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각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각나무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수로, 사슴 뿔과 같은 수피를 가져 녹각나무로 불리다가 노각나무가 되었다. 학명은 Stewartia pseudocamellia이며, '동백나무를 닮은'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10~15m까지 자라며, 매끄럽고 얼룩덜룩한 수피, 6월에 피는 흰색 꽃, 10월에 갈색으로 익는 열매가 특징이다. 일본과 한반도에 분포하며, 정원수, 공원수, 가로수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7년 기재된 식물 - 굴거리나무
굴거리나무는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등에 분포하는 높이 7~10m의 상록 활엽 소교목으로, 봄에 새 잎이 돋을 때 묵은 잎이 떨어지는 특징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상서로운 나무로 여겨지고 잎과 줄기 껍질은 한방 약재로 쓰인다. - 1867년 기재된 식물 - 다래
다래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덩굴성 나무로, 키위와 비슷한 달콤한 열매를 맺어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생태계 교란 우려가 있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산철쭉
산철쭉은 진달래과의 낙엽관목으로, 영산홍의 한 형태이며 대한민국 남부와 일본, 미얀마, 중국 등에 분포하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 카를 막시모비치가 명명한 분류군 - 철쭉
철쭉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 자생하는 낙엽 관목으로, 4~5월에 다양한 색의 꽃을 피우며, 잎과 꽃에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약재로도 사용되지만 그레이야노톡신 중독 위험이 있으며, 진달래 등과 유사하나 잎이 난 후 꽃이 피는 점과 독성 유무로 구별된다.
노각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분류 체계 | APG IV |
계 | 식물계 |
문 (계급 없음) | 속씨식물 |
강 (계급 없음) | 진정쌍떡잎식물군 |
아강 (계급 없음) | 핵심 진정쌍떡잎식물군 |
하강 (계급 없음) | 국화군 |
단 (계급 없음) | 국화류 |
목 | 진달래목 |
과 | 차나무과 |
속 | 나ツバキ속 |
종 | 나ツバキ |
일반 정보 | |
학명 | (1867) |
이명 | Stewartia grandiflora Carrière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
한국어 이름 | 노각나무 |
일본어 이름 | 나ツバキ (夏椿) |
영어 이름 | Japanese stewartia |
![]() | |
![]() | |
보존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LC (관심 필요) |
참고 | Rivers, M.C. (2018). Stewartia pseudocamelli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e.T62086379A62086382. doi:10.2305/IUCN.UK.2018-1.RLTS.T62086379A62086382.en 2019년 2월 16일 확인. |
2. 학명의 유래
노각나무라는 이름은 사슴의 뿔처럼 보드랍고 황금빛을 가진 아름다운 수피라는 뜻에서 녹각나무라고 하다가, 발음이 쉬운 노각나무로 바뀐 것이다. 일본어로는 ''나츠츠바키''(ナツツバキ|나쓰쓰바키일본어, "여름 동백")라고 불린다.[4]
노각나무는 짙은 녹색의 둥근 형태 또는 원추형 수관 형태를 띤다. 원산지는 일본에서 한반도에 걸쳐있다. 일본에서는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이서의 혼슈, 시코쿠, 규슈의 산지에 자생한다. 다소 깊은 산골짜기에 자생하며, 시원한 곳이나 습윤한 토지에 핀다. 흔히 정원 등에도 재배되며, 홋카이도 남부부터 규슈까지 식재 가능하다.
학명의 속명 ''Stewartia''는 영국의 식물학자 J. 스튜어트의 이름에 의한 것이며, 종소명 ''pseudocamellia''는 "동백나무를 닮은" 이라는 의미이다. 라틴어 종명인 ''pseudocamellia''는 꽃이 관련 종인 동백과 유사하다는 점을 나타낸다.[6] 일본 이름 '''나츠츠바키'''의 유래는 꽃과 잎의 모양이 동백나무를 닮았고, 여름에 꽃이 피는 것에 기인한다.
3. 특징
늦봄에 흰 꽃을 피우는 화목으로, 여러 줄기에서 자라는 수형이 아름답고, 꽃과 잎이 떨어진 후에도 줄기 껍질의 무늬가 흥미로워 관상 가치가 높다.
일본 이름 '''나츠츠바키'''(ナツツバキ)는 꽃과 잎의 모양이 동백나무와 비슷하고, 여름에 꽃이 피는 것에서 유래했다. '''샤라노키'''(沙羅木), '''사라노키''', '''샤라''', '''사르나메''', '''샤라소주''', '''사라소주'''(娑羅樹, 沙羅双樹) 등의 별명이 있다. 또한, 줄기 껍질이 차례차례 벗겨져 미끈미끈하므로 배롱나무의 별명으로도 불린다.
인도 북부에 자라는 딜레니아과의 사라소주(별명: 샤라노키)와 닮았다고 여겨져, 에도 시대 중기에 불교의 성스러운 나무인 사라수(沙羅樹)를 나츠츠바키에 적용하면서 위와 같은 별명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 '샤라'는 사라소주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학명의 속명 ''Stewartia''는 영국의 식물학자 J. 스튜어트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종소명 ''pseudocamellia''는 "동백나무를 닮은"이라는 의미이다.
노각나무보다 꽃이 작은 히메샤라(''Stewartia monadelpha'')도 산지에 자생하며 재배된다. 노각나무속 (''Stewartia'')은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8종 정도 분포한다.
나츠츠바키의 꽃말은 "사랑스러움"이다.
3. 1. 형태
노각나무는 중소형 낙엽수로, 보통 10~15m, 드물게는 18m까지 자란다.[20][21] 여러 줄기를 가지거나 줄기에서 가지가 낮게 뻗는 경우가 많다. 수피는 매끄러운 질감이며 검은빛이 도는 적갈색을 띠는데, 나무가 나이가 들면서 얇게 벗겨져 붉은빛이 도는 노란색 무늬가 나타난다. 이러한 얼룩무늬 때문에 '''비단나무''' 또는 '''금수목'''(錦繡木)이라고도 불린다.
어린 줄기는 지그재그 모양이고 납작하며 갈라진 싹이 어긋나기 형태로 난다. 잎은 길이 4cm~12cm, 너비 2.5cm~5cm 정도의 타원형이며, 잎 가장자리에 미세한 톱니가 있고 줄기에 어긋나게 붙어있다. 가을에는 노랑, 빨강, 또는 보라색으로 단풍이 든다.
꽃은 갈래꽃으로 너비가 최대 8cm이며, 꽃잎은 5개이고 흰색이며, 꽃밥은 주황색이다. 동백나무와 비슷한 둥글고 납작하거나 다소 찻잔 모양을 하고 있다. 보통 6월에 개화하여 8월 말까지 피며, 각 꽃은 수명이 짧지만 여러 송이가 몇 주에 걸쳐 핀다.
10월에 익는 열매는 갈색의 끝이 뾰족하고 둥근 단단한 삭과로,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고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 안에는 납작하고 둥근 종자가 들어있다.[22][23][21]
3. 2. 잎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며, 길이 4~12cm, 너비 2.5~5cm의 타원형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미세한 톱니가 있다.[22][23] 잎몸은 약간 두꺼운 막질이고 표면에 광택이 없으며, 노린재나무보다 크고 잎맥이 뚜렷하다. 가을에는 노란색, 빨간색, 또는 보라색으로 단풍이 든다.[22][21] 동백나무 종류는 상록수이지만, 노각나무는 낙엽수로 가을에 단풍이 들고 잎이 떨어진다.
3. 3. 꽃
꽃은 갈래꽃으로 너비가 최대 8cm이며, 꽃잎은 5개이고 백색이고, 꽃밥은 주황색이다. 동백나무와 비슷한 꼴을 하고 있으며, 둥글고 납작하거나 다소 찻잔 모양이기도 하다. 보통 6월에 개화해 8월 말까지 피어있다.[22][23][21] 각 꽃은 수명이 짧지만 많은 꽃이 여러 날에 걸쳐 피어난다.
3. 4. 열매
10월에 익는 열매는 갈색의 끝이 뾰족하고 둥근 단단한 삭과로, 부드러운 털로 덮이고 5갈래로 갈라지며, 나무에 오래 붙어 있으나 화려하지는 않다.[22][23][21] 안에서 납작하고 둥근 종자가 나온다. 열매는 5개의 능선이 있는 길이 15mm~20mm의 난형으로, 끝은 뾰족하며, 익으면 5갈래로 갈라지고, 과피는 다음 해 봄까지 남는다.[4][5][8]
4. 변종
노각나무에는 두 가지 변종이 있다.[7][8]
- ''노각나무'' var. ''japonica'' Maxim.: 일본에 분포하며, 꽃은 컵 모양으로 벌어진다.
- ''노각나무'' var. ''koreana'' (Nakai ex Rehd.) Sealy.: 한국에 분포하며, 꽃은 평평하게 벌어진다. 주로 한국에서 별도의 종인 ''S. koreana'' Nakai ex Rehd.로 취급되기도 한다.[5]
4. 1. ''Stewartia pseudocamellia'' var. ''japonica''
노각나무에는 두 가지 변종이 있다.[7][8]- ''노각나무'' var. ''japonica'' Maxim. : 일본에 분포하며, 꽃은 컵 모양으로 벌어진다.
- ''노각나무'' var. ''koreana'' (Nakai ex Rehd.) Sealy. : 한국에 분포하며, 꽃은 평평하게 벌어진다. 주로 한국에서 별도의 종인 ''S. koreana'' Nakai ex Rehd.로 취급되기도 한다.[5]
4. 2. ''Stewartia pseudocamellia'' var. ''koreana''
노각나무에는 두 가지 변종이 있다.[7][8]5. 분포
원산지는 일본에서 한반도에 걸쳐있다[1]. 일본에서는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니가타현 이서의 혼슈, 시코쿠, 규슈의 산지에 자생한다[2][3]. 다소 깊은 산골짜기에 자생하며[1][4], 시원한 곳이나[5] 습윤한 토지에 핀다[2][6]. 흔히 정원 등에도 재배되며, 홋카이도 남부부터 규슈까지의 범위가 식재 가능지로 여겨진다[3].
노각나무보다 꽃이 작은 히메샤라(''Stewartia monadelpha'')도 산지에 자생하며, 재배도 된다. 노각나무속 (''Stewartia'')은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8종 정도 분포한다.
6. 재배 및 이용
꽃이 동백꽃처럼 생겨 흔히 정원이나 공원 등에 관상수로 심는다. 목재는 단단해서 가구용으로 많이 쓰이며 현재는 귀한 약재 및 차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9] 연중 볼거리를 제공하므로 관목 경계 또는 잔디밭에 심는 데 사용된다. 목재는 수피가 아름답고 매끄러워 마룻기둥에 사용된다.
6. 1. 재배
노각나무는 매력적인 관상수로, 배수가 잘 되고 연중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비옥한 유기질 토양에서 가장 잘 자란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재배하지만, 덥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오후에 약간의 그늘에서 가장 잘 자란다.[9] 뿌리내리는 데 까다로울 수 있으며, 어린 나무가 이식에 가장 적합하다.[10]단일 줄기로 자라면 키가 크고 피라미드 모양의 나무가 형성되고, 여러 줄기로 자라면 키가 작고 더 넓게 퍼지는 경향이 있다. 일본 야생에서는 18m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재배 시에는 이미 15m까지 자랐다.[11] 1874년에 서양에서 재배되기 시작했으며, -30°C와 같이 추운 겨울에도 살아남았다.[12]
영국에서는 이 식물,[13][14] 과 Koreana Group,[15] 이 왕립원예학회의 정원 공로상을 받았다.
정원수나 공원수로 자주 심어진다. 또한, 가로수로 심어지기도 하며, 사라스쥬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어, 일본에서는 겨울을 넘길 수 없는 인도의 사라소쥬의 대용으로, 여름매화나무가 절의 경내에도 심어져 있는 곳도 있다.
햇볕을 싫어하고 습윤한 환경을 좋아하기 때문에, 정원의 동쪽이나 북쪽, 또는 중정에 심어지며, 햇볕이 잘 드는 곳이나 건조한 곳은 피한다. 햇볕, 반음지, 어느 환경에서도 잘 자라지만, 반음지 쪽이 나무가 상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으며, 줄기에 직사광선을 쬐지 않는 환경이 최적이라고 한다. 식재 적기는 3월 하순 - 4월 상순과 10월 중순 - 11월, 또는 12 - 3월로 여겨진다. 병충해로는, 독나방의 피해에 주의해야 한다. 전정 적기는 10월 중순 - 3월, 꽃이 진 후의 7월이다.
6. 2. 이용
꽃이 동백꽃처럼 생겨 흔히 정원이나 공원 등에 관상수로 심는다. 목재는 단단해서 가구용으로 많이 쓰이며 현재는 귀한 약재 및 마시는 차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9] 노각나무는 배수가 잘 되고 연중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비옥한 유기질 토양에서 가장 잘 자란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재배하지만, 덥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오후에 약간의 그늘에서 가장 잘 자란다.[10] 연중 볼거리를 제공하므로 관목 경계 또는 잔디밭에 심는 데 사용된다. 뿌리내리는 데 까다로울 수 있으며, 어린 나무가 이식에 가장 적합하다.[11]일본 이름 나츠츠바키는 꽃과 잎의 모양이 동백나무에 닮았고, 여름에 꽃이 피는 것에 기인한다.
정원수나 공원수로 자주 심어진다.[19] 또한, 가로수로 심어지기도 하며, 사라스쥬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어, 일본에서는 겨울을 넘길 수 없는 인도의 사라소쥬의 대용으로, 여름매화나무가 절의 경내에도 심어져 있는 곳도 있다. 목재는 수피가 아름답고 매끄러워, 마룻기둥에 사용된다.
햇볕을 싫어하고 습윤한 환경을 좋아하기 때문에, 정원의 동쪽이나 북쪽, 또는 중정에 심어지며, 햇볕이 잘 드는 곳이나 건조한 곳은 피한다. 햇볕, 반음지, 어느 환경에서도 잘 자라지만, 반음지 쪽이 나무가 상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으며, 줄기에 직사광선을 쬐지 않는 환경이 최적이라고 한다. 식재 적기는 3월 하순 - 4월 상순과 10월 중순 - 11월, 또는 12 - 3월로 여겨진다. 병충해로는, 독나방의 피해에 주의해야 한다. 전정 적기는 10월 중순 - 3월, 꽃이 진 후의 7월이다. 늦봄에 흰 꽃을 피우는 화목으로, 여러 줄기에서 자라는 수형이 아름답고, 꽃과 잎이 떨어진 후에도 줄기 껍질의 무늬가 흥미로워 관상 가치가 높다.
나츠츠바키의 꽃말은 "사랑스러움"이라고 한다.
7. 문화
늦봄에 흰 꽃을 피우는 나무로, 여러 줄기에서 자라는 수형이 아름답고, 꽃과 잎이 떨어진 후에도 줄기 껍질의 무늬가 흥미로워 관상 가치가 높다.[19]
노각나무의 꽃말은 "사랑스러움"이라고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https://powo.science[...]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7
[2]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12-17
[3]
간행물
"''Stewartia pseudocamellia''"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4]
문서
natsutsubaki
http://shinrin.cool.[...]
[5]
문서
Korean Stewartia
http://www.kfri.go.k[...]
[6]
서적
RHS Latin for Gardeners
Mitchell Beazley
[7]
서적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British Isles
1980
[8]
서적
Collins Photographic Guide to Trees
1999
[9]
서적
Dirr's Hardy Trees and Shrubs: An Illustrated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Stewartia pseudocamellia
http://www.hort.ucon[...]
[11]
문서
Tree Register of the British Isles
[12]
서적
Manual of woody landscape plants: their identification, ornamental characteristics, culture, propagation and uses
Champaign, Ill, Stipes Pub. Co.
1983
[13]
웹사이트
RHS Plantfinder - Stewartia pseudocamellia
https://www.rhs.org.[...]
2018-11-21
[14]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7-07
[15]
웹사이트
Stewartia pseudocamellia 'Koreana Group'
https://www.rhs.org.[...]
RHS
2021-03-05
[16]
간행물
Stewartia pseudocamellia.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
[17]
문서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ナツツバキ(標準)
2023-12-17
[18]
문서
大修館現代漢和辞典
大修館出版
1996-12-10
[19]
웹사이트
朝に咲き夜に散る「沙羅双樹(夏椿)」が見られる「普門寺」をご紹介します。 {{!}} 観光協会からのお知らせ {{!}} 高槻市観光協会公式サイト たかつきマルマルナビ
http://www.takatsuki[...]
2024-06-09
[20]
서적
Trees and Shrubs Hardy in the British Isles
1980
[21]
서적
Collins Photographic Guide to Trees
1999
[22]
웹인용
natsutsubaki
http://shinrin.cool.[...]
2024-08-31
[23]
웹인용
Korean Stewartia
http://www.kfri.go.k[...]
2024-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