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이성질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조 이성질체는 동일한 분자식을 가지지만 원자 간의 연결 방식이 다른 화합물을 의미한다. 골격 이성질체, 작용기 이성질체, 구조 아이소토포머, 그리고 구조적 동등성과 대칭성에 따른 이성질체 등으로 분류된다. 이성질체는 분자의 골격, 작용기, 또는 동위 원소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화학적,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며, 이들의 열거와 계산은 복잡한 문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성질체 - 입체 이성질체
입체 이성질체는 분자 내 원자들의 연결은 같지만 3차원 배열이 달라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다른 이성질체로,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 입체 이성질체(시스-트랜스, E-Z, 메조 화합물 포함), 배좌 이성질체, 아노머, 아트롭 이성질체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이성질체 - 결합 이성질체
결합 이성질체는 배위 화합물에서 리간드가 중심 금속 이온에 결합하는 방식이 다른 이성질체 현상을 의미하며, 니트로펜타암민코발트(III) 염화물에서 처음 관찰되었고, 붉은색 이성질체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노란색 이성질체로 변환되기도 한다. - 유기화학 - 유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은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과거 생기론으로 여겨졌으나 뵐러의 요소 합성으로 폐기되었고, 이후 다양한 유기 화합물 합성 및 고분자 개발에 기여했지만 환경 친화적 접근이 과제로 남아 있으며, 구조, 용도 등으로 분류되고 천연물, 합성 화합물 등으로 연구된다. - 유기화학 - 유기물
유기물은 생물체 구성 성분으로서 생태계 내에서 영양분 순환,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 개선, pH 조절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탄소, 산소, 수소, 질소 등으로 구성된 유기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 입체화학 - 배위수
배위수는 중심 원자에 직접 결합한 이웃 원자의 총 개수를 의미하는 개념으로, 배위 화합물의 성질과 원자 배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결정 구조나 리간드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고 실험적 방법이나 계산 화학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 입체화학 - 카이랄성
카이랄성은 거울상과 겹쳐지지 않는 성질로, 물리학, 화학, 수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분자, 결정, 도형 등에서 관찰되며, 특히 화학에서는 거울상 이성질체 관계, 생물학에서는 특정 분자의 생명체 내 흔한 발견, 의약품 개발에서 약효 개선 및 부작용 감소 연구와 관련된다.
구조 이성질체 | |
---|---|
개요 | |
정의 | 분자식은 같지만 원자들의 연결 방식이 다른 화합물이다. |
예시 | C4H10O의 경우, 다이에틸 에터, 뷰탄올 등이 있다. |
종류 | |
사슬 이성질체 (골격 이성질체) | 탄소 골격의 형태가 다른 이성질체이다. |
위치 이성질체 | 작용기의 위치가 다른 이성질체이다. |
작용기 이성질체 | 작용기가 다른 이성질체이다. |
고리-사슬 이성질체 | 고리 구조와 사슬 구조를 갖는 이성질체이다. |
토토머 이성질체 | 양성자의 위치가 변하면서 생성되는 이성질체이다. |
예시 (화학식) | |
동일 분자식 | C4H10O |
화합물 1 | H3C(CH2)3OH |
화합물 2 | H3C(CH2)2OCH3 |
화합물 3 | (H3CCH2)2O |
암모늄 시아네이트와 유기 화합물 | |
반응물 | O=C=N⁻ |
중간체 | O=C-N⁺⁻ |
생성물 | (H2N)2C=O |
폼산 암모늄과 아세트산 메틸/에탄올아민 | |
화합물 1 | [NH₄]+[O=CN]⁻ |
화합물 2 | [H₃CNH₃]+[HCO₂]⁻ |
화합물 3 | [NH₄]+[H₃CCO₂]⁻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입체 이성질체 이성질체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Hibbert, D. B. (1987). "IUPAC Recommendations for Nomenclature of Inorganic Chemistry 1990". Pure & Appl. Chem. 59 (7): 955. "structural isomer". GoldBook. IUPAC. doi:10.1351/goldbook.S06103. |
2. 골격 이성질체
골격 이성질체는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와 결합의 배열, 특히 유기 화합물에서 탄소 원자와 그 사이의 결합 방식이 다른 구조 이성질체이다. 예를 들어 펜테인에는 ''n''-펜테인, 아이소펜테인, 네오펜테인의 세 가지 골격 이성질체가 있다.[10]
2. 1. 사슬 이성질체
사슬 이성질체는 탄소 사슬의 분기 정도가 다른 이성질체를 말한다. 골격이 비고리형인 경우 사슬 이성질성이라고 할 수 있다.뷰테인과 메틸프로페인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둘은 모두 조성식이 C4H10으로 같지만, 뷰테인의 구조식은 H3C-CH2-CH2-CH3이고, 메틸프로페인은 H3C-CH(CH3)-CH3으로 탄소 골격이 다르다.
이러한 예는 사이클로알케인과 알켄 사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 1. 1. 예시
펜테인에는 세 가지 골격 이성질체가 있다. ''n''-펜테인(일반적으로 "펜테인"이라고 함), 아이소펜테인(2-메틸뷰테인), 네오펜테인(다이메틸프로페인)이다.[10]![]() |
'''작용기 이성질체'''는 서로 다른 작용기를 가지고 있어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이 크게 다른 구조 이성질체이다.[13]
3. 작용기 이성질체
작용기 이성질체는 서로 다른 화학적 특성 외에도 일반적으로 매우 다른 적외선 스펙트럼을 갖는다. 적외선 스펙트럼은 분자의 진동 모드에 의해 크게 결정되며, 하이드록실기 및 에스터와 같은 작용기는 매우 다른 진동 모드를 갖는다. 따라서 1-프로판올과 2-프로판올은 하이드록실기 때문에 비교적 유사한 적외선 스펙트럼을 가지며, 이는 메틸 에틸 에테르의 스펙트럼과는 상당히 다르다.
3. 1. 예시
프로판알(H3C–CH2–C(=O)-H)과 아세톤(H3C–C(=O)–CH3)이 그 예이다. 프로판알은 –C(=O)H 작용기를 가지고 있어 알데히드이고, 아세톤은 C–C(=O)–C 기를 가지고 있어 케톤이다.[13]
또 다른 예로는 에탄올(H3C–CH2–OH) (알코올)과 다이메틸 에테르(H3C–O–CH3) (에테르)가 있다.[13] 반면에, 1-프로판올과 2-프로판올은 구조 이성질체이지만 작용기 이성질체는 아니다. 이들은 동일한 중요한 작용기(하이드록실 –OH)를 가지고 있고, 둘 다 알코올이기 때문이다.[13]
4. 구조 아이소토포머
화학에서 일반적으로 동일한 원소의 동위 원소 간의 구별은 무시되지만, 라만, NMR, 마이크로파 분광법과 같은 일부 상황에서는 동일한 원소의 서로 다른 동위 원소를 다르게 취급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동위 원소의 원자 수는 같지만 결합 방식이 다른 두 분자를 구조 아이소토포머라고 한다.
4. 1. 예시
화학에서 일반적으로 동일한 원소의 동위 원소 간의 구별은 무시된다. 그러나 일부 상황(예: 라만, NMR, 또는 마이크로파 분광법)에서는 동일한 원소의 서로 다른 동위 원소를 다른 원소로 취급할 수 있다.예를 들어 에텐은 두 개의 수소 원자(1H)를 중수소 원자(2H)로 대체하면 두 개의 구조 아이소토포머(1,1-디데우테로에텐 및 1,2-디데우테로에텐) 중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두 탄소 원자가 동일한 동위 원소인 경우). 또한 두 탄소가 다른 동위 원소(예: 12C 및 13C)인 경우, 1-13C-1,1-디데우테로에텐은 1-13C-2,2-디데우테로에텐과 다르므로 세 개의 별개의 구조 아이소토포머가 존재한다. 두 경우 모두 1,2-디데우테로 구조 아이소토포머는 두 개의 입체 아이소토포머, 즉 ''시스''와 ''트랜스''로 나타난다.
5. 구조적 동등성과 대칭성
분자의 구조적 대칭성은 분자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최소 두 개의 원자를 교환하는 원자의 순열로 정의할 수 있다. 두 원자가 구조적으로 서로를 변환하는 구조적 대칭성이 있다면, 이들은 동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12]
예를 들어, 메테인의 네 수소 원자는 임의로 순서를 바꿔도 분자의 모든 결합이 보존되므로 모두 구조적으로 동등하다. 에테인(Ethane|에테인영어)의 여섯 수소 원자와 두 탄소 원자 또한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프로페인의 수소 원자는 모두 구조적으로 동등하지 않다. 첫 번째와 세 번째 탄소에 붙은 여섯 개의 수소는 에테인처럼 동등하며, 중간 탄소에 붙은 두 개의 수소는 서로 동등하지만, 이 두 동치류 사이에는 동등성이 없다.
모분자의 원자 간 구조적 동등성은 해당 원자를 다른 원소나 작용기로 치환하여 얻을 수 있는 위치 이성질체의 수를 줄여준다. 예를 들어 에테인의 수소 원자 간 구조적 동등성으로 인해 에탄올의 구조 이성질체는 하나뿐이다. 프로페인의 수소는 두 개의 구조적 동등성 부류로 나뉘어 1-프로판올과 2-프로판올 두 가지 위치 이성질체만 존재한다. 부탄올도 위치 이성질체가 2개, 펜탄올이나 헥산올은 3개뿐이다.
5. 1. 구조적 동등성
두 분자(다원자 이온 포함) A와 B가 있을 때, A의 각 원자가 B의 같은 원소 원자와 일대일 방식으로 짝을 이룰 수 있고, A의 모든 결합에 대응하는 원자 간에 동일한 유형의 결합이 B에 존재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면, 두 분자는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고 한다.[6] 이 조건은 비편재 결합과 벤젠 분자 및 기타 방향족 화합물의 결합과 같이 3개 이상의 원자가 관련된 복합 결합에도 적용된다.상황에 따라서는 각 원자가 동일한 원소뿐만 아니라 동일한 동위 원소의 원자와 짝을 이루도록 요구할 수도 있다.
두 분자는 분자식이 같지만 구조가 같지 않은 경우 구조 이성질체(또는 동위원소가 중요한 경우 구조 동위체)라고 할 수 있다.
5. 2. 구조적 대칭성과 동등한 원자
분자의 구조적 대칭성은 분자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최소 두 개의 원자를 교환하는 원자의 순열로 수학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두 원자가 구조적으로 서로를 변환하는 구조적 대칭성이 있다면 동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12]예를 들어, 메테인의 네 개의 수소 원자는 모두 구조적으로 동등하다. 왜냐하면 그들의 임의의 순열은 분자의 모든 결합을 보존할 것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에테인(Ethane|에테인영어)의 여섯 개의 수소는 서로 구조적으로 동등하며, 두 개의 탄소도 마찬가지이다. 임의의 수소는 단지 두 개의 원자를 교환하는 순열에 의해서든, 또는 두 개의 탄소를 교환하고 한 메틸 그룹의 각 수소를 다른 메틸의 다른 수소와 교환하는 순열에 의해서든, 다른 수소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두 작업 모두 분자의 구조를 보존한다. 이것은 또한 사이클로펜테인, 알렌, 2-뷰타인, 헥사메틸렌테트라민, 프리스만, 큐베인, 도데카헤드레인 등의 수소 원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반면에, 프로페인의 수소 원자는 모두 구조적으로 동등하지 않다. 첫 번째 및 세 번째 탄소에 부착된 여섯 개의 수소는 에테인과 같이 동등하며, 중간 탄소에 부착된 두 개는 서로 동등하지만, 이 두 동치류 사이에는 동등성이 없다.
모분자의 원자 간 구조적 동등성은 다른 원소 또는 작용기로 해당 원자를 치환하여 얻을 수 있는 위치 이성질체의 수를 줄여준다. 예를 들어, 에테인의 6개의 수소 간의 구조적 동등성은 에탄올의 구조 이성질체가 6개가 아닌 1개만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페인의 8개의 수소는 두 개의 구조적 동등성 부류(메틸기에 있는 6개와 중심 탄소에 있는 2개)로 분할된다. 따라서 프로판올의 위치 이성질체는 2개(1-프로판올과 2-프로판올)뿐이다. 마찬가지로 부탄올의 위치 이성질체는 2개, 펜탄올 또는 헥산올의 위치 이성질체는 3개뿐이다.
5. 3. 치환에 의한 대칭성 파괴
모분자에 치환이 이루어지면, 일반적으로 구조적 대칭성이 감소하며, 이는 이전에 동일했던 원자들이 더 이상 그렇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일한 원소로 두 개 이상의 동일한 원자를 치환하면 둘 이상의 위치 이성질체가 생성될 수 있다.5. 3. 1. 예시
벤젠의 유도체는 고전적인 구조 이성질체의 예시이다. 벤젠의 6개의 수소는 모두 구조적으로 동일하며, 6개의 탄소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수소를 염소로 치환하면 단 하나의 클로로벤젠만 생성된다. 그러나 두 번째 치환부터는 위치 이성질체가 생성될 수 있다. 나머지 5개의 수소는 세 가지 다른 등가 클래스(''오르토'', ''메타'', ''파라'')로 분류된다. 따라서 수소를 염소로 두 번째 치환하면 세 개의 위치 이성질체, 즉 1,2- 또는 ''오르토''-, 1,3- 또는 ''메타''-, 1,4- 또는 ''파라''-다이클로로벤젠이 생성될 수 있다.오르토-다이클로로벤젠 | 메타-다이클로로벤젠 | 파라-다이클로로벤젠 |
---|---|---|
![]() | ![]() | ![]() |
1,2-다이클로로벤젠 | 1,3-다이클로로벤젠 | 1,4-다이클로로벤젠 |
같은 이유로 페놀 (하이드록시벤젠)은 하나만 존재하지만, 벤젠다이올은 세 개, 톨루엔 (메틸벤젠)은 하나지만, 자일렌은 세 개이다.
두 번째 치환(동일한 치환체)은 분자의 대칭성을 보존하거나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다음 치환에 대한 등가 클래스 수를 보존하거나 줄일 수 있다. ''메타''-다이클로로벤젠의 나머지 4개의 수소는 여전히 세 개의 클래스로 분류되는 반면, ''오르토''-의 수소는 두 개의 클래스로 분류되고, ''파라''-의 수소는 다시 모두 동일하다. 그래도 이 3 + 2 + 1 = 6개의 치환 중 일부는 동일한 구조를 생성하므로 구조적으로 구별되는 트라이클로로벤젠은 1,2,3-, 1,2,4-, 1,3,5- 세 가지뿐이다.
1,2,3-트라이클로로벤젠 | 1,2,4-트라이클로로벤젠 | 1,3,5-트라이클로로벤젠 |
---|---|---|
각 단계의 치환체가 서로 다른 경우 일반적으로 더 많은 구조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하나의 하이드록실 치환체와 두 개의 메틸 치환체를 가진 벤젠인 자일레놀은 총 6개의 이성질체를 갖는다.
2,3-자일레놀 | 2,4-자일레놀 | 2,5-자일레놀 |
---|---|---|
![]() | ||
2,6-자일레놀 | 3,4-자일레놀 | 3,5-자일레놀 |
![]() |
6. 이성질체 열거 및 계산
구조 이성질체를 열거하거나 계산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다. 여러 결합 유형(비편재 결합 포함), 고리 구조, 원자가 또는 기하학적 제약으로 인해 실현될 수 없는 구조, 분리할 수 없는 호변이성질체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분자식 C3H6O를 가지는 구조 이성질체는 9가지가 있는데, 그중 7개는 상온에서 안정하다. 나머지 2개는 프로피온알데히드와 아세톤의 엔올 호변이성질체이지만 안정적이지 않다.
6. 1. 고려 사항
구조 이성질체를 열거하거나 파악하는 것은 여러 가지 요인들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이다. 고려해야 할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다양한 결합 유형 (비편재 결합 포함)
- 고리 구조
- 원자가 또는 기하학적 제약으로 인해 실현될 수 없는 구조
- 분리할 수 없는 호변이성질체
예를 들어, 분자식 C3H6O를 가지며 서로 다른 결합 연결성을 갖는 9개의 구조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이 중 7개는 실온에서 공기 중에서 안정하며, 아래 표에 나타나 있다.
화합물 | 분자 구조 | 녹는점 (°C) | 끓는점 (°C) | 비고 |
---|---|---|---|---|
알릴 알코올 | –129 | 97 | ||
사이클로프로판올 | 101–102 | |||
프로피온알데히드 | ![]() | –81 | 48 | 시스와 트랜스 입체 이성질체 형태를 모두 갖는 프로프-1-엔-1-올과 호변이성질체 관계 |
아세톤 | –94.9 | 56.53 | 프로펜-2-올과 호변이성질체 관계 | |
옥세탄 | ![]() | –97 | 48 | |
프로필렌옥사이드 | ![]() | –112 | 34 | 두 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를 가짐 |
메틸 비닐 에테르 | ![]() | –122 | 6 |
두 개의 구조 이성질체는 카보닐 이성질체(프로피온알데히드와 아세톤)의 엔올 호변이성질체이지만, 이는 안정적이지 않다.
6. 2. 예시
분자식 C3H6O를 가지며 서로 다른 결합 연결성을 갖는 9개의 구조 이성질체가 있다. 이 중 7개는 실온에서 공기 중에서 안정하며, 아래 표에 나와 있다.화합물 | 분자 구조 | 녹는점 (°C) | 끓는점 (°C) | 비고 |
---|---|---|---|---|
알릴 알코올 | –129 | 97 | ||
사이클로프로판올 | 101–102 | |||
프로피온알데히드 | –81 | 48 | 시스와 트랜스 입체 이성질체 형태를 모두 갖는 프로프-1-엔-1-올과 호변이성질체 관계 | |
아세톤 | –94.9 | 56.53 | 프로펜-2-올과 호변이성질체 관계 | |
옥세탄 | –97 | 48 | ||
프로필렌옥사이드 | –112 | 34 | 두 개의 거울상 이성질체 형태를 가짐 | |
메틸 비닐 에테르 | –122 | 6 |
두 개의 구조 이성질체는 카보닐 이성질체(프로피온알데히드와 아세톤)의 엔올 호변이성질체이지만, 이는 안정하지 않다.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the History of Science
https://archive.org/[...]
2014
[2]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3]
저널
Constitutional isomerism
https://goldbook.iup[...]
IUPAC
2014-07-19
[4]
서적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006
[5]
서적
Introduction to Organic and Biochemistry
2009
[6]
서적
Useful Principles in Chemistry for Agriculture and Nursing Students
2018
[7]
웹사이트
Structural isomerism
http://www.chemguide[...]
2000
[8]
서적
Stereochemistry and Stereoselective Synthesis: An Introduction
Wiley-VCH
2016
[9]
서적
Macmillan Dictionary of Chemistry
1987
[10]
서적
Contemporary Theory of Chemical Isomerism
https://books.google[...]
1986
[11]
서적
General, Organic, and Biological Chemistry
2015
[12]
서적
Handbook of Chemoinformatics Algorithms
2010
[13]
서적
A Textbook of Science for the Health Professions
1997
[14]
서적
岩波理化学辞典第5版
岩波書店
1998-02-20
[15]
서적
岩波理화학사전 제 5판
岩波書店
1998-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