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녹는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녹는점은 물질이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전이하는 온도이다. 대부분의 물질은 녹는점과 어는점이 거의 같지만, 한천과 같이 고체-액체 전이 온도가 다른 물질도 있다. 텅스텐은 3414°C로 가장 높은 녹는점을 가지며, 하프늄 질화탄화물은 현재까지 알려진 물질 중 가장 높은 녹는점(약 4000°C)을 가진다. 녹는점은 압력에 따라 변하며, 유기화학에서는 분자 대칭성이 높을수록 녹는점이 높다는 카넬리의 법칙이 적용된다. 또한 린데만 기준은 결정성 물질의 벌크 용융점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턱 온도 - 이슬점
    이슬점은 기압이 일정할 때 공기 중 수증기가 액체 물로 응결되기 시작하는 온도로, 공기 중 수증기량에 따라 습도를 나타내며, 이슬, 서리, 안개, 구름 생성과 관련되고, 기상 예보, 공압 기기 성능 평가, 인간의 쾌적함에 영향을 미친다.
  • 문턱 온도 - 인화점
    인화점은 가연성 액체나 고체의 증기가 공기와 혼합되어 점화원에 의해 연소를 지속할 수 있는 최저 온도로, 가연성 물질의 인화성 지표이며 압력에 영향을 받고 측정 방식과 시험 기준에 따라 방법이 구분되어 화재 안전 및 위험물 분류에 활용된다.
  • 상전이 - 승화 (화학)
    승화는 고체가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기체로 직접 변하는 물리적 변화 과정으로, 드라이아이스나 요오드와 같은 물질에서 나타나며 동결건조, 지문 검출, 고순도 물질 정제 등에 활용된다.
  • 상전이 - 이슬점
    이슬점은 기압이 일정할 때 공기 중 수증기가 액체 물로 응결되기 시작하는 온도로, 공기 중 수증기량에 따라 습도를 나타내며, 이슬, 서리, 안개, 구름 생성과 관련되고, 기상 예보, 공압 기기 성능 평가, 인간의 쾌적함에 영향을 미친다.
  • 대기열역학 - 승화 (화학)
    승화는 고체가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기체로 직접 변하는 물리적 변화 과정으로, 드라이아이스나 요오드와 같은 물질에서 나타나며 동결건조, 지문 검출, 고순도 물질 정제 등에 활용된다.
  • 대기열역학 - 과포화
    과포화는 용액 내 용질의 농도가 포화 상태를 넘어선 불안정한 상태로, 용질의 침전 또는 기체의 방출을 유발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녹는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고체 물질이 액체 상태로 변하는 온도
다른 이름융점
빙점(얼음의 경우)
물리적 특성
결정 구조물질마다 고유한 결정 구조 가짐
순수한 물질날카로운 녹는점 가짐
혼합물일정 온도 범위에서 녹음
녹는점의 특징
압력 의존성압력에 따라 변화 (일반적으로 상승)
녹는점의 변동압력 증가에 따라 녹는점 증가 (극히 예외도 존재)
녹는점의 측정융점 측정 장비 사용
녹는점과 관련된 현상
과냉각액체가 녹는점 이하로 냉각되어도 고체로 변하지 않는 현상
용융열녹는점에서의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 시 필요한 열에너지
응고점액체가 고체로 변하는 온도 (녹는점과 동일)
결정화액체에서 고체가 형성되는 과정
녹는점의 활용
물질 식별순수한 물질의 녹는점은 고유한 특성이므로 물질 식별에 활용
화학 분석혼합물의 녹는점 범위와 변화는 화학 분석에 활용
재료 공학물질의 가공 및 적용 온도 결정에 활용
참고 자료
참고 문헌Ramsay, J. A. (1949). A New Method of Freezing-Point Determination for Small Quantities.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6(1), 57–64.

2. 녹는점과 어는점

대부분의 물질은 녹는점과 어는점이 거의 같다. 예를 들어 수은의 녹는점과 어는점은 234.32K(-38.83°C)이다.[2] 그러나 한천처럼 고체-액체 전이 온도가 다른 물질도 있다. 한천은 85°C에서 녹고 31°C에서 굳는데, 이러한 방향 의존성을 이력현상이라고 한다. 1기압에서 얼음의 녹는점은 0°C에 매우 가깝다.[3] 핵 생성 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물은 -48.3°C까지 과냉각될 수 있다.[4]

처음 여덟 가지 카르복실산의 녹는점(파란색)과 끓는점(분홍색)(°C)


가장 높은 녹는점을 가진 금속은 3414°C의 텅스텐이다.[5] 탄소는 상압에서 녹지 않고 약 3700°C에서 승화된다. 하프늄 질화탄화물(HfCN)은 현재까지 알려진 물질 중 가장 높은 녹는점을 가진 내화성 화합물이며, 상압에서 4273K(약 4000°C) 이상의 녹는점을 가진 것으로 확인된 유일한 물질이다. 반대로, 헬륨은 일반적인 압력에서는 절대 영도에 매우 가까운 온도에서도 전혀 얼지 않으며, 20배 이상의 대기압이 필요하다.

물의 녹는점은 '빙점'이라고 한다. 기압이나 물에 포함된 불순물에 따라 변하지만, 엄밀하게는 0°C가 아니라 0.002519°C이며, 절대온도로 나타내면 273.152519K이다. 넓은 의미로는 물이 응고하는 온도점을 의미하기도 한다. 빙점 이하의 온도를 빙점하라고 한다.

일반적인 화학 물질 목록
화학 물질밀도 (g/cm3)녹는점 (K)[8]끓는점 (K)
물 @STP1273.15373.15
땜납 (Pb60Sn40)461.15
코코아 버터307.25-
파라핀 왁스0.9310.15643.15
수소0.0000898814.0120.28
헬륨0.00017854.22
베릴륨1.8515602742
탄소2.267[9]4000[9]
질소0.001250663.1577.36
산소0.00142954.3690.20
나트륨0.971370.871156
마그네슘1.7389231363
알루미늄2.698933.472792
2.067388.36717.87
염소0.003214171.6239.11
칼륨0.862336.531032
티타늄4.5419413560
7.87418113134
니켈8.91217283186
구리8.961357.772835
아연7.134692.881180
갈륨5.907302.91462673
10.5011234.932435
카드뮴8.69594.221040
인듐7.31429.752345
아이오딘4.93386.85457.4
탄탈럼16.65432905731
텅스텐19.2536955828
백금21.462041.44098
19.2821337.333129
수은13.5336234.43629.88
11.342600.612022
비스무트9.807544.71837


3. 녹는점 측정법

자동 디지털 융점 측정기


현대에는 자동 광학 검출 기능이 있는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정유 공장에서는 디젤 연료의 어는점을 온라인으로 측정하여 공정 효율을 높인다.

3. 1. 자동 융점 측정 장치



현대에는 자동 광학 검출 기능이 있는 장치를 사용하기도 한다. 정유 공장에서는 디젤 연료의 어는점을 온라인으로 측정하여 공정 효율을 높인다.

4. 열역학적 관점

열역학적 관점에서, 녹는점에서 물질의 깁스 자유 에너지(ΔG) 변화는 0이지만, 물질의 엔탈피(''H'')와 엔트로피(''S'')는 증가한다(ΔH, ΔS > 0).[10] 녹는 현상은 액체의 깁스 자유 에너지가 해당 물질의 고체보다 낮아질 때 발생한다. 다양한 압력에서 이는 특정 온도에서 발생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0]

:\Delta S = \frac {\Delta H} {T}

여기서 ''T'', ''ΔS'' 및 ''ΔH''는 각각 녹는점에서의 온도, 녹는 엔트로피 변화 및 녹는 엔탈피 변화이다.

물의 녹는점에 대한 압력 의존성


녹는점은 극도로 큰 압력 변화에 민감하지만, 일반적으로 이 민감도는 끓는점에 비해 훨씬 낮은데, 이는 고체-액체 상전이가 부피의 작은 변화만을 나타내기 때문이다.[11][12] 대부분의 경우 물질이 고체 상태보다 액체 상태에서 밀도가 더 낮다면 녹는점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그렇지 않으면 반대의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물, 실리콘(Si), 저마늄(Ge), 갈륨(Ga), 비스무트(Bi)의 경우가 그러하다.[10] 압력이 극도로 크게 변하면 녹는점에 상당한 변화가 관찰된다. 예를 들어, 주변 압력(0.1 MPa)에서 실리콘의 녹는점은 1415 °C이지만, 10 GPa를 초과하는 압력에서는 1000 °C로 감소한다.[13]

5. 주요 물질의 녹는점

텅스텐은 녹는점이 3414°C로 금속 중에서 가장 높아 백열등의 전기 필라멘트 등에 사용된다.[5] 탄소는 상압에서 녹지 않고 약 3700°C에서 승화하며, 액체 탄소는 10 MPa 이상의 압력에서만 존재한다.[9] 하프늄 질화탄화물(HfCN)은 현재까지 알려진 물질 중 가장 높은 녹는점(약 4273K)을 가진 내화성 화합물이다.[6][7]

대부분의 물질은 녹는점과 어는점이 거의 같지만, 일부 물질은 고체-액체 전이 온도가 다르다. 예를 들어 수은의 녹는점과 어는점은 234.32K이다.[2] 반면, 아가는 85°C에서 녹고 31°C에서 응고되는 이력현상을 보인다. 얼음의 녹는점은 1기압에서 0°C에 매우 가깝지만,[3] 핵 생성 물질이 없으면 물은 -48.3°C까지 과냉각될 수 있다.[4] 헬륨은 일반적인 압력에서는 절대 영도에 매우 가까운 온도에서도 얼지 않으며, 20배 이상의 대기압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화학 물질 목록
화학 물질밀도 (g/cm3)녹는점 (K)[8]끓는점 (K)
물 @STP1273373
땜납 (Pb60Sn40)461
코코아 버터307.1-
파라핀 왁스0.9310643
수소0.0000898814.0120.28
헬륨0.00017854.22
베릴륨1.8515602742
탄소2.2674000[9]
질소0.001250663.1577.36
산소0.00142954.3690.20
나트륨0.971370.871156
마그네슘1.7389231363
알루미늄2.698933.472792
2.067388.36717.87
염소0.003214171.6239.11
칼륨0.862336.531032
티타늄4.5419413560
7.87418113134
니켈8.91217283186
구리8.961357.772835
아연7.134692.881180
갈륨5.907302.91462673
10.5011234.932435
카드뮴8.69594.221040
인듐7.31429.752345
아이오딘4.93386.85457.4
탄탈럼16.65432905731
텅스텐19.2536955828
백금21.462041.44098
19.2821337.333129
수은13.5336234.43629.88
11.342600.612022
비스무트9.807544.71837


6. 어는점 내림

용매에 다른 화합물을 첨가하면 용매의 어는점 내림 현상이 나타난다. 즉, 용액의 어는점은 순수한 용매보다 낮다. 이 현상은 예를 들어 물에 소금이나 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하여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겨울철 도로 제설, 부동액 등 기술적 응용 분야에서 사용된다.

7. 카넬리의 법칙

유기화학에서 카넬리의 법칙(Carnelley's rule)은 1882년 토마스 카넬리가 확립한 법칙으로, 높은 분자 대칭성은 높은 녹는점과 관련이 있다는 법칙이다.[14] 카넬리는 15,000개의 화합물을 조사하여 이 법칙을 세웠다. 예를 들어, 분자식이 C5H12인 세 가지 구조 이성질체의 경우, 녹는점은 이소펜탄 -160 °C (113 K), n-펜탄 -129.8 °C (143 K), 네오펜탄 -16.4 °C (256.8 K) 순으로 증가한다.[15]

마찬가지로 크실렌과 디클로로벤젠에서도 녹는점은 메타, 오르토, 파라 순으로 증가한다. 피리딘은 벤젠보다 대칭성이 낮기 때문에 녹는점이 더 낮지만, 디아진과 트리아진에서는 다시 녹는점이 증가한다. 아다만탄과 큐반과 같이 높은 대칭성을 가진 많은 케이지형 화합물은 비교적 높은 녹는점을 갖는다.

높은 녹는점은 높은 융해열, 낮은 융해 엔트로피, 또는 두 가지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한다. 고도로 대칭적인 분자에서는 결정상이 효율적인 분자간 상호작용이 많이 포함되어 조밀하게 충진되어 있어 융해 시 더 높은 엔탈피 변화가 발생한다.

8. 린데만 기준

프레드릭 린데만은 1910년에 결정성 물질의 벌크 용융점을 예측하는 린데만 기준을 제시하였다.[17] 이 이론은 열 진동의 평균 진폭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는 관찰에 기반하며, 진동의 제곱평균제곱근 진폭이 임계값을 초과할 때 용융이 시작된다고 명시한다.

등분배 정리를 사용하면 평균 열에너지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녹는점을 예측할 수 있다.[18]

:T_{\rm m} = \cfrac{4\pi^2 m \nu^2 c^2 a^2}{k_{\rm B}} .

여기서 m은 원자 질량, ν는 주파수, u는 평균 진동 진폭, kB볼츠만 상수, T는 절대 온도, c는 린데만 상수, a는 원자 간격이다.

또 다른 표현식으로는, [19]

:

T_{\rm m} = \cfrac{4\pi^2 m \nu^2 c^2 a^2}{2k_{\rm B}} .



가 있다.

데바이 주파수의 표현식을 사용하면, 데바이 온도(θD)와 플랑크 상수(h)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T_{\rm m} = \cfrac{2\pi m c^2 a^2 \theta_{\rm D}^2 k_{\rm B}}{h^2}



대부분의 물질에서 c의 값은 0.15에서 0.3 사이이다.[20]

9. 녹는점 데이터베이스 및 예측

2011년 2월, 알파 에이서(Alfa Aesar)는 자사 카탈로그의 1만 개가 넘는 화합물의 녹는점 데이터를 공개 데이터로 공개했다.[21] 그리고 유사한 데이터는 특허에서 데이터 마이닝되었다.[22] 알파 에이서 데이터와 특허 데이터는 각각 랜덤 포레스트[21]서포트 벡터 머신으로 요약되었다.[22]

참조

[1] 논문 A New Method of Freezing-Point Determination for Small Quantities http://jeb.biologist[...] 1949-05-01
[2] 서적 Haynes
[3] 논문 A New Equation of State for H2O Ice Ih
[4] 논문 Reversible structural transformations in supercooled liquid water from 135 to 245 K https://www.science.[...] 2020-09-18
[5] 서적 Haynes
[6] 논문 Prediction of the material with highest known melting point from ab initio molecular dynamics calculations
[7] 논문 Fabrication of ultra-high-temperature nonstoichiometric hafnium carbonitride via combustion synthesis and spark plasma sintering 2020-03-01
[8] 논문 Melting Points of Aluminum, Silver, Gold, Copper, and Platinum 1895-01-01
[9] 웹사이트 Carbon https://www.rsc.org/[...]
[10] 웹사이트 Latent heat {{!}} Definition, Examples,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6-04
[11] 일반 Clausius–Clapeyron relation
[12] 웹사이트 J10 Heat: Change of aggregate state of substances through change of heat content: Change of aggregate state of substances and the equation of Clapeyron-Clausius http://mpec.sc.mahid[...]
[13] 서적 Phase Transformations of Elements Under High Pressure CRC Press
[14] 논문 Melting Point and Molecular Symmetry
[15] 서적 Haynes
[16] 논문 Tetrakis(trimethylsilyl)silane
[17] 논문 The calculation of molecular vibration frequencies
[18] 웹사이트 Point defects, lattice structure, and melting http://phycomp.techn[...]
[19] 서적 Solid state physic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Wiley-VCH
[20] 서적 Defects and geometry in condensed matter physic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논문 ONS Open Melting Point Collection http://www.qsardb.or[...] 2011-08-11
[22] 논문 The development of models to predict melting and pyrolysis point data associated with several hundred thousand compounds mined from PATENTS http://ochem.eu/art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