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라비아반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비아 반도는 아시아 대륙에 위치하며, 페르시아만, 호르무즈 해협, 아라비아해, 아덴만, 홍해 등에 접해 있는 반도이다. 사막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북쪽은 시리아 사막과 경계가 불분명하다. 주요 산맥으로는 하자르 산맥, 도파르 산맥, 사르와트 산맥 등이 있으며, 최고봉은 예멘의 안나비 슈아이브 산이다. 정치적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오만, 예멘, 바레인으로 나뉜다. 고대에는 아라비아 사막과 시리아 사막을 포함하는 더 넓은 지역을 지칭했으며, 로마 시대에는 아라비아 펠릭스, 아라비아 데세르타 등으로 구분되었다. 7세기에 이슬람이 발흥하여 아라비아 반도를 지배적인 종교로 만들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거쳐 20세기 초 현대 국가들이 형성되었다. 2023년 기준 인구는 약 9,390만 명이며, 리야드, 제다, 쿠웨이트 시티 등이 주요 도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라비아반도 - 아라비아판
    아라비아판은 아라비아반도를 중심으로 터키까지 걸쳐 있으며, 과거 아프리카판의 일부였으나 홍해 열곡대 분리 후 유라시아판으로 이동하며 자그로스산맥을 형성하고, 아프리카판과의 경계에는 사해 단층이 있어 지진 활동이 활발하다.
  • 아라비아반도 - 룹알할리 사막
    룹알할리 사막은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 아랍에미리트에 걸쳐 있는 광대한 모래 사막으로, 붉은 주황색 모래 언덕과 소금 평원이 있으며, 초건조 기후 속에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풍부한 석유 매장량을 자랑한다.
  • 아시아의 반도 - 인도차이나반도
    인도차이나반도는 동남아시아의 일부로 인도와 중국 사이에 위치하여 양국의 문화적 영향을 받았으며, 현재 본토 동남아시아로도 불리며 티베트 고원에서 뻗어 나온 산맥과 주요 강들로 이루어져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 등의 국가가 위치하고 이들은 모두 ASEAN 회원국이다.
  • 아시아의 반도 - 아나톨리아
    아나톨리아는 '동쪽'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다양한 문명의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터키의 아시아 지역을 지칭하고, 풍부한 고고학 유적과 역사적, 문화적 다양성을 지닌 지역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아라비아반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아라비아 반도
원어 이름
로마자 표기shibhu l-jazīra l-ʿarabiyya
리터럴 번역아랍의 섬
위치서아시아
면적3,237,500 km²
인구약 95,000,000명 (2023년 추정)
인구 밀도29.0000명/km²
민족아랍인
데모님아랍인, 아라비아인
지리
최고점나비 슈아이브 산 (3,666m)
해역홍해, 아라비아해
대륙/섬유라시아 대륙
국가
구성국바레인
이라크
요르단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예멘
수도리야드
도시 정보
주요 도시리야드
제다
두바이
사나
메카
샤르자
무스카트
아부다비
담맘
메디나
바스라
아덴
쿠웨이트 시티
타이즈
타이프
기타
인간 개발 지수 (HDI)0.819 (2022년)
최상위 도메인.sa

2. 지리

루브알할리는 더 큰 아라비아 사막의 일부이다


아라비아 반도는 아시아 대륙에 위치하며, 북동쪽으로는 페르시아만, 동쪽으로는 호르무즈 해협오만만, 남동쪽으로는 아라비아해, 남쪽으로는 아덴만과 가르다후이 해협, 남서쪽과 서쪽으로는 바브엘만데브 해협홍해에 접해 있다.[1] 반도의 북쪽은 시리아 사막과 이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의 북쪽 국경, 그리고 이라크요르단의 남부 지역을 반도의 북쪽 경계로 본다.[1]

반도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사막이지만, 남서쪽에는 다른 지역보다 비가 많이 내리는 산맥이 있다. 하라트 아시샴은 아라비아 북서부에서 요르단시리아 남부까지 뻗어 있는 거대한 화산 지대이다.[18]

아라비아 반도는 대부분 사막으로 덮여 있으며, 중앙에서 북부에는 다하나 사막 및 나프드 사막, 남동쪽에는 룹알할리 사막이 펼쳐져 있다. 남부와 남동부 연안 지역은 계절풍의 영향으로 농경에 적합한 온난 습윤 기후를 보인다. 홍해 연안에는 남북으로 산맥이 이어지며, 최고봉은 반도 남서부의 안나비 슈아이브 산(Jabal an Nabi Shu'ayb)으로 해발 3666m이다.[84]

정치적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오만, 예멘으로 나뉘며, 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 앞바다에 바레인이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의 80%를 차지하지만, 국토 대부분은 불모의 사막 지대이며, 경작지는 전체의 1.4%에 불과하다.[85]

2. 1. 지형

아라비아 반도는 아시아 대륙에 위치하며, 여러 바다와 해협으로 둘러싸여 있다. 북동쪽으로는 페르시아만, 동쪽으로는 호르무즈 해협오만만, 남동쪽으로는 아라비아해, 남쪽으로는 아덴만과 가르다후이 해협, 남서쪽과 서쪽으로는 바브엘만데브 해협홍해가 있다.[1] 반도의 북쪽은 시리아 사막과 이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의 북쪽 국경, 그리고 이라크요르단의 남부 지역을 반도의 북쪽 경계로 본다.[1]

반도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사막이지만, 남서쪽에는 다른 지역보다 비가 많이 내리는 산맥이 있다. 하라트 아시샴은 아라비아 북서부에서 요르단시리아 남부까지 뻗어 있는 거대한 화산 지대이다.[18]

노출된 암석은 아라비아 전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가장 오래된 암석은 홍해 근처의 아라비아-누비아 순상지에서 볼 수 있다. 페르시아 만 쪽으로 갈수록 더 젊은 초기 퇴적물이 덮여 있다. 세마일 오피올라이트는 지구상에서 가장 잘 보존된 오피올라이트 중 하나로, 아랍에미리트와 오만 북부의 산악 지대에 드러나 있다.

아라비아 반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중앙 고원인 나즈드는 비옥한 계곡과 목초지가 있어 양과 기타 가축을 방목하는 데 사용된다.
  • 여러 사막: 북쪽의 네푸드 사막(돌이 많은 사막),[28] 남쪽의 룹알할리 사막 (모래가 지표면 아래 약 182.88m까지 뻗어 있는 것으로 추정됨), 그 사이의 다흐나 사막.[29][30][31]
  • 홍해 쪽에는 산호초가 있는 건조하거나 습지인 해안선(티하마)이 펼쳐져 있다.
  • 동아라비아의 오아시스와 습지 해안 지대. 아인 토후국(타와미 지역)과 호푸프/알아흐사(현대 사우디아라비아)가 중요하다.[31]
  • 남서부 몬순 해안선인 도파르와 예멘 동부(마흐라).


아라비아 반도에는 호수나 영구 하천이 거의 없다. 대부분의 지역은 우기가 아닐 때는 건조한 일시적 수로인 와디에 의해 물이 빠진다. 그러나 반도 아래에는 풍부한 고대 대수층이 있으며, 이 물이 지표면으로 나오는 곳에는 오아시스가 형성된다. 알하사와 카티프는 세계에서 가장 큰 오아시스 중 두 곳이다. 대추야자 재배가 활발하여, 이 반도는 세계 어느 지역보다 많은 대추를 생산한다. 일반적으로 매우 덥고 건조하지만, 고도가 높은 지역은 온화하며, 아라비아해 해안선은 여름에 시원하고 습한 바람을 받을 수 있다. 반도에는 울창한 숲이 없고, 사막에 적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한다.

약 762.00m가 넘는 고원이 아라비아 반도의 대부분에 걸쳐 펼쳐져 있다. 이 고원은 홍해 연안의 절벽에서 페르시아 만의 얕은 물까지 동쪽으로 경사져 있다. 내륙은 ''쿠에스타''와 계곡이 특징이며, ''와디'' 시스템에 의해 배수된다. 초승달 모양의 모래와 자갈 사막이 동쪽에 있다.

아라비아 반도의 대부분은 농업에 적합하지 않아 관개 및 간척 사업이 필수적이다. 육지 면적의 1% 미만인 좁은 해안 평야와 오아시스에서는 곡물, 커피, 열대 과일을 재배한다. 염소, 양, 낙타 사육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진다. 오만과 예멘의 도파르와 알마흐라 지역은 여름에 고온다습한 열대 계절풍 기후를 보여 대규모 코코넛 농장이 가능하다. 예멘의 대부분은 열대 계절풍 강우의 영향을 받는 산악 기후를 가진다. 평원은 일반적으로 열대 또는 아열대 건조 사막 기후 또는 건조 스텝 기후를 갖는다.

아라비아 반도를 둘러싼 바다는 열대 해양 생물이 풍부하고, 크고 깨끗한 산호초를 가진 열대 바다이다. 홍해 산호와 공생하는 원생동물과 주산셀은 해수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독특한 적응력을 가지고 있어, 다른 인도태평양 산호해와 달리 산호 백화 현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이 산호초들은 대규모 관광, 다이빙 등의 인간 간섭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페르시아만은 해안 건설 활동으로 인해 산호초의 손실과 퇴화를 겪고 있다.[42]

예멘의 비옥한 토양은 해발 0m부터 약 3048.00m에 이르는 산악 지대까지 정착을 유도했다. 고지대에서는 곡물, 과일, 커피, 생강, 카트 재배를 위해 계단식 논이 조성되었다. 아라비아 반도는 석유 생산으로 유명하다.[43]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UCI) 주도 연구에 따르면, 2003~2013년 NASA의 중력 회복 및 기후 실험(GRACE) 위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세계에서 가장 과도하게 이용되는 대수층 시스템은 아라비아 대수층 시스템이며, 6천만 명 이상이 이곳에 의존하여 물을 얻고 있다.[44] 37개의 가장 큰 대수층 중 21개는 "지속 가능성 한계점을 초과하여 고갈되고 있으며", 그중 13개는 "심각한 고갈로 간주된다".[44]

2. 1. 1. 산맥



반도의 동쪽, 남쪽, 북서쪽 경계에는 산맥이 있으며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북동쪽: 아랍에미리트와 오만의 하자르 산맥[31]
  • 남동쪽: 오만 남부의 도파르 산맥[31]은 예멘 동부의 하드라마우트 산맥과 연결되어 있다.[32][33]
  • 서쪽: 홍해의 동해안에 접해 있는 사르와트 산맥[29]은 예멘 동쪽의 하라즈 산맥[30]과 아시르(한때 예멘의 일부였음)[34] 및 헤자즈[35][36]의 산맥을 포함하며, 후자에는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북서부에 있는 미디안 산맥이 포함된다.[32]
  • 북서쪽: 사르와트 산맥 외에도 사우디아라비아 북부에는 자발 샴마르 산맥이 있으며, 여기에는 아자와 살마 산맥이 포함된다.[31]
  • 중앙: 나즈드에는 투와이크 절벽[32] 또는 투와이르 산맥[31]이 있다.


헤자즈(Hejaz)에서 남쪽으로 산맥은 예멘에 가까워질수록 서쪽으로 고도가 꾸준히 높아지며, 가장 높은 봉우리와 산맥은 모두 예멘에 위치해 있다. 사르와트 산맥의 하라즈 산맥에 있는 가장 높은 봉우리인 안나비 슈아이브 산 또는 자발 하두르는 3666m 높이이다.[29][30] 비교적 투와이르, 샴마르, 도파르 산맥은 일반적으로 1000m를 넘지 않는다.[31]

반도의 모든 산이 눈에 띄게 산맥 내에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아랍에미리트와 오만의 국경에 있는 자벨 하피트(Jebel Hafeet)는 1100m 에서 1300m 사이의 높이를 가지며,[40][41] 하자르 산맥 내에 있지는 않지만, 그 산맥의 변방(outlier)으로 간주될 수 있다.

2. 1. 2. 수계

아라비아 반도에는 호수나 영구 하천이 거의 없다. 대부분의 지역은 우기가 아닌 경우 건조한 일시적 수로인 와디에 의해 배수된다. 그러나 반도 대부분의 아래에는 풍부한 고대 대수층이 존재하며, 이 물이 지표면으로 나오는 곳에는 오아시스가 형성된다(예: 세계에서 가장 큰 오아시스 중 두 곳인 알하사와 카티프). 특히 대추야자를 재배하여 이 반도는 세계 어느 지역보다 많은 대추를 생산할 수 있었다.[31]

2. 1. 3. 해안

아라비아 반도는 아시아 대륙에 위치하며, 시계 방향으로 북동쪽은 페르시아만, 동쪽은 호르무즈 해협오만만, 남동쪽은 아라비아해, 남쪽은 아덴만과 가르다후이 해협, 남서쪽과 서쪽은 바브엘만데브 해협홍해에 접해 있다.[1] 반도의 북쪽은 시리아 사막과 합쳐지지만, 일반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의 북쪽 국경, 이라크와 요르단의 남부 지역이 반도의 북쪽 경계로 간주된다.[1]

아라비아 반도는 홍해, 아카바만, 아라비아해, 아덴만, 페르시아만, 오만만 등에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 기슭은 이라크요르단에 해당한다.

해안 지역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 홍해 쪽에는 산호초가 있는 건조하거나 습지인 해안선(티하마)이 펼쳐져 있다.
  • 동아라비아에는 오아시스와 습지 해안 지대가 있다. 아인 토후국(타와미 지역)과 호푸프/알아흐사(현대 사우디아라비아)가 중요하다.[31]
  • 남서부 몬순 해안선인 도파르와 예멘 동부(마흐라)가 있다.

2. 2. 기후

아라비아 반도는 매우 덥고 건조한 사막 기후가 일반적이지만, 예외적인 지역도 있다. 고도가 높은 지역은 고도 때문에 온화하며, 아라비아해 해안은 여름에 시원하고 습한 바람을 받을 수 있다. 반도에는 울창한 숲은 없다. 사막에 적응한 야생 동물이 이 지역 전역에 서식한다.

산맥이 있는 남서쪽 지역은 다른 지역보다 강수량이 많다. 동아라비아오아시스와 습지 해안 지대 중 가장 중요한 곳은 아인 토후국(타와미 지역)과 호푸프/알아흐사(현대 사우디아라비아)이다.[31] 남서부 몬순 해안선인 도파르와 예멘 동부(마흐라)는 여름에 고온다습한 열대 계절풍 기후를 보인다. 예멘의 대부분은 열대 계절풍 강우의 영향을 받는 산악 기후를 가지고 있다. 평원은 일반적으로 열대 또는 아열대 건조 사막 기후 또는 건조 스텝 기후를 갖는다.

아라비아에는 호수나 영구 하천이 거의 없고, 대부분 와디에 의해 배수된다. 그러나 반도 아래에는 풍부한 고대 대수층이 있으며, 오아시스가 형성되어 대추야자를 재배하여 이 반도는 세계 어느 지역보다 많은 대추를 생산할 수 있었다.

아라비아 반도를 둘러싼 바다는 일반적으로 매우 풍부한 열대 해양 생물과 세계에서 가장 크고 깨끗한 산호초를 가진 열대 바다이다. 홍해 산호와 공생하는 원생동물과 주산셀은 해수 온도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독특한 더위 적응력을 가지고 있어, 다른 인도태평양 산호해와 달리 온도 상승으로 인한 산호 백화 현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페르시아만은 해안 건설 활동으로 인해 산호초의 상당한 손실과 퇴화를 겪고 있다.[42]

2015년 6월 16일 수자원 연구에 발표된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UCI)) 주도 연구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과도하게 이용되는 대수층 시스템은 아라비아 대수층 시스템이며, 6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이곳에 의존하여 물을 얻고 있다.[44]

반도 남부에서 남동부에 걸친 연안 지역은 계절풍의 영향으로 농경에 적합한 온난 습윤 기후를 보인다.

2. 3. 정치적 경계

아라비아 반도를 구성하는 국가들


아라비아 반도는 북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남쪽 순서대로 동쪽에 쿠웨이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남동쪽에 오만, 남쪽에 예멘, 그리고 중앙에 사우디아라비아가 있다. 섬나라 바레인은 반도의 동쪽 해안 바로 앞에 위치해 있다.[1] 예멘이 소코트라 군도에 대한 관할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도의 지정학적 윤곽은 남쪽으로 가르다후이 해협과 소말리아 해를 마주하고 있다.[19]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의 여섯 개 국가는 걸프 협력 이사회(GCC)를 구성한다.[20]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은 반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반도 인구의 대다수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예멘에 거주하고 있다.[21] 반도에는 세계 최대의 석유 매장량이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는 경제적으로 이 지역에서 가장 부유하다. 더 큰 반도에 있는 페르시아만의 유일한 반도 국가인 카타르는 아랍어 방송국 알자지라와 그 영어 자회사 알자지라 영어 방송의 본거지이다. 이라크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쿠웨이트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국가이며, 미국이 주도한 2003년 이라크 침공을 위한 연합군의 주요 집결지 중 하나를 형성했다.

정치적으로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오만, 예멘으로 나뉘어 있으며,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 앞바다에 바레인이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의 80%의 면적을 차지하지만, 그 광대한 국토의 대부분은 불모의 사막 지대이며, 경작지는 전체의 1.4%에 불과하다.[85]

3. 어원

고대에는 "아라비아"라는 용어가 현재의 "아라비아 반도"보다 더 넓은 지역을 포함하여 아라비아 사막시리아-아라비아 사막의 대부분을 아우르고 있었다.[11] 헬레니즘 시대 동안 이 지역은 ''Arabia'' (Ἀραβία|아라비아grc)로 알려져 있었다. 로마인들은 아라비아를 세 지역으로 나누어 불렀다.[11]


  • 페트라 아라비아: 레반트 남부의 이전 나바테아 왕국, 시나이 반도, 아라비아 반도 북서부를 포함한다. 속주가 된 유일한 지역으로, 수도는 요르단페트라였다.[11]
  • 아라비아 데세르타: 아라비아의 사막 지역을 의미했다. 19세기와 20세기까지도 이 명칭으로 사용되었으며, 찰스 M. 도티의 ''아라비아 데세르타 여행기''(1888)에서도 사용되었다.[11]
  • 아라비아 펠릭스: 지리학자들이 아라비아 반도 남부, 주로 현재의 예멘을 묘사하는 데 사용했다. 이 지역은 강우량이 더 많고 반도의 다른 지역보다 훨씬 푸르며 오랫동안 더 생산적인 농경지를 자랑해 왔다.[11]


아라비아인들은 아라비아를 남북으로 나누어 ''아쉬샴'' 대 ''알야만'', 또는 ''아라비아 데세르타'' 대 ''아라비아 펠릭스''로 구분했다.[13] 아라비아 펠릭스는 원래 전체 반도를 가리키는 용어였으나, 다른 때에는 남부 지역만을 가리키기도 했다. 이 용어가 남부 지역으로 한정되면서 전체 반도는 단순히 아라비아라고 불리게 되었다. 아라비아 데세르타는 아라비아 펠릭스에서 북쪽으로 팔미라와 유프라테스 강까지 뻗어 있는 전체 사막 지역을 의미하며, 나일 강의 펠루시움과 바빌론 사이의 모든 지역을 포함했다. 이 지역은 아라비아라고도 불렸으며, 반도와는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았다.[13]

아랍인들과 오스만 제국은 아랍인들이 살던 아라비아 반도 서부 지역을 '아랍인들의 땅' – Bilad al-'Arab(아라비아)로 간주했으며, 주요 지역으로는 bilad al-Sham(레반트), bilad al-Yaman(예멘), 그리고 Bilad al-'Iraq(이라크)가 있었다.[14] 오스만 제국은 유프라테스 강이 시리아로 내려오는 킬리키아부터 시작하여 팔레스타인을 거쳐 시나이 반도와 아라비아 반도의 나머지 지역까지 아우르는 광범위한 지역을 아라비아스탄이라는 용어로 사용했다.[15]

현대 아라비아어 명칭은 شِبْهُ الْجَزِيرَةِ الْعَرَبِيَّةِ(sibh al-jazīra al-ʿarabīya, 시브후 알-자지라 알-아라비야)로, "아라비아 반도", "아랍의 반도"를 의미한다. (아라비아어 발음: shibhu-l-jazīrati-l-ʿarabīya(h), 시브후 루-자지라티 루-아라비야) 그러나 전통적인 명칭은 جَزِيرةُ العَرَبِ(jazirat al-ʿarab, 자지라트 알-아랍, "아랍인들의 섬", "아랍인들의 반도"를 의미)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현대에도 정관사를 붙인 اَلْجَزِيرَة(al-jazīra, 알-자지라)만으로 아라비아 반도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아라비아어의 شِبْه جَزِيرَةٍ(sibh jazīra, 시브흐 자지라)라는 용어는 후대에 만들어진[86] 것으로, 원래 아라비아어에서 명사 جَزِيرَة(jazīra, 자지라)는 "섬", "반도", "중洲", "강으로 둘러싸인 지역"을 가리켰다.[87] 바다뿐 아니라 강으로 둘러싸인 곳이나 강이 많은 지역을 부르는 데에도 사용되었으며, 바다로 돌출된 지형인지 여부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따라서 اَلْجَزِيرَة(al-jazīra, 알-자지라)라고 불리는 지역은 내륙에도 존재한다. 시리아 북부에서 이라크에 이르는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의 메소포타미아 지역도 같은 "알-자지라"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중세에 간행된 아라비아어 사전과 꾸란 주석서의 정의에 따르면, 아라비아 반도는 "아라비아만(페르시아만)과 홍해,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이라는 수역에 의해 각 방향이 둘러싸인 땅"이다. “아라비아(Arabia)”라는 명칭은 “아랍의 땅”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아랍(Arab)”이라는 단어는 “아랍어를 모어로 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84] 그러나 이것은 동어반복이다. 이미 로마 제국 시대부터 아라비아 속주라는 이름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아, 그 이전부터 이 지역은 아라비아라고 불렸을 것이다. 기록에 따르면 아카드인들이 그들을 Arabi라고 불렀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으며,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는 기원전 853년의 아시리아 비문에 나오는 정복된 백성 목록 가운데 “아랍의 왕”이라는 용례가 있다.[84]

4. 역사

아라비아 반도의 역사는 10만 6천 년에서 13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인류 거주 흔적에서 시작된다.[51] 사우디아라비아 북서부 티스 알가다에서 발견된 중기 구석기 시대 석기와 동물 화석은 30만 년에서 50만 년 전 사이에 호미닌들이 "녹색 아라비아"를 통과하여 이동했음을 시사한다.[45] 동부 알카심 주의 슈아이브 알 아드감에서 발견된 20만 년 된 석기는 강 네트워크를 따라 위치한 많은 선사 시대 유적지가 한때 이 지역에 존재했음을 나타낸다.[46] 리야드 주 사파카에서 발견된 아슐리안 석기는 약 18만 8천 년 전에 호미닌이 아라비아 반도에 살았음을 보여준다.[47] 네푸드 사막 알 우스타에서 발견된 호모 사피엔스의 화석 손가락뼈는 약 9만 년 전의 것으로, 아프리카와 레반트 지역 밖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인류 화석이다.[49]

정신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라비아는 정치적으로 이슬람 세계의 변방 지역이 되었으며, 가장 중요한 중세 이슬람 국가들은 다마스쿠스, 바그다드, 카이로와 같은 먼 도시들에 여러 시대에 걸쳐 자리 잡고 있었다. 그러나 10세기부터(사실 20세기까지) 하시미트 메카의 샤리프들은 이 지역에서 가장 발전된 지역인 헤자즈에 국가를 유지했다. 비록 샤리프들이 대부분의 시간 동안 헤자즈에서 독립적인 권한을 행사했지만, 그들은 일반적으로 당시 주요 이슬람 제국의 종주권에 종속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바그다드의 압바스 왕조와 이집트의 파티마 왕조, 아이유브 왕조, 맘루크 왕조가 포함되었다.[66]

아라비아의 포르투갈 식민지

4. 1. 이슬람 이전 시대

아라비아 반도에 인류가 거주한 흔적은 약 10만 6천 년에서 13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1] 이슬람 이전의 아라비아 반도는 척박한 기후 때문에, 역사적으로 반도 서쪽 헤자즈에 위치한 메카메디나 같은 소수의 도시 무역 정착지를 제외하고는 많은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52]

기원전 1000년경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


고고학은 이슬람 이전 아라비아(탐무드 등)에 많은 문명이 존재했음을 밝혀냈으며, 특히 남아라비아에서 그 증거가 두드러진다.[53][54] 남아라비아 문명에는 히므야르 왕국, 아우산 왕국, 마인 왕국, 사바 왕국(일반적으로 성경의 세바 땅으로 여겨짐)이 포함된다. 서기 106년부터 630년까지 북서 아라비아는 로마 제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아라비아 페트라에아로 개명되었다.[55] 중앙 아라비아에는 4세기, 5세기, 6세기 초에 킨다 왕국이 있었다. 동부 아라비아는 딜문 문명의 고향이었다. 아라비아 역사상 가장 오래된 사건은 반도에서 이웃 지역으로의 이주이다.[56]

아라비아 반도는 대부분의 학자들에 의해 오랫동안 셈어족의 원시 고향으로 받아들여져 왔다.[57][58][59][60]

다음은 이슬람 이전 시대의 주요 사건을 정리한 표이다.

시기사건
100만 년 전경호모 에렉투스가 아라비아 반도에 정착[88]
7만 년 전경현생 인류가 아프리카의 뿔에서 아라비아 반도로 출아프리카[89]
2만 4000년 전경아라비아 반도의 다우(多雨) 시대가 끝나고 건조화 시작
1만 5000년 전경아라비아 반도가 건조 상태가 됨
1만 년 전경구석기 시대 시작, 많은 암각화 유적 발견[90]
기원전 4000년기 말딜문의 이름이 기록에 나타남[91][92][93]
기원전 3000년경아라비아 반도에서 관개 농업 시작[94]
기원전 2000년경낙타 가축화 성공, 육상 교역 활발[95]
기원전 1000년경철기 시대 시작, 남아라비아 여러 왕국 번영[96]
기원전 8세기경사바 왕국이 사료에 처음 등장[97]
기원전 323년알렉산드로스 3세의 아라비아 원정 계획 (실현되지 않음)[96]
기원전 2세기경힘야르 왕국 성립, 남아라비아 여러 나라 쇠퇴[98][99]
기원전 26년-25년로마 제국의 아라비아 원정[96]
1세기 후반-2세기경유대인이 아라비아 반도로 이주[100]
5세기경상업 발전, 메카와 야스리브(메디나의 옛 이름) 중심 번영


4. 2. 이슬람의 발흥과 확장

7세기는 이슬람이 아라비아 반도의 지배적인 종교로 부상한 시대였다. 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는 약 570년 메카에서 태어나 610년에 메카에서 처음 설교를 시작했지만, 622년 히즈라를 통해 메디나로 이주했다.[61] 그곳에서 무함마드와 그의 동료들은 아라비아의 부족들을 이슬람의 깃발 아래 하나로 통합하여 최초의 이슬람 국가를 건설했고, 이는 아라비아 반도에 단일 아랍 이슬람 종교 정체성을 확립한 것이었다.

우마이야 칼리파국 (661–750)


이후 라시둔 칼리파국우마이야 칼리파국 시대에는 아랍 세력의 급속한 확장으로 아라비아 반도를 훨씬 넘어 거대한 이슬람 아랍 제국이 형성되었으며, 그 영향력은 북서쪽 인도 아대륙에서 중앙아시아, 중동, 북아프리카, 남부 이탈리아, 이베리아 반도를 거쳐 피레네 산맥에 이르렀다.

632년 무함마드가 사망하자 이슬람 공동체의 지도자를 계승할 사람을 놓고 의견이 분분했다. 무함마드의 저명한 사하바였던 우마르 이븐 알-카타브는 무함마드의 측근이자 동료였던 아부 바크르를 지명했다. 다른 사람들도 지지 의사를 밝혔고, 아부 바크르는 초대 칼리프가 되었다. 이 선택은 무함마드의 사촌이자 사위인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가 그의 계승자로 지명되었다고 생각했던 무함마드의 일부 동료들에 의해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아부 바크르의 긴급한 과제는 비잔틴 제국(또는 동로마 제국)군에 의한 최근 패배에 대한 복수였지만, 먼저 리다 전쟁(또는 "배교 전쟁")으로 알려진 사건에서 아랍 부족들의 반란을 진압해야 했다.[61]

634년 아부 바크르가 사망하자 그는 우마르에게 칼리프 자리를 계승했고, 이후 우스만 이븐 아프판과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가 계승했다. 이 첫 번째 네 명의 칼리프 시대는 ''알-훌라파 알-라시둔'': 라시둔 칼리파국 또는 "올바르게 인도된 칼리파국"]'으로 알려져 있다. 라시둔 칼리프들과 661년부터 그들의

4. 3. 오스만 제국의 지배

오스만 제국의 주 지방군(Arabistan Ordusu)은 팔레스타인, 요르단 지역과 레바논(레바논 산맥은 준자치 무타사리파트였다)을 포함한 시리아에 본부를 두고 있었다. 이 군대는 시리아, 키리키아, 이라크, 그리고 아라비아 반도의 나머지 지역을 담당했다.[67][68]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나즈드 지역으로도 알려진 아라비아 중부 지역을 전혀 통제하지 못했다.

19세기 초, 무함마드 빈 사우드는 와하브 운동의 창시자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 와하브와 힘을 합쳤다.[69] 디리야 토후국은 빠르게 확장하여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의 영토 대부분을 잠시 통치했고, 1802년에는 카르발라를 약탈했으며 1803년에는 메카를 점령했다.[70]

20세기 초, 제1차 세계 대전아랍 반란이 일어났고, 오스만 제국은 붕괴되었다. 셰리프 후세인 이븐 알리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시리아의 알레포에서 예멘의 아덴까지 이르는 단일 통일 아랍 국가를 건설하고자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셰리프 후세인은 1916년 6월 오스만 제국에 맞서 영국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다.

이후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국왕에 의해 사우디아라비아가 건국되었다. 1902년 이븐 사우드는 리야드를 점령하고, 1913년부터 1926년 사이에 알하사, 자발 샴마르, 헤자즈를 정복하여 현대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를 건설했다.

4. 4. 현대 국가들의 형성

1744년부터 1814년까지 제1 사우디 왕국의 확장


1914년 아라비아 반도


제3 사우디 왕국(1902~1934)의 영토 변천


1929년 아라비아의 지리적 및 정치적 요소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이븐 사우드), 사우디아라비아의 건국자이자 초대 국왕


1923년 아라비아 반도


오스만 제국의 아라비아 주둔군(Arabistan Ordusu)은 팔레스타인, 트란스요르단 지역과 레바논(레바논 산맥은 준자치 무타사리파트였다)을 포함한 시리아에 본부를 두고 있었다. 이 군대는 시리아, 키리키아, 이라크, 그리고 아라비아 반도의 나머지 지역을 담당했다.[67][68] 그러나 오스만 제국은 아라비아 중부 지역(나즈드)을 전혀 통제하지 못했다.

알 사우드 가문(사우디 왕가)은 1744년 아라비아 중부 나즈드에서 무함마드 빈 사우드가 와하브 운동의 창시자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 와하브와 힘을 합치면서 시작되었다.[69] 디리야 토후국은 빠르게 확장하여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영토 대부분을 잠시 통치했고, 1802년에는 카르발라를 약탈했으며 1803년에는 메카를 점령했다.[70]

1914년 다마스쿠스 협정에서 헤자즈 토후국 아랍인들은 영국에 독립 보장을 요청했다. 그들의 제안에는 현재 시리아와 이라크 북쪽 국경에 해당하는 선의 남쪽에 있는 모든 아랍 땅이 포함되었다. 그들은 아라비아 반도 남부에 인접한 새로운 아랍 국가 또는 국가 연합을 구상했으며, 여기에는 키리키아 – 이스켄데룬메르신, 쿠웨이트를 포함한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산맥 무타사리파트, 요르단, 그리고 팔레스타인이 포함될 예정이었다.[71]

현대에 들어서 '빌라드 알 야만'이라는 용어는 반도의 남서부 지역을, 아랍 지리학자들은 '자지라트 알 아랍'으로 전체 반도를 부르기 시작했다.

4. 4. 1. 주요 사건

20세기 초 제1차 세계 대전 중 발생한 아랍 반란(1916~1918)과 그 이후 오스만 제국의 붕괴 및 분할은 아라비아 반도의 주요 사건이었다. 셰리프 후세인 이븐 알리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시리아 알레포에서 예멘 아덴까지 이르는 통일 아랍 국가를 건설하고자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셰리프 후세인은 1916년 6월 영국,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오스만 제국에 맞섰다.[69]

이후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국왕이 사우디아라비아를 건국했다. 1902년 이븐 사우드는 리야드를 점령하고, 1913년부터 1926년 사이 알하사, 자발 샴마르, 헤자즈를 정복하여 현대 사우디아라비아를 건설했다. 사우디는 아시르 토후국을 흡수했으며, 1934년 예멘과의 전쟁 이후 확장을 멈췄다. 이븐 사우드 이전에도 두 개의 사우디 국가가 있었으나, 이븐 사우드는 세 번째 사우디 국가를 건설했다.[70]

예멘 내전은 1962년부터 1970년까지 북예멘에서 예멘 왕국 왕당파와 예멘 아랍 공화국 세력 간에 벌어졌다. 공화파 지도자 압둘라 살랄은 쿠데타로 무함마드 알바드르를 폐위시키고 예멘 공화국을 선포했다. 이맘은 사우디아라비아 국경으로 도피하여 지지를 얻었다.[71]

왕당파는 사우디아라비아, 공화파는 이집트와 소련의 지원을 받았다. 외국 군대도 참전했다. 이집트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는 최대 7만 명의 병력을 공화파에 지원했다. 여러 군사 행동과 평화 회담에도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이집트의 전쟁 참여는 1967년 6일 전쟁에 악영향을 미쳤고, 나세르는 예멘에서 병력을 철수하기 시작했다.[71]

1970년 사우디아라비아의 파이살 국왕은 공화국을 승인하고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 이집트 군사 사학자들은 예멘 전쟁에서 이집트의 역할을 미국베트남 전쟁 참전에 비유한다.[73]

1990년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침공하며[74] 1990-91년 걸프 전쟁이 발발했다. 이집트, 카타르, 시리아,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라크에 반대하는 다국적 연합군에 합류했다. 요르단과 팔레스타인의 이라크 지지로 많은 아랍 국가 간 관계가 긴장되었다. 전쟁 후 "다마스쿠스 선언"은 이집트, 시리아, GCC 회원국 간 미래 공동 아랍 방어 동맹을 공식화했다.[75]

2011년 1월, 아랍의 봄이 예멘에 도달했다.[76] 예멘 국민들은 알리 압둘라 살레 대통령의 30년 통치에 항의했다.[77] 시위는 집권 여당 인민총회(GPC)와 살레의 산하니 씨족에 균열을 일으켰다.[78] 살레는 양보와 폭력 전술을 사용했다.[79] 여러 시도 끝에 살레는 걸프 협력회의(GCC) 중재를 수용, 부통령 하디에게 권력을 넘겼고, 하디는 2012년 2월 25일 예멘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하디는 국가 대화를 시작했으나, 후티 반군은 공세를 개시하여 2014년 9월 21일 예멘 수도 사나를 점령했다.[80] 이에 사우디아라비아는 2015년 3월 예멘 군사 개입을 시작했다.[81] 내전, 군사 개입, 봉쇄로 예멘 기근이 발생했다.[82]

  • 100만 년 전경 호모 에렉투스탄자니아를 기원으로 아라비아 반도에 정착했다. 시나이 반도를 경유하여 북쪽에서, 홍해 바브엘만데브 해협을 건너 남쪽에서 침입한 두 집단이 있었다고 여겨진다.[88]
  • 7만 년 전경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의 뿔에서 아라비아 반도로 출아프리카를 이루고,[89] 전 세계로 확산된다.
  • 2만 4000년 전경 아라비아 반도의 다우(多雨) 시대가 끝나고 건조화가 시작된다.
  • 1만 5000년 전경 아라비아 반도가 건조 상태가 된다.
  • 1만 년 전경 구석기 시대에 들어서며, 많은 암각화 유적이 발견된다.[90]
  • 기원전 4000년기 말 페르시아 만 연안에서 메소포타미아 문명이나 인더스 문명과의 교역으로 번영한 딜문이 기록에 나타난다.[91][92][93]
  • 기원전 3000년경 아라비아 반도에서 관개 농업이 시작된다.[94]
  • 기원전 2000년경 낙타 가축화 성공으로 아라비아 반도 사람들이 육상 교역을 담당한다.[95]
  • 기원전 1000년경 철기 시대에 들어선다. 아라비아 반도 남부 여러 왕국이 유향 등 향료를 이집트, 에게 해 지역에 수출하며 번영한다.[96]
  • 기원전 8세기경 사바가 사료에 처음 등장한다. 댐 이용 관개 농업, 향료 생산, 이집트-메소포타미아-인도 간 해상 무역 등으로 경제적 풍요를 누렸다.[97]
  •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3세의 아라비아 원정 계획은 그의 급사로 무산되었다.[96]
  • 기원전 2세기경 예멘에 힘야르 왕국이 성립한다.[98] 기후 변화, 이집트의 해양 교역망 정비로 남아라비아 여러 나라가 쇠퇴한다.[99]
  • 기원전 26년-25년 로마 제국의 아라비아 원정[96]
  • 1세기 후반-2세기경 로마 제국 박해를 피해 유대인이 아라비아 반도로 이주한다.[100]
  • 5세기경 상업 발전으로 메카, 야스리브(메디나의 옛 이름)가 번영한다.
  • 570년경 메카에서 이슬람교 창시자 무함마드가 탄생한다.
  • 622년 초기 이슬람 교단이 메카를 떠나 야스리브로 본거지를 옮긴다. 야스리브는 "예언자의 도시" 메디나 안나비(약칭: 메디나)로 개명된다. 이를 히즈라(성천)라 하며, 히즈라력(태음력) 원년으로 삼는다.
  • 630년 무함마드의 메카 입성. 무함마드 군대가 아라비아 반도를 통일한다.
  • 632년 무함마드 사망. 아부 바크르가 초대 정통 칼리파로 선출된다. 수도는 메카.
  • 661년 우마이야 왕조 성립. 수도는 다마스쿠스로 이전한다.
  • 10세기 후반 히자즈 지방은 파티마 왕조 보호령이 된다.
  • 12세기 후반 아이유브 왕조 건국. 히자즈 지방은 아이유브 왕조 영토가 된다.
  • 1250년 맘루크 왕조 건국. 히자즈 지방은 맘루크 왕조 영토가 된다.
  • 1517년 오스만 제국 세림 1세, 메카·메디나 보호권 획득.
  • 1802년 와합 왕국, 히자즈 지방 진출.
  • 1818년 이집트 총독 무함마드 알리, 와합 왕국 멸망.
  • 1824년 제2차 사우드 왕국 건국.
  • 1891년 제2차 사우드 왕국 멸망. 오만, 영국 보호국이 된다.
  • 1902년 사우드 가문, 리야드 탈환. 사우드 왕국 부흥.
  • 1915년 영국, 아랍 반란 지지 약속(후세인-맥마흔 협정).
  • 1916년 아랍 반란 발발. 히자즈 왕국 성립.
  • 1918년 예멘 왕국 독립.
  • 1920년 오스만 제국, 세브르 조약으로 히자즈 왕국 독립 승인.
  • 1924년 터키 칼리파 제도 폐지. 히자즈 국왕 후세인, 칼리파 자칭하나 지지받지 못하고 고립. 장남 알리 이븐 후세인에게 양위 후 은퇴.
  • 1925년 이븐 사우드, 히자즈 침공. 히자즈 왕국 멸망.
  • 1931년 이븐 사우드, 히자즈-네즈드 왕국 건국 선포.
  • 1932년 히자즈-네즈드 왕국,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으로 개칭.
  • 1951년 가와르 유전 생산 시작. 사우디아라비아에 막대한 부를 가져옴.
  • 1971년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오만, 영국으로부터 독립.
  • 1991년 걸프 전쟁 발발.
  • 1996년 알자지라 개국.
  • 2010년 부르즈 칼리파 준공.

5. 인구

아라비아 반도는 역사적으로 인구 밀도가 낮았지만, 상당한 이주 노동자 유입과 꾸준히 높은 출산율로 인해 급격한 인구 증가를 겪고 있다. 인구는 상대적으로 젊은 층이 많고 남성이 훨씬 많은 성비 불균형을 특징으로 한다. 여러 국가에서는 남아시아 출신 인구가 원주민 인구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특히 페르시아 만 연안에 위치한 작은 국가들(아랍에미리트, 바레인, 카타르, 쿠웨이트)은 20년마다 거의 세 배씩 인구가 증가하는 등 세계에서 가장 극심한 인구 증가를 보여준다.

2014년 아라비아 반도의 추정 인구는 77,983,936명(외국인 포함)이었다.[25] 2023년에는 93,900,000 명으로 증가했다. 아라비아 반도는 세계에서 가장 불균형적인 성비를 보이는 지역 중 하나이며, 일부 지역(특히 동부)에서는 20세에서 40세 사이의 인구 중 여성이 4분의 1에 불과하다.[26]

아라비아 반도의 역사적 인구 (1950-2023)
연도인구
19509,481,713
196011,788,232
197015,319,678
198023,286,256
199035,167,708
200047,466,523
201063,364,000
201477,584,000
201886,221,765
202393,900,000


5. 1. 주요 도시

리야드(사우디아라비아), 아라비아 반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


아라비아 반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11개 도시는 다음과 같다.

순위도시인구
1الرياض|ar-Riyāḍar 리야드7,538,200
2جدة|Jiddaar 제다4,780,740
3مدينة الكويت|Madīnat al-Kuwaytar 쿠웨이트 시티3,238,523
4صنعاء|Ṣanaʿāʾar 사나3,181,655
5دبي|Dubayyar 두바이2,964,382
6مكة|Makkaar 메카2,114,675
7الشارقة|ash-Shāriqahar 샤르자1,785,684
8مسقط|Masqaṭar 무스카트1,622,620
9المدينة المنورة|al-Madīnah al-Munawwarahar 메디나1,545,420
10أبو ظبي|ʾAbū Ẓabyar 아부다비1,539,830
11البصرة|al-Baṣrahar 바스라1,485,000
출처: 2022[27]


참조

[1] 서적 Merriam Webster's Ge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Merriam-Webster 2015-10-19
[2] 웹사이트 Arabia {{!}} peninsula, Asia https://www.britanni[...] 2018-06-07
[3] 서적 Peninsulas https://archive.org/[...] Capstone 2006-04-10
[4]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Geograph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20-05-19
[5] 서적 Encyclopedia of National Dress: Traditional Clothing Around the World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20-05-19
[6] 서적 The Everything Understanding Islam Book: A Complete and Easy to Read Guide to Muslim Beliefs, Practices, Traditions,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20-05-19
[7] 뉴스 15 Largest Peninsulas in the World http://www.worldatla[...] 2017-10-21
[8] 서적 Geopolitics of the World System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2-09-05
[9] 웹사이트 Kingdom of Saudi Arabia – Doing business in the Gulf region – netherlandsworldwide.nl https://www.netherla[...] 2017-05-14
[10] 서적 Mukhtasar Kitab al-Buldan https://referencewor[...] 2021-04-20
[11] 웹사이트 Arabia Petraea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1-02-18
[12] 서적 Arabia, Arabs, and "Arabic" in Greek Documents From Egypt in "New Frontiers of Arabic Papyrology Arabic and Multilingual Texts from Early Islam" Brill
[13] 서적 Pilgrimage and Holy Space in Late Antique Egypt https://books.google[...] BRILL
[14] 서적 A House of Many Mansions: The History of Lebanon Reconsidere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10-19
[15] 서적 Palestine: The Reality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16] 간행물 Review of Reviews and World's Work: An International Magazine The Review of Reviews Corporation
[17] 서적 New International Encyclopedia – 2nd Edition, Dodd, Mead, Co., 1914 https://books.google[...] 2020-10-24
[18] 논문 A transition from strombolian to phreatomagmatic activity induced by a lava flow damming water in a valley 2007-01-01
[19] 논문 The Continuing Conundrum of the Somali Territorial Sea and Exclusive Economic Zone 2015
[20] 서적 Waterology of an Arid Region Elsevier
[21] 웹사이트 Arabian Peninsula Countries 2021 https://worldpopulat[...] worldpopulationreview.com 2021-07-08
[22] 웹사이트 International Programs https://web.archive.[...] 2017-12-14
[23] 웹사이트 Asia: Population Statistics in Maps and Charts for Cities, Agglomerations and Administrative Divisions of all Countries in Asia http://www.citypopul[...] 2014-10-26
[24] 웹사이트 International Programs https://web.archive.[...] 2017-12-14
[25] 웹사이트 The World Fact book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7-08-07
[26] 논문 Demographic and health indicators in Gulf Cooperation Council nations with an emphasis on Qatar
[27] 웹사이트 World City Populations 2022 https://worldpopulat[...] 2020-06-10
[28] 서적 Arabia http://www.wdl.org/e[...] H.M. Stationery Office 2013-09-08
[2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Yeme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0-05-19
[30] 서적 Yemen Bradt Travel Guides 2018-12-29
[31]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https://archive.org/[...] Cavendish Square Publishing 2007
[32] 서적 Gazetteer of Arabia: a geographical and tribal history of the Arabian Peninsula https://books.google[...] Akademische Druck- u. Verlagsanstalt 2020-05-19
[33] 서적 Vegetation of the Arabian Peninsula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20-10-24
[34] 서적 Tertiary laterite of the As Sarat Mountains, Asir Province, Kingdom of Saudi Arabia https://books.google[...] Directorate General of Mineral Resources 2020-05-19
[35] 서적 Patterns of Regional Geography: World regions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20-10-24
[36] 서적 Mecca the Blessed, Medina the Radiant: The Holiest Cities of Islam Tuttle Publishing 2020-10-24
[37] 서적 نيل الوطر من تراجم رجال اليمن في القرن الثالث عشر 1–2 ج1 https://books.google[...] Dar Al Kotob Al Ilmiyah (دار الكتب العلمية) 2020-04-18
[38] 서적 Gazetteer of Arabia https://www.qdl.qa/e[...] Qatar Digital Library 2020-04-17
[39] 웹사이트 Jabal an-Nabī Shu'ayb, Bani Matar, Sanaa, Yemen https://www.mindat.o[...] Mindat.org 2020-04-17
[40] 웹사이트 The reptiles of Jebel Hafeet https://www.research[...] Abu Dhabi Company for Onshore Oil Operations(ADCO) and Emirates Natural History Group 2019-01-14
[41] 서적 Towards the rational use of high salinity tolerant plants: Vol 2: Agriculture and forestry under marginal soil water condition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9-01-13
[42]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Coral Reefs Springer 2011
[43] 웹사이트 The Emergence of the Arabian Oil Industry https://www.geoexpro[...] 2021-04-16
[44] 웹사이트 Study: Third of Big Groundwater Basins in Distress http://www.jpl.nasa.[...] 2015-06-26
[45] 학술지 Fossil herbivore stable isotopes reveal middle Pleistocene hominin palaeoenvironment in 'Green Arabia' https://www.nature.c[...] Nature 2018-11-01
[46] 웹사이트 Saudi Arabia's Qassim stone axe find points to prehistoric 'crossroads' https://www.arabnews[...] 2021-01-02
[47] 학술지 The expansion of later Acheulean hominins into the Arabian Peninsula 2018-11-29
[48] 학술지 The Southern Route "Out of Africa": Evidence for an Early Expansion of Modern Humans into Arabia 2011-01-28
[49] 웹사이트 First human migration out of Africa more geographically widespread than previously thought https://www.eurekale[...] 2018-11-01
[50] 학술지 The Persian plateau served as hub for Homo sapiens after the main out of Africa dispersal 2024-03-25
[51] 웹사이트 Saudi Embassy (US) Website http://www.saudiemba[...] 2011-01-20
[52] 서적 The Rise of Islam https://archive.org/[...] Bloomsbury Academic
[5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Yemen Rowman & Littlefield
[54] 서적 On the Reliability of the Old Testament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55] 서적 Petra Aurum Press Ltd
[56] 서적 History of the Arabs, Revised: 10th Edition
[57] 서적 Introduction to Semitic Comparative Linguistics
[58] 서적 The Language of Palestine and Adjacent Regions
[59] 서적 Historische semitische Sprachwissenschaft
[60]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61] 서적
[62] 서적
[63] 백과사전 Islam
[64] 서적 Islam: Beliefs and Observances (5th ed.)
[6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Middle East (8th ed.)
[66]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History of Arabia https://www.britanni[...] 2011-01-18
[67]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8] 서적 The Politics of Interventionism in Ottoman Lebanon, 1830–1861 https://books.google[...]
[69] 서적 Contemporary Religions: A World Guide Longman
[70] 웹사이트 The Saud Family and Wahhabi Islam http://countrystudie[...]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71] 서적 Palestine Diary Oleander Press 1979
[72] 서적 King Hussein and the Kingdom of Hejaz Oleander Press 1979
[73] 뉴스 The Egyptian-Yemen War: Egyptian perspectives on Guerrilla warfare http://findarticles.[...] Infantry Magazine 2004-01-01
[74] 서적 Kuwait and Iraq: Historical Claims and Territorial Disputes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91
[75] 서적 Egypt's Bid for Arab Leadership: Implications for U.S. Policy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1993
[76] 뉴스 Arab Uprising:Country by Country -Yemen BBC World News
[77] 웹사이트 Arab Spring:A Research & Study Guide:Yemen guides 2019-05-09
[78] 웹사이트 Yemen Uprising of 2011–12
[79] 웹사이트 Arab Spring Workshop:Yemen University Library,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80] 웹사이트 How the Houthis Did It https://foreignpolic[...] 2015
[81] 뉴스 UK, US and France may be complicit in Yemen war crimes – UN repor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9-09-03
[82] 뉴스 The Photos the U.S. and Saudi Arabia Don't Want You to Se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7-08-31
[83] 웹사이트 アラビア http://dictionary.go[...] goo辞書 2014-05-04
[84] 문서 徳永 (2012)
[85] 웹사이트 サウジアラビアの農林水産業概況 http://www.maff.go.j[...] 農林水産省 2014-05-04
[86] 웹사이트 الأخيرة / إسماعيل الشطي: حاولت إعادة بناء صورة صحيحة لإنسان هذه المنطقة http://www.alwasat.c[...] 2022-09-29
[87] 웹사이트 إسلام ويب - حاشية الدسوقي على الشرح الكبير - باب موات الأرض وإحياءها- الجزء رقم4 https://www.islamweb[...] 2022-09-28
[88] 문서 徳永 (2012)
[89] 웹사이트 Searching for traces of the Southern Dispersal http://www.human-evo[...]
[90] 문서 徳永 (2012)
[91] 서적 Dilmun and its Gulf neighbou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92] 논문 Trade or diplomacy? Assyria and Dilmun in the eighteenth century BC http://www.tandfonli[...] 1993
[93] 서적 Dilmun and Its Gulf Neighbours https://books.google[...] 1998
[94] 문서 徳永 (2012)
[95] 문서 徳永 (2012)
[96] 문서 徳永 (2012)
[97] 문서 徳永 (2012)
[98] 서적 古代オリエントの世界 西アジア史
[99] 문서 徳永 (2012)
[100] 문서 徳永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