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란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놀란도마뱀붙이는 꼬리까지 최대 16cm까지 자라는 큰 도마뱀붙이류이다. 발가락에 빨판이 없는 대신 빗 모양의 비늘이 있어 모래 위를 걷기에 적합하며, 담황색 또는 황갈색 바탕에 검은 줄무늬나 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중동,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서부 등지에 분포하며, 사막과 반건조 지역에서 서식한다. 야행성으로 곤충 등을 먹고, 위협을 받으면 꼬리를 휘두르거나 자절하는 방어 행동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라비안 반도의 파충류 - 나터러도마뱀붙이
정보 부족으로 위키백과 등재에 필요한 어원, 분포, 특징, 번식 등의 주요 내용이 아직 작성되지 않은 종이 나터러도마뱀붙이이다. - 1858년 기재된 파충류 - 플로리다지렁이도마뱀과
플로리다지렁이도마뱀과는 뱀목 지렁이도마뱀류에 속하는 파충류 과로, 사지 없이 고리 모양 비늘로 덮여 지렁이와 유사하며 숲과 관목지에서 굴을 파는 습성이 있고 IUCN 적색 목록에서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된다. - 1858년 기재된 파충류 - 서부줄무늬도마뱀붙이
서부줄무늬도마뱀붙이는 북미 남서부와 멕시코 북서부에 서식하며, 줄무늬나 점무늬, 환상 무늬 꼬리, 튀어나온 눈과 움직일 수 있는 눈꺼풀이 특징인 야행성 도마뱀붙이로, 곤충 등을 먹고 끽끽거리는 소리를 내거나 꼬리를 자르는 자절 능력을 가진다.
놀란도마뱀붙이 | |
---|---|
기본 정보 | |
![]() | |
분류학적 정보 | |
속 | 놀란도마뱀붙이속 |
종 | 놀란도마뱀붙이 |
학명 | Teratoscincus scincus |
명명자 | 헤르만 슐레겔(:en:Schlegel, 1858) |
동의어 | Stenodactylus scincus (슐레겔, 1858) Teratoscincus scincus (불랑제, 1885) |
2. 형태
놀란도마뱀붙이는 다 자라면 꼬리까지 16cm에 이르는 큰 도마뱀붙이류이다. 머리는 넓고, 눈은 크며, 사지는 길고 튼튼하고 꼬리는 짧다. 대부분의 도마뱀붙이류와 달리 발가락에 기어오르기 위한 빨판이 없으며, 대신 비늘이 빗처럼 나있어서 모래 위를 걷기에 최적화되어 있다.[7] 머리의 비늘은 특히 작은데, 반면에 몸통과 특히 꼬리의 비늘은 크다. 성체는 담황색 혹은 황갈색 바탕에 뚝뚝 끊어진 검은 줄무늬나 불규칙적인 검은 점들이 나있다. 밑부분은 하얗다. 막 깨어난 유체는 좀 더 색깔이 화려하며, 밝은 노란색 바탕에 검은 줄무늬가 나있다.[7]
놀란도마뱀붙이의 지리학적 분포 범위는 중동,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서극단을 포함하며 이란 서부, 아프가니스탄 서부, 발루치스탄과 파키스탄 북부로 뻗어나가 카스피해 동쪽, 중국 서부, 아라비아반도의 쿠웨이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오만,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에 이른다.[6] 모식지(type locality)는 중국, 카자흐스탄의 일리강 계곡이다.[1] 우즈베키스탄의 페르간스카야 계곡에 서식하는 ''T. s. rustamowi''는 놀란도마뱀붙이의 아종이었으나,[8] 이후 ''Teratoscincus rustamowi''라는 이름의 종으로 승격되었다.[9]
놀란도마뱀붙이의 전형적인 서식지는 사막과 반건조 지역, 모래언덕과 자갈 평원이다.[7][2]
놀란도마뱀붙이는 야행성이며, 낮에는 시원하고 습하게 지내기 위해 깊은 굴을 판다. 먹이로는 곤충과 도마뱀 따위의 다양한 동물을 먹는다.[10] 지상에서 공격받으면 끽끽대거나 쉿쉿대며, 꼬리를 휘둘러 큰 비늘로 상처를 입히기도 한다. 도발당하면 위협 자세를 취하는데, 발끝으로 땅을 디디고 등을 구부리며, 목구멍을 크게 벌리고 입을 넓게 벌린 채 꼬리를 휘두른다. 계속해서 도발하면 끽끽대면서 앞으로 돌진해 적을 물기도 한다. 방어 전략으로 꼬리를 자절할 수도 있다.[7][2][5]
[1]
웹사이트
"''Teratoscincus scincus'' (Schlegel, 1858)"
http://reptile-datab[...]
The Reptile Database
2019-01-31
3. 분포
4. 서식
5. 생태
참조
[2]
웹사이트
Common wonder gecko (''Teratoscincus scincus'')
https://www.arkive.o[...]
Wildscreen Arkive
2019-01-31
[3]
서적
The Reptiles of Northern Eurasia: Taxonomic Diversity, Distribution, Conservation Status
https://books.google[...]
Pensoft Publishers
[4]
EMBL species
[5]
서적
Freshwater: Environmental Issues, Glob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6]
웹인용
"''Teratoscincus scincus'' (Schlegel, 1858)"
http://reptile-datab[...]
The Reptile Database
2019-01-31
[7]
웹인용
Common wonder gecko (''Teratoscincus scincus'')
https://www.arkive.o[...]
Wildscreen Arkive
2019-01-31
[8]
서적
The Reptiles of Northern Eurasia: Taxonomic Diversity, Distribution, Conservation Status
https://books.google[...]
Pensoft Publishers
[9]
EMBL species
[10]
서적
Freshwater: Environmental Issues, Glob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