보적 신앙으로 변화했다.[395]

로자 파크스와 함께 (1955년)


그는 주일학교에서 흑인과 빈민층에게 글을 가르치기도 했다.[395]

'''학력'''

연도학교학위
1940년~1944년부커 T 워싱턴 고등학교졸업
1944년~1948년모어하우스 대학교학사
1948년~1951년크로저 신학대학교석사
1953년~1955년보스턴 대학교박사


2. 2. 인권 운동의 시작: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1955년 12월,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로자 파크스가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지 않아 체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을 비폭력 평화 시위로 이끌었다.[394] 흑인들은 카풀을 조직하고 도보로 이동하는 등 버스 이용을 거부했다.[394] 킹 목사는 흑인 해방 운동은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시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394]

하지만, 시위대와 지지자들은 제도 변화를 원하지 않는 세력에게 위협과 공격을 받았고, 많은 이들이 체포, 구속되었다. 킹 목사의 집에도 폭탄이 투척되었으나, 가족들은 무사했다.[394]

1956년 12월, 미국 연방 대법원은 버스 내 인종 분리법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이로써 381일간의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은 목적을 달성했다.[394] 이 운동은 일반 시민들이 처음으로 참여한 시민권 운동으로, 미국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남부 각 도시로 버스 보이콧이 확대되었다.

2. 3.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 결성과 활동

1955년 로자 파크스 체포 사건에 항의하여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을 주도한 킹 목사는 1956년 미국 연방 대법원으로부터 버스 내 인종 분리법 위헌 판결을 얻어냈다.[395] 이 사건은 시민권 운동에 일반 시민들이 처음으로 참여한 운동이었다. 킹은 이 운동의 성공으로 시민권 운동의 유력한 지도자로 떠올랐다. 1957년에는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를 결성하여 회장이 되었다.

2. 4. 워싱턴 대행진과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

1963년 8월 28일, SCLC를 대표하여 킹은 워싱턴 일자리와 자유를 위한 행진 조직에 중요한 역할을 한 "빅 식스" 시민권 운동 단체의 지도자들 중 한 명이었다. 이 행진에는 국립흑인지위향상협회의 로이 윌킨스, 국립도시연맹의 휘트니 영, 침대차 승무원 형제회의 A. 필립 랜돌프, SNCC의 존 루이스, 인종평등회의의 제임스 L. 파머 주니어 등 다양한 단체의 지도자들이 참여했다.[90]

워싱턴 행진의 지도자들이 링컨 기념관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1963년 워싱턴 일자리와 자유를 위한 행진


당초 이 행진은 미국 남부 흑인들의 절망적인 상황을 부각하고, 시민권 운동가들과 흑인들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한 연방 정부를 규탄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그러나 케네디 대통령의 압력으로 행사는 온건한 분위기로 바뀌었다.[98] 이에 일부 시민권 운동가들은 이 행사가 인종 화합의 왜곡된 모습을 보여준다고 비판했으며, 맬컴 엑스는 "워싱턴의 희극"이라고 칭하며 이슬람 국가 회원들의 참석을 금지했다.[98][99]

이 행진은 공립학교 인종 차별 철폐, 고용 차별 금지, 경찰 폭력으로부터 시민권 운동가 보호, 최저임금 인상, 워싱턴 D.C. 자치 정부 구성 등을 요구했다.[100][101][102] 이러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행진은 25만 명이 넘는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이 참여하여 링컨 기념관에서 내셔널 몰까지 행진하는 대성공을 거두었다.[103]

킹은 1963년 워싱턴 일자리와 자유를 위한 행진 중 링컨 기념관 앞에서 그의 가장 유명한 연설인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를 했다.


킹은 이 자리에서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는 제목의 17분짜리 연설을 했다. 연설 도중 킹은 마할리아 잭슨의 외침에 영감을 받아 준비된 원고에서 벗어나 즉흥 연설을 이어갔다.[104][105]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은 미국 역사상 가장 훌륭한 연설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107] 이 행진과 함께 시민권 문제를 최우선 과제로 만들고 1964년 시민권법 통과에 기여했다.[108][109]

2. 5. 노벨 평화상 수상과 시민권법 제정

1964년 10월 14일,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 운동으로 미국 내 인종차별 철폐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381] 이는 미국인으로는 12번째, 흑인으로서는 세 번째 수상이었으며, 당시 최연소 수상 기록이었다.[381] 킹은 12월 10일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미화 5만 3천 달러( 53000USD )의 상금을 받았으며, "수상금은 모든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것이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하지만, 당시 FBI 국장이었던 에드거 후버는 킹의 급부상을 경계했다.[396] 후버는 킹의 노벨 평화상 수상이 결정되자 분노하며, 1964년 11월 18일 기자들에게 킹을 "가장 악명 높은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했다. FBI는 킹의 사생활을 폭로하기 위해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행진 전후 킹이 투숙했던 워싱턴 윌러드 호텔에 도청 장치를 설치하는 등 감시를 강화했다. 1964년 11월 20일, 윌리엄 설리번 FBI 국장보는 익명으로 킹 부부에게 협박 편지와 함께 다른 여성과의 관계가 녹음된 테이프를 보냈다.[397]

킹은 흑인 인권 운동 외에도 여성운동, 인권 운동 전반을 지지했지만, 흑인 분리 독립 운동과 폭력적인 시위에는 반대하여 맬컴 엑스와 갈등을 빚기도 했다.

백악관에서 1964년 시민권법 서명 문서에 서명하는 존슨 대통령 (뒷줄 중앙이 킹)


킹이 이끈 끈질긴 운동과 미국의 여론에 힘입어, 린든 존슨 행정부 하에서 1964년 7월 2일 시민권법이 제정되었다. 이로써 미국에서 법률상의 인종차별은 종식되었다. 존슨 대통령은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신념을 가지고 킹과 함께 시민권법 제정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2. 6.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과 빈곤 추방 운동

1960년대 흑인 권리 운동과 인권 운동을 통해 법률적인 성과를 얻었으며,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에도 참여했다. 그는 맬컴 엑스의 폭력주의 노선에 반대하고 비폭력적인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396]

킹은 오랫동안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반대했지만,[141] 처음에는 존슨 대통령의 정책 비판이 시민권 운동을 방해할 수 있어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141] 그러나 베트남 전쟁 종식을 위한 봄 동원위원회의 제임스 비벌과 무하마드 알리의 영향으로, 킹은 미국 대중 사이에서 반전 여론이 커짐에 따라 전쟁에 공개적으로 반대하게 되었다.[142][141]

1964년 10월 14일, 미국의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한 비폭력 저항 운동으로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이후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에 참여하며, 베트남인들의 운명은 베트남인들에게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의 개입이 부당하며, 무고한 미국 청년들의 희생을 강요하는 무의미한 전쟁이라고 비판했다.

1967년 4월 4일, 뉴욕시 리버사이드 교회에서 "베트남을 넘어: 침묵을 깨뜨릴 시간"이라는 연설을 통해 미국의 전쟁 개입을 강하게 비판했다.[143] 그는 미국이 베트남을 식민지화하려 한다고 주장하며, 미국 정부를 "세계 최대의 폭력 제공자"라고 칭했다. 또한 전쟁이 경제적 불의와 연결되어 있으며, 국가적 차원의 도덕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킹은 베트남 전쟁이 국내 사회복지에 사용될 자원을 빼앗아간다고 비판하며, "매년 사회 향상 프로그램보다 군사 방위에 더 많은 돈을 쓰는 국가는 영적인 죽음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미국이 수많은 베트남인을 살해했다고 비난했으며,[144] 북베트남의 토지 개혁에 대한 미국의 반대도 비판했다.[145]

킹의 반전 입장은 존슨 대통령, 빌리 그레이엄 등 백인 동맹국들의 지지를 잃게 만들었다.[146][147][148] 언론은 킹을 비난했으며,[149] ''라이프''는 그의 연설을 "하노이 방송의 대본처럼 들리는 선동적인 중상"이라고 폄하했고, ''워싱턴 포스트''는 킹이 "자신의 대의, 국가, 백성에게 유용성을 떨어뜨렸다"고 비판했다.[150]

1967년 4월 27일 미네소타 대학교 베트남 반전 집회에서 연설하는 킹


"베트남을 넘어" 연설은 하일랜더 연구 및 교육 센터의 가르침과 일치하는 킹의 진보적인 정치적 주장을 반영했다.[151][152] 그는 미국의 정치, 경제 상황의 근본적인 변화 필요성을 강조하며, 전쟁 반대와 불의를 바로잡기 위한 자원 재분배를 주장했다.[153][154] 공산주의와의 연관성을 피하기 위해 공개적으로는 신중했지만, 사적으로는 민주적 사회주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기도 했다.[155][156]

킹은 "진정한 연민은 거지에게 동전을 던지는 것 이상"이라며, "거지를 생산하는 구조를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말했다.[157] 그는 미국이 라틴 아메리카의 "지주 계급과 동맹"을 맺고 제3세계의 "헐벗고 맨발의 사람들"을 억압한다고 비판했다.[157]

킹의 베트남전 반대 입장은 앨러드 K. 로웬슈타인, 윌리엄 슬로운 코핀, 노먼 토머스 등이 킹을 설득하여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존슨 대통령에게 맞서도록 시도하게 만들었다. 킹은 이를 고려했지만, 자신이 정치보다 활동가에 더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거절했다.[158]

1967년 4월 15일, 킹은 베트남 전쟁 종식을 위한 봄 동원위원회가 조직한 반전 행진에서 연설하며 시민권 문제와 징병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시민권 운동과 평화 운동의 통합을 주장하며, 두 운동 모두에 참여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킹은 반전 운동의 히피 문화를 좋아하지 않았지만,[160] 1968년 1월 13일, "역사상 가장 잔혹하고 무의미한 전쟁"에 반대하는 대규모 워싱턴 행진을 촉구했다.[161][162]

틱낫한은 1965년 킹에게 편지를 보내 베트남 전쟁을 공개적으로 비난할 것을 촉구했다.[163] 1967년 킹은 리버사이드 교회에서 미국의 베트남 개입에 대해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의문을 제기했고,[164] 같은 해 틱낫한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하며 그의 평화 사상이 "에큐메니즘, 세계 형제애, 인류애"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165]

텐트 행렬
가난한 사람들의 운동의 일환으로 워싱턴 D.C.에 설립된 판잣집


1968년, 킹과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는 경제 정의 문제 해결을 위해 "가난한 사람들의 운동"을 조직했다. 킹은 전국을 돌며 "가난한 사람들의 다인종 군대"를 결집시켜 워싱턴으로 행진, 의회가 "경제적 권리 장전"을 만들 때까지 시민 불복종을 벌일 계획이었다.[166][167]

이 운동은 킹의 저서 ''어디로부터 우리는 나아갈 것인가: 혼돈인가, 공동체인가?''에 앞서 진행되었으며, 킹은 헨리 조지의 ''진보와 빈곤''을 인용하며 기본소득을 지지했다.[168][169][170] 이 운동은 미국 최빈곤층 공동체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요구하는 워싱턴 D.C. 행진으로 절정에 달했다.

킹과 SCLC는 미국 도시 재건에 대한 정부 투자를 촉구했다. 그는 의회가 군사비 지출에는 관대하지만, 빈곤 문제에는 "적대감"을 보인다고 비판했다.[167] 그는 "인종차별, 빈곤, 군국주의, 물질주의"의 체계적 결함을 지적하며, "사회 자체의 재건"을 주장했다.

가난한 사람들의 운동은 시민권 운동 내부에서도 논란이 되었다. 러스틴은 이 운동의 목표가 너무 광범위하고 비현실적이며, 오히려 탄압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행진에서 사퇴했다.[171]

2. 7. 암살과 그 이후



1968년 3월 29일, 킹은 AFSCME 지역 1733에서 대표하는 흑인 쓰레기 수거 노동자들을 지지하기 위해 테네시주 멤피스로 갔다. 노동자들은 3월 12일부터 더 높은 임금과 더 나은 대우를 요구하며 파업을 하고 있었다. 한 사건에서 흑인 도로 수리공들은 악천후로 집으로 돌려보내졌을 때 2시간치 임금을 받았지만, 백인 직원들은 하루 종일 임금을 받았다.[175][176][177]

4월 3일, 킹은 집회에서 연설을 하고 메이슨 템플에서 "나는 산 정상에 갔었다" 연설을 했다. 킹의 멤피스행 비행기는 비행기에 대한 폭탄 위협으로 지연되었다.[178] 킹은 폭탄 위협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킹은 멤피스의 로레인 모텔 306호에 예약되어 있었다. 암살 당시 현장에 있었던 랄프 애버너시는 미국 하원 암살 특별 위원회에 킹과 그의 일행이 306호에 너무 자주 묵어서 "킹-애버너시 스위트룸"으로 알려져 있었다고 증언했다.[180] 현장에 있었던 제시 잭슨에 따르면, 킹의 마지막 말은 그날 밤 킹이 참석하는 행사에서 공연할 예정이었던 음악가 벤 브랜치에게 한 말이었다. "벤, 오늘 밤 모임에서 '내 손을 잡아, 소중한 주여'를 연주해줘. 정말 아름답게 연주해줘."[181]

1968년 4월 4일 목요일 오후 6시 1분, 킹은 모텔 2층 발코니에 서 있던 중 제임스 얼 레이에게 치명적인 총격을 받았다. 총알은 그의 오른쪽 뺨을 관통하여 턱을 박살내고 척수를 따라 내려가 어깨에 박혔다.[182][183] 애버너시는 모텔 방 안에서 총소리를 듣고 발코니로 달려가 바닥에 쓰러져 있는 킹을 발견했다.

응급 수술 후 킹은 오후 7시 5분에 세인트 조셉 병원에서 사망했다.[184] 전기 작가 테일러 브랜치에 따르면, 킹의 부검 결과 39세에 불과했지만 "60세의 심장을 가졌다"고 밝혀졌는데, 브랜치는 이를 스트레스 때문이라고 설명했다.[185] 킹은 처음에 사우스 애틀랜타의 사우스 뷰 묘지에 매장되었지만, 1977년 그의 유해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국립 역사공원 부지의 묘소로 옮겨졌다.[186]

킹 목사 암살은 1968년 워싱턴 D.C., 시카고, 볼티모어, 루이빌, 캔자스시티를 비롯한 수십 개 도시에서 인종 폭동을 일으켰다.[187][188][189] 대통령 후보였던 로버트 F. 케네디는 킹 목사의 사망 소식을 듣고 선거 유세를 위해 인디애나폴리스로 가던 중이었다. 그는 지지자들에게 비극적인 소식을 알리고 비폭력이라는 킹 목사의 이상을 계속 이어갈 것을 촉구하는 짧은 즉흥 연설을 했다.[190] 다음 날 그는 클리블랜드에서 사전에 준비된 연설을 했다.[191] 제임스 파머 주니어와 다른 시민권 지도자들도 비폭력적인 행동을 촉구했지만, 보다 강경파였던 스토클리 카마이클은 더 강력한 대응을 촉구했다.[192] 멤피스시는 파업을 신속하게 해결하여 위생 노동자들에게 유리한 조건을 만들었다.[193]

워싱턴 D.C.에 빈민촌을 건설하려는 계획은 4월 4일 암살 직후 실행되었다. 킹 목사의 계획에 대한 비판은 그의 사망 여파로 누그러졌고, SCLC는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전례 없는 기부금을 받았다. 이 운동은 5월 2일 킹 목사가 살해당한 호텔에서 멤피스에서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194] 수천 명의 시위대가 내셔널 몰에 도착하여 6주 동안 머물면서 "부활 도시"라고 부르는 캠프를 설립했다.[195]

존슨 대통령은 미국 전역의 시민권 지도자, 시장, 주지사들에게 전화를 걸어 폭동을 진압하려고 시도했고, 정치인들에게 경찰의 부당한 무력 사용을 경고해야 한다고 말했다.[189] 존슨 대통령은 4월 7일을 킹 목사를 위한 국가 애도일로 선포했다. 존슨 대통령의 참석이 시위와 폭력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로 부통령 허버트 험프리가 대통령을 대신하여 킹 목사의 장례식에 참석했다.[196] 킹 목사의 미망인의 요청에 따라 1968년 2월 4일 에베네저 침례교회에서 행한 킹 목사의 마지막 설교가 장례식에서 연주되었다.[197]

그의 절친인 마할리아 잭슨은 장례식에서 그의 가장 좋아하는 찬송가인 "내 손을 잡아주세요, 소중한 주님"을 불렀다.[199] 암살은 1968년 시민권법 제정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189]

킹 목사 사망 두 달 후, 이전 감옥 탈출로 도주 중이던 제임스 얼 레이는 위조된 캐나다 여권을 사용하여 백인 통치 로디지아로 가려고 하다 런던 히스로 공항에서 체포되었다. 그는 라몬 조지 스나이드라는 가명을 사용하고 있었다.[200] 레이는 신속하게 테네시주로 인도되어 킹 목사 살해 혐의로 기소되었다. 그는 1969년 3월 10일 자백했지만, 사흘 후 자백을 철회했다.[201] 그의 변호사 퍼시 포먼의 조언에 따라 레이는 사형을 피하기 위해 유죄를 인정했다. 그는 99년 형을 선고받았다.[201][202] 레이는 나중에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만난 "라울"이라는 가명을 가진 남자가 관련되어 있었고 암살이 음모의 결과라고 주장했다.[203][204] 그는 남은 생애를 유죄 판결을 철회하고 한 번도 받지 못한 재판을 받으려고 노력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202] 레이는 1998년 7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05]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코레타 스콧 킹의 석관은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있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국립 역사공원 안에 있다.


레이의 변호사들은 그가 존 F. 케네디 암살자 리 하비 오스왈드가 음모론자들에 의해 여겨지는 것과 유사한 희생양이었다고 주장했다.[206] 이 주장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레이의 자백이 압력에 의해 이루어졌고 사형 선고의 위협을 받았다고 말했다.[202][207] 그들은 레이가 도둑이자 강도였음을 인정했지만, 무기를 사용한 폭력 범죄 기록은 없었다고 주장했다.[204] 그러나 미국 여러 도시의 교도소 기록에 따르면 그는 무장 강도로 여러 차례 투옥된 것으로 나타났다.[210] 2008년 CNN과의 인터뷰에서 제임스 얼 레이의 동생 제리 레이는 제임스가 영리했고 때때로 무장 강도를 저지르고도 빠져나갈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210]

음모를 의심하는 사람들은 레이의 레밍턴 게임마스터와 유사한 소총이 살인 무기였음을 증명한 두 번의 연속적인 탄도학 검사를 지적한다. 그 검사들은 레이의 특정 소총을 연루시키지 않았다.[202][208] 킹 근처의 목격자들은 총격이 숙소 창문이 아닌 암살 후 며칠 만에 제거된 숙소 근처의 빽빽한 관목 뒤쪽 다른 장소에서 왔다고 말했다.[209] 그러나 레이의 지문은 총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명된 욕실의 여러 물체에서 발견되었다.[210] 레이의 지문이 있는 소총 검사 결과 암살 당시 해당 총기에서 최소 한 발의 총격이 발사된 것으로 확인되었다.[210]

1997년, 킹의 아들 덱스터 스콧 킹은 레이를 만나 공개적으로 레이의 재판을 받기 위한 노력을 지지했다.[211] 2년 후, 킹의 미망인 코레타 스콧 킹과 부부의 자녀들은 윌리엄 F. 페퍼[212]를 대리하여 부당사망 소송에서 로이드 조워스와 "기타 알려지지 않은 공모자들"에 대해 승소했다. 조워스는 킹의 암살을 주선하기 위해 10만 달러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배심원은 조워스가 음모에 연루되었고 정부 기관이 암살에 가담했다고 판결했다.[213][214] 

2000년, 미국 법무부는 조워스의 주장에 대한 조사를 완료했지만 음모의 증거를 찾지 못했다. 조사 보고서는 새로운 신뢰할 수 있는 사실이 제시되지 않는 한 추가 조사를 권고하지 않았다.[215] 조워스의 누이는 그가 이야기를 팔아 30만 달러를 벌기 위해 이야기를 날조했고, 소득세를 내기 위한 돈을 얻기 위해 그의 이야기를 확증했다고 인정했다.[216][217]

2002년, ''뉴욕 타임즈''는 교회 목사인 로널드 덴튼 윌슨이 자신의 아버지인 헨리 클레이 윌슨이 킹을 암살했다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그는 "인종차별적인 일이 아니었다. 그는 마틴 루터 킹이 공산주의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고, 그를 제거하고 싶어했다"라고 말했다. 윌슨은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다.[218]

킹 연구가 데이비드 개로와 제럴드 포즈너는 정부가 킹을 살해했다는 페퍼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219] 2003년, 페퍼는 조사와 재판, 그리고 재판을 위한 제임스 얼 레이 대리에 관한 책을 출판했다.[220][221] 제임스 비벌 또한 레이가 단독으로 행동했다는 주장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며 "10센트짜리 백인 소년이 백만 달러짜리 흑인을 죽일 계획을 세울 수는 없다"라고 말했다.[222] 2004년, 제시 잭슨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킹과 말콤 X는 흑인 해방 운동에서 온건파와 과격파의 핵심으로 여겨졌으며, 종종 대립했다. 폭력적인 수단을 포함한 강경한 방법으로 인종 차별 문제 해결을 주장하며, 같은 시기에 급격히 지지를 얻으며 부상하기 시작한 말콤 X가 1965년 2월 암살되자, 말콤 X와는 그 수단에 있어 상당한 차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콤 X의 암살은 비극이다. 세상에는 아직도 폭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람들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몇 년 후, 킹 자신도 암살당한다. 암살당한 나이도 그와 같은 39세였다.

두 사람은 직접 장기간 대화한 적이 없으며, 직접 대면한 것도 1964년 3월 26일 미국 의회 의사당에서 우연히 마주친 때뿐이었다.[383]

한때 공개적으로 킹의 태도를 비판하고, 자신의 연설에서 비폭력 저항을 조롱하기까지 했던 말콤 X였지만, 암살 전 해에는 자신의 과격한 사상의 핵심이었던 흑인 무슬림 국가 이슬람 운동과 결별했다.

동시에 말콤 X는 새로운 사상 운동의 단계를 밟기 위해 "어떻게든 킹 목사를 만나 이야기하고 싶다"며 흑인 사회학자 케니스 클라크의 중재로 회담을 갖고자 모색하던 중이었다. 킹은 그 때문에 말콤 X의 암살을 특히 애도했다.

1968년 4월 4일, 테네시주 멤피스(멤피스(테네시주))의 메이슨 템플에서 유세 활동 중 “나는 산 정상에 올랐다(I've Been to the Mountaintop)”라는 제목으로 연설을 했다.

그 후 멤피스 시내 로레인 모텔 306호실 앞 발코니에서 그날 밤 집회에서 연주할 음악 순서를 협의하던 중, 백인 남성이자 상습범인 제임스 얼 레이(James Earl Ray)에게 총격을 받았다. 총알은 목에서 척추에 이르렀고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결국 사망했다(향년 39세). 묘비에는 "마침내 자유를 얻었다"라고 새겨져 있다.

레이는 해외로 도주했고, 몇 달 후 런던 히스로 공항에서 체포되어 징역 99년형을 선고받았다. 그는 복역 중이던 1998년 4월 23일 C형 간염으로 인한 신부전으로 사망했다. 암살 동기나 해외 도주 자금 출처는 밝혀지지 않았다.

암살 전날 킹 목사가 행한 마지막 연설의 마지막 부분은 다음과 같으며, 신명기 32장의 모세를 연상시키는, 자신의 죽음을 예견한 듯한 내용은 “나는 꿈이 있다”와 함께 유명해졌다.

킹의 암살 직후, 미국 전역의 여러 도시에서 분노에 찬 흑인들의 폭동이 일어났지만, 장례식이 거행되자 그 분노는 슬픔으로 바뀌었고, 흑인들뿐 아니라 많은 미국인들이 장례식에 참석하여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또한, 암살 현장이었던 모텔은 국립 시민권 박물관이 되었다.[384]

미국에서는 킹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시절인 1986년부터 킹의 생일(1월 15일)에 가까운 매년 1월 셋째 월요일을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데이(Martin Luther King, Jr. Day)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있다. 또한 킹의 생일을 공휴일로 지정하는 것을 주저한 결과, 애리조나주는 1993년 슈퍼볼 개최권을 잃었다.[385] 대체 개최지가 된 캘리포니아주의 로즈볼에서 열린 그 대회는, 하프타임쇼에 마이클 잭슨이 출연하여 전설적인 무대를 선보인 것으로도 유명하다.

미국에서 생전의 업적 때문에 공휴일이 제정된 사람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조지 워싱턴, 에이브러햄 링컨(생일 2월 12일은 1892년에 연방 공휴일로 선포되었으나, 나중에 조지 워싱턴의 생일과 함께 대통령의 날로 통합되어 매년 2월 셋째 월요일에 지정되어 있다) 세 사람뿐이다.

또한 미국 내 많은 대도시에 "마틴 루터 킹 길"이 조성되었고, 베트남 호치민 7구에도 베트남 역사상 위대한 인물들의 이름과 함께 "마틴 루터 킹 길"이 있다.

2011년 10월 16일에는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에 있는 내셔널 몰 국립공원 내에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비가 완공되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 등을 초청하여 완공식이 거행되었다.[386]

미국 내에서는 흑인과 아메리카 인디언, 히스패닉, 아시아계 미국인, 중동계 미국인(특히 무슬림에 대한 것)을 비롯한 소수 민족에 대한 인종 차별이 아직 근절되지 않았지만, 킹의 운동 결과 시민권법이 시행된 것에 따른 법적 측면에서의 인종 차별 철폐 노력을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크게 진전시킨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시민권 운동에 참여했던 시기와 암살당했을 당시의 이야기는, 멀리 떨어진 일본의 공립 중학교 3학년 영어 교과서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야기 마지막에 나오는, "사람들은 형제자매로서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어리석은 자로서 멸망할 것이다"는 킹이 멤피스에서 한 말이다.

그리고 킹의 죽음으로부터 40년 후, 미국인과 케냐인 혼혈인 버락 오바마가 대통령에 취임했다. 미셸 오바마 여사는 흑인 노예의 후손이기 때문에, 흑인 최초의 대통령과 영부인이 동시에 탄생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 취임식은 흑인 최초였기 때문에 기록적인 관객으로 가득 찼고, 킹의 아들인 마틴 루터 킹 3세(할아버지와 아버지와 같은 이름)도 참석했으며, 제44회 취임식의 주제는 에이브러햄 링컨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자유의 새로운 탄생(A New Birth of Freedom)"으로 정해졌다.

3. 사상과 신념

보스턴 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교회에 부임하였다. 1955년 12월 몽고메리 시립 공영 버스의 흑인 좌석차별 사건 이후,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버스 보이콧 운동을 비폭력 평화 시위로 이끌어 1년 만에 범국민적 지지를 얻어 승리했다. 이후 흑인 해방 운동 및 흑인 인권 운동을 주도하며 1963년 워싱턴 대행진 등 많은 흑인 관련 운동과 인권 운동을 이끌어 법률과 제도의 수정, 공민권법, 투표권법 개정과 흑인의 권리를 증진했다.[395]

1960년흑인 권리 운동과 인권 운동을 통해 법률적인 결과를 얻었고,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에도 동참하였다. 맬컴 엑스의 폭력주의 노선에 반대하고 비폭력적인 저항 운동을 주도하여, 1964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396]

박사학위 재학 중 주일학교에서 학력이 낮은 교사들에게 배운 기독교 근본주의 신앙에서 기독교적인 사회참여를 강조하는 진보적 신앙으로 바뀌었다. 주일학교에서 흑인 및 빈민가 문맹자들에게 글을 가르치기도 했다. 1963년부터 베트남 전쟁 파병 반대 운동에 참여, 무의미한 전쟁에 젊은이들을 희생시키고 베트남 국민들을 학살하는 현실을 비판했다.[395]

1964년 10월 14일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한 비폭력 저항 운동으로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이후 베트남 전쟁을 비판하며 반전 운동을 계속했다. 킹은 흑인 민권 운동 외에도 베트남 전쟁의 폭력성을 지적하며 반전운동을 추진했다. 1963년 타임 선정 올해의 인물에 선정되었고, 1964년 초 예일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가톨릭 인종협력회의로부터 존 F. 케네디 상을 받았다.

에드거 후버 FBI 국장은 킹을 위험인물로 간주, 1964년 킹의 노벨 평화상 수상이 결정되자 분노하였다.[396] 후버는 킹의 사생활을 폭로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오히려 비난을 받았다. 1964년 11월 18일 후버는 킹을 "가장 악명 높은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했다.

1963년 8월 28일 연설 전후 킹은 워싱턴 윌러드 호텔에 투숙했는데, FBI는 도청 장치를 설치했다. 1964년 11월 20일 윌리엄 설리번 FBI 국장보는 익명으로 킹 부부에게 협박 편지를 보냈다.[397] 이 편지와 함께 킹의 부적절한 관계가 녹음된 테이프가 전달되었다.[397] 1964년 12월 10일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에서 노벨 상과 함께 5만 3천 달러의 상금을 받았다.

킹은 흑인 인권 운동, 여성운동, 인권 운동을 정치적으로 이용한다는 에드가 후버의 주장을 색깔론이라고 반박하며, 흑인 분리 독립 운동과 폭력 시위에 반대하여 맬컴 엑스 등과 갈등했다.

1957년, 킹, 랄프 아버너시, 프레드 셔틀스워스, 조셉 로어리 등은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를 설립, 흑인 교회의 도덕적 권위와 조직력을 활용해 비폭력 시위를 진행했다. 이 단체는 빌리 그레이엄의 전도 운동과[53] 스탠리 레비슨, 엘라 베이커의 '인 프렌드십' 단체에서 영감을 받았다.[54] 킹은 사망 시까지 SCLC를 이끌었다.[55] 1957년 SCLC의 자유를 위한 기도 순례는 킹의 첫 전국 연설이었다.[56]

해리 H. 와크텔은 킹의 법률 고문 클라렌스 B. 존스와 함께 SCLC 목사 4명을 ''아버너시 외 대 설리반'' 사건에서 변호했다. 와크텔은 비과세 기금 '인권을 위한 간디 협회'를 설립, 킹은 명예 회장을 역임했다. 1962년, 킹과 간디 협회는 케네디 대통령에게 제2의 해방 선언과 같은 행정 명령을 촉구했으나, 실행되지 않았다.[57] 미 연방 수사국(FBI)는 1963년 가을부터 킹의 전화를 도청했다.[58] FBI 국장 J. 에드거 후버는 인권 운동을 두려워했고, 증거 없이 킹을 몰아내려 했다.[59]

킹은 짐 크로 법에 대한 조직적, 비폭력 저항이 흑인 평등 투쟁에 대한 언론 보도로 이어질 것이라고 믿었다. 언론 보도와 텔레비전 방영은 미국인 대다수를 설득하여 인권 운동이 1960년대 초 미국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라는 여론을 형성했다.[60][61]

킹은 흑인의 투표권, 미국의 학교 인종 차별 철폐, 노동권 등 기본적인 시민권을 위한 시위를 조직하고 이끌었다. 이러한 권리의 대부분은 1964년 시민권법과 1965년 투표권법을 통해 법으로 제정되었다.[62][63]

SCLC는 비폭력 시위 전술을 통해 성공을 거두었고, 종종 인종 차별주의 당국과 대치했다.

1963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시민권 운동 대행진에서의 킹


기독교 목사였던 킹의 주요 사상적 영향은 예수와 기독교 복음서였으며, 그는 거의 모든 연설에서 이를 인용했다. 킹의 신앙은 황금률과 산상수훈의 "네 이웃을 사랑하라"는 계명에 기반했다.[258] 버밍햄 감옥에서 보낸 편지에서 킹은 예수의 "극단적인" 사랑과 일치하는 행동을 촉구했다.

킹의 개인적인 글은 그가 성경 문자주의를 거부했음을 보여준다. 그는 성경을 "신화적인" 것이라고 묘사했고, 동정녀에게서 태어났다는 것을 의심했으며 요나와 큰 물고기 이야기가 사실이라고 믿지 않았다.[261]

킹의 신학적 관점에 영향을 준 사상가들로는 L. 해롤드 드울프, 에드가 브라이트먼, 피터 베르토치, 월터 조지 뮬더, 월터 라우센부쉬, 라인홀드 니버가 있다.[262]

  • ''자유를 향한 걸음: 몽고메리 이야기'' (1958)
  • ''인간의 척도'' (1959)
  • ''사랑의 힘'' (1963)
  • ''왜 우리는 기다릴 수 없는가'' (1964)
  •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혼돈인가 공동체인가?'' (1967)
  • ''양심의 나팔'' (1968)
  • ''희망의 증언: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필수 저술과 연설'' (1986)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자서전'' (1998), 편집: Clayborne Carson
  • ''"모든 노동에는 존엄성이 있다"'' (2011) 편집: Michael Honey
  • ''"주여, 친애하는 하나님": 마음과 영혼을 여는 기도'' 킹의 기도 모음 (2011), 편집: Lewis Baldwin
  • ''MLK: 말과 이미지로 보는 기념'' (2011). 사진: Bob Adelman, 서문: Charles R. Johnson


워싱턴 D.C.에서 20만 명 규모의 시위로 최고조에 달했던 흑인 해방 운동은 시민권법 쟁취 후, 맬컴 엑스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한 과격파 및 극단주의자들로 내부 분열을 겪었고, 킹의 비폭력 저항은 점차 시대에 뒤떨어지는 것으로 여겨졌다.

1965년 3월 7일, 알라바마주 셀마에서 몽고메리로 향하던 시위대에 주 방위군과 보안관들이 최루탄과 곤봉으로 공격한 피의 일요일 사건이 발생했다. 킹은 3월 21일 다시 시위대를 이끌고 몽고메리로 향했고, 3월 25일 도착했다.

흑인 운동은 스토클리 카마이클의 "블랙 파워" 운동, 흑표당 결성, 1967년 뉴저지주 흑인 폭동 등 폭력적인 양상으로 치달았다.

킹은 연설에서 그 원인을 분석, "모든 책임이 흑인에게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결론지었다.

# 시민권법 제정은 흑인들에게는 해방 운동의 첫 단계였지만, 백인 사회는 "이제 문제는 해결되었다"고 여겼다.

# 뿌리 깊은 차별 의식은 교육과 고용 현장에 만연했고, 흑인은 계단 입구에는 설 수 있어도 정점에는 오를 수 없었다.

# 차별 의식으로 고용 기회를 빼앗긴 흑인의 실업 문제는 백인보다 심각했다.

# 베트남 전쟁으로 흑인들이 대거 징집, 최전선에서 싸워야 했다. 그들은 모국에서 민주주의 혜택을 받지 못하면서 전쟁에 내몰렸다.

# 대도시 빈민가에 흑인들이 몰려 살았고, 전쟁으로 인해 인프라 정비 등 환경 문제는 무시되었다.

3. 1. 비폭력 저항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사상가였다. 그는 민주주의자유를 지킨다는 명분으로 벌어지던 베트남 전쟁을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논박하였다.[395]

그는 비폭력 저항과 인종차별 철폐 운동 외에도 근대 약소국의 식민지 해방 운동 등에 대한 자료를 찾으며 인권운동의 전개 과정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하였다. 또한 그는 모든 인간은 한 형제라는 사해동포주의(四海同胞主義) 사상에 적극 공감하였다.

그러나 모든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그와 동의하고 있던 것은 아니다. 일부 과격파는 흑인 이슬람 지도자인 맬컴 엑스를 지지하며 그의 비폭력 흑인 운동에 반발했는데, 왜냐하면 그들에게 온건한 성격의 흑인 인권 운동은 백인들과의 타협으로 보였기 때문이다. 또한 대학생 때 부모님으로부터 대학교 입학 선물로 자동차를 선물받을 만큼 부유한 집에서 자란 킹 목사의 성장 환경과 그의 온건 민권 운동은 일부 흑인들의 반감을 사기도 했다.[399]

킹이 제창한 운동의 특징은 철저한 비폭력주의이다. 인도 독립의 아버지 마하트마 간디에게 영향을 받아[381], 자신의 목사로서의 소양도 더해 일체의 저항을 하지 않는 비폭력을 관철했다. 일견 비폭력주의는 무저항이고 무기력한 자세로 오해받기 쉽지만, 킹의 비폭력주의는 「비폭력 저항을 대중 시민 불복종으로 발전시켜, 지배자들이 '흑인들은 현상에 만족하고 있다'고 선전해 온 것이 거짓임을 전 세계에 분명히 보여주는 것」으로, 결코 단순한 무기력한 자세가 아니었다.

1963년 8월 28일에 열린 워싱턴 대행진은 20만 명이 넘는 인파가 참여한 대규모 행사였으며, 시민권 운동가와 연예인 등 많은 저명 인사들도 참여했다. 이 집회에서 킹은 링컨 기념관 앞에서 “I Have a Dream”(나에게는 꿈이 있다) 연설을 하여, 인종 차별 철폐와 각 인종의 화합이라는 고매한 이상을 간결한 문체로 호소하여 널리 공감을 얻었다.[382] 이 연설은 미국 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그 내용이 높이 평가되었으며, 1961년 1월 20일에 취임한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취임 연설과 함께 20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명연설로 유명하다.

킹은 국내 문제 해결 없이 먼 곳에서 벌어지던 베트남 전쟁에 대한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히면서, “블랙 파워”에 대해 “그린 파워”(녹색은 미국 지폐에 사용되는 색깔, 즉 “돈의 힘”) 등으로 흑인 처우 개선을 더욱 호소했다. 한편 자신도 시대에 뒤떨어지고 있음을 인지하면서도 비폭력 저항의 가능성을 믿고, 그것을 흑인 사회에 호소했다.

이후 킹은 악화일로를 걷던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에 반대하는 “베트남 반전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했지만, 그의 주장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 인종차별에 질려 폭력도 마다하지 않는 급진적인 사상에 대한 이해까지 보이던 “흑인 사회”의 주류뿐만 아니라, 베트남 전쟁 개입을 둘러싸고 둘로 갈라지던 “백인 사회”의 주류로부터도 멀어져 갔고, 더욱 킹을 방해하는 존재로 여기는 “적”도 늘어났다. 폭탄 테러와 살해 미수(범인은 정신 장애가 있는 흑인 여성)도 있었지만, 기적적으로 목숨을 건지고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활발하게 활동을 계속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민권 운동가 베이어드 러스틴(Bayard Rustin)은 킹의 비폭력에 대한 최초의 정규 자문관이었다.[265] 킹은 백인 운동가 해리스 워포드(Harris Wofford)와 글렌 스마일리(Glenn Smiley)의 조언도 받았다.[266] 러스틴과 스마일리는 기독교 평화주의자 전통 출신이었고, 워포드와 러스틴은 모두 마하트마 간디의 가르침을 연구했다. 러스틴은 1940년대 화해의 여정 운동에서 비폭력을 적용했으며,[267] 워포드는 1950년대 초부터 남부 흑인들에게 간디즘(Gandhism)을 홍보해왔다.[266]

킹은 처음에 간디에 대해 거의 알지 못했고, 초기 활동 중에는 "비폭력"이라는 용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킹은 처음에 자기 방어를 믿고 실천했으며, 공격자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총을 구입하기도 했다. 평화주의자들은 그에게 비폭력 저항이라는 대안을 보여주며, 이것이 그의 목표를 달성하는 더 나은 수단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킹은 그 후 더 이상 개인적으로 무기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268][269]

'''자유를 향한 걸음(Stride Toward Freedom)'''의 한 장에서 킹은 비폭력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설명했는데, 이는 상대방을 굴욕시키거나 패배시키는 것이 아니라 우정으로 이끄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장은 워포드의 연설에서 발췌한 것으로, 러스틴과 스탠리 레비슨(Stanley Levison)도 지도와 대필을 제공했다.[270]

킹은 간디와 그의 비폭력 활동의 성공에서 영감을 받았고, 신학생으로서 간디를 "하나님의 영의 작용을 크게 드러내는 개인들" 중 한 명으로 묘사했다.[271] 킹은 "오랫동안 ... 인도 여행을 하고 싶어했다."[272] 해리스 워포드, 미국 친구 봉사 위원회(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및 기타 지지자들의 도움으로 그는 1959년 4월에 여행 자금을 마련할 수 있었다.[273] 이 여행은 비폭력 저항에 대한 그의 이해와 미국의 민권 투쟁에 대한 그의 헌신을 심화시켰다. 인도에서의 마지막 저녁에 한 라디오 연설에서 킹은 "인도에 온 이후로, 비폭력 저항 방식이 정의와 인간의 존엄성을 위한 투쟁에서 억압받는 사람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라는 것을 그 어느 때보다 확신하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

1964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을 때, 킹은 "모한다스 K. 간디가 영국 제국의 위력에 도전하기 위해 비폭력을 '웅장한 방식으로' 사용한 성공적인 선례"를 높이 평가했다. "... 그는 진실, 영혼의 힘, 비폭력, 용기라는 무기로만 싸웠습니다."[274]

킹의 비폭력 방법에 영향을 준 또 다른 인물은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에세이 ''시민 불복종론''과 악한 체제와 협력하는 것을 거부한다는 주제였다.[275] 그는 또한 프로테스탄트 신학자 라인홀트 니부어(Reinhold Niebuhr)와 폴 틸리히(Paul Tillich)의 저서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276] 월터 라우센부시(Walter Rauschenbusch)의 ''기독교와 사회 위기''가 그의 사회적 관심에 대한 신학적 토대를 마련해줌으로써 그의 사고에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다고 말했다.[277][278] 킹은 라우센부시가 기독교인들이 국가와 "영원하지만 우호적인 갈등" 속에서 사회적 불안을 확산시키고, 동시에 국가를 비판하고 정의의 도구로 행동하도록 촉구하는 비전에 감동을 받았다.[279] 그러나 그는 미국 전통의 기독교 평화주의를 에딘 발루(Adin Ballou)와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William Lloyd Garrison)이 보여준 것과 같은 것을 알지 못했던 것 같다.[280] 킹은 그의 작업에 있어 예수의 산상수훈을 중심으로 자주 언급했다.[278][281][282][283] 1960년 이전에 킹은 때때로 "아가페"(형제애적인 기독교 사랑) 개념을 사용하기도 했다.[284][285]

총기 개인 사용을 포기한 후에도 킹은 운동에서 자기 방어와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그는 공개적으로 광범위한 관행으로서 자기 방어를 반대했지만, 때로는 필요할 수도 있다고 인정했다.[286]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킹은 스톤 존슨 대령(Colonel Stone Johnson),[287] 로버트 헤일링(Robert Hayling) 및 방위와 정의를 위한 집사들(Deacons for Defense and Justice)과 같이 무기를 소지한 다른 민권 운동가들의 보호를 받았다.[288][289]

3. 2. 기독교 신앙

마틴 루터 킹은 1929년 1월 15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침례교 목사였던 아버지 마틴 루터 킹 시니어와 어머니 앨버타 킹 사이에서 태어났다.[1][4][3] 그의 집안은 증조부 때부터 침례교 목사였으며, 3대째 침례교 목사였다.[391] 아버지 마이클 루터 킹은 1935년 마틴 루터의 이름을 따서 자신과 아들의 이름을 '마틴'으로 바꾸었다.[8]

소년 시절, 킹은 침례교에 다니면서도 기독교 교리에 회의적인 생각을 품었다. 그러나 13세 되던 해 부활절주일학교에서 "의심을 버리고 가차 없이 앞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는 성경에 심오한 진리가 담겨 있다고 믿고 신학교 진학을 결심했다.

1955년 보스턴 대학교 대학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95] 그는 기독교 근본주의 신앙에서 벗어나 기독교적인 사회 참여를 강조하는 진보적 신앙으로 변화했다. 주일학교에서 흑인과 빈민가 문맹자들에게 글을 가르치기도 했다.

킹은 예수와 기독교 복음서의 가르침, 특히 황금률과 산상수훈의 "네 이웃을 사랑하라"는 계명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258] 그의 비폭력 사상은 예수의 가르침에 뿌리를 두고 있었다. 그는 설교에서 "시민권 운동 지도자가 되기 전에 나는 복음을 전파하는 설교자였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활동이 사역의 일부라고 강조했다.[259][260]

킹의 신학적 관점은 L. 해롤드 드울프, 에드가 브라이트먼, 월터 라우센부쉬, 라인홀드 니버 등 여러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았다.[262]

3. 3. 사회 정의와 평등

Martin Luther King Jr.영어는 사회 정의와 평등을 강조하는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1955년 보스턴 대학교 대학원에서 신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그는, 기독교적인 사회참여를 강조하는 진보적 신앙으로 변화하면서 흑인 및 빈민가의 문맹자들에게 글을 가르치는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에 참여했다.

그는 흑인 차별 철폐 운동뿐만 아니라 인종차별 철폐, 노동 운동, 시민 권익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후원했다. 특히 노동자들의 단결권, 단체행동권, 단체교섭권 등 노동기본권을 옹호하며 멤피스 흑인 청소노동자들의 파업 투쟁을 지지하는 연설을 하기도 했다.[395] 그의 활발한 사회 운동은 인종 차별주의자들뿐만 아니라 FBI 국장 존 에드거 후버와 같은 우파 인사들의 감시 대상이 되기도 했다.

1963년부터는 베트남 전쟁 파병 반대 운동에도 참여하여, 무의미한 전쟁에 젊은이들을 희생시키고 베트남 국민들을 학살하는 현실을 비판했다.[395] 1964년 10월 14일에는 인종 차별 철폐를 위한 비폭력 저항 운동으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이후에도 베트남 전쟁을 비판하며 반전 운동을 계속했다.

그는 비폭력 저항과 인종차별 철폐 운동 외에도 약소국 식민지 해방 운동을 연구하고, 사해동포주의(四海同胞主義) 사상에 공감했다. 그러나 일부 과격파 흑인들은 그의 온건한 흑인 인권 운동을 백인과의 타협으로 간주하며 반발하기도 했다.[399]

대학생 시절 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선언, 자본론 등을 읽은 그는 유물론은 거부했지만, 자본주의를 분석하는 마르크스의 사상에는 공감하는 민주사회주의자였다.[400]

1964년 시민권법과 1965년 투표권법 제정에 큰 영향을 미친 그는, 흑인들의 투표권, 미국의 학교 인종 차별 철폐, 노동권 등 기본적인 시민권을 위해 노력했다.

1968년 가난한 사람들의 운동을 조직하여 경제적 정의를 위한 투쟁을 이어갔으며, 그의 저서 ''어디로부터 우리는 나아갈 것인가: 혼돈인가, 공동체인가?''에서는 사회 문제와 빈곤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했다. 특히 헨리 조지의 ''진보와 빈곤''을 인용하며 보장된 기본소득을 지지했다.

4. 유산과 영향

킹은 미국 자유주의와 진보주의 역사에서 국민적 영웅이 되었으며,[237] 그의 주요 업적은 미국의 시민권 향상을 이끌어낸 것이다. 킹이 암살된 지 며칠 후, 의회는 1968년 시민권법을 통과시켰다.[238] 이 법의 8장은 일반적으로 공정주택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종, 종교 또는 출신 국가를 이유로 한 주택 및 주택 관련 거래에서의 차별을 금지하였다(이후 성별, 가족 상태 및 장애가 추가됨). 이 법안은 킹이 말년에 주택 차별과 싸운 투쟁에 대한 헌사로 여겨진다.[238] 킹이 암살된 다음 날, 교사인 제인 엘리엇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파란 눈/갈색 눈" 실험을 처음으로 실시하여 인종차별과 관련된 킹의 죽음을 이해하도록 도왔다.[239]

킹의 부인 코레타 스콧 킹은 2006년 사망할 때까지 사회 정의와 시민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킹이 암살된 같은 해, 그녀는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킹 센터를 설립하여 그의 유산과 비폭력적 갈등 해결 및 전 세계적인 관용을 위한 노력을 보존하는 데 헌신했다.[240] 아들 덱스터 킹은 센터의 회장직을 맡고 있다.[241][242] 2007년 사망한 딸 요란다 킹은 동기 부여 연설가이자 저술가였으며, 다양성 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비영리 단체인 하이어 그라운드 프로덕션스(Higher Ground Productions)의 설립자였다.[243]

킹 가족 내에서는 LGBT 사람들에 대한 그의 견해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킹의 미망인 코레타는 공개적으로 남편이 동성애자 권리를 지지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으며,[244] 그의 막내딸 베르니스 킹은 그가 동성 결혼에 반대했을 것이라고 말했다.[245]

1998년 설치된 웨스트민스터 사원 서쪽 입구 위의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동상

4. 1. 미국 시민권 운동

보스턴 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교회에 부임하였다. 1955년 12월 몽고메리 시립 공영 버스의 흑인 좌석차별 사건 이후,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버스 보이콧 운동을 비폭력 평화 시위로 이끌어 1년 만에 범국민적 지지를 얻어 승리하였고, 이후 흑인 해방 운동 및 흑인 인권 운동을 주도했다.[380] 1963년의 워싱턴 대행진을 비롯한 많은 흑인 관련 운동과 인권 운동을 이끌어 법률과 제도의 수정, 공민권법, 투표권법의 개정과 흑인의 권리를 증진했다.

1960년흑인 권리 운동과 인권 운동을 통해 법률적인 성과를 얻었고,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에도 참여하였다. 맬컴 엑스의 폭력주의 노선에 반대하고 비폭력적인 저항 운동을 주도했다.[381] 1968년 4월 테네시주의 흑인 미화원 파업운동을 지원하러 갔다가 멤피스에서 총탄을 맞고 사망하였다. 경찰은 백인우월주의자 제임스 얼 레이를 범인으로 지목했다.

1964년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1963년 4월 12일 앨라배마주 버밍햄에서 열린 항의 시위 때 버밍험 시에 찾아가 체포되었으며, 4월 19일까지 구치소 독방에 수감되었다. 같은 해 8월 워싱턴 DC에서 열린 직업과 자유를 위한 워싱턴 행진에 연사로 참여하여, 링컨 기념관 앞에서 연설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를 하였다. 이 연설은 인종 차별 철폐와 각 인종 간의 공존이라는 사상을 간결한 문체와 평이한 말로 호소해 넓은 공감을 불러 일으켰다.[382]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취임 연설과 함께 20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명연설로 꼽힌다. 이후 여러 지식인들에게도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인종 차별 철폐 운동에 비흑인 지식인들도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인권 법안과 차별 금지 법안 통과의 실마리를 마련하였다.

워싱턴 D.C.와 다른 도시들에서 폭동이 발생하고, 흑인들은 도시 중심부에서 방화와 건물, 차량 파괴, 약탈 등 폭력시위를 했지만, 일부 흑인 지도자들의 자제 요청과 군인, 경찰의 출동으로 시위대는 해산되었다. 제임스 얼 레이영국으로 도망쳤으나 런던 시내에서 목격자의 제보로 체포되어 테네시주 멤피스로 송환되었다. 1968년 레이는 멤피스 법원에 회부, 1969년 징역 99년형을 선고 받은 뒤 1998년 옥중에서 사망하였다.

폭력 노선과 흑인 분리 독립을 주장하던 다른 흑인 지도자들과 달리 그의 비폭력 저항운동은 많은 지지자를 얻었고, 흑인도 인간이라는 시각을 확산시켰다. 1986년부터 미국에서는 그의 생일(1월 15일)에 가까운 매년 1월 세 번째 월요일을 마틴 루터 킹의 날로 정하고 연방 정부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킹이 제창한 운동의 특징은 비폭력이다. 인도 독립의 아버지 마하트마 간디에게 영향을 받았다.[381]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대행진은 20만 명이 넘는 인파가 참여하였으며, 시민권 운동가와 연예인 등 많은 저명 인사들도 참여했다. 이 집회에서 킹은 링컨 기념관 앞에서 “I Have a Dream”(나에게는 꿈이 있다) 연설을 하였다.[382]

킹을 비롯한 시민권 운동가들의 끈기 있고 적극적인 운동의 결과, 린든 B. 존슨 행정부 하에 1964년 7월 2일 시민권법(Civil Rights Act)이 제정되었다. 이로써 미국에서 시행되어 온 법률상의 인종차별이 종식되었다.

존슨은 인종차별 감정이 뿌리 깊은 텍사스 주 출신이었지만, 인종차별을 혐오하는 자신의 신념 하에 자신의 행정부에서 킹과 함께 이를 강력히 추진했다. 시민권법안을 의회에 제출한 것은 존슨이 부통령이었던 케네디 행정부 시절이었지만, 케네디는 의회 내에서 강력한 정치적 영향력을 갖고 있지 않았다. 부통령으로 케네디 대통령을 지원했던 존슨이 대통령이 된 것을 계기로 킹의 협력을 받아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활용하여, 제정을 위한 의회 활동을 하여 시민권법의 조기 제정을 이끌어냈다.

시민권 운동에 대한 공헌이 평가되어, "미국 내 인종차별 철폐를 위한 비폭력 저항 운동"을 이유로 1964년도 노벨 평화상이 수여되기로 결정되었다.[381] (수상 발표는 10월 14일, 시상식은 12월 10일이었다).

4. 2. 국제적인 영향

킹의 유산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흑인 의식 운동과 시민권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224][225] 킹의 업적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지도자 앨버트 루툴리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그는 아파르트헤이트 시대에 자국의 인종 정의를 위해 싸웠고 나중에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존 흄(John Hume) 전 사회민주노동당(Social Democratic and Labour Party) 지도자는 킹의 유산이 북아일랜드 시민권 운동과 벨파스트 합의(Good Friday Agreement) 체결에 매우 중요했다고 언급하며 그를 "내가 꼽는 20세기 위대한 영웅 중 한 명"이라고 불렀다.[226][227][238]

영국의 마틴 루터 킹 기금 및 재단은 킹 암살 후인 1969년 12월 30일 자선단체로 설립되었는데,[229] 이는 그의 미망인인 코레타 킹(Coretta King)이 1969년 영국을 방문한 후였다. 재단의 초대 회장인 존 콜린스(John Collins) 캐논은 재단이 인종 평등을 위한 영국 전역의 적극적인 운동을 펼치고, 사회적 욕구가 있는 지역의 지역 사회 프로젝트와 교육을 포함한 활동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230] 1970년에는 고용 알선 회사인 인터내셔널 퍼소넬(IP)이 재단의 발햄(Balham) 기반에서 설립되어 자격을 갖춘 흑인에게 일자리를 찾아주었다. 설립 첫해에 이 회사는 지원자의 10%를 능력에 맞는 직업에 배치했다.[231] 발햄 교육 계획은 타이핑, 속기, 영어, 수학 강사가 있는 야간학교를 운영했다.[230] 재단은 1996년 11월 18일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어 자선위원회 목록에서 삭제되었다.[229]

킹의 유산을 기리기 위해 노섬브리아 대학교뉴캐슬 대학교 마틴 루터 킹 평화 위원회[232]가 여전히 존재하는데,[233][234] 이는 1967년 킹이 영국을 마지막으로 방문하여 뉴캐슬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던 것을 반영한다. 노섬브리아 대학교뉴캐슬 대학교는 마틴 루터 킹과 미국의 시민권 운동 연구의 중심지로 남아 있다. 위원회는 킹의 비전에서 영감을 받아 영국 전역에서 "평화 문화 구축"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2017년 뉴캐슬 대학교는 킹의 명예 박사 학위 수여 50주년을 기념하여 킹의 청동상을 공개했다.[235] 학생회는 또한 바의 이름을 "루터스"(Luther's)로 변경하기로 결정했다.[236]

2012년 공화당 전당대회 현수막


킹은 미국 자유주의와 진보주의 역사에서 국민적 영웅이 되었다.[237] 그의 주요 업적은 미국의 시민권 향상을 이끌어낸 것이다.

킹은 열렬한 원주민 권리 지지자였으며, 원주민들은 킹의 미국 시민권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했다.[296] 미국 원주민 권리 기금(NARF)은 NAACP의 법률 방어 및 교육 기금을 본떠 설립되었다.[297] 전국 인디언 청년 협의회(NIYC)는 특히 1968년 가난한 사람들의 운동을 포함한 킹의 운동을 특별히 지지했다.[298] 킹의 저서 ''왜 우리는 기다릴 수 없을까''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 우리 나라는 원래 미국인인 인디언이 열등한 인종이라는 교리를 받아들였을 때, 집단 학살 속에서 태어났습니다. 많은 흑인들이 우리 해안에 도착하기도 전에, 인종 증오의 상처는 이미 식민 사회를 훼손했습니다. 16세기 이후로, 인종적 우월성을 놓고 벌어진 전투에서 피가 흘렀습니다. 우리는 아마도 토착 인구를 없애려는 국가 정책의 문제로 시도한 유일한 국가일 것입니다. 더욱이, 우리는 그 비극적인 경험을 고귀한 운동으로 승격시켰습니다. 실제로, 오늘날에도 우리는 이 수치스러운 사건을 거부하거나 후회하지 않았습니다. 우리의 문학, 영화, 연극, 민속 모두 그것을 찬양합니다.[299]

1950년대 후반, 앨라배마주에 남아 있던 크릭 부족은 학교의 완전한 인종차별 철폐를 시도했다. 밝은 피부색의 원주민 아이들은 이전에는 백인 전용이었던 학교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었지만, 같은 부족 출신의 어두운 피부색의 원주민 아이들은 같은 버스를 탈 수 없었다.[297] 버밍햄에서 킹의 인종차별 철폐 운동에 대해 들은 부족 지도자들은 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그의 개입을 통해 문제는 신속하게 해결되었다.[297]

1959년 9월, 애리조나 대학교에서 비폭력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사회 변혁을 일으키는 이상에 대한 연설을 한 후, 킹은 이러한 투쟁에서 "상대방의 폭력에 자신의 고통으로 맞서야 한다"는 믿음을 표명했다.[300] 킹은 그 후 주로 원주민들이 다니는 사우스사이드 장로교회에 갔고, 그곳의 사진들에 매료되었다. 그는 원주민과 만나기 위해 인디언 보호구역에 가고 싶어했고, 캐스퍼 글렌은 킹을 파파고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데려갔다.[300] 그는 모든 부족 지도자들과 만나고, 보호구역 근처의 또 다른 장로교회를 방문하여 설교했고, 원주민들을 불러 모았다.[300] 그는 1962년 3월에 올드 푸에블로로 돌아와 다시 원주민 신도들에게 설교했다.[300] 킹은 시민권 운동 전반에 걸쳐 원주민들의 관심을 계속 끌었다. 1963년 워싱턴 대행진에는 사우스다코타와 나바호 족을 포함한 많은 원주민들이 상당수 참여했다.[297][301]

킹은 미국 시민권 운동과 함께 1960년대 미국 원주민 권리 운동과 그 지도자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297] 미국 원주민 권리 기금의 설립자이자 전무이사였던 파우니 부족 출신 존 에코호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이 나라 법률에 따른 평등이라는 시민권 의제를 진전시키고 있던 킹 박사에게 영감을 받아, 우리는 법률을 사용하여 우리의 인디언 정체성을 발전시키고, 1831년 이후로 우리와 함께 해 온 부족 주권의 원칙에 따라 우리 자신의 법률에 따라 통치되는 우리 영토에서 부족으로 살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우리는 미국 법률과 일치하는 자결 정책을 위해 싸울 수 있으며, 우리 자신의 일을 다스리고, 우리 자신의 방식을 정의하고, 이 사회에서 계속 생존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302]

5. 평가와 비판

킹은 민권 운동 내 다른 흑인 지도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이스라엘 민족 회원인 말콤 X와 같은 과격한 사상가들이 그 예이다.[290]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 설립자인 엘라 베이커는 킹을 카리스마 넘치는 매체 인물로 보았고, 넬슨 록펠러와 같은 엘리트들과 가까워지면서 운동의 풀뿌리와는 멀어졌다고 생각했다.[291] 스토클리 카마이클은 흑인 분리주의자가 되어 킹의 인종 통합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는데, 이를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에 대한 모욕으로 여겼기 때문이다.[293][294] 그는 또한 킹의 비폭력 방식이 미국의 양심에 호소하는 데 달려 있다는 점에 문제를 제기했다.[295]

킹과 말콤 X는 흑인 해방 운동에서 온건파와 과격파의 핵심으로 여겨졌으며, 종종 대립했다. 말콤 X는 폭력적인 수단을 포함한 강경한 방법으로 인종 차별 문제 해결을 주장했다. 킹은 맬컴 엑스 등 흑인 분리 독립 운동과 폭력 시위에 반대하며 갈등했다. 두 사람은 1964년 3월 26일 미국 의회 의사당에서 우연히 만난 것이 유일한 만남이었다.[383]

당시 미국 연방 수사국(FBI) 국장이자 우파 인사였던 존 에드거 후버는 흑인들의 권리를 요구하는 킹을 위험 인물로 규정하고 감시했다.[396] 1964년 10월 14일 노벨 평화상 수상 후, 후버는 킹을 더욱 경계했다.[396] 1964년 11월 18일 후버는 킹을 "미국에서 가장 악명 높은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했다. 1964년 11월 20일, 윌리엄 설리번 FBI 국장보는 익명으로 킹 부부에게 협박 편지를 보냈다.[397] 킹은 이를 자살 협박으로 해석했으나, 굴복하지 않았다.[342]

1963년, FBI는 로버트 F. 케네디 법무장관에게 킹의 감시를 요청하여 허가받았다. FBI는 킹이 공산주의자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중앙정보국(CIA)은 1964년 11월 4일자 워싱턴 포스트 기사를 통해 킹이 소련에 초청받았다고 주장하며, 킹과 공산주의자들 간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5. 1. 긍정적 평가

1964년 10월 14일노벨 평화상을 받았다.[396] 킹은 1963년 8월 28일에 열린 워싱턴 일자리와 자유를 위한 행진 조직에 중요한 역할을 한 "빅 식스" 시민권 운동 단체의 지도자들 중 한 명이었다. 국립흑인지위향상협회의 로이 윌킨스, 국립도시연맹의 휘트니 영, 침대차 승무원 형제회의 A. 필립 랜돌프, SNCC의 존 루이스, 인종평등회의의 제임스 L. 파머 주니어 등이 그들이었다.[90]

베이어드 러스틴의 공개적인 동성애, 사회주의 지지, 미국 공산당과의 과거 관계 때문에 많은 백인과 흑인 지도자들은 킹에게 러스틴과의 거리를 두라고 요구했고,[91] 킹은 그렇게 하기로 동의했다. 그러나 그는 러스틴이 주요 조직자였던 1963년 워싱턴 행진에 참여했다.[92][93]

이 행진은 공립학교의 인종 차별 철폐, 고용에 대한 인종 차별을 금지하는 법을 포함한 의미 있는 시민권 입법, 경찰의 폭력으로부터 시민권 운동가들을 보호, 모든 근로자에 대한 시간당 2달러의 최저임금 보장, 그리고 의회 위원회에 의해 통치되던 워싱턴 D.C.의 자치 정부를 요구했다.[100][101][102]

킹은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로 알려진 17분짜리 연설을 했다. 연설에서 가장 유명한 구절에서 그는 준비된 원고에서 벗어났는데, 아마도 그의 뒤에서 "꿈에 대해 말해줘!"라고 외친 마할리아 잭슨의 요청 때문일 것이다.[104][105] 킹은 연설에서 "저는 언젠가 이 나라가 일어서서 그 신조의 참된 의미를 실현할 것이라는 꿈을 갖고 있습니다", "저는 언젠가 조지아(미국)의 붉은 언덕에서 전 노예의 아들들과 전 노예 소유주의 아들들이 형제애의 식탁에 함께 앉을 수 있을 것이라는 꿈을 갖고 있습니다." 등의 내용을 이야기 하였다.[106]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는 미국 웅변사상 가장 훌륭한 연설 중 하나로 여겨지게 되었다.[107] 이 행진, 특히 킹의 연설은 시민권을 개혁가들의 최우선 과제로 만들고 1964년 시민권법의 통과를 용이하게 했다.[108][109]

5. 2. 비판적 시각

킹은 흑인 차별 철폐 운동뿐만 아니라 인종차별 철폐, 노동 운동, 시민 권익 운동에도 참여하고 후원했다. 그는 노동자들이 단결권, 단체행동권, 단체교섭권을 통해 자본가와 투쟁하는 노동운동에 관심을 가졌다. 멤피스의 흑인 청소 노동자들이 파업 투쟁을 벌이자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그의 활발한 사회 운동은 미국의 인종 차별주의자 외에도 우파와 정부 인사들까지 자극했다. 당시 FBI 국장이자 우파 인사였던 존 에드거 후버는 흑인들의 권리를 요구하는 킹을 위험 인물로 규정하고 감시했다.

1963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장례식에서 재클린 케네디가 관에 키스하는 장면을 보고 성적인 농담을 한 것이 재클린의 귀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재클린은 그의 사생활에 대한 폭로와 위선자라는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1964년 10월 14일 노벨 평화상 수상 후, 에드가 후버는 킹을 더욱 위험 인물로 간주했다.[396] 후버는 킹의 여성 편력을 폭로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오히려 비난을 받았다.[396] 1964년 11월 18일 후버는 킹을 "가장 악명 높은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했다.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윌러드 호텔에 투숙했을 때 FBI는 킹의 방을 도청했다. 후버는 킹이 친구와 함께 난잡한 파티를 벌이는 '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1964년 11월 20일 윌리엄 설리번 FBI 국장보는 익명으로 킹 부부에게 협박 편지를 보냈다.[397]

이 편지와 함께 킹의 불륜이 녹음된 테이프가 전달됐다.[397] 설리번은 킹이 창녀들과 자주 밤을 보냈다고 주장했다. 12월 10일 킹은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에서 노벨 평화상을 받았다.

킹은 맬컴 엑스 등 흑인 분리 독립 운동과 폭력 시위에 반대하며 갈등했다. 맬컴 엑스와의 갈등은 노벨상 수상 후에도 계속되었다. 킹은 백인 우월주의자들과 인종 차별주의자들의 협박에도 굴하지 않았다.

1968년 4월, 킹은 흑인 청소 노동자들의 파업 투쟁을 지원하기 위해 멤피스를 방문했다. 그는 암살 위협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행동하고 싶다"고 말했다.

; CIA의 감시

: 2017년 기밀 해제된 중앙정보국(CIA)의 "CIA 파일"은 1964년 11월 4일자 워싱턴 포스트 기사에 의해 킹이 소련에 초청받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랄프 아버너시(Ralph Abernathy)가 킹의 대변인으로서 논평을 거부한 후, CIA가 킹과 공산주의자들 간의 가능한 연관성을 조사하고 있음을 밝혔다. 킹 및 다른 시민권 운동가들에게 속한 우편물은 CIA 프로그램인 HTLINGUAL(소련·중국발 우편·통신을 도청하는 시스템)에 의해 도청되었다.

; FBI의 협박

:J. 에드거 후버(J. Edgar Hoover)가 이끄는 FBI는 1964년에 킹에게 협박 편지를 보내고, 도청·녹음한 킹의 불륜 테이프와 함께 킹을 욕하고 협박했다.

:편지의 서두는 "더러운, 변태 같은 짐승아, 잘 들어라. 너는 녹음되고 있다. 네 불륜 행위, 난잡한 행실은 과거의 과거까지 녹음되어 있다. 이것은 그 ほんの 일부다"라고 시작하며, 더 나아가 "네게 남은 길은 하나뿐이다. 알고 있겠지"라고 계속하여, 세상을 등지거나 자살하도록 암시하고 있었다.[389]

킹은 민권 운동 내 다른 흑인 지도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여기에는 이스라엘 민족 회원인 말콤 X와 같은 더욱 과격한 사상가들도 포함되었다.[290]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 설립자인 엘라 베이커는 킹을 카리스마 넘치는 매체 인물로 여겼는데, 그는 넬슨 록펠러와 같은 엘리트 인물들과 가까워지면서 운동의 풀뿌리와 동떨어졌다고 여겼다.[291] 베이커의 제자인 스토클리 카마이클은 흑인 분리주의자가 되어 킹의 인종 통합을 위한 호소에 동의하지 않았는데, 그는 그것을 독특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에 대한 모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293][294] 그는 또한 킹의 비폭력적 접근 방식이 미국의 양심에 호소하는 데 달려 있다는 점에 문제를 제기했는데, 미국에는 호소할 만한 양심이 없다고 느꼈기 때문이다.[295]

킹과 말콤 X는 흑인 해방 운동에서 온건파와 과격파의 핵심으로 여겨졌으며, 종종 대립했다. 폭력적인 수단을 포함한 강경한 방법으로 인종 차별 문제 해결을 주장하며, 같은 시기에 급격히 지지를 얻으며 부상하기 시작한 말콤 X가 1965년 2월 암살되자, 말콤 X와는 그 수단에 있어 상당한 차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콤 X의 암살은 비극이다. 세상에는 아직도 폭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람들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몇 년 후, 킹 자신도 암살당한다. 암살당한 나이도 그와 같은 39세였다.

두 사람은 직접 장기간 대화한 적이 없으며, 직접 대면한 것도 1964년 3월 26일 미국 의회 의사당에서 우연히 마주친 때뿐이었다.[383]

한때 공개적으로 킹의 태도를 비판하고, 자신의 연설에서 비폭력 저항을 조롱하기까지 했던 말콤 X였지만, 암살 전 해에는 자신의 과격한 사상의 핵심이었던 흑인 무슬림 국가 이슬람 운동과 결별했다.

동시에 말콤 X는 새로운 사상 운동의 단계를 밟기 위해 "어떻게든 킹 목사를 만나 이야기하고 싶다"며 흑인 사회학자 케니스 클라크의 중재로 회담을 갖고자 모색하던 중이었다. 킹은 그 때문에 말콤 X의 암살을 특히 애도했다.

5. 3. FBI의 감시와 음모론

킹의 활발한 사회운동은 미국의 인종 차별주의자 외에도 우파와 정부 인사들까지 자극했다. 당시 FBI 국장이자 우파 인사였던 존 에드거 후버는 흑인들의 권리를 요구하는 킹을 위험 인물로 규정하고 감시했다.[396] 1963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장례식에서 킹이 재클린 케네디를 언급하며 성적인 농담을 한 것이 문제가 되어, 재클린은 그의 사생활에 대한 폭로와 위선자라는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1964년 10월 14일 노벨 평화상 수상 후, 후버는 킹을 더욱 경계했다.[396] 그는 킹의 여성 편력을 폭로하기 위해 사진과 녹음을 미국 각 신문사에 보냈으나, 언론은 이를 보도하지 않았다. 1964년 11월 18일, 후버는 킹을 "미국에서 가장 악명 높은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했다.

1963년 8월 28일 연설 전후, FBI는 킹이 투숙한 워싱턴 윌러드 호텔에 도청 장치를 설치했다. 1964년 11월 20일, 윌리엄 설리번 FBI 국장보는 익명으로 킹 부부에게 편지를 보내 킹을 "사기꾼"이라고 비난하며, 다른 여성과의 정사 녹음 테이프를 함께 보냈다.[397] 킹은 이를 자살 협박으로 해석했으나, 굴복하지 않았다.[342]

1968년 킹이 암살된 후, 제임스 얼 레이가 범인으로 체포되었으나, 음모론이 제기되었다. 킹의 아들 덱스터 스콧 킹은 레이의 재판을 지지했고,[211] 킹의 가족은 로이드 조워스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여 승소했다.[213] 배심원은 정부 기관이 암살에 가담했다고 판결했다.[214] 2000년 미국 법무부는 음모의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발표했다.[215]

킹은 맬컴 엑스 등 흑인 급진주의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290] 엘라 베이커는 킹을 카리스마적 인물로 보았고, 스토클리 카마이클은 킹의 인종 통합 주장에 반대했다.[291]

FBI 국장 J. 에드거 후버는 킹을 감시하도록 지시했다.[324] 1963년 가을, FBI는 로버트 F. 케네디 법무장관의 승인을 받아 킹의 전화를 감청했다.[326] FBI는 킹과 스탠리 레비슨의 관계를 우려했으나, 킹은 공산주의와의 연관성을 부인했다.

미국 국가안보국은 "미나렛" 작전을 통해 킹을 포함한 주요 인사들의 통신을 감청했다.[330] FBI는 킹의 사생활을 폭로하려 했고, 익명의 편지와 녹음 테이프를 보내 킹을 압박했다. 1977년, 법원은 FBI 감시 기록을 2027년까지 공개하지 않도록 명령했다.[343]

2019년 공개된 FBI 파일에는 킹이 친구의 강간을 방조했다는 주장이 담겨 있었으나, 역사학자들은 신뢰성이 낮다고 평가했다.[344] 킹의 전기 작가 데이비드 개로는 이 주장에 대해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345]

1963년, 미 연방수사국(FBI)은 로버트 F. 케네디 법무장관에게 킹의 감시를 요청하여 허가받았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 후, FBI는 킹을 "국내에서 가장 위험하고 효과적인 흑인 지도자"라고 표현했다. FBI는 킹이 공산주의자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킹이 공산주의자임을 증명하려는 시도는 많은 분리주의자들과 인종차별주의자들의 주장과 관련이 있었다. 1950년대1960년대의 시민권 운동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흑인 공동체 내 활동에서 비롯되었다. 킹은 "흑인 혁명은 참을 수 없는 상황의 자궁에서 태어난 진정한 혁명이다"라고 말했다.

중앙정보국(CIA)은 1964년 11월 4일자 워싱턴 포스트 기사를 통해 킹이 소련에 초청받았다고 주장하며, 킹과 공산주의자들 간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킹 및 다른 시민권 운동가들의 우편물은 CIA 프로그램 HTLINGUAL에 의해 도청되었다. FBI는 J. 에드거 후버의 지시로 1964년 킹에게 협박 편지를 보내고, 도청한 킹의 불륜 테이프를 통해 킹을 압박했다. 편지에는 "네게 남은 길은 하나뿐이다"라는 내용으로 자살을 암시했다.[389]

6. 기념과 추모

1964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359][360] 킹은 여러 대학에서 최소 50개의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58] 1965년 미국 유대인 위원회는 "인간의 자유 원칙 발전에 대한 탁월한 공헌"을 기려 킹에게 미국 자유 메달(American Liberties Medallion)을 수여했으며,[358][361] 킹은 수상 소감에서 "자유는 하나의 것입니다. 전부를 가지고 있거나, 자유롭지 못합니다."라고 말했다.[362]

1957년 NAACP로부터 스핑가른 메달을 받았고,[363] 2년 후 "자유를 향한 발걸음: 몽고메리 이야기"로 애니스필드-울프 도서상을 수상했다.[364] 1966년 미국 계획된 부모 가족 연합(Planned Parenthood Federation of America)은 "편견에 대한 용감한 저항과 사회 정의 및 인간 존엄성 신장에 대한 평생 헌신"을 기려 마가렛 생어 상을 수여했다.[365] 같은 해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366] 1967년 11월, 뉴캐슬 대학교에서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는데, 이는 해당 기관에서 흑인에게 수여한 최초의 명예 학위였다.[234] 킹은 즉석 수상 연설에서[233] 다음과 같이 말했다.

뉴캐슬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은 후의 킹


사후인 1971년 "왜 나는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가"로 최우수 스포큰 워드 음반상을 수상했다.[367]

1977년 지미 카터 대통령은 킹에게 사후 대통령 자유훈장을 수여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368]

2004년 킹과 그의 아내는 의회 금메달을 받았다.[369]

킹은 갤럽이 선정한 20세기 가장 존경받는 인물 목록에서 2위를 차지했다.[370] 1963년 타임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었고, 2000년 같은 잡지의 온라인 "세기의 인물" 투표에서 6위를 차지했다.[371] 디스커버리 채널AOL이 실시한 "가장 위대한 미국인"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372]

킹은 여러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75]

연도수여 기관학위 종류
1957년모어하우스 대학인문학 명예 박사
1957년하워드 대학법학 명예 박사
1957년시카고 신학교신학 명예 박사
1958년모건 주립대학법학 명예 박사
1958년센트럴 주립대학인문학 명예 박사
1959년보스턴 대학신학 명예 박사
1961년린컨 대학교법학 명예 박사
1961년브리지포트 대학법학 명예 박사
1962년바드 대학민법 명예 박사
1963년케우카 대학문학 명예 박사
1964년웨슬리언 대학신학 명예 박사
1964년미국 유대 신학교법학 명예 박사
1964년예일 대학법학 명예 박사
1964년스프링필드 대학신학 명예 박사
1965년호프스트라 대학법학 명예 박사
1965년오벌린 대학인문학 명예 박사
1965년암스테르담 자유대학사회과학 명예 박사
1965년세인트 피터스 대학신학 명예 박사
1967년뉴캐슬 대학교민법 명예 박사
1967년그리넬 대학법학 명예 박사


6. 1.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일

1971년부터 미국의 여러 도시와 주에서 킹을 기리는 연례 공휴일을 제정하기 시작했다.[246] 1983년 11월 2일,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킹을 기리는 연방 공휴일을 제정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1986년 1월 20일에 처음으로 기념된 이 날은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일이라고 불린다. 조지 H. W. 부시 대통령의 1992년 선포에 따라, 이 공휴일은 매년 1월 셋째 월요일에, 킹의 생일과 가까운 시기에 기념된다.[247][248] 2000년 1월 17일,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일이 미국 전 50개 주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기념되었다.[249] 애리조나주(1992), 뉴햄프셔주(1999), 그리고 유타주(2000)는 이 공휴일을 인정한 마지막 주들이다. 유타주는 이전에 인권의 날(Human Rights Day)이라는 이름으로 이 공휴일을 기념했다.[250]

6. 2. 기념 시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를 기리는 많은 기념 시설, 건물 및 조각상이 건립되었는데, 여기에는 워싱턴 D.C.의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 도서관[374],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의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박사 도서관, 그리고 워싱턴 D.C.의 내셔널 몰 옆 웨스트 포토맥 공원에 있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관 등이 포함된다.

미국에서는 킹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시절인 1986년부터 킹의 생일(1월 15일)에 가까운 매년 1월 셋째 월요일을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데이(Martin Luther King, Jr. Day)로 지정하여 공휴일로 하고 있다. 2011년 10월 16일에는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에 있는 내셔널 몰 국립공원 내에 마틴 루터 킹 주니어 기념비가 완공되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 등을 초청하여 완공식이 거행되었다.[386]

또한 미국 내 많은 대도시에 "마틴 루터 킹 길"이 조성되었고, 베트남 호치민 7구에도 베트남 역사상 위대한 인물들의 이름과 함께 "마틴 루터 킹 길"이 있다.

소행성(2305) King은 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87]

6. 3. 대중문화 속의 킹

니셸 니콜스(Nichelle Nichols) 배우는 1967년 《스타 트렉(Star Trek: The Original Series)》의 첫 번째 시즌이 끝난 후 드라마에서 하차할 계획이었다.[319] 그러나 마틴 루터 킹 주니어(Martin Luther King Jr.)[320]와 대화를 나눈 후 마음을 바꿨다.[321] 킹은 니콜스의 배역이 더 큰 인종 협력의 미래를 상징한다고 설명했다.[322] 킹은 니콜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당신은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보여주는 이미지입니다. 당신은 300년 후의 모습이고, 그것은 바로 우리가 지금 서 있는 곳이며,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입니다. 당신이 하는 일을 계속하십시오. 당신은 우리의 영감입니다.[322]

니콜스는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 《스타 트렉》영어은 킹과 그의 아내 코레타 스콧 킹(Coretta Scott King)이 어린 자녀들이 시청하도록 허락한 몇 안 되는 프로그램 중 하나였습니다. 그에게 감사를 표하고 제가 드라마를 떠날 것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의 얼굴에서 미소가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해하지 못하겠소. 우리가 마땅히 여겨져야 하는 모습으로 처음으로 비춰지고 있는데 말이오. 당신은 흑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당신은 동등한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319]

제작자인 진 로든베리(Gene Roddenberry)는 킹의 지지에 대한 소식을 듣고 깊은 감동을 받았다.[323]

2016년 4월 20일, 재무장관 재커리 루(Jacob Lew)는 5달러, 10달러, 20달러 지폐가 2020년 이전에 모두 재디자인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루 장관은 링컨이 5달러 지폐 앞면에 남아 있을 것이지만, 뒷면은 링컨 기념관에서 일어났던 다양한 역사적 사건들을 묘사하도록 재디자인될 것이라고 말했다. 계획된 디자인에는 킹의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의 이미지도 포함되어 있다.[373]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관련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다이온 "아브라함, 마틴 앤 존" - 1968년 발매 싱글. 에이브러햄 링컨, 존 F. 케네디, 로버트 F. 케네디를 위한 진혼곡이다.
  • 라스컬스 "자유를 향한 찬가(People Got To Be Free)" - 1968년 7월 발매 싱글. 킹의 암살에 영감을 받아 쓰여졌다.
  • 라스컬스 "희망의 빛(A Ray of Hope)" - 1968년 11월 발매 싱글. 킹과 로버트 F. 케네디의 암살에 영감을 받아 쓰여졌다.
  • 니나 시몬 "Why? (The King of Love Is Dead)" - 1968년 발매 앨범 《나프 세드!》에 수록. 시몬의 밴드 베이시스트 진 테일러가 작곡했다.
  • 폴 매카트니 & 윙스 "행복의 노크(Let 'em In)" - 1976년 발매 앨범 《음속》에 수록. 가사에 킹의 이름이 등장한다.
  • 스티비 원더 "해피 버스데이" - 1980년 발매 앨범 《7월보다 더 뜨겁게》에 수록. "킹의 생일을 공휴일로 하자"는 운동에 헌정된 노래이다.
  • U2 "MLK", "프라이드" - 1984년 발매 앨범 《불꽃》에 수록. 두 곡 모두 킹에게 헌정되었다.
  • 마이클 잭슨 "맨 인 더 미러" - 1987년 발매 앨범 《배드》에 수록. 뮤직 비디오에 간디 등과 함께 킹의 영상이 잠시 등장한다. "[They don't care about us]"에 (만약 마틴 루터 킹이 살아 있었다면 이런 상황을 그냥 두고 보지 않았을 것이다)라는 부분이 있다.
  • 마이클 잭슨 "히스토리/고스트" - 1995년 발매 앨범 《히스토리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북 1》에 수록. 킹의 연설 일부("나는 꿈을 꾸었습니다")가 사용되었다.
  • 프린스 "Family Name" - 2001년 발매 앨범 《레인보우 칠드런》에 수록. 곡의 마지막 부분에 63년 연설의 마지막 부분인 "Free at last"가 킹의 목소리 그대로 수록되어 있다.
  • 링킨 파크 "Wisdom, Justice and Love" - 2010년 발매 앨범 《어 서우전드 선즈》에 수록. 킹의 연설 음원이 샘플링되었다.
  • 제임스 L. 호세이 작곡 "한 목소리에 이끌릴 때 (And the Multitude with One Voice Spoke)" - 킹의 시민권 운동을 주제로 하고 있다.
  • 루치아노 베리오 작곡 "심포니아 ''Sinfonia''"(1968-69) 제2악장 - O King의 부제. 킹의 이름을 가사 소재로 사용. 킹을 위한 추모곡으로 작곡(ECD 88151 라이너 노츠 참조).

참조

[1] 서적 All Deliberate Speed: Reflections on the First Half Century of Brown v. Board of Education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
[2] 웹사이트 Upbringing & Studies http://www.thekingce[...] The King Center 2012-09-02
[3]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https://www.biograph[...] A&E Television Networks, LLC 2015-03-09
[4] 웹사이트 Birth & Family http://www.thekingce[...] The Martin Luther King, Jr. Center for Nonviolent Social Change 2020-01-22
[5] 웹사이트 King, James Albert http://mlk-kpp01.sta[...] 2014-06-24
[6] 웹사이트 AfricanAncestry.com Reveals Roots of MLK and Marcus Garvey https://www.theroot.[...] 2011-01-13
[7] 서적 The Social Life of DNA https://books.google[...] Beacon Press 2016
[8] 뉴스 The story of how Michael King Jr. became Martin Luther King Jr. https://www.washingt[...] 2019-01-15
[9] 뉴스 Why Martin Luther King Jr.'s father changed their names https://www.ajc.com/[...] 2020-01-17
[10] 서적 Assassination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Abdo Pub Co
[11] 서적 Martin Luther King Jr.: Young Man with a Dream https://archive.org/[...] Aladdin
[12] 서적 When Affirmative Action was White: An Untold History of Racial Inequality in Twentieth-Century America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
[13] 웹사이트 King enters seventh grade at Atlanta University Laboratory School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2017-06-12
[14] 뉴스 How MLK became an angry black man https://www.cnn.com/[...] 2013-04-16
[15] 웹사이트 An Autobiography of Religious Development http://mlk-kpp01.sta[...] Stanford University
[16] 뉴스 Thousands of Black Elks in City To Attend Annual Convention https://www.nytimes.[...] 1974-08-11
[17] 뉴스 King's 'journey to the mountain top' started in Dublin https://www.macon.co[...] 2019-01-18
[18] 웹사이트 The Negro and the Constitution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2014-12-09
[19] 뉴스 How picking tobacco in Connecticut influenced MLK's life https://www.ctpost.c[...] 2018-04-03
[20] 뉴스 MLK Worked Two Summers on Simsbury Tobacco Farm https://www.nbcconne[...] 2015-01-19
[21] 뉴스 How a Trip To Connecticut Changed Martin Luther King Jr.'s Life https://www.courant.[...] 2000-01-17
[22] 뉴스 MLK Was Inspired by Time in Connecticut https://www.nbcconne[...] 2011-01-17
[23] 뉴스 Martin Luther King Jr.'s time in Connecticut was pivotal, but has never been thoroughly documented; that's about to change https://www.courant.[...] 2019-11-13
[24] 웹사이트 Benjamin Mays found a voice for civil rights https://www.uchicago[...] 2013-01-01
[25] 서적 Encyclopedia of American Civil Liber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6] 서적 To See the Promised Land: The Faith Pilgrimage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Mercer University Press
[27] 서적 Gandhi and King: The Power of Nonviolent Resistanc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8] 웹사이트 King audits courses at University of Pennsylvania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Archives and Records Center
[29]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 Education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Archives and Records Center
[30]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s time studying at Penn https://penntoday.up[...] 2018-04-04
[31] 서적 There is a Balm in Gilead: The Cultural Roots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books.google[...] Fortress Publishing 1991
[32] 서적 There is a Balm in Gilead: The Cultural Roots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books.google[...] Fortress Publishing 1991
[33] 잡지 The Voice
[34] 웹사이트 To Hugh Watt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2015-01-28
[35] 서적 The Voice of Conscience: The Church in the Mind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36] 서적 National Days, National Ways: Historical, Political, And Religious Celebrations around the World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37] 웹사이트 A comparison of the conceptions of God in the thinking of Paul Tillich and Henry Nelson Wieman https://buprimo.host[...] Boston University Library 2020-07-06
[38] 웹사이트 Four Things About King https://www.snopes.c[...] 2003-07-19
[39] 뉴스 Panel Confirms Plagiarism by King at BU 1991-10-11
[40] 뉴스 Boston U. Panel Finds Plagiarism by Dr. King https://www.nytimes.[...] 1991-10-11
[41] 웹사이트 King's Ph.D. dissertation, with attached note http://mlk-kpp01.sta[...]
[42] 학술지 Plagiarism, preaching and prophecy: the legacy of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persistence of racism [Review] 1996-10-01
[43] 뉴스 Coretta Scott King https://www.telegrap[...] 2006-02-01
[44] 서적 King Came Preaching: The Pulpit Power of Dr.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InterVarsity Press
[45] 서적 Civil Rights History from the Ground Up: Local Struggles, a National Move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46]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http://encyclopediao[...]
[47] 뉴스 December 1, 1955: Rosa Parks arrested https://www.cnn.com/[...] 2003-03-11
[48] 서적 The Montgomery Bus Boycott https://archive.org/[...] Gareth Stevens
[49] 방송 Interview with Coretta Scott King PBS
[50] 서적 Ethical Leadership Through Transforming Justic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51] 서적 Patterns of Conflict, Paths to Peace https://archive.org/[...] Broadview Press
[52] 웹사이트 King arrested for speeding; MIA holds seven mass meetings https://kinginstitut[...] The Martin Luther King, Jr.,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Stanford University 2017-06-22
[53] 서적 Billy Graham and the Rise of the Republican South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54] 웹사이트 Levison, Stanley David https://kinginstitut[...] 2017-05-17
[55] 서적 Let Nobody Turn Us Around: Voices of Resistance, Reform, and Renewal: an African American Anthology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56] 웹사이트 Prayer Pilgrimage for Freedom http://crdl.usg.edu/[...] Civil Rights Digital Library
[57]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Global Freedom Struggle: Gandhi Society for Human Rights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58] 서적 The FBI: A Comprehensive Reference Guide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59] 서적 The FBI: A Comprehensive Reference Guide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60] 서적 Race and Labor Matters in the New U.S. Economy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61] 서적 Architects of Political Change: Constitutional Quandaries and Social Choice The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62]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Westview Press
[63] 서적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The Passage of the Law that Ended Racial Segregation SUNY Press
[64] 서적 When Harlem Nearly Killed King: The 1958 Stabbing of Dr. Martin Luther King, Jr. https://books.google[...] Seven Stories Press
[65] 뉴스 Before 'I Have a Dream,' Martin Luther King Almost Died. This Man Saved Him https://www.nytimes.[...] 2020-11-13
[66] 뉴스 'King' is a Deft Exploration of the Civil Rights Leader's Stabbing https://web.archive.[...] 2002-02-04
[67] 뉴스 Today in History, September 20 https://web.archive.[...] 2012-09-19
[68] 웹사이트 SCLC Press Release https://kinginstitut[...] 2015-01-28
[69] 웹사이트 Samuel Vandiver, in the MLK Encyclopedia https://kinginstitut[...] 2017-07-06
[70] 뉴스 Traffic stop 60 years ago spurred Martin Luther King Jr. into greater action https://web.archive.[...] 2020-05-04
[71] 뉴스 Negro Integration Leader Sentenced to Four Months https://accesswdun.c[...] 1960-10-25
[72] 잡지 John F. Kennedy,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Phone Call That Changed History https://time.com/481[...] 2017-06-20
[73] 서적 The Autobiography Of Martin Luther King, Jr. Hatchette
[74] 뉴스 Photos: How Atlanta Public Schools integrated in 1961 https://www.ajc.com/[...]
[75] 뉴스 The integration of Atlanta Public Schools https://www.atlantam[...] 2011-08-01
[76] 웹사이트 Atlanta Sit-ins https://www.georgiae[...]
[77] 서적 The Autobiography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books.google[...] Hatchette Digital
[78] 서적 A Testament of Hope: The Essential Writings and Speeches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Harper Collins
[79] 웹사이트 King Center:Billy Graham http://www.thekingce[...]
[80] 웹사이트 Albany, GA Movement http://www.crmvet.or[...] Civil Rights Movement Archive
[81] 뉴스 Martin Luther King mugshot April 12 1963 http://photos.nola.c[...] 2013-04-16
[82] 서적 Carry Me Home: Birmingham, Alabama: The Climactic Battle of the Civil Rights Revolution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83] 서적 Unto a Good Land: A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Volume 2 Wm B Eerdmans Publishing
[84] 학술지 Birmingham USA: Look at Them Run 1963-05-13
[85] 학술지 Integration: Connor and King 1963-04-22
[86] 웹사이트 The Meaning of The King Holiday http://www.thekingce[...] The King Center
[87]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Race and Crime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88] 웹사이트 The Great Society: A New History with Amity Shlaes https://www.hoover.o[...]
[89] 웹사이트 Letter from Birmingham Jail http://mlk-kpp01.sta[...] The Martin Luther King Jr.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90]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https://archive.org/[...] Basic Civitas Books
[91] 서적 Freedom Riders: 1961 and the Struggle for Racial Justi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92] 서적 Leaders from the 1960s: A biographical sourcebook of American activism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93] 서적 African-Americans and the Quest for Civil Rights, 1900–1990 https://archive.org/[...] NYU Press
[94] 서적 Robert Kennedy and His Time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Books
[95] 서적 Race, Reform, and Rebellion: The Second Reconstruction in Black America, 1945–1990 https://archive.org/[...] Univ. Press of Mississippi
[96] 서적 Kennedy, Johnson, and the Quest for Justice: The Civil Rights Tapes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
[97] 서적 Robert Kennedy and His Time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Books
[98] 서적 Living for Change: An Autobiography https://archive.org/[...] U of Minnesota Press
[99] 서적 Mysteries in History: From Prehistor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ABC-CLIO
[100] 서적 The Sixties in America https://archive.org/[...] Salem Press
[101] 서적 Radical Pacifism: The War Resisters League and Gandhian Nonviolence in America, 1915–1963 Syracuse University Press
[102] 학술지 Celebrating the Birthday and Public Holiday for Martin Luther King, Jr http://thomas.loc.go[...] Library of Congress 2007-01-16
[103] 서적 Protest, power, and change: an encyclopedia of nonviolent action from ACT-UP to Women's Suffrage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104] 뉴스 I have a dream https://www.theguard[...] 2003-08-21
[105] 서적 The Dream: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Speech that Inspired a Nation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106] 서적 The Words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books.google[...] Newmarket Press 2020-05-29
[107] 웹사이트 Dream Assignment https://archive.toda[...] 2003-08-01
[108] 서적 Grand Expectations: The United States, 1945–1974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09] 서적 The Struggle for Black Equality Hill and Wang 2008
[110] 웹사이트 Black History: Dr. Robert B. Hayling https://web.archive.[...]
[111] 서적 Bearing the Cross: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HarperCollins
[112] 웹사이트 We Shall Overcome – Lincolnville Historic District http://www.nps.gov/h[...]
[113] 서적 African Americans in Florida: An Illustrated History https://archive.org/[...] Pineapple Press
[114] 백과사전 St. Augustine, Florida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Martin Luther King, Jr.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2017-07-07
[115] 웹사이트 UNE prepares to mark 50th anniversary of Martin Luther King Jr.'s speech in Biddeford https://bangordailyn[...] 2013-12-24
[116] 웹사이트 St. Francis College History Collection University of New England Research DUNE: DigitalUNE https://dune.une.edu[...]
[117] 웹사이트 Rev. Dr. King in Biddeford https://mcarthurarch[...] Biddeford-Saco Journal 2021-01-16
[118] 웹사이트 Lecture: The Summer of Our Discontent https://digital.arch[...]
[119] 뉴스 Found After Decades, a Forgotten Tape of King 'Thinking on His Feet http://cityroom.blog[...] 2013-08-22
[120]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Who Speaks for the Negro? https://whospeaks.li[...]
[121] 학술지 The Scripto Strike: Martin Luther King's 'Valley of Problems': Atlanta, 1964–1965 https://album.atlant[...] Atlanta Historical Society 1999-09-01
[122] 뉴스 Martin Luther King https://web.archive.[...] Playboy 1965-01-01
[123] 웹사이트 The Selma Injunction http://www.crmvet.or[...] Civil Rights Movement Archive
[124] 서적 America Divided: The Civil War of the 1960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k
[125] 서적 The Riotmakers Oak Tree Books
[126] 뉴스 Theodore Parker And The 'Moral Universe'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0-09-02
[127] 서적 African-American Orators: A Bio-critical Sourcebook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128] 영상매체 Rare Video Footage of Historic Alabama 1965 Civil Rights Marches, MLK's Famous Montgomery Speech https://www.youtube.[...]
[129] 백과사전 North Lawndale http://www.encyclope[...] Chicago History
[130] 서적 Northern Protest: Martin Luther King Jr., Chicago,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31] 서적 To Redeem the Soul of America: The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32] 서적 Chicago: City Guide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133] 서적 Jesse Jackson https://archive.org/[...] Holloway House Publishing
[134] 서적 Symbols, the News Magazines, and Martin Luther King LSU Press
[135] 서적 Voice of Deliverance: The Language of Martin Luther King Jr. and Its Sourc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36] 서적 Meet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Rosen Publishing Group
[137] 서적 The Betrayal of the Urban Poor https://archive.org/[...] Temple University Press
[138] 웹사이트 Views on Black Militant Situation in Chicago https://www.archives[...] 1967-10-05
[139] 뉴스 MLK An American Legacy. https://books.google[...]
[140] 웹사이트 The 11 Most Anti-Capitalist Quotes from Martin Luther King Jr. https://www.commondr[...]
[141] 서적 The Sixties Chronicle https://archive.org/[...] Legacy Publishing
[142] 뉴스 The Rev. James L. Bevel dies at 72; civil rights activist and top lieutenant to King https://latimes.com/[...] 2008-12-24
[143] 서적 The African American Voice in U.S. Foreign Policy Since World War II Taylor & Francis
[144] 서적 To Make the Wounded Whole: The Cultural Legacy of Martin Luther King, Jr. Fortress Press
[145] 서적 Against Us, But for Us: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State Mercer University Press
[146] 서적 April 4, 1968: Martin Luther King Jr.'s death and how it changed America https://archive.org/[...] Basic Civitas Books
[147] 웹사이트 What Is Billy Graham's Friendship with Martin Luther King Jr. Worth? https://www.christia[...] 2018-02-23
[148] 웹사이트 Where Billy Graham 'missed the mark' https://www.cnn.com/[...] 2018-02-22
[149] 서적 Bearing the Cross
[150] 뉴스 Martin Luther King Jr. made our nation uncomfortable https://www.washingt[...] 2011-10-16
[151] 서적 Restaging the Sixties: Radical Theaters and Their Legacie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52] 서적 Symbols, the News Magazines, and Martin Luther King LSU Press
[153] 서적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Routledge
[154] 웹사이트 Episode 501: The University of Impossible-to-Get-Into https://freakonomics[...]
[155] 학술지 Martin Luther King, Jr., as Democratic Socialist https://www.jstor.or[...] 1990
[156] 서적 The Radical King https://books.google[...] Beacon Press
[157] 서적 The Power of Nonviolence: Writings by Advocates of Peace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158] 뉴스 Why Martin Luther King Didn't Run for President https://www.rollings[...] 2016-01-18
[159] 뉴스 1967 Year In Review http://www.upi.com/A[...]
[160] 웹사이트 Martin L. King on hippies https://bltnotjustas[...] 2013-01-17
[161] 서적 1968: The Year That Rocked the World https://archive.org/[...] Jonathan Cape (Random House)
[162] 뉴스 Dr. King Calls for Antiwar Rally in Capital February 5–6 https://select.nytim[...] 1968-01-13
[163] 웹사이트 Searching for the Enemy of Man" in Nhat Nanh, Ho Huu Tuong, Tam Ich, Bui Giang, Pham Cong Thien http://www.aavw.org/[...] Saigon: La Boi 1965
[164] 연설 Beyond Vietnam http://www.aavw.org/[...] Archived on the African-American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website 1967-04-04
[165] 편지 http://www.hartford-[...] 1967-01-25
[166] 서적 The Crusade for Justice: Chicano Militancy and the Government's War on Dissent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67] 서적 You are Being Lied to: The Disinformation Guide to Media Distortion, Historical Whitewashes and Cultural Myths https://archive.org/[...] The Disinformation Campaign
[168] 웹사이트 Where Was Martin Luther King Heading? http://savingcommuni[...]
[169]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 Final Advice http://www.progress.[...] 2007-01-09
[170] 뉴스 Martin Luther King's Case for a Guaranteed Basic Income http://www.slate.com[...] 2013-08-28
[171] 서적 The Other American: The Life of Michael Harrington https://archive.org/[...] Public Affairs
[172] 웹사이트 Letter from World Constitution Coordinating Committee to Helen, enclosing current materials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173] 뉴스 Pakistan Announces Delegates Named https://azmemory.azl[...] 1962-06-07
[174] 웹사이트 Preparing earth constitution {{!}} Global Strategies & Solutions http://encyclopedia.[...]
[175] 웹사이트 1,300 Members Participate in Memphis Garbage Strike http://www.afscme.or[...] AFSCME 1968-02
[176] 웹사이트 Memphis Strikers Stand Firm http://www.afscme.or[...] AFSCME 1968-03-01
[177] 서적 Weary Feet, Rested Souls: A Guided History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178] 뉴스 The Worst Week http://www.newsweek.[...] 2007-11-19
[179] 서적 Speeches that Changed the World: The Stories and Transcripts of the Moments that Made History https://archive.org/[...] Quercus
[180] 간행물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Investigation of Recent Allegations Regarding the Assassination of Dr. Martin Luther King, Jr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2000-06-01
[181] 뉴스 40 years after King's death, Jackson hails first steps into promised land https://www.theguard[...] 2008-04-03
[182] 서적 We Interrupt This Broadcast: The Events that Stopped Our Lives ... from the Hindenburg Explosion to the Attacks of September 11 https://archive.org/[...] Sourcebooks
[183] 서적 An Act of State: The Execution of Martin Luther King https://archive.org/[...] Verso
[184] 서적 House Divided: The Life and Legacy of Martin Luther King Arlington House
[185] 웹사이트 Citizen King Transcript https://www.pbs.org/[...] PBS
[186] 웹사이트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Registration: Martin Luther King Jr. National Historic Site https://npgallery.np[...] National Park Service 1993-10-15
[187] 뉴스 1968: Martin Luther King shot dead http://news.bbc.co.u[...] BBC 1968-04-04
[188] 서적 A Nation on Fire: America in the Wake of the King Assassination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189] 뉴스 The Unmaking of the President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08-04-01
[190] 서적 Politics Lost: How American Democracy was Trivialized by People Who Think You're Stupid Doubleday
[191] 서적 Robert Kennedy: A Memoir https://archive.org/[...] Plume
[192] 뉴스 1968 Year In Review http://www.upi.com/A[...]
[193] 웹사이트 AFSCME Wins in Memphis http://www.afscme.or[...] AFSCME The Public Employee 1968-04-01
[194] 서적 The last crusade: Martin Luther King Jr., the FBI, and the poor people's campaign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195] 뉴스 Dr. Martin Luther King's Economics: Through Jobs, Freedom http://www.thenation[...] 2010-01-15
[196] 서적 Dixie's Dirty Secret: The True Story of how the Government, the Media, and the Mob Conspired to Combat Immigration and the Vietnam Antiwar Movement https://archive.org/[...] ME Sharpe
[197] 서적 The American Book of Days https://archive.org/[...] Wilson
[198] 뉴스 IBM advertisement 1985-01-14
[199] 서적 A Change is Gonna Come: Music, Race & the Soul of Americ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 서적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Routledge
[201] 서적 Murders in the United States: Crimes, Killers And Victims Of The Twentieth Century McFarland
[202] 웹사이트 James Earl Ray Dead At 70 https://www.cbsnews.[...] CBS 1998-04-23
[203] 서적 Compilation of the Statements of James Earl Ray: Staff Report https://archive.org/[...] The Minerva Group
[204] 서적 Assassination: 20 Assassinations that Changed the World JG Press
[205] 뉴스 James Earl Ray, 70, Killer of Dr. King, Dies in Nashville https://www.nytimes.[...] 1998-04-24
[206] 뉴스 From small-time criminal to notorious assassin http://edition.cnn.c[...] CNN
[207] 서적 Conspiracy Theories in American History: An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ABC-CLIO
[208] 뉴스 Questions left hanging by James Earl Ray's death http://news.bbc.co.u[...] BBC 1998-04-23
[209] 서적 An American Death: The True Story of the Assassination of Dr.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Greatest Manhunt of our Time https://archive.org/[...] Doubleday
[210] 뉴스 The case against James Earl Ray http://www.cnn.com/2[...] CNN 2008-12-29
[211] 뉴스 James Earl Ray, convicted King assassin, dies http://edition.cnn.c[...] CNN 1998-04-23
[212] 서적 Contemporary Controversies and the American Racial Divide https://archive.org/[...] Rowman & Littlefield
[213] 웹사이트 Trial Transcript Volume XIV http://www.thekingce[...] The King Center
[214] 뉴스 Dr. King's Slaying Finally Draws A Jury Verdict, but to Little Effect https://www.nytimes.[...] 1999-12-10
[215] 간행물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Investigation of Recent Allegations Regarding the Assassination of Dr. Martin Luther King, Jr https://www.justice.[...] U.S. Department of Justice 2000-06
[216] 뉴스 The Truth About Memphis https://www.washingt[...] 1999-01-30
[217] 뉴스 Loyd Jowers, 73, Who Claimed A Role in the Killing of Dr. King https://www.nytimes.[...] 2000-05-23
[218] 뉴스 A Minister Says His Father, Now Dead, Killed Dr. King https://www.nytimes.[...] 2002-04-05
[219] 서적 The Civil Rights Revolution: Events and Leaders, 1955–1968 McFarland
[220] 서적 An Act of State: The Execution of Martin Luther King https://archive.org/[...] Verso
[221] 뉴스 The colours of conspiracy https://www.timeshig[...] 2003-03-14
[222] 서적 At Canaan's Edge: America in the King Years, 1965–68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23] 뉴스 Jesse Jackson On 'Mad Dean Disease', the 2000 Elections and Rev. Dr. Martin Luther King http://www.democracy[...] Democracy Now! 2004-01-15
[224] 서적 Soweto Blues: Jazz, Popular Music, and Politics in South Africa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25] 서적 It Takes a Village: And Other Lessons Children Teach Us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26] 웹사이트 Nobel Lecture https://www.nobelpri[...] 1998-12-10
[227] 뉴스 King remembered for civil rights achievements http://www.cnn.com/U[...] 1999-01-18
[228] 웹사이트 Interview with John Hume (26 minutes) https://www.nobelpri[...] The Nobel Prize 2006-08-31
[229]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FOUNDATION – Charity 260411 https://register-of-[...]
[230] 서적 Black People and Employment: The 1975 Martin Luther King Memorial Lecture The Martin Luther King Foundation
[231] 서적 Keep the Faith, Baby! https://archive.org/[...] The Bible Reading Fellowship
[232]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Peace Committee https://research.ncl[...]
[233]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Honorary Degree Ceremony https://www.ncl.ac.u[...]
[234] 저널 A King in Newcastle; Martin Luther King Jr. and British Race Relations, 1967–1968
[235] 웹사이트 Statue unveiled in honour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www.ncl.ac.uk[...] 2017-11-13
[236] 웹사이트 New name for Newcastle University's Student Union Mensbar revealed http://www.chronicle[...] 2017-03-11
[237] 서적 The Conscience of a Liberal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23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Fair Housing http://portal.hud.go[...] U.S.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239] 뉴스 A Class Divided: One Friday in April, 1968 https://www.pbs.org/[...] PBS 2003-01-01
[240] 웹사이트 The King Center's Mission http://www.thekingce[...] The King Center
[241] 뉴스 Future of Atlanta's King Center in limbo https://www.usatoday[...] 2006-02-01
[242] 웹사이트 Chairman's Message: Introduction to the King Center and its Mission http://www.thekingce[...] The King Center
[243] 웹사이트 Welcome http://www.highergro[...] Higher Ground Productions
[244] 웹사이트 The Triple Evils http://www.thekingce[...] The King Center
[245] 뉴스 What would Martin Luther King do? http://news.minnesot[...] Minnesota Public Radio 2005-01-16
[246] 웹사이트 St. Louis Remains A Stronghold For Dr. King's Dream https://news.stlpubl[...] 2022-03-18
[247] 웹사이트 Proclamation 6401 – Martin Luther King Jr. Federal Holiday http://www.presidenc[...]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2008-09-08
[248]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Day http://exchanges.sta[...] U.S. Department of State 2008-06-15
[249] 뉴스 Contrarian New Hampshire To Honor Dr. King, at Last https://www.nytimes.[...] 1999-05-26
[250] 웹사이트 The History of Martin Luther King Day http://www.infopleas[...] Infoplease 2011-07-04
[251]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made a saint by American church – Premier Christian News https://premierchris[...] 2021-04-24
[252] 웹사이트 Holy Communion Of Churches https://holycommunio[...] 2021-04-24
[253]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Canonized by the Unrecognized 'Holy Christian Orthodox Church' https://web.archive.[...] 2021-04-24
[254] 보도자료 The Holy Christian Orthodox Church Announces the Sainthood of Martin Luther King Jr. of Georgia – Standard Newswire http://www.standardn[...] 2021-04-24
[255] 웹사이트 The Christian Cathedral – Community. Worship. Purpose https://web.archive.[...] 2021-04-24
[256] 웹사이트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extranet.gen[...] 2021-04-24
[257] 웹사이트 Church Year and Calendar https://web.archive.[...] St. Bartholomew Lutheran Church 2013-01-10
[258]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Justice Without Violence – April 3, 1957 https://web.archive.[...] Mlk-kpp01.stanford.edu 2013-07-09
[259]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Papers Project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2022-03-18
[260] 뉴스 'A Gift Of Love': Martin Luther King's Sermons From Strength To Love (Excerpt) https://www.huffpost[...] 2013-01-21
[261] 뉴스 Writings show King as liberal Christian, rejecting literalism https://www.sfgate.c[...] 2007-01-15
[262] 서적 Martin Luther King, Jr.: Nonviolent Strategies and Tactics for Social Change Madison Books 2000
[263] 백과사전 Measure of a Man, The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Martin Luther King, Jr.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2017-06
[264] 웹사이트 Dr. Martin Luther King, Jr. speaking at The New School https://web.archive.[...] 2013-01-21
[265] 서적 The Spirit of the Sixties: Making Postwar Radicalism Routledge
[266] 웹사이트 Wofford, Harris Llewellyn https://kinginstitut[...] 2019-12-03
[267] 뉴스 Book Review: Bayard Rustin: Troubles I've Seen https://web.archive.[...] 2008-06-12
[268] 웹사이트 When Martin Luther King Jr. gave up his guns http://www.salon.com[...] 2014-06-24
[269] 서적 Radical Pacifism: The War Resisters League and Gandhian Nonviolence in America, 1915–1963 Syracuse University Press
[270] 웹사이트 Stride Toward Freedom: The Montgomery Story https://kinginstitut[...] 2019-12-03
[271] 웹사이트 Gandhi, Mohandas K. https://kinginstitut[...] Stanford University 2022-03-18
[272] 서적 The Papers of Martin Luther King Jr., Volume V: Threshold of a New Decade, January 1959– December 1960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3] 웹사이트 India Trip (1959) https://kinginstitut[...] 2019-12-03
[274] 웹사이트 Nobel Lecture by MLK https://web.archive.[...] The King Center 2013-08-30
[275] 간행물 King, M. L. Morehouse College (Chapter 2 of The Autobiography of Martin Luther King Jr.)
[276] 간행물 Reinhold Niebuhr and Contemporary Politics: God and Power
[277] 서적 Martin Luther King, Jr.: The Making of a Mind https://archive.org/[...] Orbis Books
[278] 서적 The Domestication of Martin Luther King Jr.: Clarence B. Jones, Right-Wing Conservatism, and the Manipulation of the King Legacy https://books.google[...] Cascade Books
[279] 서적 Against Us, But for Us: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State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280] 서적 Radical Abolitionism: Anarchy and the Government of God in Antislavery Thought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281] 서적 Extremist for Love: Martin Luther King Jr., Man of Ideas and Nonviolent Social Action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018-02-22
[282] 서적 War and Words: Horror and Heroism in the Literature of Warfare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8-02-22
[283] 서적 The Incomparable Christ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8-02-22
[284] 웹사이트 Agape https://kinginstitut[...] The Martin Luther King Jr.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2019-12-03
[285]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s Troubled Attitude toward Nonviolent Resistance http://www.people.fa[...] Harvard College Writing Program 2015-01-19
[286] 웹사이트 Nonviolence: The Only Road to Freedom – Teaching American History http://teachingameri[...] 2015-05-08
[287] 웹사이트 Birmingham civil rights activist Colonel Stone Johnson has died (slideshow) http://blog.al.com/s[...] 2012-01-19
[288] 웹사이트 Armed Resistance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Charles E. Cobb and Danielle L. McGuire on Forgotten History http://prospect.org/[...] 2014-06-11
[289] 서적 The Deacons for Defense: Armed Resistance and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6-07-12
[290] 서적 The Rhetoric of Redemption: Kenneth Burke's Redemption Drama and Martin Luther King Jr.'s "I Have a Dream" Speech Rowman & Littlefield
[291] 서적 I May Not Get There with You: The True Martin Luther King, Jr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0
[292] 웹사이트 A Close Alliance Between MLK and Nelson Rockefeller Revealed https://www.theroot.[...] 2015-01-11
[293] 서적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Routledge
[294] 웹사이트 Abbreviated Report from the International Tribunal on Reparations for Black People in the U.S. http://www.apspuhuru[...] African People's Socialist Party 2008-06-15
[295] 웹사이트 Stokely Carmichael, A Philosopher Behind The Black Power Movement https://www.npr.org/[...] 2014-03-10
[296] 뉴스 Dr. Martin Luther King, Jr., Black People and Indigenous People: How We Cash This Damn Check https://www.huffpost[...] 2018-01-11
[297] 웹사이트 Dr. King spoke out against the genocide of Native Americans http://www.peopleswo[...] 2018-11-25
[298] 간행물 The American Indian Civil Rights Movement: A case study in Civil Society Protest http://www.scielo.or[...] 2014-12-01
[299] 웹사이트 Dr. Martin Luther King Jr: Our Nation was Born in Genocide https://nativenewson[...] 2018-11-25
[300] 웹사이트 Street Smarts: MLK Jr. visited 'Papago' reservation near Tucson, was fascinated https://tucson.com/n[...] 2018-11-26
[301] 웹사이트 Navajos and locals in Gallup celebrate Martin Luther King Jr. Day https://www.navajoti[...] 2018-11-26
[302] 웹사이트 'I have a dream for all God's children,' Martin Luther King Jr. Day http://americanindia[...] 2018-11-25
[303] 서적 Let the Trumpet Sound: A Life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304] 서적 The Papers of Martin Luther King, Jr: Symbol of the Movement, January 1957 – December 195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06-17
[305] 뉴스 Illinois' liberal giant, Paul Douglas https://www.chicagot[...] 2015-05-17
[306] 서적 The Papers of Martin Luther King, Jr: Symbol of the Movement, January 1957 – December 195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06-17
[307] 서적 The Autobiography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Hachette Digital
[308] Youtube Mr. Conservative: Barry Goldwater's opposition to the Civil Rights Act of 1964 https://www.youtube.[...] 2006-09-18
[309] 기타 MLK: An American Legacy: Bearing the Cross, Protest at Selma, and the FBI, and Martin Luther King, Jr.
[310] 서적 The Martin Luther King Jr. Companion: Quotations from the Speeches, Essays, and Books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311] 서적 King and the Other America: The Poor People's Campaign and the Quest for Economic Equal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
[312] 뉴스 The Uncompromising Anti-Capitalism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www.huffpost[...] 2014-01-20
[313] 서적 Liberating Visions: Human Fulfillment and Social Justice in African-American Thought Fortress Press
[314] 서적 Prophet of Discontent: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Critique of Racial Capitalism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21
[315] 서적 Voices of Social Education A Pedagogy of Change 2021
[316] 서적 Transpacific Antiracism Afro-Asian Solidarity in 20th-Century Black America, Japan, and Okinawa NYU Press 2013
[317] 서적 Going Down Jericho Road: The Memphis Strike, Martin Luther King's Last Campaign 2011
[318] 서적 Prophet of Discontent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Critique of Racial Capitalism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21
[319] 뉴스 Zoë Saldaña Climbed Into Lt. Uhura's Chair, Reluctantly https://www.npr.org/[...] NPR 2013-04-10
[320] 비디오 Star Trek: 25th Anniversary Special 1991
[321] 웹사이트 Nichelle Nichols Explains How Martin Luther King Convinced Her to Stay on Star Trek http://www.opencultu[...] 2013-01-21
[322] 뉴스 Gene Roddenberry's Son Reveals Unhappy 'Star Trek' Family Life https://www.huffpost[...] 2011-11-30
[323] 웹사이트 Nichelle Nichols on playing Star Trek's Lt. Uhura and meeting Dr. King https://o.canada.com[...] 2010-08-05
[324] 서적 April 4, 1968: Martin Luther King Jr.'s death and how it changed America https://archive.org/[...] Basic Civitas Books
[325] 서적 Going down Jericho Road the Memphis strike, Martin Luther King's last campaign https://archive.org/[...] Norton
[326] 뉴스 The FBI and Martin Luther King https://www.theatlan[...] 2002-07-01
[327] 뉴스 JFK and RFK Were Right to Wiretap MLK http://findarticles.[...] 2006-02-27
[328] 뉴스 FBI tracked King's every move http://www.cnn.com/2[...] CNN 2008-04-07
[329] 서적 War at Home: Covert Action Against U.S. Activists and What We Can Do About It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330] 웹사이트 Declassified NSA files show agency spied on Muhammad Ali and MLK http://www.theguardi[...] 2013-09-26
[331] 서적 To See the Promised Land: The Faith Pilgrimage of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Mercer University Press
[332] 서적 Black Struggle, Red Scare: Segregation and Anti-communism in the South, 1948–1968 https://archive.org/[...] LSU Press
[332] 서적 The Real J. Edgar Hoover: For the Record https://archive.org/[...] Turner Publishing
[333] 간행물 Church Committee Book III Church Committee 1976-04-23
[334] 서적 Martin Luther King Jr.: A Biography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335] 서적 Democratic Individuality: A Theory of Moral Progr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6]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https://www.archives[...] 1967-11-05
[337] 뉴스 Bush and the NSA spying scandal https://www.huffpost[...] 2005-12-19
[338] 뉴스 Martin Luther King Jr. met Malcolm X just once. The photo still haunts us with what was lost. https://www.washingt[...] 2014-01-18
[339] 서적 Conspiracy Encyclopedia Collins & Brown
[340] 서적 Popular Images of American Presidents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341] 뉴스 What an Uncensored Letter to M.L.K. Reveals https://www.nytimes.[...] 2014-11-11
[342] 서적 In Search of Democracy: The NAACP Writings of James Weldon Johnson, Walter White, and Roy Wilkins (1920–1977)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43] 학술지 Documenting the Struggle for Racial Equality in the Decade of the Sixties https://www.archives[...]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1997-06-01
[344] 뉴스 'Irresponsible': Historians attack David Garrow's MLK allegations https://www.washingt[...] 2019-05-30
[345] 뉴스 The troubling legacy of Martin Luther King https://standpointma[...] 2019-05-30
[346] 뉴스 A historian's claims about Martin Luther King are shocking – and irresponsible https://www.theguard[...] 2019-06-08
[347] 뉴스 Martin Luther King Jr 'watched and laughed' as woman was raped, secret FBI recordings allege https://www.independ[...] 2019-05-28
[348] 뉴스 Salacious FBI information again attacks character of MLK http://amsterdamnews[...] 2019-07-03
[349] 뉴스 J. Edgar Hoover's revenge: Information the FBI once hoped could destroy Rev. Martin Luther King Jr. has been declassified https://theconversat[...] 2019-05-31
[350] 서적 And the walls came tumbling down: an autobiography https://archive.org/[...] Harper & Row
[351] 웹사이트 And the Walls Came Tumbling Down http://www.booknotes[...] Booknotes 1989-10-29
[352] 서적 Bearing the Cross: Martin Luther King Jr. and the Southern Christian Leadership Conference https://archive.org/[...] William Morrow & Co
[353] 뉴스 Driven to Martyrdom https://www.nytimes.[...] 1986-11-30
[354] 뉴스 Black In America – Behind the Scenes: 'Eyewitness to Murder: The King Assassination' http://www.cnn.com/2[...] 2008-12-29
[355] 서적 The Last Crusade: Martin Luther King Jr., the FBI, and the Poor People's Crusade https://archive.org/[...] Westview Press
[356] 서적 Martin Luther King Jr.: The FBI Files Filiquarian Publishing
[356] 뉴스 King conspiracy theories still thrive 40 years later http://www.cnn.com/2[...] CNN 2008-04-07
[356] 웹사이트 King's FBI file Part 1 of 2 http://vault.fbi.gov[...] FBI
[356] 웹사이트 King's FBI file Part 2 of 2 http://vault.fbi.gov[...] FBI
[357] 서적 Conspiracy Theories in American History: An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ABC-CLIO
[358] 서적 King Came Preaching: The Pulpit Power of Dr. Martin Luther King, Jr. https://archive.org/[...] InterVarsity Press
[359] 뉴스 Martin Luther King Wins The Nobel Prize for Peace https://www.nytimes.[...] 1964-10-15
[360] 서적 Makers of Modern Culture: Makers of Culture Routledge
[361] 웹사이트 Commemorating Martin Luther King Jr.: Presentation of American Liberties Medallion http://www.ajc.org/s[...] American Jewish Committee
[362] 웹사이트 Commemorating Martin Luther King Jr.: Response to Award of American Liberties Medallion http://www.ajc.org/s[...] American Jewish Committee
[363] 웹사이트 Spingarn Medal Winners: 1915 to Today https://web.archive.[...] NAACP
[364]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http://www.anisfield[...] Anisfield-Wolf Book Awards
[365] 웹사이트 The Reverend Martin Luther King Jr. upon accepting The Planned Parenthood Federation Of America Margaret Sanger Award http://www.plannedpa[...] PPFA
[366] 웹사이트 SCLC Press Release https://web.archive.[...] SCLC via the King Center 1966-05-16
[367] 웹사이트 Did You Know That Martin Luther King Won A GRAMMY? https://www.grammy.c[...] 2019-01-17
[368] 웹사이트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Remarks on Presenting the Medal to Dr. Jonas E. Salk and to Martin Luther King Jr. http://www.presidenc[...] The American Presidency Project 1977-07-11
[369] 웹사이트 Congressional Gold Medal Recipients (1776 to Present) http://clerk.house.g[...] Office of the Clerk: U.S. House of Representatives
[370] 서적 The Gallup Poll: Public Opinion 1999 Rowman & Littlefield
[371] 뉴스 Time Names Einstein as Person of the Century https://web.archive.[...] 1999-12-27
[372] 뉴스 Reagan voted 'greatest American' http://news.bbc.co.u[...] BBC 2005-06-28
[373] 뉴스 Anti-slavery activist Harriet Tubman to replace Jackson on the front of the $20 bill https://www.usatoday[...] 2016-04-21
[374] 웹사이트 The Martin Luther King Jr. Memorial Library History https://web.archive.[...] 2009-07-23
[375] 웹사이트 Martin Luther King, Jr. Honorary Degrees https://guides.lib.l[...] Louisiana State University
[376] 웹사이트 Rev. Martin Luther King, Jr. https://www.billboar[...]
[377] 웹사이트 キング牧師生誕90年、非暴力で差別と闘った39年の生涯 https://www.christia[...]
[378] 서적 人物アメリカ史(下) 講談社学術文庫 2007-09-10
[379] 웹사이트 キング牧師の子どもがトランプ大統領を批判 https://web.archive.[...]
[380] 서적 人物アメリカ史(下) 講談社学術文庫 2007-09-10
[381] 서적 ノーベル賞の百年 創造性の素顔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アカデミー・プレス 2002-03-19
[382] Youtube Martin Luther King "I have a dream" (full) https://www.youtube.[...]
[383] 서적 マルコムX 人権への闘い 岩波新書 2009-12-18
[384] 웹사이트 CNN.co.jp : 世界の11の暗殺現場 - (3/6) https://www.cnn.co.j[...] 2014-09-23
[385] 웹사이트 キング牧師記念日とスーパーボウルの絆に歴史あり(前編) https://www.sporting[...]
[386] 뉴스 米首都にキング牧師記念碑、「あきらめなければ変革できる」と大統領 https://www.afpbb.co[...] AFPBB 2011-10-17
[387] 웹사이트 (2305) King = 1929 TM = 1931 AJ = 1934 VM = 1941 FO = 1952 SB = 1955 HE = 1966 RE = 1969 FB = 1971 TT = 1976 YK6 = 1978 EY4 = 1980 RJ1 https://minorplanetc[...] MPC 2021-09-26
[388] 뉴스 Christine King Farris, sister of Dr. Martin Luther King, dies at 95 https://edition.cnn.[...] CNN.com 2023-06-29
[389] 뉴스 キング牧師を「邪悪な野獣」と呼ぶFBI脅迫状、全文を初公開 https://www.afpbb.co[...] AFPBB 2014-11-14
[390] 서적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 책과함께 2007
[391] 기타
[392] 웹인용 King, James Albert (1864-1933) http://mlk-kpp01.sta[...] 2013-11-12
[393] 서적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마틴 루터 킹 자서전) 바다
[394] 웹인용 마틴 루터 킹 기념일 (1월 셋째 월요일) https://kr.usembassy[...] U.S. Embassy & Consulate in the Republic of Korea 2020-11-15
[395] 웹인용 인종ㆍ경제적 평등 사회 지향한 민주적 사회주의자, 세계의 사회주의자 ⑭ 마틴 루터 킹 목사 http://www.redian.or[...] 레디앙 2008-06-26
[396] 뉴스 킹 목사와 ‘경악할 폭로’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6-04-18
[397] 뉴스 美서 ‘세기의 편지들’ 출간 http://www.seoul.co.[...] 서울신문 1999-11-23
[398] 뉴스 美 20세기 역사 편지로 읽는다 동아일보 1999-11-23
[399] 간행물 월간 말
[400] 서적 인권운동의 희망-마틴 루터 킹 이룸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