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내부게발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부 게바는 1950년대 일본 신좌익 운동에서 발생한 폭력적 분파 투쟁을 의미한다. 이념 및 노선 갈등, 헤게모니 다툼, 분파 격멸 사상 등이 원인이 되었으며, 각 집단은 내부 게바를 혁명 투쟁으로 정당화했다. 주요 유형으로는 요요기계와 신좌익, 중핵파와 혁마르파, 혁노협과 혁마르파 간의 대립 등이 있었으며, 1970년대에는 살인 사건까지 발생했다. 내부 게바는 학생 운동의 쇠퇴를 가속화하고 사회에 충격을 주었으며, '내부 투쟁'이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 폭력 - 하나회
    하나회는 1951년 육군사관학교 출신 전두환, 노태우 등이 결성한 군내 사조직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여했으며, 1993년 김영삼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
  • 정치 폭력 - 쿠 클럭스 클랜
    쿠 클럭스 클랜(KKK)은 미국에서 여러 차례 등장한 백인 우월주의 비밀결사체로, 흑인 권리 억압, 백인 지배 질서 유지, 가톨릭 신자·유대인·이민자 탄압, 그리고 극단적인 폭력을 자행하며 미국 사회의 인종 갈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신좌파 - 신주쿠 소란
    신주쿠 소란은 1968년 신주쿠역에서 베트남 전쟁 반대 시위로 인해 급진적 신좌파 학생들이 주도한 대규모 폭동으로, 역 점거와 시설 파괴 등의 폭력 행위로 인해 정부가 강경 진압에 나섰으며 일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신좌파 - 반일망국론
    반일망국론은 일본의 역사, 문화, 노동 운동 등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일본 사회의 전복을 주장하는 사상으로, 일본 황실을 침략 세력의 후예로 보고 일본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죄악시하며 극단적이고 자기모순적인 사상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내부게발트
개요
명칭내부 게바
일본어 표기ゲバルト (나이부게바루토)
ゲバ (우치게바)
독일어Gewalt
관련 용어ゲバ (소토게바)
ゲバ (우치우치게바)
역사적 맥락
정의일본 신좌파 내부의 폭력 행위
특징조직 간의 항쟁
조직 내부의 숙청

2. 발생 배경 및 원인

내부 게바의 원인으로는 타 파괴, 자치회 주도권 다툼, 분파 투쟁이 있으며, 그 배경으로 각 파는 자파가 유일하게 옳고 자파 이외는 유해하며 섬멸해야 할 혁명의 적이라고 여기는 분파 격멸 사상이 있다는 점이 있다[72]。 특히 혁마르파는 타 당파 해체를 노선화하고 조직적·계획적으로 타 당파에 테러를 가했기 때문에 신좌익에 내부 게바를 확산시켰다. 내부 게바에 의한 희생자 수는 혁마르파가 압도적으로 많다.

각 집단은 내부 게바를 "혁명 투쟁", "무장 해방 투쟁의 중대한 맹아", "일제에 대한 무장 투쟁의 도화선"으로 규정하고, 혁명 달성에 불가피한 숭고한 의무로 간주하여 정당화해왔다[72]

2. 1. 이념 및 노선 갈등

일본 신좌익 운동은 다양한 이념과 노선을 가진 정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은 마르크스-레닌주의, 트로츠키주의, 마오쩌둥 사상 등 다양한 이념을 바탕으로 각자의 혁명 노선을 주장했으며, 이러한 이념적 차이는 종종 갈등으로 이어졌다.[72] 각 정파는 자신들의 이념만이 유일하게 옳다고 믿고, 다른 정파를 '혁명의 적'으로 간주하여 섬멸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분파 격멸 사상은 내부 게발트의 배경이 되었다.[72] 특히, 혁마르파는 타 당파 해체를 노선화하고 조직적, 계획적으로 타 당파에 테러를 가했기 때문에 신좌익에 내부 게발트를 확산시켰다. 내부 게발트에 의한 희생자 수는 혁마르파가 압도적으로 많다. 각 집단은 내부 게발트를 "혁명 투쟁", "무장 해방 투쟁의 중대한 맹아", "일제에 대한 무장 투쟁의 도화선"으로 규정하고, 혁명 달성에 불가피한 숭고한 의무로 간주하여 정당화해왔다.[72]

2. 2. 헤게모니 다툼

신좌익 정파들은 각자의 세력을 확장하고 학생운동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경쟁했다.[72] 이러한 경쟁은 종종 폭력적인 형태로 나타났으며, 다른 정파를 공격하고 와해시키려는 시도로 이어졌다. 각 파는 자파가 유일하게 옳고 자파 이외는 유해하며 섬멸해야 할 혁명의 적이라고 여기는 분파 격멸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72] 특히 혁마르파는 타 당파 해체를 노선화하고 조직적·계획적으로 타 당파에 테러를 가했기 때문에 신좌익에 내부 게바를 확산시켰다. 내부 게바에 의한 희생자 수는 혁마르파가 압도적으로 많다.

각 집단은 내부 게바를 "혁명 투쟁", "무장 해방 투쟁의 중대한 맹아", "일제(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무장 투쟁의 도화선"으로 규정하고, 혁명 달성에 불가피한 숭고한 의무로 간주하여 정당화해왔다.[72]

2. 3. 분파 격멸 사상

일부 신좌익 정파들은 자신들만이 유일하게 옳고 다른 정파는 혁명의 적이라고 여기는 극단적인 분파 격멸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72] 이러한 사상은 다른 정파에 대한 폭력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작용했으며, 내부 게바를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특히 혁마르파는 타 당파 해체를 노선화하고 조직적·계획적으로 타 당파에 테러를 가했기 때문에 신좌익에 내부 게바를 확산시켰다. 내부 게바에 의한 희생자 수는 혁마르파가 압도적으로 많다.[72]

각 집단은 내부 게바를 "혁명 투쟁", "무장 해방 투쟁의 중대한 맹아", "일제에 대한 무장 투쟁의 도화선"으로 규정하고, 혁명 달성에 불가피한 숭고한 의무로 간주하여 정당화해왔다.[72]

2. 4. 공안 당국의 개입

일부에서는 공안 경찰이 신좌익 운동을 와해시키기 위해 내부 게바를 조장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한다.[72] 공안 경찰이 각 정파에 적대 세력의 정보를 흘려 갈등을 유발하고, 내부 게바를 뒤에서 조종했다는 것이다. 각 집단은 내부 게바를 "혁명 투쟁", "무장 해방 투쟁의 중대한 맹아", "일제에 대한 무장 투쟁의 도화선"으로 규정하고, 혁명 달성에 불가피한 숭고한 의무로 간주하여 정당화해왔다.[72]

3. 주요 유형

일본 신좌익 운동에서 발생한 주요 내부 게바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요요기계(일본 공산당 계열) vs. 신좌익 계열

: 1960년대 초반, 일본 공산당(요요기계)의 노선 변화에 반발한 신좌익 세력이 학생운동의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과정에서 양측 간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1968년에서 1973년까지 5년간 안게바는 1023건 발생해 10명이 사망했으며, 그 중 약 절반인 488건이 요요기계 전학련과 신좌파 학생집단 간의 항쟁이었다.[138]

; 중핵파 vs. 혁마르파

: 1960년대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공동)에서 분열된 이후 중핵파와 혁마르파 간의 내부게발트는 가장 대표적이고 격렬한 사례로 꼽힌다. 양 파 모두 신좌익 학생 운동에서 최대 규모의 조직이었기 때문에, 이들의 대립은 1970년대에 들어 살인 사건까지 발생하며 극단적인 양상을 보였다.

도쿄교육대학생 린치살인사건, 간사이대학 캠퍼스내 게바살인사건, 카와구치 다이자부로 사건, 류큐대학내 게바오인살인사건 등이 이 시기에 발생한 대표적인 사건들이다. 1975년에는 혁마르파가 중핵파 최고지도자 혼다 노부요시를 암살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이후 중핵파의 보복으로 가와사키시 여직원 게바살인사건 등이 발생하며 양측의 대립은 더욱 격화되었다.

1990년대에 들어 양측의 내부게발트는 점차 진정되었고, 21세기에는 노동조합이나 시민단체 집회에서 각자 전단지를 배포하는 모습도 볼 수 있게 되었다. 1990년대 초 양 파 간부가 내부게발트 종결에 합의했다는 소문이 있지만, 진상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 혁노협(사청동 해방파) vs. 혁마르파

: 혁노협(사청동 해방파)과 혁마르파 간의 내부 게발트는 도쿄대학과 와세다대학의 학생운동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에서 비롯되었다. 이들 역시 1970년대에 살인 사건을 일으키는 등 격렬하게 대립했다. 1977년 혁마르파가 혁노협 최고지도자 카사하라 세이기를 암살했다. 이후 혁노협의 혁마르파에 대한 안게바 또한 치열했다(우라와 차량방화 게바살인사건 등).

; 혁노협 내부 안안게바

: 1989년 혁노협은 혁노협 전 간부 안게바 살인사건을 일으켜 '동지 살해'의 '내내게바'를 정당화했다.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주류파(현대사파)와 비주류(적채사파)가 분열했을 때 10명이 살해되면서 큰 안게바가 거의 사라져가는 시기에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

; 공산동 각파의 안게바

: 공산주의자동맹(분트) 붕괴 과정에서 다양한 종파들이 안게바를 벌였다. 1969년 7월 주오대학 사회학동 내부 분열항쟁에 의한 안게바로 학생이 사망했다. 1969년 7월 6일에는 공산주의자동맹 적군파가 공산동 집행부 의장을 감금폭행, 이튿날 반기파가 적군파를 습격, 탈출하는 과정에서 적군파 1명이 추락사했다.

; 혁마르파 vs. 다른 정파

: 혁마르파는 타당파해체노선을 내세워 자신을 제외한 모든 신좌파 정파들을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폭력을 통해 대학 자치회나 노조를 장악하려 했다.

; 중핵파 vs. 제4인터통일서기국파

: 제4인터내셔널 일본지부는 내부 게발트를 부정하는 정파였다. 1984년 1월 산리즈카 시바야마 연합공항반대동맹의 분열을 둘러싸고 중핵파가 제4인터통일서기국파를 습격해 큰 부상을 입혔다. 사망자는 없었지만 얼음송곳으로 허벅지를 찔려 괴저가 일어나 왼쪽 다리를 절단한 사람, 두개골이 골절되는 사람 등 중상자가 발생했다. 이에 제4인터 측에서 항의성명을 발표했지만, 본래 "안게바 반대"를 주장하던 제4인터는 중핵파에게 폭력적으로 반격할 수 없었다. 그래서 중핵파는 제4인터파에 대해 일방적인 안게바를 벌였다. 그러나 제4인터파도 거점학교에서는 폭력으로 대립정파를 위협했기 때문에 항상 안게바에 반대하는 입장을 관철한 것은 아니다.

3. 1. 요요기계(일본 공산당 계열) vs. 신좌익 계열

1960년대 초반, 일본 공산당(요요기계)의 노선 변화에 반발한 신좌익 세력이 학생운동의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과정에서 양측 간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1968년에서 1973년까지 5년간 안게바는 1023건 발생해 10명이 사망했으며, 그 중 약 절반인 488건이 요요기계 전학련과 신좌파 학생집단 간의 항쟁이었다.[138][7]

3. 2. 중핵파 vs. 혁마르파

1960년대 혁명적공산주의자동맹(혁공동)에서 분열된 이후 중핵파와 혁마르파 간의 내부게발트는 가장 대표적이고 격렬한 사례로 꼽힌다.[138] 양 파 모두 신좌익 학생 운동에서 최대 규모의 조직이었기 때문에, 이들의 대립은 1970년대에 들어 살인 사건까지 발생하며 극단적인 양상을 보였다.[138]

도쿄교육대학생 린치살인사건, 간사이대학 캠퍼스내 게바살인사건, 카와구치 다이자부로 사건, 류큐대학내 게바오인살인사건 등이 이 시기에 발생한 대표적인 사건들이다.[138] 1975년에는 혁마르파가 중핵파 최고지도자 혼다 노부요시를 암살하는 사건이 발생했고,[138] 이후 중핵파의 보복으로 가와사키시 여직원 게바살인사건 등이 발생하며 양측의 대립은 더욱 격화되었다.[138]

1990년대에 들어 양측의 내부게발트는 점차 진정되었고, 21세기에는 노동조합이나 시민단체 집회에서 각자 전단지를 배포하는 모습도 볼 수 있게 되었다.[138] 1990년대 초 양 파 간부가 내부게발트 종결에 합의했다는 소문이 있지만, 진상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8][9]

3. 3. 혁노협(사청동 해방파) vs. 혁마르파

혁노협(사청동 해방파)과 혁마르파 간의 내부 게발트는 도쿄대학과 와세다대학의 학생운동 주도권을 둘러싼 갈등에서 비롯되었다.[138] 이들 역시 1970년대에 살인 사건을 일으키는 등 격렬하게 대립했다. 1977년 혁마르파가 혁노협 최고지도자 카사하라 세이기를 암살했다.[138] 이후 혁노협의 혁마르파에 대한 안게바 또한 치열했다(우라와 차량방화 게바살인사건 등).[138]

3. 4. 혁노협 내부 안안게바

1989년 혁노협은 혁노협 전 간부 안게바 살인사건을 일으켜 '동지 살해'의 '내내게바'를 정당화했다.[138]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주류파(현대사파)와 비주류(적채사파)가 분열했을 때 10명이 살해되면서 큰 안게바가 거의 사라져가는 시기에 사회에 충격을 주었다.[138]

3. 5. 공산동 각파의 안게바

공산주의자동맹(분트) 붕괴 과정에서 다양한 종파들이 안게바를 벌였다.[138] 1969년 7월 주오대학 사회학동 내부 분열항쟁에 의한 안게바로 학생이 사망했다. 1969년 7월 6일에는 공산주의자동맹 적군파가 공산동 집행부 의장을 감금폭행, 이튿날 반기파가 적군파를 습격, 탈출하는 과정에서 적군파 1명이 추락사했다.

3. 6. 혁마르파 vs. 다른 정파

혁마르파는 타당파해체노선을 내세워 자신을 제외한 모든 신좌파 정파들을 공격 대상으로 삼았다.[138] 이들은 폭력을 통해 대학 자치회나 노조를 장악하려 했다.[138]

3. 7. 중핵파 vs. 제4인터통일서기국파

제4인터내셔널 일본지부는 내부 게발트를 부정하는 정파였다.[138] 1984년 1월 산리즈카 시바야마 연합공항반대동맹의 분열을 둘러싸고 중핵파가 제4인터통일서기국파를 습격해 큰 부상을 입혔다.[138] 사망자는 없었지만 얼음송곳으로 허벅지를 찔려 괴저가 일어나 왼쪽 다리를 절단한 사람, 두개골이 골절되는 사람 등 중상자가 발생했다.[138] 이에 제4인터 측에서 항의성명을 발표했지만, 본래 "안게바 반대"를 주장하던 제4인터는 중핵파에게 폭력적으로 반격할 수 없었다.[138] 그래서 중핵파는 제4인터파에 대해 일방적인 안게바를 벌였다.[138] 그러나 제4인터파도 거점학교에서는 폭력으로 대립정파를 위협했기 때문에 항상 안게바에 반대하는 입장을 관철한 것은 아니다.[138]

이후 중핵파 간사이 지방위원회가, 2007년에 중핵파에서 분열된 혁명적 공산주의자 동맹 재건 협의회가, 중핵파에 의한 습격을 사죄했다.

4. 역사

1950년, 일본 공산당이 소감파와 국제파로 분열되면서 양 파벌 간의 린치가 반복되었고, 학생 운동에서 최초의 내부게발트가 시작되었다.[4] 1951년 도쿄 대학에서 국제파 학생 등이 국제파 내부의 반대파 학생들을 린치했다.[4] 1952년 6월 전학련 5회 대회에서 소감파 계열의 학생들이 국제파의 반전 학생 동맹 멤버를 린치했다. (리츠메이칸 사건)[4]

1960년대 초, 일본 신좌익 운동은 전학련 제17회 대회에서 혁공동계 학생(마르학동)과 분트·해방파 등 쓰루야 연합 간의 난투를 시작으로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이 과정에서 각목을 사용한 최초의 내부게바가 발생했으며, 이는 섹트 간 무장 부대에 의한 본격적인 내부게바의 시작을 알렸다.[10] 1963년 시미즈다니 공원 난투 사건에서는 중핵파, 해방파 등 연합 4파와 혁마르파 간의 각목 난투가 벌어졌다.[11] 1964년에는 7·2 와세다 사건이 발생하여 혁마르파 거점인 와세다 대학에 중핵파, 해방파, 구조개혁파 3파가 쳐들어갔다.[12]

1960년대 후반, 학생운동이 격화되면서 내부게바는 더욱 격렬해졌다. 하네다 사건에서 중핵파와 해방파는 내부게발트에 대비하여 각목과 헬멧으로 무장했으며, 이는 기동대와의 충돌로 이어져 중핵파 학생 야마자키 히로아키가 사망했다. 이후 폭력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1968년에는 사세보 엔터프라이즈 기항 저지 투쟁, 나리타 데모 사건[15] 등이 발생했고, 규슈대학교, 호세이 대학, 시즈오카대학, 도쿄대학교 등에서 각 파 간의 난투가 이어졌다. 특히 와세다 대학에서 쫓겨난 해방파가 도쿄대학교 고마바 캠퍼스로 이동하면서 혁마르파와의 무장 대치가 시작되었고, 이는 이후 전쟁 상태로 이어지는 해방파와 혁마르파 간 내부 게바의 시작점이 되었다.[26] 1968년 내부 게바 사건으로 인한 부상자 수는 700명에 달했다.[15]

1969년에는 동대 투쟁에서 화염병이 처음 사용되었고,[38] 사이타마 대학에서 반전 연합을 습격한 중핵파[41]에 대한 보복으로 시바우라 공대에서 반전 연합 학생이 중핵파를 습격하여 내부 게바 최초의 사망자가 발생했다.[42] 같은 해 히비야 야외 음악당 집회에서 중핵파, 해방파 등 8개 파와 혁마르파 간의 대규모 난투극이 벌어졌다.[43] 1969년 내부 게바 사건으로 인한 사상자 수는 1145명, 사망자는 2명이었다.[45]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내부게바는 살인 사건까지 발생하는 등 극단적인 양상을 보였다. 1970년에는 중핵파에 의한 도쿄 교육대생 린치 살인 사건(에비하라 사건)이 발생했고,[50] 혁마르파는 『혁명적 폭력이란 무엇인가』를 발표했다. 같은 해, 류다이 사건에서 혁마르파 마치다 무네히데가 사망했는데, 혁마르파는 민청에 의한 린치 살해라고 주장했고, 민청은 양 파 충돌 시의 사고사라고 주장했다. 1970년 내부게바 사건에 의한 사상자 수는 527명, 사망자는 2명이었다.[51]

1971년에는 혁마르파에 의한 가와구치 다이 사부로 사건이 발생했다. 1972년에는 가나가와 대학 내 게바 살인 사건[53], 국철 우구이스다니역 내 게바 사건[54], 중핵파 아지트 습격 사건[55] 등이 발생했다. 1973년에는 중핵파가 혁마르파와 무관한 동대생 2명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고,[56][57][58] 중핵파는 이를 "위대한 전과"로 칭하며 성명을 발표했다.[59] 같은 해 요코하마 국립대 내 게바 살인 사건[60][61], 류큐 대학 내 게바 오인 살인 사건[62][63] 등이 발생했다.

1974년에는 혁마르파 기관지 발행 책임자 내부 게바 살인 사건[73], 중핵파 서기장 내부 게바 살인 사건[74], 가와사키 시 여성 직원 내부 게바 살인 사건[76] 등 혁마르파와 중핵파 간의 살인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1975년에는 혁마르파가 중핵파 최고 지도자인 혼다 노부요시를 암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74]

1970년대 후반부터 내부 게바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51][90][91][93] 하지만 1980년대에도 여전히 발생했으며, 국철 분할 민영화와 산리즈카 투쟁과 관련된 노조 간부, 반대 운동가 등에 대한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102][107][108][109][110][111][112][114]

1976년에는 혁마르파에 의한 혁노협 서기장 내부게바 살인사건이 발생했고,[88] 같은 해 우라와 차량 방화 내부게바 살인사건에서는 혁노협이 혁마르파 간부 4명을 마이크로 버스에 가두고 불태워 살해했다.[45][89] 1977년에는 내부게바 사범으로 인한 사망자가 10명에 달했다.[51] 1978년에는 이바라키현에서 혁마르파 학생활동가 거주지 등이 습격당해 3명이 살해되고 3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51][91] 오사카시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활동가 1명이 쇠파이프 등으로 무장한 5명에게 습격을 당해 살해 당했다.[91] 요코하마 국립대학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20여명이 30여명을 습격하여 쇠파이프 등으로 난투극을 벌여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했다.[91] 1979년에는 쓰시 시내 내게바 살인 사건이 발생했고,[92] 혁명적 마르크스주의파가 도쿄와 가나가와의 혁노협 아지트 3곳을 습격했다.[92]

1980년 히가시나리구 노상 내부 게바 사건에서는 혁로협이 도난 차량으로 상대 차량을 끼워 정차시키고 쇠 파이프에 데바칼을 장착한 흉기로 공격했다.[94] 같은 해 오타구 미나미센조쿠 노상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중핵파 10여 명이 도쿄 공업대학생 등 혁마르파 학생 5명을 쇠 파이프, 망치 등으로 습격하여 전원을 살해했다.[96][95] 1981년 7.11 시부야구 혼초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혁로협이 취침 중이거나 출근 중인 피해자를 습격하여 머리나 얼굴 등을 쇠 파이프 등으로 무자비하게 때려 살해했다.[97][98] 1982년 2.24 아라카와구 미나미센주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혁로협이 취침 중인 혁마르파 활동가의 방에 들이닥쳐 그의 머리를 쇠 파이프 등으로 무자비하게 때려 살해했다.[99][100]

1984년, 중핵파는 나리타 투쟁에서의 주도권을 놓고 제4 인터내셔널에 대해 테러를 시작했다.[102] 1985년에는 혁마르파에 의한 와코대 사건이 발생했다.[103] 1986년에는 교토 대학 교양부 구내 내부 게바 살인 사건과 진국노 오사카 지본 서기장 내부 게바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108][105][106][107] 1987년에는 JR 동일본 아카바네역 구내 내부 게바 사건이 발생했다.[109] 1988년에는 중핵파가 JR 동일본 노조 다카사키 지본 위원장을 살해했다. 1989년에는 중핵파가 JR 노조 간부를 살해했고, 혁로협 협간파가 전 최고 간부를 살해했으며, 혁로협 협간파가 혁마르파라고 주장하며 JR 조합 간부를 살해했다.[112][113]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내부 게바는 더욱 감소했지만,[115] 1996년에는 가나가와현에서 혁로협 핫사마파가 혁마르파 학생을 습격하여 1명을 살해하는 등[117] 혁노협 내부 분열 등으로 인해 일부 발생하기도 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대규모 내부 게발트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다.[118][119] 하지만 혁노협 내부 분열과 관련된 사건이 2004년까지 발생했다. 2000년 2월 혁노협 현대사파와 혁노협 적채사파의 내부 게바에서 2명이 살해되었고,[118] 같은 해 내부 게바 사건으로 인한 사상자 수는 13명, 그 중 사망자는 4명이었다.[119] 2001년 5월 지바현에서 혁노협 적채사파가 혁노협 현대사파의 활동가를 살해했고,[120] 2004년 6월 2일 도쿄의 노상에서 혁노협 현대사파가 혁노협 적채사파의 활동가 2명을 살해했다.[121] 중핵파와 혁마르파 간의 갈등은 여전히 남아있다.

4. 1. 1950년대

1950년 (쇼와 25년) 일본 공산당이 소감파와 국제파로 분열되면서 양 파벌 간의 린치가 반복되었다. 학생 운동에서 최초의 내부게발트가 시작되었다.[4] 1951년(쇼와 26년) 도쿄 대학에서 국제파 학생 등이 국제파 내부의 반대파 학생들을 린치했다.[4] 1952년(쇼와 27년) 6월 전학련 5회 대회에서 소감파 계열의 학생들이 국제파의 반전 학생 동맹 멤버를 린치했다. (리츠메이칸 사건)[4]

4. 2. 1960년대 ~ 1970년대 초반

1960년대 초, 일본 신좌익 운동은 전학련 제17회 대회에서 혁공동계 학생(마르학동)과 분트·해방파 등 쓰루야 연합 간의 난투를 시작으로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이 과정에서 각목을 사용한 최초의 내부게바가 발생했으며, 이는 섹트 간 무장 부대에 의한 본격적인 내부게바의 시작을 알렸다.[10] 1963년 시미즈다니 공원 난투 사건에서는 중핵파, 해방파 등 연합 4파와 혁마르파 간의 각목 난투가 벌어졌다.[11] 1964년에는 7·2 와세다 사건이 발생하여 혁마르파 거점인 와세다 대학에 중핵파, 해방파, 구조개혁파 3파가 쳐들어갔다.[12]

1960년대 후반, 학생운동이 격화되면서 내부게바는 더욱 격렬해졌다. 하네다 사건에서 중핵파와 해방파는 내부게발트에 대비하여 각목과 헬멧으로 무장했으며, 이는 기동대와의 충돌로 이어져 중핵파 학생 야마자키 히로아키가 사망했다. 이후 폭력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1968년에는 사세보 엔터프라이즈 기항 저지 투쟁, 나리타 데모 사건[15] 등이 발생했고, 규슈대학교, 호세이 대학, 시즈오카대학, 도쿄대학교 등에서 각 파 간의 난투가 이어졌다. 특히 와세다 대학에서 쫓겨난 해방파가 도쿄대학교 고마바 캠퍼스로 이동하면서 혁마르파와의 무장 대치가 시작되었고, 이는 이후 전쟁 상태로 이어지는 해방파와 혁마르파 간 내부 게바의 시작점이 되었다.[26] 1968년 내부 게바 사건으로 인한 부상자 수는 700명에 달했다.[15]

1969년에는 동대 투쟁에서 화염병이 처음 사용되었고,[38] 사이타마 대학에서 반전 연합을 습격한 중핵파[41]에 대한 보복으로 시바우라 공대에서 반전 연합 학생이 중핵파를 습격하여 내부 게바 최초의 사망자가 발생했다.[42] 같은 해 히비야 야외 음악당 집회에서 중핵파, 해방파 등 8개 파와 혁마르파 간의 대규모 난투극이 벌어졌다.[43] 1969년 내부 게바 사건으로 인한 사상자 수는 1145명, 사망자는 2명이었다.[45]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내부게바는 살인 사건까지 발생하는 등 극단적인 양상을 보였다. 1970년에는 중핵파에 의한 도쿄 교육대생 린치 살인 사건(에비하라 사건)이 발생했고,[50] 혁마르파는 『혁명적 폭력이란 무엇인가』를 발표했다. 같은 해, 류다이 사건에서 혁마르파 마치다 무네히데가 사망했는데, 혁마르파는 민청에 의한 린치 살해라고 주장했고, 민청은 양 파 충돌 시의 사고사라고 주장했다. 1970년 내부게바 사건에 의한 사상자 수는 527명, 사망자는 2명이었다.[51]

1971년에는 혁마르파에 의한 가와구치 다이 사부로 사건이 발생했다. 1972년에는 가나가와 대학 내 게바 살인 사건[53], 국철 우구이스다니역 내 게바 사건[54], 중핵파 아지트 습격 사건[55] 등이 발생했다. 1973년에는 중핵파가 혁마르파와 무관한 동대생 2명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했고,[56][57][58] 중핵파는 이를 "위대한 전과"로 칭하며 성명을 발표했다.[59] 같은 해 요코하마 국립대 내 게바 살인 사건[60][61], 류큐 대학 내 게바 오인 살인 사건[62][63] 등이 발생했다.

1974년에는 혁마르파 기관지 발행 책임자 내부 게바 살인 사건[73], 중핵파 서기장 내부 게바 살인 사건[74], 가와사키 시 여성 직원 내부 게바 살인 사건[76] 등 혁마르파와 중핵파 간의 살인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1975년에는 혁마르파가 중핵파 최고 지도자인 혼다 노부요시를 암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74]

4. 3. 1970년대 후반 ~ 1990년대

1970년대 후반부터 내부 게바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51][90][91][93] 하지만 1980년대에도 여전히 발생했으며, 국철 분할 민영화와 산리즈카 투쟁과 관련된 노조 간부, 반대 운동가 등에 대한 테러 사건이 발생했다.[102][107][108][109][110][111][112][114]

1976년에는 혁마르파에 의한 혁노협 서기장 내부게바 살인사건이 발생했고,[88] 같은 해 우라와 차량 방화 내부게바 살인사건에서는 혁노협이 혁마르파 간부 4명을 마이크로 버스에 가두고 불태워 살해했다.[45][89] 1977년에는 내부게바 사범으로 인한 사망자가 10명에 달했다.[51] 1978년에는 이바라키현에서 혁마르파 학생활동가 거주지 등이 습격당해 3명이 살해되고 3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51][91] 오사카시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활동가 1명이 쇠파이프 등으로 무장한 5명에게 습격을 당해 살해 당했다.[91] 요코하마 국립대학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20여명이 30여명을 습격하여 쇠파이프 등으로 난투극을 벌여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했다.[91] 1979년에는 쓰시 시내 내게바 살인 사건이 발생했고,[92] 혁명적 마르크스주의파가 도쿄와 가나가와의 혁노협 아지트 3곳을 습격했다.[92]

1980년 히가시나리구 노상 내부 게바 사건에서는 혁로협이 도난 차량으로 상대 차량을 끼워 정차시키고 쇠 파이프에 데바칼을 장착한 흉기로 공격했다.[94] 같은 해 오타구 미나미센조쿠 노상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중핵파 10여 명이 도쿄 공업대학생 등 혁마르파 학생 5명을 쇠 파이프, 망치 등으로 습격하여 전원을 살해했다.[96][95] 1981년 7.11 시부야구 혼초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혁로협이 취침 중이거나 출근 중인 피해자를 습격하여 머리나 얼굴 등을 쇠 파이프 등으로 무자비하게 때려 살해했다.[97][98] 1982년 2.24 아라카와구 미나미센주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혁로협이 취침 중인 혁마르파 활동가의 방에 들이닥쳐 그의 머리를 쇠 파이프 등으로 무자비하게 때려 살해했다.[99][100]

1984년, 중핵파는 나리타 투쟁에서의 주도권을 놓고 제4 인터내셔널에 대해 테러를 시작했다.[102] 1985년에는 혁마르파에 의한 와코대 사건이 발생했다.[103] 1986년에는 교토 대학 교양부 구내 내부 게바 살인 사건과 진국노 오사카 지본 서기장 내부 게바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108][105][106][107] 1987년에는 JR 동일본 아카바네역 구내 내부 게바 사건이 발생했다.[109] 1988년에는 중핵파가 JR 동일본 노조 다카사키 지본 위원장을 살해했다. 1989년에는 중핵파가 JR 노조 간부를 살해했고, 혁로협 협간파가 전 최고 간부를 살해했으며, 혁로협 협간파가 혁마르파라고 주장하며 JR 조합 간부를 살해했다.[112][113]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내부 게바는 더욱 감소했지만,[115] 1996년에는 가나가와현에서 혁로협 핫사마파가 혁마르파 학생을 습격하여 1명을 살해하는 등[117] 혁노협 내부 분열 등으로 인해 일부 발생하기도 했다.

4. 4. 2000년대 이후

2000년대 이후에는 대규모 내부 게발트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있다.[118][119] 하지만 혁노협 내부 분열과 관련된 사건이 2004년까지 발생했다. 2000년 2월 혁노협 현대사파와 혁노협 적채사파의 내부 게바에서 2명이 살해되었고,[118] 같은 해 내부 게바 사건으로 인한 사상자 수는 13명, 그 중 사망자는 4명이었다.[119] 2001년 5월 지바현에서 혁노협 적채사파가 혁노협 현대사파의 활동가를 살해했고,[120] 2004년 6월 2일 도쿄의 노상에서 혁노협 현대사파가 혁노협 적채사파의 활동가 2명을 살해했다.[121] 중핵파와 혁마르파 간의 갈등은 여전히 남아있다.

5. 주요 사건

일본 신좌익 내부 게바와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122][123]

1969년 7월 중앙대학교 내부 게바 사건에서 사학동의 내부 항쟁으로 도시샤 대학교 학생이 사망했다.[122][123] 같은 해 9월에는 시바우라 공업대학 오미야 캠퍼스 내부 게바 사건으로 중핵파 소속 사이타마 대학 학생이 2층에서 떨어져 사망했다.[122][123]

1970년 8월 3일에는 도쿄 교육대생 린치 살인 사건이 발생하여 중핵파가 혁마르파 소속 학생을 살해했다.[122][123] 혁마르파는 이에 대해 "계급적 보복"을 선언했다. 1971년 6월에는 류큐 대학교생 내부 게바 살인 사건으로 민청이 혁마르파 소속 학생을 살해했다.[122][123]

1971년 10월 20일 요코하마 국립 대학교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중핵파가 혁마르파 소속 미술학원생을 살해했다.[122][123] 혁마르파는 "중핵파 절멸"을 선언했고, 중핵파는 "카쿠마루에 대한 전면적 섬멸 전쟁"을 선언했다. 같은 해 12월 4일 간사이 대학 구내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혁마르파가 도시샤 대학교생과 교토 대학교생을 쇠파이프로 살해했다.[122][123] 12월 15일에는 미에 대학교 구내에서 혁마르파가 중핵파 소속 학생을 쇠파이프로 구타하여 살해했다.[124][125]

1971년 12월부터 1972년 2월 사이에는 연합 적군의 산악 베이스 사건이 발생하여 총괄이라 칭한 린치 살인으로 12명이 사망했다.[122][123] 이 사건의 생존자 일부는 아사마 산장 사건을 일으켰다. 1972년 4월 28일 오사카성 공원 사건에서는 혁노협이 혁마르파 소속 학생을 린치 살인했다.[122][123] 11월 8일에는 가와구치 다이시로 사건이 발생했는데, 혁마르파가 중핵파로 오인하여 제3차 와세다 투쟁에서 혁마르파를 규탄한 가와구치 다이시로를 살해했다.[122][123] 가와구치 다이시로는 후에 복권되었다.

1973년 9월 15일 가나가와 대학교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혁노협이 습격 측의 혁마르파 소속 학생 2명을 쇠파이프로 살해했다.[122][123] 1974년 1월 24일에는 세타가야구와 요코하마 국립 대학교에서 중핵파가 혁마르파 소속 학생 3명을 쇠파이프 등으로 구타하여 살해했다.[122][123] 2월 6일

1974년 5월부터 12월 사이에는 혁마르파와 중핵파 간의 살인 사건이 다수 발생했다. 5월 13일 구청 직원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6월 7일 오사카 산업대학생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9월 10일 도쿄 우체국원 게바 살인 사건,[122][123] 9월 24일 오사카 시립 대학교생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10월 3일 도쿄 우체국원 게바 살인 사건,[122][123] 10월 15일 요요기 역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12월 1일 오사카 전 고등학교 교사 살인 사건[122][123] 등이 발생했다.

1975년 3월 14일에는 중핵파 서기장 내부 게바 살인 사건이 발생하여 혁마르파가 중핵파 최고 간부를 살해했다.[122][123] 중핵파는 이에 대해 "전쟁"을 선언했다. 이후 중핵파는 혁마르파에 대한 보복 공격을 감행하여, 3월 27일 가와사키시 여성 직원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4월 1일 도쿄 전 혁마르파 전학련 간부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4월 26일 도쿄 전 혁마르파 간부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5월 7일 가고시마 고등학교 교사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6월 4일 오사카 경제 대학교생 등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6월 19일 도쿄 우체국원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7월 17일 신바시 역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9월 12일 사이타마 국학원 대학교생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12월 14일 가나자와 대학교생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등에서 혁마르파 소속 인물들이 살해되었다.

1975년 5월 25일에는 오카야마 대학교생 내부 게바 살인 사건으로 마르청동의 마이크로 버스 돌입으로 논섹트 학생이 압사했다.[122][123] 1975년 6월 24일에는 시즈오카 별장 내부 게바 살인 사건으로 혁마르파가 가수 가토 도키코의 별장에서 취침 중이던 혁노협 소속 인물을 쇠파이프로 구타하여 살해했다.[122][123] 10월에는 혁노협이 혁마르파에 대한 공격을 감행하여, 10월 8일 릿쇼 대학교 내부 게바 살인 사건과[122][123] 10월 27일 도쿄 대학교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에서 혁마르파 소속 인물들이 살해되었다.

1976년 2월 26일에는 도코로자와시 우체국원 내부 게바 살인 사건으로 혁마르파가 찻집 안에서 중핵파 소속 인물을 습격하여 살해했다.[126][127] 1977년 2월 11일에는 혁노협 서기장 내부 게바 살인 사건으로 혁마르파가 혁노협 최고 간부를 살해했고,[122][123] 혁노협은 보복을 선언했다. 4월 15일 우라와 차량 방화 내부 게바 살인 사건은 혁노협의 혁마르파에 대한 보복이었다.[122][123] 5월 13일 모리오카시 고등학교 교사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중핵파가 혁마르파 소속 인물을 쇠파이프로 구타하여 살해했다.[128]

1978년 이후에도 내부 게바는 계속되어, 1978년 1월 27일 미토시, 가쓰타시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1979년 3월 5일 오타구 혁마르파 가나가와현 위원장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9] 3월 16일 지요다구 전 니혼 대학교생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9] 5월 7일 쓰시 미에 대학교생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9] 11월 16일 신주쿠구 외원동 거리 노상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12월 8일 가나자와 대학교생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9] 등이 발생했다.

1980년대에도 내부 게바는 계속되었으며, 특히 1980년 10월 30일 오타구 세탁지 연못 도서관 앞 내부 게바 살인 사건에서는 5명이 사망하여 1건당 최다 사망자 수를 기록했다.[130] 1981년 7월 11일 시부야구 국학원 대학교생 내부 게바 살인 사건,[131] 1982년 2월 24일 아라카와구 국학원 대학교생 내부 게바 살인 사건,[132] 1986년 1월 20일 교토 대학교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 9월 1일 국노 간부 동시 다발 습격 사건,[122][123] 1988년 3월 3일 철노 간부 습격 사건[122][123] 등이 발생했다.

1989년에는 혁노협 내부 항쟁이 격화되어, 6월 25일 혁노협 전 간부 내부 게바 살인 사건과[122][123] 12월 2일 가미오카시 복지 회관 사건#개요|JR 총련 총무부장 내부 게바 살인 사건]][122][123]이 발생했다. 1990년대에도 내부 게바는 계속되었으며, 1999년에는 혁노협이 재분열(현대사파 대 적채사파)되면서 메이지 대학교 생협 관련 살인 사건이 연이어 발생했다.[122][123]

2000년대에도 혁노협(현대사파)과 혁노협(적새사파) 간의 살인 사건이 계속되었으며, 2000년 2월 8일 마나즈루 역 학생활동가 살인 사건에서는 처음으로 식칼이 사용되었다.[122][123] 2004년 6월 2일 적새사 미노와 아지트 습격 사건을 마지막으로 사실상 내부 게바는 정전에 들어갔다.[122][123]

6. 영향 및 평가

오쿠 히로헤이와 혁마르파의 심파가 된 나카하라 모토코는 고등학교 동급생으로 졸업 후 교제했지만, 당파 간 항쟁이 격화되면서 사실상 헤어지게 되었고, 그것이 이유 중 하나가 되어 오쿠는 자살한다. 오쿠의 유고 『청춘의 묘표』에 그려진 두 사람의 관계는 "학생 운동의 로미오와 줄리엣"이라고 불렸다.

중핵파 최고 간부 스야마 켄이치와 혁마르파 간부 스즈키 케이이치(모리 시게루)는 친형제였지만 함께 도쿄 대학에 입학하여 혁공동에 가맹했지만, 동 단체의 분열 후 각각 중핵파와 혁마르파로 갈라졌다. 1997년 1월의 스야마의 장례식에는 스즈키의 모습은 없었다.

이 좌익의 내부 투쟁에서 전개되어, 정치·사상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같은 조직에 속한 인간끼리의 대립, 무의미한 파벌 싸움 전반이 "내부 투쟁"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원래 사용되었던 의미의 "게발트"보다 널리 일반에 정착했다.

6. 1. 학생운동 쇠퇴

내부 게발트는 학생운동의 쇠퇴를 가속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였다. 폭력적인 내부 투쟁은 학생운동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약화시켰으며, 많은 학생들이 운동에서 이탈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오쿠 히로헤이와 혁마르파의 심파가 된 나카하라 모토코는 고등학교 동급생으로 졸업 후 교제했지만, 당파 간 항쟁이 격화되면서 사실상 헤어지게 되었고, 그것이 이유 중 하나가 되어 오쿠는 자살했다. 오쿠의 유고 『청춘의 묘표』에 그려진 두 사람의 관계는 "학생 운동의 로미오와 줄리엣"이라고 불렸다.

중핵파 최고 간부 스야마 켄이치와 혁마르파 간부 스즈키 케이이치(모리 시게루)는 친형제였지만 함께 도쿄 대학에 입학하여 혁공동에 가맹했지만, 동 단체의 분열 후 각각 중핵파와 혁마르파로 갈라졌다. 1997년 1월의 스야마의 장례식에는 스즈키의 모습은 없었다.

이 좌익의 내부 투쟁에서 전개되어, 정치·사상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같은 조직에 속한 인간끼리의 대립, 무의미한 파벌 싸움 전반이 "내부 투쟁"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원래 사용되었던 의미의 "게발트"보다 널리 일반에 정착했다.

6. 2. 사회적 영향

내부 게발트는 일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사회주의, 공산주의에 대한 환멸을 낳았다. 또한, 신좌익이 혐오했던 스탈린주의대숙청과 유사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 좌익의 내부 투쟁은 정치·사상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같은 조직에 속한 인간끼리의 대립, 무의미한 파벌 싸움 전반이 "내부 투쟁"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원래 사용되었던 의미의 "게발트"보다 널리 일반에 정착했다.

오쿠 히로헤이와 혁마르파의 심파가 된 나카하라 모토코는 고등학교 동급생으로 졸업 후 교제했지만, 당파 간 항쟁이 격화되면서 사실상 헤어지게 되었고, 그것이 이유 중 하나가 되어 오쿠는 자살했다. 오쿠의 유고 『청춘의 묘표』에 그려진 두 사람의 관계는 "학생 운동의 로미오와 줄리엣"이라고 불렸다.

중핵파 최고 간부 스야마 켄이치와 혁마르파 간부 스즈키 케이이치(모리 시게루)는 친형제였지만 함께 도쿄 대학에 입학하여 혁공동에 가맹했지만, 동 단체의 분열 후 각각 중핵파와 혁마르파로 갈라졌다. 헤이세이 9년 1월의 스야마의 장례식에는 스즈키의 모습은 없었다.

6. 3. 용어의 일반화

'내부 게바'라는 용어는 좌익 운동 내부의 폭력적인 투쟁뿐만 아니라, 정치·사상 분야를 넘어 같은 조직에 속한 사람들 간의 대립, 무의미한 파벌 싸움 전반을 가리키는 말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원래 사용되었던 의미의 "게발트"보다 널리 일반에 정착했다. 오쿠 히로헤이와 혁마르파의 심파가 된 나카하라 모토코는 고등학교 동급생으로 졸업 후 교제했지만, 당파 간 항쟁이 격화되면서 사실상 헤어지게 되었고, 그것이 이유 중 하나가 되어 오쿠는 자살했다. 오쿠의 유고 『청춘의 묘표』에 그려진 두 사람의 관계는 "학생 운동의 로미오와 줄리엣"이라고 불렸다. 중핵파 최고 간부 스야마 켄이치와 혁마르파 간부 스즈키 케이이치(모리 시게루)는 친형제였지만 함께 도쿄 대학에 입학하여 혁공동에 가맹하지만, 동 단체의 분열 후 각각 중핵파와 혁마르파로 갈라졌다.

7. 한국 사회와 내부 게바

8.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機動隊と乱闘することを外ゲパといった 全共闘グラフィティ
[2] 웹사이트 警備警察50年 https://www.npa.go.j[...]
[3] 서적 全学連第五回大会で、旧中執二十七人を追放する、共産党中央支持派の玉井新執行部が誕生するのだが、この大会では、新執行部系所感派「人民警官隊」による国際派の反戦学同系活動家に対するリンチ事件が起こっている。これは、反戦学同が帝国主義の手先であり、CIC([[対敵諜報部隊|アメリカ陸軍情報部]]〉のスパイだとして、十数人を密室に監禁、リンチを加えたもので、のちに、七0年代に入って激化するグ内ゲバ事件4 のはしりということができよう。
[4] 서적 日本の学生運動の内ゲバは、日本共産党が一九五O年に所感派と国際派に分裂し、両派のテロリンチが繰り返されるというなかで最初に発生しています。五二年六月に開催された全学連五回大会で、国際派の反戦学生同盟メンバーが所感派系の学生にリンチされる事件(立命館事件)がおこりました。お前らは「帝国主義の手先、CIAのスパイだ」というレッテル貼りです。リンチを受けた一人である松本忠明は自殺しましてるおた。しかしその前年、東京大学では、国際派の武井昭夫らが「スパイ容疑」で不破哲三らをリンチしていました。 2008
[5] 서적 36年(1961年)に始まった極左暴力集団による内ゲバの形態は、47年(1972年)ころまでは、全学連大会や学園紛争、大衆運動の中でのトラブルや主導権争いのため発生した集団遭遇戦が大半を占めていたが、48年(1973年)からは、被害者の再起不能や殺害をねらった個人「テロ」の様相を深めた。 警察庁 1988
[6] 문서 元々「内ゲバ」は、「党派は違えど、同じ新左翼に属する」とする立場から、「左翼の仁義」と称される一定のルール([[死者]]は出さない、[[警察]]には介入させない等)に則って行われていた。しかし、「内ゲバ」がエスカレートし死者が続出するような段階になると、「内ゲバ」を行っている党派はお互いを「[[敵]]対集団」「反革命」と規定し、対立党派は「新左翼内部」ではないと見なすようになった。この段階に至った党派は、対立党派への暴力はもはや「内ゲバ」ではないとし、「戦争」と表現する。
[7] 웹사이트 昭和48年 警察白書 第7章 公安の維持 表7-9 内ゲバ発生状況(昭和43~47年) https://www.npa.go.j[...]
[8] 웹사이트 謀略粉砕・走狗一掃 - 革マル派 http://www.jrcl.org/[...]
[9] 웹사이트 カクマル批判アーカイブ - 中核派 http://www.zenshin.o[...]
[10] 서적 業をにやしたマル学同側は、近くの材木屋から大量の角材を買ってきて、これで武装して突撃した。これが角材が登場したはじめての事件であるとともに、セクト間の武装部隊による本格的内ゲバのはじめである。(略)この角材によるゲバを指導したのが、マル学同に移行した清水丈夫全学連書記長である。(略)しばしば、今日の殺し合いにまでエスカレートした内ゲバが、どこからはじまったのかの議論になると、結局、このときの角材使用開始にまで話がさかのぼっていく。マル学同は、ほぼ全体が革マル派に移行したが、清水氏は後に中核派に移行したので、この日まで議論をさかのぼらせても、互いに相手側に責任をなすりつけあうことになる。 1975
[11] 서적 1975
[12] 서적 1975
[13] 서적 10月6日に日比谷公園でおこなわれた全学連の統一行動で、やっかいな問題が起こったのだった。法大処分闘争に関する中核派のビラの中で、ブントと解放派が批判されていたのだが、これに怒った解放派の全学連書記局員が中核派の書記局員・丸山淳太郎さんを殴ってしまったのである。その場はなんとかおさまったが、明くる7日のこと。8日の行動の打ち合わせで法政大学に行った解放派の書記局員・渡木繁さんと高橋孝吉さんを中核派が拉致し、長時間のリンチをくわえる事態になってしまったのである。大闘争の前日に、三派全学連はとんでもないことになったわけだ。中央大学に集まっていた社学同や解放派は堂の長椅子を解体してゲパ棒を作ると、法大に押しかけて抗議し、解放派の書記局員を救出した。双方がゲパ棒を押し立てての対峠だったけれども、さいわい直接の衝突はなかった。 2008
[14] 서적 全学連と全共闘
[15] 웹사이트 昭和50年犯罪白書,第3編第2章第3節過激派集団の犯罪 https://hakusyo1.moj[...] 法務省 1975
[16] 웹사이트 テロ・ゲリラを展開し暴力革命を目指す過激派 https://www.npa.go.j[...] 警察庁平成16年
[17] 서적 毎日新聞社 1998
[18] 서적 毎日新聞社 1998
[19] 뉴스 前日に続き反帝全学連の主流社学同統一派と反主流の社青同解放、社学同ML両派が乱闘し、全学連大会流れる
[20] 서적 9/11 3日間、中核派と民育系が乱闘した法大で1000人超す一般学生が両派を学内から追い出し事態収拾 1998
[21] 서적 11/11 大学統合移転で紛争の静岡大法経短大学部で、大学占拠をめぐり代々木系と反代々木系学生が乱闘、40人けが 1998
[22] 서적 『大衆団交』貫徹を要求する全共闘は全学バリケード封鎖を予告し、これに反対する白共系学生と乱闘となり、約70人が負傷。図書館封鎖で全学封鎖めざす全共闘と代々木系が角材で乱闘 1998
[23] 서적 教養では代々木・反代々木の衝突に教官がスクラム組み割り込んで拡大を阻止。 1998
[24] 서적 毎日新聞社 1998
[25] 서적 図書館前(本郷)で学生5000人と教官800人による提案集会が3時間余開かれるが、加藤総長代行の発言はたった3回、しかも『なぜ、私のいうことを聞いてから議論しようとしないのですか』がただ1回ハッキリ聞こえただけ。大学当局の『提案集会』に対して全共闘は『粉砕』、日共系は『阻止』集会で対抗し加藤代行を奪い合ったため。流会後、両派が衝突を繰り返した 1998
[26] 서적 解放派の動員力低下を、革マル派は解放派を叩き潰すチャンスと見た。一九六八年十一月もおしつまったある日、「党派折衝」に名を借りて革マルは早稲田の解放派の主だったメンバーを呼び出してテロを加える計画をたてた。組織性に欠ける解放派は全学のキャップだった浜口竜太(りゅうた)ひとりがのこのことあらわれ、テロでやられたのは浜口一人だった。早稲田の解放派メンバーは早稲田構内に入れない状態になり、東大駒場の教職員会館を拠点にして全国動員で革マルとの武装対峙に入った。
[27] 서적 12・8緑会のビラ』「ながらく早大で第1政経自治会、文連、東大闘争等をめぐり争っていた革マルと社青同解政派」 1998
[28] 서적 12・8緑会のビラ』「革マルと社青同解政派は、一昨夜早大で乱闘を行なった。これをめぐり5 日夜 10時頃 東C社青同解放派約70名は駒場寮マル研の(革マル派の部屋)を襲い、洞田某を監禁し、立て看に油をかけて燃やした。急をきいた革マル(早大・東大etc)約50人は完全武装でかけつけ、社思研(社青同解放派の部屋)を襲った。この襲撃で白形、松本ら10人近くが負傷し、うちひとりが脳内出血の重傷を負った。 1998
[29] 서적 12/6 東大教養学部駒場寮で社青同解放派の部屋に早大等の革マル派とみられる学生約50人が角材・白ヘルメット姿で押しかけ乱闘、止めに入った寮生8人が負傷 1998
[30] 서적 教養学部での反代々木系革マル派と社青同解放派の学生同士の対立激化し、駒場察前で200人が衝突 1998
[31] 서적 警視庁は田村二郎教養学部長に対し『今後、衝突があった場合、大学側の要請がなくても警官を学内に立ち入らせることもある』との警告書を渡す 1998
[32] 서적 東大教養学部で全学集会への学生代表団を選ぶ代議員大会を開こうとした全学連行動委員会(代々木系)、一般学生有志とこの大会に反対する全共闘が構内で衝突、乱闘で教官ら23人けが。午後代々木系が他大生含む角材持った500人の行動隊で守りを固め大会を強行し代表選ぶ。法学部学生大会でスト解除案否決」「6日からの争いで重軽傷者は計128人を超えた。 1998
[33] 서적 上智大でバリケードを撤去しようとする一般学生・代々木系学生とこれを阻止しようとする反代々木系学生が乱闘 1998
[34] 서적 反代々木系学生同士がまた衝突、一部は井の頭線駒場東大前駅ホームでも乱闘したため、機動隊が出動し13人逮捕 1998
[35] 서적 法政大で反代々木系と代々木系の学生それぞれ200人が投石、殴り合い。反代々木系50人が飯田橋駅に逃げ込み、国電ダイヤ乱れる 1998
[36] 뉴스 毎日新聞社 1998
[37] 뉴스 毎日新聞社 1998
[38] 서적 2001
[39] 서적 2001
[40] 서적 2001
[41] 서적 狂おしく 悩ましく
[42] 서적 内ゲバの論理
[43] 서적 1975
[44] 서적 1975
[45] 간행물 昭和52年犯罪白書,第一編第1章第4節過激派集団の犯罪 https://hakusyo1.moj[...] 法務省 1977
[46] 뉴스 名大では学生同士乱闘 朝日新聞 1970-05-31
[47] 뉴스 警視庁「内ゲバ警戒報」出す 都内では昨年の倍 朝日新聞 1970-05-31
[48] 뉴스 早大でまた内ゲバ 朝日新聞 1970-06-17
[49] 서적 2001
[50] 서적 対論 1968 集英社新書 2022
[51] 간행물 昭和53年犯罪白書,第二節過激派集団の犯罪,2内ゲバ事犯 https://hakusyo1.moj[...] 法務省 1978
[52] 서적 2001
[53] 간행물 1974
[54] 간행물 1974
[55] 간행물 1974
[56] 간행물 1975
[57] 서적 中核vs革マル
[58] 서적 2009
[59] 서적 1975
[60] 간행물 1975
[61] 서적 1975
[62] 간행물 1975
[63] 서적 1975
[64] 간행물 1975
[65] 서적 中核vs革マル
[66] 간행물 1975
[67] 서적 中核vs革マル
[68] 간행물 1975
[69] 간행물 1975
[70] 간행물 1975
[71] 간행물
[72] 웹사이트 昭和50年 警察白書 第7章 公安の維持 3 暴走を続ける極左暴力集団 https://www.npa.go.j[...] 警察庁 1975
[73] 간행물
[74] 간행물
[75] 간행물
[76] 간행물
[77] 간행물
[78] 간행물
[79] 간행물
[80] 간행물
[81] 간행물
[82] 간행물
[83] 간행물
[84] 뉴스 被害者が東大教養学部生協食堂前で情宣活動中、反帝学評系十数人に襲われて、鉄パイプ等で殴打され、同日死亡した。 昭和51年 警察白書
[85] 서적
[86] 문서 後に劇作家となる[[野田秀樹]]はこの事件を至近距離で目撃しており、後の NODA・MAP 『贋作・罪と罰』などに大きな影響を与えている
[87] 웹사이트 『贋作・罪と罰』 - 賄いエッセイ - 野田地図 https://www.nodamap.[...] 2022-02-23
[88] 뉴스 女性活動家に逮捕状 所沢の内ゲバ殺人事件 朝日新聞 1976-04-02
[89] 웹사이트 昭和53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90] 간행물
[91] 웹사이트 昭和54年犯罪白書,第一編第二章第一節3,過激派集団の犯罪,2内ゲバ事犯 https://hakusyo1.moj[...] 法務省 1979
[92] 웹사이트 昭和55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93] 웹사이트 昭和55年犯罪白書,第一編第二章第一節3/2内ゲバ事犯 https://hakusyo1.moj[...] 1980
[94] 웹사이트 昭和56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95] 간행물
[96] 웹사이트 昭和56年犯罪白書,第一編第二章第2節/2内ゲバ事犯 https://hakusyo1.moj[...] 1981
[97] 웹사이트 昭和57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98] 웹사이트 昭和57年犯罪白書,第一編第二章第4節2 https://hakusyo1.moj[...] 1982
[99] 웹사이트 昭和58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100] 웹사이트 昭和58年犯罪白書,第一編第二章第3節 https://hakusyo1.moj[...] 1983
[101] 웹사이트 昭和60年犯罪白書,第一編第二章第6節2 https://hakusyo1.moj[...] 1985
[102] 간행물
[103] 간행물
[104] 웹사이트 昭和61年犯罪白書,第一編第二章第5節3 https://hakusyo1.moj[...] 1986
[105] 간행물
[106] 뉴스 1月20日午前10時30分頃、教養部A1号館廊下で教育学部3回生で、中核派の活動家、 福嶋慎一郎さん(25)が、革マル派に襲われ殺害された。福嶋さんはC代大の情宣でクラス入りに向かう途中であった。これに対し、学生からの糾弾の声が上がっている。中核派は、声明を出し「反革命カクマル、この憎しみで余りある日帝・中曽根の手先ファシストどもは、わが中核派のほこる京大生、全学連副委員長代行の福嶋慎一郎同志を虐殺するという、絶対に許すことのできない凶行をおかした。わが、革共同中核派は、満身に燃えたぎる憤怒と憎悪を持って、この白色テロルを徹底弾劾し、血の復讐を徹底的に全面的に貫徹することを宣言する」また、同学会、文学部学友会、経済学部同好会など11団体連名で、「革マル派による1.20福嶋君殺害を糾弾する」という声明を出している。民学同もビラで「殺人行為を満身の怒りを持って糾弾する。殺人グループは、自治会運動内部の自治破壊者として追放されねばならない」と述べた。一方、民青系学生諸君は、「内ゲバ殺人」キャンペーンを展開。「大学の内ゲバの戦場化を許すな」「暴力学生は大学から出てゆけ」「大学当局は責任ある態度をとれ」と主張して、弾圧を要請している。警察は、事件を口実に、1月20日に尚賢館、21日に熊野寮を不当捜査した。 京都大学新聞 1986-02-01
[107] 간행물 昭和62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1987
[108] 간행물 昭和62年犯罪白書,第一編第二章第7節3 https://hakusyo1.moj[...] 1987
[109] 간행물 警察庁 1988
[110] 간행물 昭和63年犯罪白書,第一編第二章第7節3 https://hakusyo1.moj[...] 1988
[111] 간행물 平成元年犯罪白書,第一編第二章第7節3 https://hakusyo1.moj[...] 1989
[112] 간행물 平成2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1990
[113] 간행물 平成2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1990
[114] 간행물 平成2年犯罪白書,第一編第二章第7節3 https://hakusyo1.moj[...] 1990
[115] 간행물 平成6年犯罪白書,第3編第6章第3節2 https://hakusyo1.moj[...] 1994
[116] 간행물 平成11年犯罪白書,第4編第7章第5節2 https://hakusyo1.moj[...] 1999
[117] 간행물 平成9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1997
[118] 간행물 平成12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2000
[119] 간행물 平成13年犯罪白書,第1編第2章第4節2 https://hakusyo1.moj[...] 2001
[120] 간행물 平成14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2002
[121] 간행물 平成16年 警察白書 https://www.npa.go.j[...] 2004
[122] 웹사이트 警察白書 https://www.npa.go.j[...]
[123] 웹사이트 犯罪白書 https://www.moj.go.j[...]
[124] 서적 連合赤軍あさま山荘人質事件 警察文化協会 1973
[125] 서적 革マル派の二〇年 解放社 1983
[126] 서적 埼玉年鑑 昭和52年版 本編 埼玉新聞社 1976
[127] 뉴스 所沢の内ゲバ殺人 革マル派の犯行と断定 女性活動家を手配 埼玉新聞 1976-04-03
[128] 서적 岩手県警察史 第3巻 岩手県警察本部 1996
[129] 서적 国民政治年鑑 1980年版 日本社会党中央本部機関紙局 1980
[130] 서적 国民政治年鑑 1981年版 日本社会党中央本部機関紙局 1981
[131] 서적 国民政治年鑑 1982年版 日本社会党中央本部機関紙局 1982
[132] 서적 国民政治年鑑 1983年版 日本社会党中央本部機関紙局 1983
[133] 서적 全共闘グラフィティ
[134] 웹사이트 警備警察50年 http://www.npa.go.jp[...]
[135] 서적 全学連と全共闘
[136] 서적 全学連と全共闘 2008
[137] 서적 警視庁 1988
[138] 웹사이트 昭和48年 警察白書 第7章 公安の維持 表7-9 内ゲバ発生状況(昭和43~47年) https://www.npa.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