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롱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롱나무는 부처꽃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백일홍, 양반나무, 간지럼나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중국 남부가 원산지이며, 붉은색, 흰색, 분홍색 등 다양한 색깔의 꽃이 여름부터 가을까지 약 100일 동안 피어 '백일홍'이라는 별칭을 갖는다. 매끄러운 줄기와 아름다운 꽃으로 정원, 공원, 가로수로 널리 사용되며, 목재는 토목 용도로, 씨앗에서는 기름을 얻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처꽃과 - 석류나무
석류나무는 서남아시아와 중동 원산의 부처꽃과 낙엽성 소교목으로, 붉은 꽃과 식용 열매가 특징이며, 풍요와 다산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고 전통 의학 및 염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부처꽃과 - 헤나
헤나는 열대 및 반건조 지역이 원산지인 관목 또는 작은 나무로, 잎에서 추출한 염료는 머리 염색, 바디 페인팅, 초목 염색 등에 사용되며 현재는 흰머리 염색약, 헤어 트리트먼트, 향수 원료로도 사용되고, 관련 의식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네팔의 나무 - 목서
목서는 강렬한 향기를 가진 상록성 관목 또는 소교목으로, 가을에 향기로운 작은 꽃이 피며, 정원수로 널리 재배되고 꽃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네팔의 나무 - 개잎갈나무
개잎갈나무는 히말라야 원산의 늘푸른바늘잎나무로, 아름다운 수형과 다양한 활용 가치를 지니며 관상수, 건축 자재, 약용 등으로 쓰이고 힌두교에서 신성하게 여겨지는 나무이다. - 1759년 기재된 식물 - 물참새피
물참새피는 벼농사에 피해를 주는 잡초이면서 목초로 활용 가능한 여러해살이 풀로, 습한 초지나 물가에서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갯그령과 구별되며, 변종인 치쿠고물참새피는 벼농사에 더 큰 피해를 준다. - 1759년 기재된 식물 - 붓순나무
붓순나무는 가시목이라고도 불리며, 잎과 가지에서 향기가 나고 맹독성을 가진 3~5m 높이의 상록 소교목으로, 불교 의례나 살충제로 사용되며, 열매는 팔각회향과 유사하여 오용으로 인한 중독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 배롱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Lagerstroemia indica |
| 명명자 | L. |
| 발표 년도 | 1759 |
| 속 | 라게르스트로에미아속 |
| 과 | 미소하과 |
| 목 | 도금양목 |
| 계 | 식물계 |
| 하위 분류군 |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군 |
| 일반 명칭 | |
| 영어 이름 | Crape-myrtle |
| 일본어 이름 | サルスベリ |
| 한국어 이름 | 배롱나무 |
| 다른 한국어 이름 | 히햐쿠지쓰코우 |
| 특징 | |
| 개화 시기 | 여름 |
| 꽃 색깔 | 다양함 |
| 활용 | |
| 용도 | 관상용, 정원수 |
2. 명칭
배롱나무의 한국어 이름은 꽃이 오랫동안 피는 모습에서 유래한 '백일홍(百日紅)'이라는 한자어에서 비롯되었다.[3] '양반나무'라는 별칭은 추위에 약해 중부 이북 지방에서는 월동이 어려워 봄에 싹이 늦게 나오는 특성에서 유래했다. '간질나무' 또는 '간지럼나무'는 줄기를 긁으면 잎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제주도에서는 '저금타는낭'이라고 부르는데, 이 역시 간지럼 타는 나무라는 뜻이다.
배롱나무는 낙엽활엽수 소교목으로 3m 정도 자란다. 줄기는 매끄럽고 담갈색을 띠며, 일부가 벗겨져 흰색이 섞인 얼룩무늬가 된다. 특히 줄기가 굵어지면서 오래된 수피의 코르크층이 벗겨지고, 매끄러운 새 수피가 나타난다.[1] 어린 가지에는 잔털이 있다.
중국 남부가 원산지이며,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3][4][5] 한국에서는 주로 남부 지방에 분포했으나, 최근에는 중부 지방에서도 월동이 가능한 품종이 개발되어 전국적으로 재배되고 있다.
배롱나무는 햇빛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이 약한 편이었으나, 최근에는 내한성이 강화된 품종이 개발되어 재배 지역이 확대되고 있다. 약 -23.3°C까지 견딜 수 있어, 혹독한 겨울에는 윗부분이 죽지만 뿌리에서 다시 자라 여름에 꽃을 피우기도 한다. 따라서 북부 지역에서는 다년생 식물처럼 취급되기도 한다.[1]
씨로 기름을 짜고 재목은 도구재, 세공물로 쓴다. 꽃이 아름답고 병충해에도 강하며, 지나치게 크게 자라지 않기 때문에 정원, 공원, 가로수 등에 심어진다.[1] 씨앗에서 재배하는 '아스카'라는 1년생 왜성 품종도 있다. 목재는 단단하고 무거운 특성 때문에 철도의 침목 등 토목 용도로 사용된다.[2]
오규원의 시 〈해가 지고 있었다〉에는 "이름 모르는 새가 와서 울었다. 배롱나무에서 울었다. 배롱나무는 죽었지만 반짝였다…"라는 구절이 있다.[13]
[1]
웹사이트
USDA GRIN Taxonomy
https://npgsweb.ars-[...]
2016-06-08
일본어 명칭 '사루스베리(サルスベリ)'는 나무껍질이 매끄러워 원숭이도 미끄러진다는 뜻에서 유래했다. 꽃이 피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햐쿠지츠코우(ヒャクジツコウ, 백일홍)'라는 별칭도 있다.
영어 명칭 Crape myrtle영어은 꽃잎이 크레이프(Crape)처럼 주름져 있고, 피막이꽃(myrtle)과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했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장안의 궁정(자미)에 많이 심어져 '자미(紫薇)'라고 불렸으며, 붉은 꽃이 오래 피기 때문에 '백일홍(百日紅)'이라고도 한다.[3] 장쑤성 쉬저우 시, 후베이성 샹양 시, 쓰촨성 쯔궁 시, 타이완 지룽 시 등에서 시화로 지정되어 있다.
미얀마의 버마어로는 판이(ပန်းအိ|pœ́ɰ̃ʔḭmy)라고 하며, 문자 그대로는 '여린 꽃'을 뜻한다.
3. 생태
잎은 보통 2쌍이 어긋나기를 하지만, 마주나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 잎 모양은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잎 끝이 오목한 경우가 많다.[1] 잎자루는 거의 없다. 봄에 돋는 새잎은 붉은색을 띠며, 여름에는 짙은 녹색이다가 가을에는 진한 적색, 주황색 등으로 단풍이 든다.[1]
꽃은 7~10월에 붉은색, 흰색, 분홍색, 연보라색, 자주색 등 다양한 색깔로 피며, 원추꽃차례를 이룬다.[3]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 6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6장이며 주름이 져 있다. 꽃은 개화 당일에 시드는 하루살이 꽃이지만, 꽃봉오리가 계속해서 피기 때문에 '백일홍'이라는 이름처럼 약 100일 동안 꽃을 볼 수 있다. 수술은 30~40개인데, 그중 가장자리의 6개는 길이가 더 길다.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는 8~11월에 맺히는 둥근 삭과이다.[1] 열매는 끝이 6개로 갈라져 날개가 있는 종자를 날린다. 열매는 종자를 날린 후에도 오랫동안 가지에 남아 있다.
겨울눈은 작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가지 끝에 가정아가 달리고, 측아는 마주나거나 때로는 어긋난다. 가정아와 측아는 크기가 거의 같으며, 눈비늘 2~4장으로 덮여 있다. 겨울눈 옆의 잎자국에는 활처럼 굽은 관속흔이 1개 있다.[1]
4. 분포 및 서식지
일본에는 에도 시대 이전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 정원, 공원, 사찰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3]
미국 남대서양 연안 주에서 흔히 심는 나무이며, 미드애틀랜틱 주에서 매사추세츠 주 해안 지역까지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4] 캘리포니아 남부, 애리조나, 네바다의 지중해성 기후와 사막 기후에서도 잘 자라며,[5] 호주에서는 가로수로도 심어진다.[5]
미국에서는 배롱나무가 온화한 겨울 지역(USDA 구역 6~10)에서 매우 인기 있는 꽃이 피는 관목/소교목이다.[6] 관리하기 쉬워 공원, 인도변, 고속도로 중앙분리대, 주차장 등에 흔히 심는 조경수로 사용된다. 목련과 마찬가지로 배롱나무는 광범위하게 심어지고 덥고 습한 여름 기후와 규칙적인 강수량 속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미국 남부를 상징하는 나무가 되었다.[7]
배롱나무는 종종 5구역까지 내한성이 있어(약 -23.3°C), 혹독한 겨울에 윗부분이 죽지만 뿌리에서 다시 자라 여름에 꽃을 피운다. 따라서 북부 지역 정원사들은 배롱나무를 나무나 관목이라기보다는 다년생 식물처럼 취급한다.[1]
미국 국립 수목원에서는 내한성과 질병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배롱나무(L. indica)와 L. fauriei를 교배하여 잡종 품종 15종을 개발했으며, 모두 미국 원주민 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5. 재배 및 관리
물을 너무 많이 주거나 과도하게 비료를 주면 가을철에 새로 자란 부분이 단단해질 시간이 없어 내한성이 저하될 수 있다.[1] 일단 자리를 잡으면 가뭄에도 상당히 강하지만, 여름철에는 가끔씩 깊이 물을 주면 좋다.[1]
미국 국립 수목원에서는 배롱나무와 왜배롱나무를 교배하여 내한성과 질병 저항성을 높인 잡종 품종을 개발했으며, 이들은 미국 원주민 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이러한 잡종 품종과 일반적인 배롱나무의 왜성 품종은 약 0.61m 정도로 자란다.[9]
병충해로는 흰가루병, 곰팡이병, 배롱나무진딧물(''Tinocallis kahawaluokalani''), 일본 딱정벌레, 벼룩잎벌레 등이 발생할 수 있다.[10] 곰팡이 병원균인 ''Cercospora lythracearum''은 여름철 무덥고 비가 많이 오는 날씨에 식물을 감염시켜 조기 낙엽을 유발할 수 있다.[10] 이러한 병충해는 저항성 품종을 선택하거나 살충 비누 또는 살균제를 사용하여 방제할 수 있다.[10]
겨울 동안에는 가지치기를 통해 크기를 관리하고 여름 개화를 촉진할 수 있다. 하지만, 가지를 과도하게 잘라내는 "배롱나무 학살"은 권장되지 않는다.[11] 수관 절단(Tree topping)이 흔히 발생하지만, 전문 표준이나 수목 관리 단체에서는 권장하지 않는다.[12]
6. 용도
7. 문화
1983년, 스기우라 히나코는 배롱나무의 일본 이름을 딴 만화 시리즈 《사루스베리》를 연재했다. 스기우라는 동시에 꽃을 피우고 떨어뜨리는 배롱나무의 개화기를 만화의 배경인 우키요에 예술의 활기와 비교했다.[13]
참조
[2]
논문
紫薇品种分类及其在园林中的应用(英文)
http://kns.cnki.net/[...]
1991
[3]
웹사이트
Lagerstroemia indica (Crapemyrtle, Crape Myrtle, Crepe Myrtle) {{!}} North Carolina Extension Gardener Plant Toolbox
https://plants.ces.n[...]
2021-03-09
[4]
뉴스
Crape Myrtle - A Great Late Season Shrub
https://www.nantucke[...]
2012-09-13
[5]
간행물
Crape Myrtle (Lagerstroemia Indica)
https://cals.arizona[...]
Cochise Co. Master Gardeners
2017-05-31
[6]
웹사이트
Lagerstroemia indica - Plant Finder
https://www.missouri[...]
2021-03-09
[7]
웹사이트
History of Crape Myrtles in the South
http://www.southernl[...]
Southern Living
2017-05-31
[8]
서적
Sunset Western Garden Book
[9]
뉴스
How to choose the right crape myrtle
https://www.washingt[...]
2017-06-01
[10]
뉴스
Crape Myrtle Questions & Answers - US National Arboretum - USDA
http://www.usna.usda[...]
2017-05-31
[11]
뉴스
How to avoid hacking at your crape myrtle this spring
https://www.washingt[...]
2017-05-31
[12]
웹사이트
Australian Standard : Pruning of amenity trees
https://www.saigloba[...]
2022-03-22
[13]
서적
Miss Hokusai
Ponent Mon
2018
[14]
웹사이트
2024-01-02
[15]
서적
The Judson Burmese-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American Baptist Mission Press
[16]
웹사이트
2024-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