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란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홀란트는 네덜란드 서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네덜란드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홀란트'라는 명칭은 11세기부터 사용되었으며, 고대 네덜란드어 'Holtlant'(숲 지대)에서 유래했다. 홀란트는 역사적으로 네덜란드 국가 전체를 비공식적으로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1806년부터 1810년까지는 네덜란드 왕국의 공식 명칭이었다. 현재는 노르트홀란트주와 즈위트홀란트주로 분할되어 있다. 홀란트는 북해와 라인강, 마스강 하구에 위치하며, 튤립, 풍차, 목조신, 에담 치즈 등 네덜란드의 전형적인 이미지를 대표한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는 한때 '뉴홀랜드'로 불렸으며, '홀란드'는 여러 언어에서 네덜란드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홀란트 - 란트스타트
란트스타트는 네덜란드의 4개 주에 걸쳐 있는 대도시권으로, 암스테르담, 로테르담, 헤이그, 위트레흐트 등의 주요 도시를 포함하며 네덜란드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한다. - 네덜란드의 지리 - 프리슬란트
프리슬란트는 서프리슬란트, 동프리슬란트, 북프리슬란트 세 지역으로 구분되며, 네덜란드, 독일, 덴마크에 걸쳐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지역이다. - 네덜란드의 지리 - 림뷔르흐
림뷔르흐는 벨기에 랑부르 마을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역사적으로 림뷔르흐 공국에서 비롯되어 네덜란드와 벨기에로 분할되었으며 현재 림뷔르흐어가 널리 쓰인다. - 신성 로마 제국의 국가 - 보헤미아
보헤미아는 중부 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현재 체코 공화국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보이족에서 유래되어 슬라브족의 정착과정을 거쳐 신성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체코슬로바키아 독립, 나치 독일 점령, 공산 정권 수립 등의 역사를 겪고 1993년 체코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 신성 로마 제국의 국가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홀란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홀란드 |
지도 | [[파일:Holland position.svg|홀란드 위치]] |
하위 국가 | 네덜란드 |
구성 지역 | 북홀란드 주 남홀란드 주 |
주요 도시 | 암스테르담 (인구: 862,965명) 로테르담 (인구: 644,618명) 헤이그 (인구: 537,833명) 하를럼 (인구: 161,265명) 조테르메이르 (인구: 124,944명) 레이던 (인구: 124,899명) 도르드레흐트 (인구: 118,654명) 알크마르 (인구: 108,558명) 델프트 (인구: 103,163명) 알펜안데르레인 (인구: 110,986명) |
면적 | 7,511 km² |
육지 면적 | 5,476 km² |
인구 (2019년 11월 1일) | 6,583,534명 |
인구 밀도 | 1,203명/km² |
주민 | 홀란더 |
국내 총생산 (GDP) (2022년) | €4042억 1700만 |
시간대 | CET |
UTC 시간대 | +1 |
서머타임 | CEST |
UTC 서머타임 | +2 |
역사 | |
기타 | 홀란트는 네덜란드 지역이자 이전의 주이다. 네덜란드와 홀란드는 종종 혼용되지만, 홀란드는 네덜란드의 일부 지역을 지칭한다. 2020년부터 네덜란드 정부는 국가 브랜딩 강화를 위해 홀란드라는 명칭 사용을 지양하고, 공식적으로 네덜란드를 사용한다. |
기타 | |
관련 링크 | 네덜란드 관광청: 네덜란드와 홀란드 주 스웨덴 네덜란드 대사관: 홀란드 또는 네덜란드? 트래블 앤 레저: 네덜란드가 더 이상 홀란드로 불리지 않는다 |
2. 지명
"홀란트"라는 이름은 하를렘 주변 지역에 대한 자료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1064년까지는 전체 백작령의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12세기 초 라틴어 텍스트에서는 홀란트 주민들을 "홀란디(Hollandi)"라고 불렀다.[7] "홀란트"는 고대 네덜란드어 "홀틀란트(holtlant)"('숲 지대')에서 유래되었다.[8] 14세기경까지 이러한 철자 변형이 사용되었으며, 이후 "홀란트(Holland)"로 이름이 안정되었다(당시에는 "홀란트(Hollant)"와 "홀란드트(Hollandt)"라는 대체 철자가 있었다). "홀란트"가 "홀 란드(hol land)"('낮은 땅'을 뜻하는 네덜란드어)에서 유래되었다는 민간 어원이 있지만, 이는 낮게 놓인 땅의 저지대 지리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잘못된 속설이다.[8]
초기 네덜란드는 신성 로마 제국의 외딴 지역이었다. 점차 지역적 중요성이 커지면서 네덜란드 역사에 결정적인,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지배적인 영향력을 미치기 시작했다.
"홀란트"는 영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에서, 때로는 네덜란드어 자체에서도 비공식적으로 현대 네덜란드 국가 전체를 의미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5] 이는 일부분을 전체로 보는 표현 또는 환유의 예시인데, 영국을 "잉글랜드"라고 부르는 경향과 유사하다.[9][10] 홀란트가 지배적인 주가 되어 다른 국가와의 정치적, 경제적 상호 작용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 것에서 비롯되었다.[11] 1806년부터 1810년까지 "홀란트"는 나폴레옹이 그의 형제 루이 보나파르트를 네덜란드 왕국의 군주로 삼은 후 국가 전체의 공식 명칭이었다.
홀란트 사람들은 네덜란드어와 영어 모두에서 "홀란더스(Hollanders)"라고 불리지만, 영어에서는 이제 드물다. 오늘날 이 용어는 북홀란트와 남홀란트의 현재 주 출신 사람들을 특별히 가리킨다. 엄밀히 말하면 "홀란더스"는 네덜란드의 다른 주 사람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지만, 구어체로는 때때로 이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네덜란드어에서 "홀란드스(Hollands)"는 "홀란트"의 형용사 형태이다. "홀란드스(Hollands)"는 일부 네덜란드 사람들이 "네덜란드어(Nederlands)"의 의미로 구어체로 사용하기도 하며, 때로는 다른 유형의 네덜란드 사람이나 언어 형태(예: 림뷔르흐어, 네덜란드어의 벨기에 변종("플라망어"), 또는 네덜란드 자체의 남부 네덜란드어 변종)와 대조하기 위한 의도로 사용된다.
영어에서 "더치(Dutch)"는 네덜란드 전체를 가리키지만, "홀란트"에 대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용사는 없다. "홀란디시(Hollandish)"라는 단어는 더 이상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홀란딕(Hollandic)"은 언어학자들이 홀란트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지칭하는 이름이며, 역사가들이 사용하거나 나폴레옹 이전의 홀란드를 언급할 때 가끔 사용된다.
네덜란드어의 Holtlandnl (숲의 땅)[27][28], 또는 잘못된 Hollandnl (저지대)[28]에서 유래한다.
북네덜란드(네덜란드)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여러 언어에서 네덜란드의 다른 이름이 되었다. 한국어의 "네덜란드"도 그 중 하나로, 직접적으로는 포르투갈어의 Holandapt에서 유래하며, 이것은 포르투갈어에서 네덜란드의 일반적인 명칭이다.
3. 역사
이 지역은 과거 프리슬란트의 일부였으나, 10세기경 신성 로마 제국에 의해 프리슬란트로부터 분리되어 홀란트 백작령 (Graafschap Hollandnl)이 되었다. 기록에 남아 있는 최초의 홀란트 백작은 디르크 1세(재위 916년–939년)이다.
1299년, 홀란트 백작가는 단절되었고, 에노 백작이 홀란트 백작을 겸임하게 되었다. 1432년에는 부르고뉴령 네덜란드의 일부가 되었고, 1482년에는 네덜란드 전역(현 벨기에, 현 룩셈부르크 포함)이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가 영토가 되었다. 홀란트 백작령은 네덜란드 17주의 한 주가 되었고, 이후로는 홀란트 주로 번역되기도 한다(원어는 같다).
1581년, 북네덜란드의 홀란트 등 7주(거의 현 네덜란드)가 네덜란드 연합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1795년 프랑스 혁명 전쟁으로 네덜란드 연합 공화국이 붕괴되고 바타비아 공화국이 건국되면서 7개 주는 해체되고 자치권이 제한된 8개 현으로 재편되었다. 홀란트는 여러 현으로 분할되었다.
1802년에는 현이 재편되어 홀란트 전체가 홀란트 현 (Departement Hollandnl)이 되었다. 1806년에는 나폴레옹의 동생 루이를 왕으로 하는 홀란트 왕국이 성립했다. 영토는 (북)네덜란드였지만, 국명은 홀란트에서 따왔다. 1807년 현이 다시 재편되었고, 1810년 홀란트 왕국은 프랑스 제국에 병합되었다.
1815년, 프랑스 제국의 붕괴로 네덜란드 연합 왕국이 독립을 회복하면서 홀란트 전역이 주 (provincienl)의 하나인 홀란트 주 (Holland (provincie)|Hollandnl)가 되었다. 그러나 주 (provincienl)는 과거의 주 (graafschapnl)와 같은 연방 국가의 구성국으로서의 자치권은 없다.
1840년, 홀란트 주는 노르트홀란트주와 즈이트홀란트주로 분할되었다.
3. 1. 홀란트 백작령 (중세)
12세기 초까지 홀란드가 된 지역의 주민들은 프리지아인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지역은 초기에는 프리지아의 일부였다. 9세기 말, 서프리지아는 신성 로마 제국 내의 별개의 백작령이 되었다. 확실히 알려진 최초의 백작은 896년부터 931년까지 통치한 디르크 1세였다.[1] 그는 홀란드 가문의 긴 계보의 백작들에 의해 계승되었고 (실제로는 1101년까지 프리지아 백작으로 알려져 있었다). 요한 1세가 1299년에 자식 없이 사망했을 때, 백작령은 에노의 요한 2세 백작에게 상속되었다.[1] 빌헬름 5세 (비텔스바흐 가문; 1354–1388) 시대에는 홀란드 백작이 에노와 젤란트 백작이기도 했다.[1]
1287년 성 루치아 대홍수 이후, 후대의 죄더제 서쪽에 있는 프리지아 지역, 서프리슬란트가 정복되었다.[1] 결과적으로, 홀란드와 서프리슬란트 지방 의회를 포함한 대부분의 지방 기관들은 5세기 이상 "홀란드와 서프리슬란트"를 하나의 단위로 언급하게 되었다.[1] 후크와 콧 전쟁은 이 무렵 시작되어 홀란드 백작 부인 야코바 또는 자클린이 1432년에 홀란드를 부르고뉴의 필리프 3세, 즉 좋은 필리프에게 양도하도록 강요받았을 때 끝났다.[1]
1432년, 홀란드는 부르고뉴 네덜란드의 일부가 되었고, 1477년부터는 합스부르크 17개 주의 일부가 되었다.[1] 16세기에 이 백작령은 유럽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화된 지역이 되었으며, 대다수의 인구가 도시에 거주했다.[1] 부르고뉴 네덜란드 내에서 홀란드는 북부에서 지배적인 주였고, 홀란드의 정치적 영향력은 그 지역에서 부르고뉴의 지배 범위를 크게 결정했다.[1] 마지막 홀란드 백작은 스페인 국왕 필리프 2세로 더 잘 알려진 필리프 3세였다.[1] 그는 1581년 퇴위 선언에 의해 폐위되었지만, 스페인 국왕들은 1648년에 체결된 뮌스터 조약까지 홀란드 백작이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했다.[1]
3. 2. 네덜란드 공화국 (1581~1795)
80년 전쟁 중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항한 네덜란드 반란에서, 반란군의 해군 세력인 바다 게우젠은 1572년 브릴에서 첫 영구 기지를 세웠다.[1] 이로써 홀란트는 더 큰 네덜란드 연방 내의 주권 국가가 되어 반란의 중심지가 되었다.[1] 17세기 네덜란드 황금 시대에 홀란트는 네덜란드 공화국 (Verenigde Provinciën|베레이니흐더 프로빈시엔nl)의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중심지가 되었고,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가 되었다.[1] 아브쥐라티오 선언 이후 스페인 국왕이 홀란트 백작으로서 축출되자, 행정 및 입법 권한은 홀란트 주에 귀속되었고, 대 펜시오네리스 직책을 가진 정치 인물이 이를 이끌었다.[1]
네덜란드 공화국의 가장 큰 도시들은 암스테르담, 로테르담, 레이던, 알크마르, 헤이그, 델프트, 도르드레흐트, 할렘과 같이 홀란트 주에 위치해 있었다.[1] 홀란드의 주요 항구에서 홀란드 상인들은 유럽 전역을 오가며 항해했고, 유럽 전역의 상인들은 암스테르담과 홀란드의 다른 무역 도시 창고에서 무역을 위해 모였다.[1]
많은 유럽인들은 네덜란드 공화국을 "네덜란드 7주 연합 공화국"이라기보다는 "홀란드"로 먼저 생각했다.[1] "홀란드"에 대한 강한 인상은 다른 유럽인들의 마음속에 심어졌고, 이는 다시 공화국 전체로 투영되었다.[1] 여러 주들 내부에서는 점진적이고 느린 문화적 확장 과정이 진행되어 다른 주들의 "홀란드화"와 공화국 전체의 더욱 균일한 문화로 이어졌다.[1] 도시 홀란트의 방언이 표준어가 되었다.[1]
3. 3. 프랑스 통치 시대 (1795~1813)
1795년, 프랑스 혁명 전쟁으로 네덜란드 연합 공화국이 붕괴되고 바타비아 공화국이 건국되었다. 기존의 7개 주는 해체되고 자치권이 제한된 8개 현(departement)으로 재편되었다. 홀란트는 여러 현으로 분할되었는데, 대략 북홀란트(현 노르트홀란트주)는 암스텔 현(Departement van de Amstel)과 테셀 현(Departement van Texel)이 되었고, 남홀란트(현 즈이트홀란트주)는 델프트 현(Departement van de Delf)과 쉘데 앤 마스 현(Departement van de Schelde en Maas)의 일부가 되었다.[12]
1802년, 홀란트 전체가 홀란트 현(Departement Holland)으로 재편되었다.
1806년, 나폴레옹은 그의 동생 루이를 왕으로 하는 홀란트 왕국을 세웠다. 영토는 (북)네덜란드였지만, 국명은 홀란트에서 따왔다.[12]
1807년, 현이 다시 재편되어 대략 북홀란트는 암스텔란트 현(Departement Amstelland), 남홀란트는 마스란트 현(Departement Maasland)이 되었다.
1810년, 홀란트 왕국은 프랑스 제국에 병합되었다. 대략 북홀란트는 죄이더제 현(Zuiderzee), 남홀란트는 마스 현(Monden van de Maas)이 되었다.[13]
3. 4. 네덜란드 연합 왕국 (1815~현재)
1815년, 홀란트는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한 주로 복원되었다.[14] 1830년 벨기에 혁명 이후 1840년에 아이 강을 경계로 노르트홀란트주와 즈이트홀란트주로 분할되었다.[14] 이는 홀란트를 역사적으로 구분한 것을 반영하지만,[14] 현재의 구분은 과거의 구분과 다르다. 1850년부터 홀란트는 문화적, 경제적으로 통합되는 국가 형성 과정이 강력하게 진행되었으며, 근대화 과정에서 홀란트의 도시들이 중심 역할을 했다.[15]
4. 지리
홀란트는 네덜란드 서쪽에 위치하며 북해와 라인강, 마스강 하구에 자리 잡고 있다. 많은 강과 호수가 있으며 광범위한 내륙 운하와 수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남쪽에는 젤란트가 있고 동쪽으로는 아이셀호와 네덜란드의 다른 4개 주와 접해 있다.[16]
긴 해안 사구가 바다로부터 홀란드를 보호하고 있다. 홀란드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스콜 사구에 있으며 해발 약 55m이다.[16] 사구 뒤편 대부분의 땅은 해수면보다 낮은 폴더 지형이다. 현재 홀란드에서 가장 낮은 지점은 로테르담 근처의 폴더로, 해발 약 7m 아래에 있다. 홀란드는 홍수를 막기 위해 지속적인 배수가 필요하며, 과거에는 풍차가 이 작업에 사용되었다. 풍차는 홀란드의 풍경 곳곳에 흩어져 있으며, 홀란드의 상징이 되었다.
홀란드의 면적은 육지와 물을 포함하여 7494km2이며, 네덜란드 면적의 약 13%를 차지한다. 육지만 고려하면 면적은 5488km2이다. 2018년 기준 인구는 650만 명이었다.[17]
홀란드의 주요 도시는 암스테르담, 로테르담, 헤이그이다. 암스테르담은 공식적으로 네덜란드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이다. 로테르담 항은 유럽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항구이다. 헤이그는 네덜란드의 정부 소재지이다. 이 도시들은 유트레히트 및 기타 소규모 지방 자치 단체와 함께 란드스타드라는 대도시권을 형성한다.
란드스타드 지역은 유럽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이지만, 엄격한 토지 이용 계획법 덕분에 도시 확산이 비교적 적다. 인구 압력이 높고 부동산 가격이 비싸지만, 이 주의 많은 지역은 여전히 농촌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남아 있는 농지와 자연 지역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보호받고 있다. 경작지 대부분은 원예 및 온실 농업을 포함한 집약 농업에 사용된다.
네덜란드의 땅은 선사 시대부터 지리적으로 안정적이지 않았다. 서해안선은 동쪽으로 최대 30km까지 이동했고, 폭풍 해일은 해안 사구를 정기적으로 넘어왔다. 본래 본토와 연결되었던 프리슬란트 제도는 북쪽에서 섬으로 분리되었다. 주요 강인 라인강과 뫼즈강(마스강)은 정기적으로 홍수를 일으켰고, 흐름이 반복적이고 극적으로 바뀌었다.
네덜란드 사람들은 불안정하고 물에 잠긴 환경에서 살았다. 네덜란드 해안의 사구 뒤에는 높은 이탄 고원이 자라나 자연적인 보호막을 형성했다. 대부분의 지역은 습지와 늪이었다. 10세기가 되자 주민들은 이 땅을 배수하여 경작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배수는 토양 수축을 일으켜 지표면을 최대 15m까지 낮추었다.
네덜란드 남쪽의 젤란트와 북쪽의 프리슬란트에서 이러한 발전은 끔찍한 폭풍 해일로 이어져 이탄층이 붕괴되거나 분리되어 홍수로 인해 떠내려가면서 전체 지역이 사라지기도 했다. 프리슬란트 쪽에서 바다는 동쪽 지역까지 범람하여 네덜란드의 뒤쪽을 점차 비워내고 죄더제(현재의 아이셀호)를 형성했다. 이 내륙해는 남쪽의 젤란트의 "침수된 땅"과 연결될 위협이 되어 네덜란드를 좁은 사구 사주의 일련의 지역으로 줄일 위기에 처했다. 극심한 행정 개입만이 이 지역을 완전한 파괴로부터 구해냈다. 백작과 대수도원이 이러한 노력을 주도하여 중요 지점을 강화하기 위해 최초의 대규모 비상 제방을 건설했다. 나중에는 워터샤프("물 관리 위원회")가 설립되어 물 관리에 대한 규정과 결정을 시행할 법적 권한을 갖게 되었다. 그들은 결국 해안선과 폴더를 덮는 광범위한 제방 시스템을 건설하여 땅을 바다의 추가 침입으로부터 보호했다.
16세기경부터 네덜란드인들은 호수, 습지 및 인접한 갯벌을 폴더로 전환하는 토지 매립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것은 20세기까지 계속되었다. 그 결과, 중세 및 근세 네덜란드의 역사 지도는 현재 지도와 거의 유사하지 않다.
물을 정복하기 위한 이러한 지속적인 투쟁은 해양 및 경제 강국으로서 네덜란드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주민들의 고집 세고, 평등하며, 검소한 성격을 발전시킨 것으로 여겨져 왔다.
5. 문화
튤립, 풍차, 목조신, 에담 치즈, 볼렌담 마을의 전통 의상은 홀란드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미지는 19세기 후반 관광객 유치를 위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실제 네덜란드의 일상과는 거리가 있다.
홀란드의 지배적인 위치는 다른 지역들의 지역주의를 불러일으켰다. 다른 지역들은 홀란드를 그들의 지역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위협으로 인식하고, 홀란드와 홀란드 사람들에 대해 강하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기도 한다.[1][2] 반면, 일부 홀란드 사람들은 홀란드의 문화적 지배력을 당연하게 여기고 '홀란드'와 '네덜란드'를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를 '홀란드 중심주의'(hollandocentrism)라고 부른다.[3][4]
5. 1. 언어
네덜란드어가 주로 사용되며, 표준 네덜란드어는 홀란드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홀란드 사람들은 네덜란드어를 ''Hollands''라고 부르기도 하는데,[22] 이는 홀란드 방언 또는 강한 억양을 의미하기도 한다.표준 네덜란드어는 역사적으로 주로 홀란드 백작령의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브라반트 공국과 플랑드르 백작령 방언의 특징도 일부 포함하고 있다. 란드스타트 지역은 표준 네덜란드어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23] 홀란드 내에도 지역적 방언 차이가 존재한다. 주요 도시들은 각각 고유한 현대 도시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24] 암스테르담 북쪽 지역, 볼렌담, 마르켄 주변, 서프리슬란트, 자안스트레크 등에서는 여전히 홀란드 방언이 사용된다.[25]
6. 유산
홀란트는 영어에서 네덜란드 국가의 공식 명칭으로 대체되었지만, 다른 많은 언어에서는 네덜란드를 공식적으로 지칭하는 데 "홀란드" 또는 그 변형을 사용한다. 특히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크메르어 등 동남아시아 언어에서 그러하다.[27][28]
언어 | 명칭 |
---|---|
아체어 | Blanda |
반자르어 | Walanda |
바뉴마산 방언 | Landa |
자바어 | Walanda |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및 말레이시아어 포함) | Belanda |
미낭카바우어 | Balando |
크메르어 | ហុល្លង់ |
이 단어는 네덜란드어 Holtland|홀틀란트nl(숲의 땅)에서 유래한다.[27][28] 한국어의 "네덜란드"는 포르투갈어 Holanda|올란다pt에서 유래하며, 이는 포르투갈어에서 네덜란드의 일반적인 명칭이다.
6. 1. 뉴홀랜드
디르크 하르톡이 1644년 현재 오스트레일리아로 알려진 섬 대륙을 라틴어로 "노바 홀란디아"(Nova Hollandia)라고 명명했고, 이 이름은 190년 동안 국제적으로 사용되었다.[3] 뉴홀랜드라는 이름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처음 사용되었다. 뉴질랜드 역시 아벨 타스만이 이끄는 네덜란드 탐험 여행이 상륙한 후 네덜란드 지방인 젤란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네덜란드에서는 "니우브 호를란트"가 19세기 말까지 대륙의 일반적인 이름으로 남아 있었지만, 현재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오늘날 네덜란드어 이름은 "아우스트랄리에"(Australië)이다.6. 2. 네덜란드를 지칭하는 외래어
"홀란드"는 영어에서 네덜란드 국가의 공식 명칭으로 대체되었지만, 다른 많은 언어에서는 네덜란드를 공식적으로 지칭하는 데 "홀란드" 또는 그 변형을 사용한다. 특히 인도네시아어, 말레이어, 크메르어 등 동남아시아 언어에서 그러하다.[27][28]언어 | 명칭 |
---|---|
아체어 | Blanda |
반자르어 | Walanda |
바뉴마산 방언 | Landa |
자바어 | Walanda |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및 말레이시아어 포함) | Belanda |
미낭카바우어 | Balando |
크메르어 | ហុល្លង់ |
이 단어는 네덜란드어의 Holtland|홀틀란트nl(숲의 땅)에서 유래한다.[27][28] 한국어의 "네덜란드"는 포르투갈어의 Holanda|올란다pt에서 유래하며, 이는 포르투갈어에서 네덜란드의 일반적인 명칭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BS Statline
https://opendata.cbs[...]
2020-01-10
[2]
웹사이트
Regional key figures; National Accounts
https://www.cbs.nl/e[...]
2023-12-22
[3]
서적
Groot Woordenboek der Nederlandse Taal. Deel I
Van Dale Lexicografie
1981
[4]
웹사이트
Netherlands vs. Holland
https://www.holland.[...]
Netherlands Board of Tourism & Conventions
[5]
웹사이트
Holland or the Netherlands?
http://sweden.nlemba[...]
Dutch Embassy in Sweden
2012-12-15
[6]
웹사이트
The Netherlands Will No Longer Be Called Holland
https://www.travelan[...]
2020-01-07
[7]
서적
Geschiedenis van Holland, Vol. 1
2003
[8]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9]
뉴스
The English: Europe's lost tribe
http://news.bbc.co.u[...]
BBC News
1999-01-14
[10]
서적
How to be an Alien
[11]
웹사이트
Is "Holland" the Same Place as "the Netherlands"?
https://www.britanni[...]
2016-04-15
[12]
서적
Geschiedenis van Holland, Vol. 2
2002
[13]
서적
Napoleon in Holland
1904
[14]
서적
Groot Woordenboek der Nederlandse Taal. Deel II
Van Dale Lexicografie
1981
[15]
서적
Geschiedenis van Holland, Vol. 3
2003
[16]
웹사이트
Highpoints of the Netherlands
http://www.summitpos[...]
[17]
웹사이트
Statline CBS: Bevolkingsontwikkeling per maand
http://statline.cbs.[...]
[18]
서적
Geschiedenis van Holland, Vol. 3
[19]
서적
Geschiedenis van Holland, Vol. 3
2003
[20]
서적
Geschiedenis van Holland, Vol. 3
2003
[21]
서적
Geschiedenis van Holland, Vol. 3
2003
[22]
서적
Dutch: An Essential Grammar
Routledge
2007
[23]
서적
De geschiedenis van het Nederlands in een notendop
Uitgeverij Bert Bakker
2006
[24]
서적
De geschiedenis van het Nederlands in een notendop
Uitgeverij Bert Bakker
2006
[25]
서적
Dialect op Goeree-Overflakkee
Zeeuwsche Vereeniging voor Dialectonderzoek
1988
[26]
서적
コンサイス外国地名辞典
三省堂
1998
[27]
서적
リーダーズ英和辞典
研究社
1984
[28]
서적
外国地名由来辞典
能登印刷出版部
199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