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657년은 여러 국가에서 연호가 사용되었으며, 주요 사건과 인물들의 출생 및 사망이 기록된 해이다. 동아시아에서는 일본 에도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많은 인명 피해가 있었고, 유럽에서는 잉글랜드와 스페인의 전쟁, 스웨덴과 폴란드의 전쟁 등이 일어났다. 주요 인물로는 윌리엄 웨이크, 프리드리히 1세, 보흐단 흐멜니츠키, 로버트 블레이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657년 |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1월 25일 - 네덜란드의 요한 마우리츠 판 나사우가 사망하다.
- 2월 23일 - 프랑스의 앙리 드 라 투르 도베르뉴가 사망하다.
- 3월 2일 ( 메이레키 3년 1월 18일 ) - 메이레키 대화재 발생. 당시 에도의 대부분이 소실. 사망자 102,100여 명. 화재 사망자를 매장한 묘가 후의 고에인이 됨.[4] 에도성이 피해를 입었다.[4]
- 5월 25일 - 잉글랜드 공화국에서 겸허한 청원과 권고 제정. 6월 26일에 호국경(護国卿) 올리버 크롬웰의 취임식이 거행된다.
- 5월 28일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스웨덴 간의 빌뉴스 조약이 체결되어 제2차 북방 전쟁이 종결되다.
- 6월 14일 - 코냐에서 튀르크가 지진으로 파괴되다.
- 8월 11일 - 코펜하겐에서 덴마크-스웨덴 전쟁이 발발하다.
- 9월 22일 - 러시아 차르국과 우크라이나 코사크는 부로마 조약을 체결하다.
- 10월 12일 - 보스턴에서 최초의 퀘이커교도 2명이 처형되다.
- 12월 10일 - 플리머스에서 영국의 제도 항해를 위한 최초의 법안이 발효되다.
- 베네치아 공화국에서 흑사병이 발발하다.
- 칼 구스타프 전쟁 발발.
- 중국의 승려진도영이 학림(고마자와 대학의 전신 중 하나인 학료)을 전단림이라고 명명.
- 니시오성의 총구(성 전체를 둘러싼 방어 시설)가 완성.
- 도쿠가와 미츠쿠니가 쇼코칸을 열고, 다이 니혼시의 편찬에 착수 ( - 1906년).
- 에도 막부에 의한 제1차 주조 통제 발령.
1657년은 조선 효종 8년이다.
4. 1. 한국
1657년은 조선 효종 8년이다.4. 2. 동아시아
3월 2일 ( 메이레키 3년 1월 18일 ) - 메이레키 대화재 발생. 당시 에도의 대부분이 소실. 사망자 102,100여 명. 화재 사망자를 매장한 묘가 후의 고에인이 됨.[4] 에도성이 피해를 입었다.[4]중국의 승려진도영이 학림(고마자와 대학의 전신 중 하나인 학료)을 전단림이라고 명명.
니시오성의 총구(성 전체를 둘러싼 방어 시설)가 완성.
도쿠가와 미츠쿠니가 쇼코칸을 열고, 다이 니혼시의 편찬에 착수 ( - 1906년).
에도 막부에 의한 제1차 주조 통제 발령.
4. 3. 유럽
1657년 유럽에서는 다양한 사건들이 발생했다.1월 8일, 불만을 품은 레벨러 집단인 마일스 신더콤과 그의 일당은 런던 화이트홀 궁전을 폭파하여 올리버 크롬웰을 암살하려다 배신당하여 체포되었다.[1] 1월 29일, 잉글랜드에서는 메이저 제너럴 통치 (지역 군사 정부)가 폐지되었다.[2] 2월 4일, 올리버 크롬웰은 안토니오 페르난데스 카르바할에게 유대인이 잉글랜드에 머물 권리를 보장하면서 잉글랜드 유대인 재정착이 이루어졌다. 2월 23일, 잉글랜드에서 ''겸손한 청원과 충고''는 호국경 크롬웰에게 왕위를 제안했다.[3]
3월 23일, 영-스페인 전쟁 (1654–60)에서 프랑스와 잉글랜드는 파리 조약을 통해 스페인에 대항하여 동맹을 맺었으며,[5] 잉글랜드는 됭케르크를 받게 되었다. 4월 20일, 잉글랜드-스페인 전쟁 중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해전에서 잉글랜드 제독 로버트 블레이크가 스페인 보물선을 점령하려 시도했다. 5월 8일, 호국경 크롬웰은 "호국경"이라는 칭호를 선호하며 잉글랜드 왕관을 거부하는 것을 확인했다.
7월 13일, 올리버 크롬웰에게 충성 맹세를 거부한 후, 잉글랜드 군 지휘관 존 램버트는 그의 임무를 사임하라는 명령을 받는다.[1] 9월 19일,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은 바일라우 조약을 체결했다. 10월 3일, 프랑스군이 마르디크 요새를 점령했다. 11월 6일, 브란덴부르크와 폴란드가 브롬베르크 조약을 체결했다. 11월 10일, 스웨덴의 전 여왕 크리스티나가 퐁텐블로 궁전에서 지안 리날도 모날데스키를 자신의 면전에서 살해했다.
이 외에도 잉글랜드 최초의 초콜릿 하우스가 런던에 문을 열었으며,[7] 차가 잉글랜드에 소개되었고,[8][9] 커피는 프랑스에 소개되었다. 크리스티안 호이겐스는 확률 이론에 관해 최초로 출판된 책인 ''De ratiociniis in ludo aleae'' ("도박에서의 추론")를 저술했다. 안드레아스 그리피우스의 희곡 ''카타리나 폰 게오르겐''이 브레슬라우에서 출판되었고, 토마스 미들턴의 비극 ''여인들이여, 조심하라''(c. 1623–24)가 런던에서 사후에 출판되었다.[5]
5. 탄생
- 1월 26일 - 윌리엄 웨이크, 캔터베리 대주교가 태어났다.
- 3월 24일 - 에도 중기의 무사, 유학자 아라이 하쿠세키가 태어났다.
- 7월 11일 - 프로이센의 초대 국왕 프리드리히 1세가 태어났다.
- 11월 11일 - 오스트리아의 장군 기도 폰 슈타렘베르크가 태어났다.

- 1월 1일 - 찰스 피츠찰스, 잉글랜드의 국왕 찰스 2세의 사생아가 태어났다.
- 1월 4일 - 세바스티앙 랄, 프랑스 선교사가 태어났다.
- 1월 6일 - 윌리엄 보우즈, 잉글랜드 정치인이 태어났다.
- 1월 11일 - 엘리자베스 판 데르 워데, 네덜란드 작가가 태어났다.
- 1월 17일 - 피터 판 블로멘, 플랑드르의 화가가 태어났다.
- 1월 18일 - 헨리 카시미르 2세, 프리슬란트와 흐로닝언의 스타트호더가 태어났다.
- 1월 21일 - 프란체스코 쿠파니, 이탈리아의 박물학자가 태어났다.
- 1월 26일 - 윌리엄 웨이크, 캔터베리 대주교가 태어났다.
- 1월 29일 - 프랜시스 무어, 잉글랜드의 의사이자 점성가가 태어났다.
- 2월 10일 - 조지 카펜터, 잉글랜드 육군 장군이 태어났다.
- 2월 11일 - 베르나르 르 보비에 드 퐁트넬, 프랑스 과학자이자 문인이 태어났다.
- 2월 21일 - 블레즈 지베르, 프랑스 예수회 수사학자이자 비평가가 태어났다.
- 2월 24일 - 클롭턴 하버스, 잉글랜드 의사가 태어났다.
- 2월 25일 - 아가트 드 생피에르, 프랑스계 캐나다 기업가이자 발명가가 태어났다.
- 3월 1일 - 사무엘 베렌펠스, 스위스 신학자가 태어났다.
- 3월 6일 - 아우구스테 막달레네 폰 헤센다름슈타트, 독일 귀족이자 시인이 태어났다.
- 3월 18일 - 주세페 오타비오 피토니, 이탈리아 작곡가가 태어났다.
- 3월 19일 - 장 르클레르, 스위스 신학자이자 성서 학자가 태어났다.
- 3월 20일 - 루이지 오모데이 (1607-1685),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이 태어났다.
- 4월 16일
- * 토머스 페어팩스, 잉글랜드 정치인이 태어났다.
- * 오토 프리드리히 폰 데어 그뢰벤, 프로이센 여행가, 군인, 작가가 태어났다.
- 5월 8일 - 마르티노 알토몬테, 이탈리아 화가가 태어났다.
- 5월 14일 - 삼바지, 마라타 통치자가 태어났다.
- 5월 25일 - 앙리 퐁 드 티아르 드 비시, 프랑스 가톨릭 사제, 주교, 추기경이 태어났다.
- 6월 10일 - 제임스 크래그스 시니어, 잉글랜드 정치인이 태어났다.
- 6월 14일 - 윌리엄 블랙켓 1세, 잉글랜드 정치인이 태어났다.
- 6월 17일 - 루이 엘리에 뒤팽, 프랑스 교회 역사가가 태어났다.
- 7월 8일 - 아브라함 드 페이스터, 뉴암스테르담/뉴욕 정치인이 태어났다.
- 7월 12일 - 작센알텐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가 태어났다.
- 7월 14일 - 윌리엄 체인, 잉글랜드 정치인이 태어났다.
- 7월 18일 - 사이먼 디그비, 잉글랜드 정치인이 태어났다.
- 7월 24일
- * 테오도루스 얀소니우스 판 알멜로펜, 네덜란드 고전 학자가 태어났다.
- * 장 마티외 드 샤젤, 프랑스 수로학자가 태어났다.
- 7월 25일 - 필리프 하인리히 에를레바흐, 독일 작곡가가 태어났다.
- 8월 7일 - 앙리 바스나주 드 보발, 프랑스 역사가이자 사전 편찬자가 태어났다.
- 8월 9일 - 피에르-에티엔 모노, 프랑스 조각가가 태어났다.
- 8월 18일
- * 페르디난도 갈리-비비에나, 이탈리아 건축가이자 화가가 태어났다.
- * 안토니오 마르길, 북미와 중앙 아메리카에서 활동한 스페인 프란체스코 수도회 선교사가 태어났다.
- 9월 14일 - 찰스 블로이스 1세, 잉글랜드 정치인이 태어났다.
- 9월 17일
- * 더들리 컬럼, 잉글랜드 정치인이자 준남작이 태어났다.
- * 피터 스카일러, 뉴욕 주 임시 총독이자 육군 대령이 태어났다.
- 9월 21일 - 무함마드 아크바르, 무굴 제국 왕자가 태어났다.
- 9월 27일 - 소피야 알렉세예브나, 러시아 섭정이 태어났다.
- 9월 29일 - 하인리히, 독일 왕자가 태어났다.
- 10월 2일 - 기욤 보드리, 캐나다 로어 지방의 총포 제작자이자 금·은 세공인이 태어났다.
- 10월 4일 - 프란체스코 솔리메나, 이탈리아 화가가 태어났다.
- 10월 8일 - 위게루스 비트링가, 네덜란드 화가가 태어났다.
- 10월 26일 - 작센-메르제부르크-라우흐슈테트 공작 필리프, 독일 귀족이 태어났다.
- 11월 6일 - 조셉 데니스, 캐나다 레콜레트 신부가 태어났다.
- 11월 12일 - 안나 도로테아, 퀘들린부르크 여수도원장이 태어났다.
- 11월 16일 - 율리아네 루이제 폰 오스트프리슬란트, 동프리슬란트 공주가 태어났다.
- 11월 26일
- * 윌리엄 더럼, 잉글랜드 성직자이자 자연 철학자가 태어났다.
- * 미하엘 베른하르트 발렌티니, 독일 박물학자가 태어났다.
- 11월 28일 - 아스투리아스 공 필리프 프로스페로, 스페인 왕위 계승자가 태어났다.
- 12월 2일 - 프란츠 안톤, 호엔촐레른-하이거로흐 백작이 태어났다.
- 12월 8일 - 창녕, 청나라 왕자가 태어났다.
- 12월 14일 - 에드먼드 던치, 잉글랜드 휘그당 정치인이 태어났다.
- 12월 15일
- * 미셸 리샤르 들라랑드, 프랑스 작곡가가 태어났다.
- * 루이 토마, 수아송 백작이자 사보이 공자가 태어났다.
- 12월 23일
- * 해나 더스턴, 매사추세츠 퓨리턴 여성으로 킹 윌리엄 전쟁 중 포로로 잡힌 인물이 태어났다.
- * 조시아 프랭클린, 잉글랜드 출신 미국 사업가, 벤저민 프랭클린의 아버지가 태어났다.
- 12월 28일 - 도메니코 로시, 스위스-이탈리아 건축가가 태어났다.

5. 1. 한국
1657년은 한국과 관련된 내용이 없다.5. 2. 동아시아
5. 3. 유럽
1657년 유럽에서는 여러 주요 인물들이 태어나고 사망했다.1월 26일에는 캔터베리의 대주교 윌리엄 웨이크가 태어났다. 3월 24일에는 에도 중기의 무사이자 유학자인 아라이 하쿠세키가 태어났다. 7월 11일에는 프로이센의 초대 국왕 프리드리히 1세가 태어났다. 11월 11일에는 오스트리아의 장군 기도 폰 슈타렘베르크가 태어났다.
1월 1일에는 잉글랜드의 국왕 찰스 2세의 사생아인 찰스 피츠찰스가 사망했다. 1월 4일에는 프랑스 선교사 세바스티앙 랄이, 1월 6일에는 잉글랜드 정치인 윌리엄 보우즈가 사망했다. 1월 11일에는 네덜란드 작가 엘리자베스 판 데르 워데가, 1월 17일에는 플랑드르의 화가 피터 판 블로멘이 사망했다.
이 외에도, 1월 18일 헨리 카시미르 2세, 1월 21일 프란체스코 쿠파니, 1월 29일 프랜시스 무어, 2월 10일 조지 카펜터, 2월 11일 베르나르 르 보비에 드 퐁트넬, 2월 21일 블레즈 지베르, 2월 24일 클롭턴 하버스, 2월 25일 아가트 드 생피에르, 3월 1일 사무엘 베렌펠스, 3월 6일 아우구스테 막달레네 폰 헤센다름슈타트, 3월 18일 주세페 오타비오 피토니, 3월 19일 장 르클레르, 3월 20일 루이지 오모데이 (1607-1685), 4월 16일 토머스 페어팩스와 오토 프리드리히 폰 데어 그뢰벤, 5월 8일 마르티노 알토몬테, 5월 25일 앙리 퐁 드 티아르 드 비시, 6월 10일 제임스 크래그스 시니어, 6월 14일 윌리엄 블랙켓 1세, 6월 17일 루이 엘리에 뒤팽, 7월 8일 아브라함 드 페이스터, 7월 12일 작센알텐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7월 14일 윌리엄 체인, 7월 18일 사이먼 디그비, 7월 24일 테오도루스 얀소니우스 판 알멜로펜과 장 마티외 드 샤젤, 7월 25일 필리프 하인리히 에를레바흐, 8월 7일 앙리 바스나주 드 보발, 8월 9일 피에르-에티엔 모노, 8월 18일 페르디난도 갈리-비비에나와 안토니오 마르길, 9월 14일 찰스 블로이스 1세, 9월 17일 더들리 컬럼과 피터 스카일러, 9월 27일 소피야 알렉세예브나, 9월 29일 하인리히, 10월 2일 기욤 보드리, 10월 4일 프란체스코 솔리메나, 10월 8일 위게루스 비트링가, 10월 26일 작센-메르제부르크-라우흐슈테트 공작 필리프, 11월 6일 조셉 데니스, 11월 12일 안나 도로테아, 11월 16일 율리아네 루이제 폰 오스트프리슬란트, 11월 26일 윌리엄 더럼과 미하엘 베른하르트 발렌티니, 12월 2일 프란츠 안톤, 12월 8일 창녕, 12월 14일 에드먼드 던치, 12월 15일 미셸 리샤르 들라랑드와 루이 토마, 12월 23일 해나 더스턴과 조시아 프랭클린, 12월 28일 도메니코 로시가 태어났다.
6. 사망
- 3월 7일 - 하야시 라잔, 일본 신유학 학자.
- 5월 7일 - 나베시마 가쓰시게, 일본의 다이묘.
- 8월 6일 - 보흐단 흐멜니츠키, 우크라이나 코사크 헤트만.
- 8월 7일 - 로버트 블레이크, 영국 제독.


- 1월 24일 - 슈뢰즈의 클로드 공작.
- 2월 2일 - 로렌 공작 부인 니콜, 프랑스 귀족.
- 2월 7일 - 체사레 단디니, 이탈리아 화가.
- 2월 8일 - 라라 만치니, 프랑스 궁정 미인.
- 2월 10일 - 세바스티안 스토코프, 프랑스 화가.
- 2월 19일 - 장 리올랑 2세, 프랑스 해부학자.
- 3월 - 에드워드 홉킨스, 코네티컷 식민지 정치인.
- 3월 10일 - 바르톨트 니후스, 로마 가톨릭 사제.
- 4월 - 리처드 러브레이스, 영국의 기사 시인.
- 4월 2일 - 페르디난트 3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장자크 올리에, 프랑스 가톨릭 사제.
- 4월 29일 - 조피 엘리자베트 펜츠,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4세의 딸.
- 5월 9일 - 윌리엄 브래드퍼드, 플리머스 식민지 총독.
- 5월 10일 - 구스타프 호른, 스웨덴 군인 겸 정치인.
- 5월 16일 - 안제이 보볼라, 폴란드 예수회 선교사.
- 6월 3일 - 윌리엄 하비, 영국 의사.
- 6월 26일 - 토비아스 미하엘, 독일 작곡가 겸 칸토르.
- 7월 17일 - 안할트-베른부르크의 엘레오노레 마리, 메클렌부르크-귀스트로 공작 부인.
- 8월 14일 - 조반니 파올로 라스카리스, 이탈리아의 성 요한 기사단의 57대 그랜드 마스터.
- 8월 29일 - 존 릴번, 영국 반체제 인사.
- 9월 1일 - 아르놀트 비니우스, 네덜란드 변호사.
- 9월 7일 - 아르비드 비텐베르크, 스웨덴의 야전 원수 겸 정치가.
- 9월 23일 - 요아힘 융기우스, 독일 수학자 겸 철학자.
- 9월 27일 - 올림피아 마이다치니, 정치적으로 활동적인 로마 귀족.
- 10월 4일 - 사보이의 모리스, 가톨릭 추기경 겸 사보이 공.
- 10월 23일 - 도메니코 마센지오, 이탈리아 바로크 작곡가.
- 11월 5일 - 엘뵈프의 샤를 2세 공작, 프랑스 귀족.
- 11월 10일 - 안데르스 빌레, 덴마크 장군.
- 11월 18일 - 루크 와딩, 아일랜드 프란체스코회 수사 겸 역사가.
- 11월 20일 - 초믈리 경 휴, 초대 준남작, 영국 정치인.
- 12월 5일 - 요한 옥센시에르나, 스웨덴 백작 겸 정치가.
- 12월 24일 - 필리프 르 쉬르 드 페티빌, 프랑스 시인.
- ''날짜 불명'' - 빌렘 본테코, 네덜란드 선장.
6. 1. 한국
1657년 당시 한국은 조선 효종 8년이었다.6. 2. 동아시아
1657년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특별한 사건이 기록되지 않았다.6. 3. 유럽
1657년 유럽에서는 여러 사건과 인물들의 사망이 있었다.1월 24일에는 슈뢰즈의 클로드 공작이, 2월 2일에는 로렌 공작 부인 니콜이 사망했다. 2월 7일에는 체사레 단디니가, 2월 8일에는 라라 만치니가, 2월 10일에는 세바스티안 스토코프가, 2월 19일에는 장 리올랑 2세가 사망했다. 3월에는 에드워드 홉킨스가, 3월 7일에는 하야시 라잔이, 3월 10일에는 바르톨트 니후스가 사망했다.
4월에는 리처드 러브레이스가 사망했고, 4월 2일에는 페르디난트 3세와 장자크 올리에가 사망했다. 4월 29일에는 조피 엘리자베트 펜츠가 사망했다. 5월 7일에는 나베시마 가쓰시게가, 5월 9일에는 윌리엄 브래드퍼드가, 5월 10일에는 구스타프 호른이, 5월 16일에는 안제이 보볼라가 사망했다.
6월 3일에는 윌리엄 하비가, 6월 26일에는 토비아스 미하엘이 사망했다. 7월 17일에는 안할트-베른부르크의 엘레오노레 마리가 사망했다. 8월 6일에는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8월 14일에는 조반니 파올로 라스카리스가, 8월 19일에는 프란스 스네이더스가, 8월 7일에는 로버트 블레이크가, 8월 29일에는 존 릴번이 사망했다. 9월 1일에는 아르놀트 비니우스가, 9월 7일에는 아르비드 비텐베르크가, 9월 13일에는 야코프 판 캠펜이, 9월 23일에는 요아힘 융기우스가, 9월 27일에는 올림피아 마이다치니가 사망했다.
10월 4일에는 사보이의 모리스가, 10월 23일에는 도메니코 마센지오가 사망했다. 11월 5일에는 엘뵈프의 샤를 2세 공작이, 11월 10일에는 안데르스 빌레가, 11월 18일에는 루크 와딩이, 11월 20일에는 초믈리 경 휴, 초대 준남작이 사망했다. 12월 5일에는 요한 옥센시에르나가, 12월 24일에는 필리프 르 쉬르 드 페티빌이 사망했다.
날짜가 불명확하게 빌렘 본테코가 사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1657
http://www.british-c[...]
2010-06-07
[2]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Ltd
[3]
ODNB
Cromwell, Oliver (1599–1658)
http://www.oxforddnb[...]
[4]
서적
The Deshima Dagregisters, Volume XII 1650-1660
[5]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Weidenfeld & Nicolson
[6]
학술지
American Zionism from Herzl to the Holocaust
https://referencewor[...]
Brill
[7]
웹사이트
Chocolate Arrives in England
http://www.cadbury.c[...]
Cadbury
[8]
서적
All About Tea
https://archive.org/[...]
The Tea and Coffee Trade Journal
[9]
서적
The True History of Tea
Thames & Hudson
[10]
서적
The Little Book of Shropshire
https://books.google[...]
History Press
2015-03-02
[11]
ODNB
Lovelace, Richard (1617–1657)
http://www.oxforddnb[...]
[12]
웹사이트
BBC - History - William Harvey
http://www.bbc.co.uk[...]
[13]
백과사전
Frans Snyders Flemish painter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