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덜란드의 군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의 군주는 네덜란드 공화국 시기에는 오라녜-나사우 가문과 나사우 가문의 총독이, 프랑스 통치기에는 프랑스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나폴레옹 몰락 후 네덜란드는 독립하여 오라녜-나사우 가문의 빌럼 1세를 주권공으로 추대했고, 이후 네덜란드 연합왕국을 거쳐 네덜란드 왕국으로 발전했다. 현재는 오라녜-나사우 가문의 빌럼알렉산더르가 네덜란드 국왕으로 재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군주 - 윌리엄 3세
    윌리엄 3세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이었으며, 명예 혁명을 통해 왕위에 올라 프랑스의 팽창을 막고 잉글랜드 의회 권한을 강화했으며, 대동맹 전쟁을 이끌고 잉글랜드 은행 설립을 지원하다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 네덜란드의 군주 - 빌럼 1세 판 오라녜
    빌럼 1세 판 오라녜는 16세기 네덜란드 독립을 이끈 지도자로서 오라녜 공작으로서 독립 전쟁을 이끌었으며, 정치적 수완과 군사적 전략으로 네덜란드 공화국 건립의 토대를 마련하고 종교적 관용을 옹호하여 네덜란드의 국부로 추앙받는다.
  • 군주 목록 - 잉글랜드 국왕
    잉글랜드 국왕은 잉글랜드 왕국을 통치했던 군주를 의미하며, 웨섹스 왕조의 에그버트 이후 잉글랜드 전역에 군주권이 행사되었고, 1707년 연합법으로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으로 대체되었다.
  • 군주 목록 - 바르셀로나 백작
    바르셀로나 백작은 카탈루냐 지역을 다스린 역사적 작위로, 프랑크 왕국에서 시작하여 세습 작위로 독립적인 발전을 이루었고 아라곤과의 결혼을 통해 아라곤 연합왕국 형성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스페인 국왕이 계승하는 작위이다.
네덜란드의 군주
국왕 정보
왕실 칭호국왕/여왕
통치 국가네덜란드 왕국
네덜란드어 명칭Koning/Koningin der Nederlanden
문장Royal Coat of Arms of the Netherlands.svg
문장 설명네덜란드의 국장
유형비-영연방
성별His
빌럼-알렉산더 국왕
빌럼-알렉산더 국왕
현 국왕제7대 국왕 빌럼=알렉산더
즉위일2013년 4월 30일
후계자오라녜 여공 카타리나=아말리아
초대 국왕빌럼1세
즉위일1815년 3월 16일
거주지암스테르담 왕궁
노르다인 팰리스
하위스텐보스 궁전
공식 웹사이트왕실 웹사이트
방계 왕족

2. 네덜란드 공화국 (1581년 ~ 1795년)

1581년 7월 26일 헤이그에서 연방 의회의 결정에 따라 서명된 폐위 조칙을 통해 네덜란드는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공화국을 선포했다. 각 주의 대표로 구성된 연방 의회를 구성했다.[2] 오렌지공 윌리엄 1세는 홀란트, 젤란트, 위트레흐트의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나 해임되었고, 네덜란드 반란의 지도자가 되었다. 연방 의회는 1572년 반란을 일으킨 홀란트와 젤란트 두 지역의 총독으로 그를 임명했다.

북부 네덜란드에서는 총독의 대표적 기능은 구시대의 것이 되었고 봉건 영주 자체가 폐지되었지만, 이 직위는 7개 연합 네덜란드 공화국으로 연합한 이들 지역에서 계속 유지되었다. 빌럼 1세 이후의 모든 총독은 그의 후손 또는 그의 형제의 후손, 즉 그의 손녀인 나사우-오렌지 백작부인 알베르티네 아그네스의 후손에서 나왔다.

2. 1. 오라녜-나사우 가문 총독

빌럼 1세는 네덜란드 독립 전쟁의 영웅으로 추앙받으며, 그의 후손들이 총독직을 세습했다. 이 시기 총독들은 제한적인 권한을 행사했으며, 각 주의 자치권이 강하게 유지되었다.[2]

총독가계재위 기간비고
1빌럼 1세
오라녜-나사우
1581년 7월 26일
- 1584년 7월 10일
총독[2], 나사우-딜렌부르크 백작 빌헬름 1세와 율리아나 추 슈톨베르크의 아들.
2마우리츠
오라녜-나사우
1585년 11월 14일[3]
- 1625년 4월 23일
총독[4], 빌럼 1세와 안나 판 작센의 아들.
3프레데릭 헨드릭
오라녜-나사우
1625년 4월 23일
- 1647년 3월 14일
총독[5], 빌럼 1세와 루이즈 드 콜리니의 아들.
4빌럼 2세
오라녜-나사우
1647년 3월 14일
- 1650년 11월 6일
총독[6], 프레데릭 헨드릭과 아말리에 폰 졸름스-브라운펠스의 아들.
5빌럼 3세
오라녜-나사우
1672년 7월 4일
- 1702년 3월 8일
총독[7], 잉글랜드 국왕, 스코틀랜드 국왕. 빌럼 2세와 메리 헨리에타 스튜어트의 아들.
6빌럼 4세
오라녜-나사우
1747년 5월 4일
- 1751년 10월 22일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최초의 정식 세습 총독[8], 요한 빌렘 프리소와 마리아 루이제 판 헤센-카셀의 아들.
7빌럼 5세
오라녜-나사우
1751년 10월 22일
- 1795년 1월 19일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세습 총독, 빌럼 4세와 앤의 아들.


2. 2. 나사우 가문 총독

빌럼 3세 사후, 오라녜-나사우 가문의 방계인 나사우 가문에서 총독직을 계승했다. 다음은 주요 나사우 가문 출신 총독들이다.

초상이름생년월일재위 시작재위 종료비고가문
요한 6세1536년 11월 22일 - 1606년 10월 8일 (69세 사망)1578년1581년총독[9], 나사우-디렌부르크 백작 빌헬름 1세와 율리아나 츠 추 스톨베르크의 적자, 빌럼 1세의 동생.나사우
빌럼 로데베이크1560년 3월 13일 - 1620년 5월 31일 (60세 사망)1584년1620년총독[10], 요한 6세와 Countess Elisabeth of Leuchtenberg|로이히텐베르크의 엘리자베스 백작 부인영어의 아들.나사우
--
에른스트 카시미르 1세1573년 12월 22일 - 1632년 6월 2일 (58세 사망)1620년1632년총독[11], 요한 6세와 Countess Elisabeth of Leuchtenberg|로이히텐베르크의 엘리자베스 백작 부인영어의 아들.나사우
--
헨드릭 카시미르 1세1612년 1월 21일 - 1640년 7월 13일 (28세 사망)1632년1640년총독[12], 에른스트 카시미르 1세와 조피 헤트비히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아들.나사우
--
빌럼 프레데릭1613년 8월 7일 - 1664년 10월 31일 (51세 사망)1640년1664년총독[13], 에른스트 카시미르 1세와 조피 헤트비히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아들.나사우
--
헨드릭 카시미르 2세1657년 1월 18일 - 1696년 3월 25일 (39세 사망)1664년 1월 18일1696년 3월 25일세습 총독[14], 빌럼 프레데릭과 알베르티네 아그네스 판 나사우의 아들, 프레데릭 헨드릭의 외손자.나사우
--
요한 빌럼 프리소1687년 8월 4일 - 1711년 7월 14일 (23세 사망)1696년 3월 25일1711년 7월 14일세습 총독[15], 헨드릭 카시미르 2세와 헨리에테 아말리에 폰 안할트-데사우의 아들, 장남 오라녜 공 빌럼 4세(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세습 총독)가 계승.나사우
--


3. 프랑스 통치기 (1795년 ~ 1813년)

1795년 프랑스 혁명 이후 네덜란드는 프랑스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프랑스 공화국에 의해 바타비아 공화국이 수립되었고,[1] 1806년 나폴레옹은 바타비아 공화국을 폐지하고 자신의 동생을 홀란트의 왕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1810년 나폴레옹은 네덜란드를 침공하여 프랑스에 합병했다.[1] 1813년 연합군은 프랑스군을 몰아냈다.[1]

초상이름생몰 연월일재위 시작재위 종료비고가계
루이 1세
1778년 9월 2일 - 1846년 7월 25일
(67세 사망)
1806년
6월 5일
1810년
7월 1일
샤를 마리 보나파르트와 마리아 레티치아 보나파르트의 아들, 나폴레옹의 동생.보나파르트
루이 2세
1804년 10월 11일 - 1831년 3월 17일
(26세 사망)
1810년
7월 1일
1810년
7월 9일
루이 1세와 오르탕스 드 보아르네의 아들.보나파르트
--


3. 1. 바타비아 공화국 (1795년 ~ 1806년)

1795년 프랑스 공화국에 의해 바타비아 공화국이 수립되었다.[1] 1806년 나폴레옹은 바타비아 공화국을 폐지하고 자신의 형제를 홀란트의 왕으로 임명했다.[1] 그러나 1810년 나폴레옹은 네덜란드를 침공하여 프랑스에 합병했다.[1]

3. 2. 홀란트 왕국 (1806년 ~ 1810년)

나폴레옹은 자신의 동생 루이 보나파르트홀란트 왕국의 왕으로 임명했다.[2]

초상이름생몰 연월일재위 시작재위 종료비고가계
루이 1세
1778년 9월 2일 - 1846년 7월 25일
(67세 사망)
1806년 6월 5일1810년 7월 1일샤를 마리 보나파르트와 마리아 레티치아 보나파르트의 아들, 나폴레옹의 동생.보나파르트
루이 2세
1804년 10월 11일 - 1831년 3월 17일
(26세 사망)
1810년 7월 1일1810년 7월 9일루이 1세와 오르탕스 드 보아르네의 아들.보나파르트
--


3. 3. 프랑스 제국에 합병 (1810년 ~ 1813년)

나폴레옹은 홀란트 왕국을 폐지하고 프랑스 제국에 직접 합병했다.[1]

4. 네덜란드 연합왕국 (1813년 ~ 1815년)

나폴레옹의 몰락 이후, 네덜란드는 독립을 되찾았다. 네덜란드인들은 마지막 총독의 아들인 빌럼 프레데리크를 새로운 정부의 수장으로 불렀고, 그는 "주권 공"으로 선포되었다. 1815년, 그는 네덜란드를 왕국의 지위로 격상시키고 스스로를 빌럼 1세로 선포했다.

초상이름생몰 연월일재위 시작재위 종료비고가계
--빌럼 1세1772년 8월 24일 - 1843년 12월 12일
(71세 사망)
1813년
12월 6일
1815년
3월 16일
전 총독 빌럼 5세와 빌헬미네 폰 프로이센의 아들, 1815년에 네덜란드를 왕국의 지위로 격상시켰다.오라녜-나사우
--


5. 네덜란드 왕국 (1815년 ~ 현재)

1815년 빈 회의를 통해 빌럼 1세벨기에룩셈부르크를 포함하는 네덜란드 연합왕국의 왕으로 인정받았다.

네덜란드는 오라녜-나사우 가문이 통치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연방 공화국 시대에는 총독직을 거의 세습했고(빌럼 4세부터는 전 주의 총독의 세습이 정식으로 인정되었다), 프랑스 혁명나폴레옹 전쟁을 거쳐 네덜란드 왕국(네덜란드 왕국)의 성립 후에는 국왕으로서 현재까지 군림하고 있다.

1983년 헌법 개정으로 왕위 계승은 장자 상속제를 채택하고 있다.

5. 1. 오라녜-나사우 가문 국왕

빌럼 1세 이후, 그의 후손들이 오라녜나사우 가의 네덜란드 왕위를 계승하고 있다.

초상화이름생몰년도즉위년도퇴위년도퇴위 이유
가운데
빌럼 1세1772년 - 1843년1813년 12월 2일 대공 즉위, 1815년 3월 16일 국왕 즉위1840년 10월 7일양위
가운데
빌럼 2세1792년 - 1849년1840년 10월 7일1849년 3월 17일사망
가운데
빌럼 3세1817년 - 1890년1849년 3월 17일1890년 11월 23일사망
가운데
빌헬미나1880년 - 1962년1890년 11월 23일 (엠마 왕비가 1898년 8월 31일까지 섭정)1948년 9월 4일양위
가운데
율리아나1909년 - 2004년1948년 9월 4일1980년 4월 30일양위
가운데
베아트릭스1938년 -1980년 4월 30일2013년 4월 30일양위
가운데
빌럼알렉산더르1967년 -2013년 4월 30일현재


5. 2. 역대 국왕

초상화이름생몰년도즉위년도퇴위년도퇴위 이유
빌럼 1세1772년 - 1843년1813년 12월 2일 대공 즉위, 1815년 3월 16일 국왕 즉위1840년 10월 7일양위
빌럼 2세1792년 - 1849년1840년 10월 7일1849년 3월 17일사망
빌럼 3세1817년 - 1890년1849년 3월 17일1890년 11월 23일사망
빌헬미나1880년 - 1962년1890년 11월 23일 (엠마 왕비가 1898년 8월 31일까지 섭정)1948년 9월 4일양위
율리아나1909년 - 2004년1948년 9월 4일1980년 4월 30일양위
베아트릭스1938년 -1980년 4월 30일2013년 4월 30일양위
빌럼알렉산더르1967년 -2013년 4월 30일현재 재위 중



빌럼 3세 사후 왕자의 요절 등으로 인해 빌헬미나, 율리아나, 베아트릭스로 이어지는 3대 연속 여왕 즉위가 있었다. 이후 2013년 빌럼알렉산더르가 123년 만에 남성 국왕으로 즉위했다.

참조

[1] Europeana Maurits benoemd als stadhouder, 1585 https://www.european[...]
[2] 문서 ホラント州、ゼーラント州、ユトレヒト州総督 (1559年–1584年)、フリースラント州、オーファーアイセル州総督 (1580年–1584年)
[3] Europeana Maurits benoemd als stadhouder, 1585 https://www.european[...]
[4] 문서 Stadtholder of Holland and Zeeland (1585–1625), Utrecht, Guelders and Overijssel (1590–1625), Groningen (1620–1625)
[5] 문서 Stadtholder of Holland, Zeeland, Utrecht, Guelders, and Overijssel (1620–1625), Groningen and Drenthe (1640–1647)
[6] 문서 Stadtholder of Holland, Zeeland, Utrecht, Guelders, Groningen, Drenthe and Overijssel
[7] 문서 Stadtholder of Holland, Zeeland, Utrecht and Overijssel (1672–1702), Guelders (1675–1702), Drenthe (1696–1702)
[8] 문서 Hereditary Stadtholder of Friesland (1711–1747), Holland, Zeeland, Utrecht and Overijssel (April/May 1747 – November 1747), Stadtholder of Groningen (1718–1747), Guelders and Drenthe (1722–1747), was formally voted the first Hereditary Stadtholder of the United Provinces (1747–1751)
[9] 문서 Stadtholder of Guelders (under Philip II), architect of the Union of Utrecht
[10] 문서 Stadtholder of Friesland (1584–1620), Groningen (1594–1620) and Drenthe (1596–1620)
[11] 문서 Stadtholder of Friesland (1620–1632), Groningen and Drenthe (1625–1632)
[12] 문서 Stadtholder of Friesland (1632–1640), Groningen and Drenthe (1632–1640)
[13] 문서 Stadtholder of Friesland (1640–1664), Groningen and Drenthe (1650–1664)
[14] 문서 In 1675 the State of Friesland voted to make the Stadtholdership hereditary in the house of Nassau-Dietz
[15] 문서 Hereditary Stadtholder of Friesland (1707–1711) and Groningen (1708–1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