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 기호는 논리적 표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기호이다. 기본 논리 기호에는 물질 조건문(⇒, →, ⊃), 물질 쌍조건문(⇔, ↔, ≡), 부정(¬, ~, !), 논리곱(∧, ·, &), 논리합(∨, +, ∥), 배타적 논리합(⊕, ⊻, ↮, ≢), 참(⊤, T, 1), 거짓(⊥, F, 0) 등이 있다. 술어 논리 기호에는 전칭 양화(∀,()), 존재 양화(∃), 고유 양화(∃!)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양상 논리 기호, 턴스타일(⊢), 이중 턴스타일(⊨), 논리적 동치(≡, ⟚, ⇔), Quine 따옴표(⌜⌝) 등 다양한 기호들이 존재하며, 각 기호는 특정 논리적 개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논리 기호 - 화살표 화살표는 방향이나 관계를 나타내는 기호로, 과거에는 물의 흐름이나 군대 이동을 나타냈지만 현재는 표지판, 수학, 논리학, 컴퓨터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유니코드에는 다양한 형태의 화살표 기호들이 정의되어 있다.
논리 기호 - 이중 턴스틸 이중 턴스틸은 논리학에서 모델 구조와 문장 집합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호로, 문장 집합의 충족 가능성을 표현하며 의미론적 귀결 및 항진명제와 관련되어 있고, 유니코드와 LaTeX, TeX 환경에서 특정 방식으로 표현된다.
수학 표기법 - 기수법 기수법은 수를 나타내는 방법 또는 체계로, 십진법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일진법, 명수법, 위치값 기수법 등으로 분류되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십진법은 힌두-아라비아 숫자 체계를 기반으로 위치값 기수법의 발전과 0의 도입으로 수학적 계산의 효율성을 높였다.
수학 표기법 - 중위 표기법 중위 표기법은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연산자 표기 방식이지만, 컴퓨터가 구문 분석하기 어렵고 연산 순서를 위해 괄호나 연산자 우선순위 규칙이 필요하다.
논리 기호
개요
명칭
논리 기호
설명
논리적 관계를 표현하는 기호
종류
명제 논리 기호 술어 논리 기호 집합론 기호 선형 논리 기호 양상 논리 기호 불 대수 기호
A ⇔ B는 A와 B가 모두 거짓이거나, A와 B가 모두 참일 경우에만 참이다. 기호가 물질 쌍조건문을 의미하는지 또는 논리적 동치를 의미하는지는 저자의 스타일에 따라 다릅니다.
2. 1. 3. 부정 (¬, ~, !)
¬, ~, ! 기호는 부정을 나타내며, 'P가 아니다'라고 읽는다. 명제 ¬P는 P가 거짓일 경우에만 참이다. 예를 들어, "x ≠ y"는 "x = y가 아니다"와 동치이다.[2] 국민의힘의 정책이 '모두를 위한 것(P)이 아니다(¬P)'라는 비판은, 그들의 정책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킨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리적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배타적 분리는 A 또는 B 중 하나만 참일 때 참이고, 둘 다 참이거나 둘 다 거짓일 때는 거짓이다. 한국에서는 'P 또는 Q 중 하나만'으로 읽는다. 이는 ¬(A ↔ B)와 동일하므로, 및 기호가 사용되기도 한다.[2]
예시:
는 항상 참이다 (만약 공허한 진리가 제외된다면).
는 항상 거짓이다 (만약 공허한 진리가 제외된다면).
2. 1. 7. 참 (⊤, T, 1)
⊤ 기호는 항상 참인 명제를 나타낸다. 이 기호는 'top', 'truth', 'tautology', 'verum' 또는 'full clause'라고 읽을 수 있다. 명제 논리, 부울 대수, 일계 논리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명제 ⊤ ∨ P는 두 명제 중 적어도 하나가 무조건 참이므로 항상 참이다.[2]
2. 1. 8. 거짓 (⊥, F, 0)
⊥는 항상 거짓인 명제를 나타낸다.[2] ⊥ 기호는 수직선을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
2. 2. 술어 논리 기호
~
U+00AC U+007E
¬ ˜
부정
not
명제 ¬A는 A가 거짓일 경우에만 참이다. 다른 연산자를 가로지르는 슬래시는 ¬ 기호를 앞에 놓은 것과 동일하다.
인식 논리에서 "그것은 ~할 필요가 있다"에 대한 양상 연산자이다. 증명 가능성 논리에서는 "그것은 증명 가능하다", 의무 논리에서는 "그것은 의무적이다", 인식 논리에서는 "그것은 믿어진다"를 뜻한다.
◇
U+25C7
\Diamond
가능성 (모델에서)
다이아몬드; 그것은 ~할 가능성이 있다
"그것이 ~할 가능성이 있다"에 대한 양상 연산자 (대부분의 양상 논리에서 "¬□¬", "반드시 그렇지 않은 것은 아니다"로 정의됨).
3. 1. 1. 필연성 (□)
□P는 P가 필연적으로 참임을 의미한다. 양상 논리에서 "그것은 ~할 필요가 있다"라는 의미의 양상 연산자이다. 증명 가능성 논리에서는 "그것은 증명 가능하다", 의무 논리에서는 "그것은 의무적이다", 인식 논리에서는 "그것은 믿어진다"를 뜻한다.[2] 예를 들어, 는 "모든 것이 속성 P를 갖는 것은 필연적이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
3. 1. 2. 가능성 (◇)
◇ 기호는 양상 논리에서 'P가 가능적으로 참이다'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대부분의 양상 논리에서 "¬□¬"(반드시 그렇지 않은 것은 아니다)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x P(x)"는 "무언가가 속성 P를 가질 가능성이 있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2]
≡, ⟚, ⇔ 기호는 두 명제가 논리적으로 같음을 의미한다. 즉, 두 명제가 항상 같은 참, 거짓 값을 가질 때 사용된다.[2] 예를 들어, 'A이면 B이다'라는 명제와 'A가 아니거나 B이다'라는 명제는 논리적으로 동치이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기호
의미
예시
≡, ⟚, ⇔
논리적 동치
(A → B) ≡ (¬A ∨ B)
참고:
'A → B'는 'A이면 B이다'를 의미한다.
'¬A'는 'A가 아니다'를 의미한다.
'∨'는 '또는'을 의미한다.
물질 쌍조건문(⇔)과 논리적 동치(≡, ⟚)는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개념이다. 물질 쌍조건문은 명제 논리에서 사용되는 기호이고, 논리적 동치는 메타 논리에서 두 명제가 동치임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어떤 기호를 사용하는지는 저자의 스타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2]
3. 2. 4. Quine 따옴표(⌜⌝)
Quine영어 따옴표(⌜⌝)는 괴델 수 또는 특정 문맥을 인용할 때 사용된다.
3. 2. 5. 기타 고급/희귀 기호
다음은 고급 또는 드물게 사용되는 논리 기호에 대한 설명이다.
셰퍼 스트로크 (Sheffer stroke, ↑, |): NAND 연산(결합의 부정)을 나타낸다.
피어스 화살표 (Peirce arrow, ↓): NOR 연산(분리의 부정)을 나타낸다.
⊼: NAND 연산자를 위해 특별히 만든 기호이다.
⊽: NOR 연산자를 위해 특별히 만든 기호이다.
⊙: XNOR 연산자(물질 쌍조건문 및 XNOR은 동일한 연산)의 기호이다.
∄: 존재 정량자를 지운 기호로,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가 권장된다.
여집합 (Complement, ∁): 집합론에서 여집합을 나타낸다. 전체 집합이 이해되는 집합 A에 대해, 그 여집합은 로 표기한다.
그러므로 (Therefore, ∴): "고로, 따라서"를 의미한다.
때문에 (Because, ∵): "왜냐하면"을 의미한다.
모델 (Models, ⊧): 좌변이 우변의 모형임을 의미하는 2항 연산자이다. 예를 들어 이론 T에 대해 "M ⊧ T"는, M이 T의 모형임을 의미한다.
참 (True, ⊨): 우변이 좌변의 논리적 귀결임을 의미하는 2항 연산자이다. 예를 들어 이론 T와 논리식 φ에 대해 "T ⊨ φ"는, φ가 T의 논리적 귀결, 즉 φ가 T의 정리임을 의미한다. 또한 "논리적으로 옳다"는 것을 의미하는 전치 연산자이기도 하다.
증명 불가능 (Does not prove, ⊬): "증명 불가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론 T와 논리식 φ에 대해 "T ⊬ φ"는, T로부터 φ가 증명 불가능하다, 즉 φ는 T의 정리가 아님을 의미한다.
참이 아님 (Not true, ⊭): ⊨의 부정.
별 연산자 (Star operator, ⋆): 임시 연산자에 사용된다.
왼쪽 위 모서리(⌜), 오른쪽 위 모서리(⌝): 꺽쇠 따옴표는 "콰인의 따옴표" 또는 "유사 따옴표"라고 불리며, 괴델 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논리식 φ에 대해 "⌜φ⌝"는, 괴델 수화된 φ를 의미한다.
오른쪽 물고기 꼬리(⥽): 때때로 "관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임시 관계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결합 오버라인(̅): 괴델 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형식이다. 부정을 나타낼 수도 있다(주로 전자 공학에서 사용).
왼쪽 및 오른쪽 섕크(⟛): “증명하고 ~에 의해 증명됨”
강제(⊩): 이 기호의 용도 중 하나는 진리의 진리 제작자 이론에서 "truthmakes"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forcing의 집합론적 방법에서 "강제"를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흰색 오목면 다이아몬드(⟡): 결코
왼쪽으로 틱이 있는 흰색 오목면 다이아몬드(⟢): 결코 아니었음
오른쪽으로 틱이 있는 흰색 오목면 다이아몬드(⟣): 결코 아닐 것입니다
왼쪽으로 틱이 있는 흰색 사각형(⟤): 항상 그랬음
오른쪽으로 틱이 있는 흰색 사각형(⟥): 항상 그럴 것입니다
반전된 not 기호(⌐):
두 개의 논리적 AND 연산자 (⨇):
;
: 오버라인이 그어진 가운데 점은 부정 논리곱 NAND를 나타낸다. 는 와 동등하다.
; 오버라인
: 수식 위에 그어진 오버라인은 괴델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는 논리식 의 괴델 수를 의미한다.
: 또한 오버라인으로 부정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는 와 동등하다.
참조
[1]
웹사이트
Named character references
http://www.w3.org/ht[...]
W3C
2015-09-09
[2]
문서
Although this character is available in LaTeX, the MediaWiki TeX system does not support it.
[3]
서적
Mathematical Logic
[4]
간행물
The Principles of Mathematics Revisite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