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뇌격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격기는 어뢰를 장착하고 적 함선을 공격하는 항공기를 의미하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일본, 미국, 영국 등 해군 강국들은 뇌격기를 개발하여 운용했으며, 진주만 공격, 타란토 공습 등 주요 해전에서 뇌격기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뇌격기는 어뢰를 발사하기 위해 일정 고도와 직선 경로를 유지해야 했기에 적의 공격에 취약했지만, 급강하폭격기나 전투기와 협동하여 공격의 효율을 높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함 미사일의 발달로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유도 어뢰의 발전과 함께 대잠 초계기에서 여전히 중요한 무기로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폭격기 - 복스카
    복스카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509 혼성 비행단의 B-29 슈퍼포트리스 폭격기로,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에 팻 맨 원자 폭탄을 투하한 기체이며, 현재 국립 미국 공군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폭격기 - 투폴레프 PAK DA
    투폴레프 PAK DA는 러시아에서 개발 중인 차세대 장거리 전략 폭격기로, 스텔스 기술을 적용한 아음속 전익기 형태이며, 투폴레프 Tu-95와 Tu-160을 대체하고 극초음속 미사일을 포함한 첨단 무기를 탑재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2025년에서 2030년 사이에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뇌격기
개요
나카지마 B5N2 뇌격기가 요크타운에 어뢰를 투하하는 모습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해군 항공대의 나카지마 B5N2 뇌격기가 미 해군 항공모함 요크타운 (CV-5)에 어뢰를 투하하는 모습 (1942년 6월 4일 미드웨이 해전)."
유형군용기, 공격기
용도대함 공격
상세 정보
개발1910년대 ~ 1940년대
사용1914년 ~ 1950년대
파생해상 초계기
역할뇌격
탑재 무기어뢰
관련 군사 교리해군 항공
역사
기원"제1차 세계 대전: 항공기가 전쟁에 사용되기 시작하며, 항공기를 이용한 대함 공격의 필요성이 제기됨."
초기에는 수상기나 개조된 폭격기가 사용됨.
발전"제2차 세계 대전: 항공모함의 등장과 함께 뇌격기가 중요한 공격 수단으로 자리 잡음."
전용 뇌격기가 개발되어 태평양 전쟁 등에서 활약함.
퇴조"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사일 기술의 발달로 뇌격기의 필요성이 감소함."
대부분의 뇌격기가 퇴역하고, 다목적 공격기로 대체됨.
특징
주요 임무어뢰를 사용하여 적의 함선을 공격하는 것이 주 임무임.
운용 방식항공모함이나 육상 기지에서 발진하여 목표 해역으로 이동함.
저공으로 접근하여 어뢰를 투하하거나, 급강하 폭격 방식으로 공격함.
약점저공 비행으로 대공포화에 취약함.
어뢰의 명중률이 낮고, 회피 기동이 어려움.
종류
주요 뇌격기"나카지마 B5N (일본): 진주만 공습에서 활약한 대표적인 뇌격기임."
"더글러스 TBD 데버스테이터 (미국): 초기 미 해군의 주력 뇌격기였으나, 태평양 전쟁 초기에 큰 피해를 입음."
"그루먼 TBF 어벤저 (미국): 더글러스 TBD 데버스테이터를 대체한 미 해군의 주력 뇌격기임."
"페어리 소드피시 (영국): 복엽기 형태의 뇌격기로, 타란토 공습에서 큰 활약을 함."
"아브로 랭커스터 (영국): 중폭격기에서 뇌격기로 개조되어 사용됨."
기타
관련 용어어뢰
항공모함
해군 항공
급강하 폭격
참고 자료
관련 서적뇌격기 관련 서적 (제목, 저자)
관련 웹사이트뇌격기 관련 웹사이트 링크

2. 제2차 세계 대전의 뇌격기

제2차 세계 대전은 뇌격기가 가장 활발하게 사용된 시기이다. 각국은 뇌격 전용 항공기를 개발하거나 기존 폭격기를 개조하여 뇌격 임무에 투입했다. 일본 제국 해군은 급강하폭격 능력이 없는 대신 어뢰나 대형 폭탄을 탑재할 수 있는 항공기를 함상 공격기로 분류했다. 미국 해군은 어뢰 공격을 주 임무로 하는 항공기를 뇌격폭격기(Torpedo Bomber)로 분류했다. 영국의 뇌격기는 영국 공군 해안 항공 사령부(RAF Coastal Command)의 육상 뇌격기와 영국 해군 함대 항공대(Fleet Air Arm)의 함상 뇌격기로 구분된다. 독일은 Fi-167을 소수 운용했고, Ju-87을 항공모함용 뇌격기로 개조했으나 실제로는 사용하지 못했다. 이탈리아는 사보이아-마르케티 SM.79 등을 뇌격기로 활용했다.

2. 1. 미국

미국 해군은 어뢰 공격을 주 임무로 하는 항공기를 뇌격폭격기(Torpedo Bomber)로 분류했다. 미 해군 기체에는 뇌격·폭격을 할 수 있는 기체임을 의미하는 TB 부호가 붙여졌으며, D는 더글러스, F는 그러먼, M은 제너럴모터스 이스턴항공기부문을 의미한다.

  • TBD 데바스테이터
  • TBF/TBM어벤저

PBY카탈리나는 어뢰 두 발을 탑재할 수 있었지만 실전 뇌격 임무에 투입된 적은 없었다.[1] 미 육군 또한 B-26 등 중형 폭격기를 뇌격에 활용했으나, 이후에는 주로 반동 폭격을 사용했다.

2. 2. 영국

영국의 뇌격기는 공군 해안 항공 사령부(RAF Coastal Command)의 육상 뇌격기와 해군 함대 항공대(Fleet Air Arm)의 함상 뇌격기로 구분된다.

; 육상 뇌격기

  • 비커스 윌드비스트
  • 브리스톨 보포트
  • 브리스톨 보파이터TF


; 함상 뇌격기

제2차 세계 대전 중 페어리 바라쿠다 편대


소드피쉬 뇌격기는 독일 해군의 전함 비스마르크호에 어뢰공격을 가했다.

; 수상 뇌격기

  • 포커 T.VIII

2. 3. 일본

일본 제국 해군은 급강하폭격 능력이 없는 대신 어뢰나 대형 폭탄을 탑재할 수 있는 항공기를 함상 공격기로 분류했다. 96식 육상공격기와 1식 육상공격기는 뇌격이 가능하고 급강하 폭격이 불가능하여 일본 해군에서는 공격기로 분류되었다.[23] 타이완-오키나와 항공전 이후에는 육군의 4식 중폭격기 '히류' 일부가 해군 지휘하에 뇌격기로 사용되었으며, 해군에서는 뇌격기형 4식 중폭격기 '히류'를 '공격기·야스쿠니'라고 불렀다.

2. 3. 1. 초기 뇌격용 함상 공격기

일본 제국 해군은 급강하폭격 능력이 없는 대신 대형 폭탄이나 어뢰를 탑재하고 장거리 작전이 가능한 3좌석 폭격기를 함상공격기라고 불렀다.[23] 무거운 어뢰를 탑재하고 급강하폭격이 가능한 강도를 가진 항공기는 엔진 출력 문제로 제2차 세계 대전 후기까지 제작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급강하폭격 임무를 수행하는 기체와 뇌격 및 수평폭격 임무를 수행하는 기체가 나뉘어 전자를 '폭격기', 후자를 '뇌격기'라고 불렀다.

요코스카 해군 공창의 조병부는 비행기를, 조기부는 엔진을 만들었지만, 항공기용 강재의 열처리 기술조차 없어 그라인더 공구를 사 모으는 것부터 시작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장교들이 비행기 조종을 배우고 비행기 제작에 도전했으며, 1914년에 이르러서야 한 달에 2대의 항공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23]

이후 일본 해군은 외국산 항공기를 모방하는 대신, 1928년부터 중일 전쟁 발발 전인 1937년까지 10년간 외국 의존을 버리고 자체 연구, 개발, 생산 기술을 충실히 하는 데 힘썼다. 항공기 개발 설계 기술은 점차 서구 수준에 접근했고, 신형 항공기 설계 채용 시 특정 회사 지정 설계나 복수 회사 경쟁 설계를 시도했다. 1931년에는 '설계자는 일본 국민으로 한정하고 외국인의 도움을 배제한다'는 제령을 설치하여 국산 기술 발전을 촉진했다.[24]

1924년 이후 태평양 전쟁 개시 전까지의 뇌격기(공격기)는 다음과 같다.

항공기명설명
13식 함상 공격기삼엽식 10식 함상 뇌격기를 기반으로 복엽으로 재설계한 최초의 본격적인 공격기. 조종성이 양호하여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89식 함상 공격기둔중하고 고가여서 곧 퇴출되었다.
92식 함상 공격기13식 함상 공격기의 각 부분을 대폭 개량한 기종.
93식 함상 공격기 (별명 93식 육상 공격기)대형 항공모함용 대형 쌍발 함상기를 목표로 했지만, 실용화되지 못했다.
96식 육상 공격기1936년에 탄생한 일본 항공기 설계사상 획기적인 기종. 단엽의 선진적인 설계로 비행 속도가 빠르고 기체 중량의 절반을 탑재할 수 있는 획기적인 항공기로, 육상 기지에서 장거리 도양 공격을 가능하게 했다.[25]
96식 함상 공격기1936년 11월에 제식 채용된 천으로 덮인 복엽 고정 다리 기체. 97식 함상 공격기의 성공으로 생산 대수는 200대 정도에 그쳤다.
97식 함상 공격기1937년에 등장한 당시 세계 수준을 뛰어넘은 함상 공격기 (B5N).
텐잔 함상 공격기1941년에 탄생한 97식 함상 공격기보다 최고 속도가 100km/h 정도 빠른 고성능 함상 공격기. 종전 시까지 개량 및 생산이 계속되었다.
류세이 함상 공격기1942년 말 첫 비행한 급강하 폭격이 가능한 대일본 제국 최후의 함상 공격기. 급강하 폭격이 가능하지만 공격기로 분류되었으며, 뛰어난 고속 성능과 운동 성능을 가진 걸작기였다. 그러나 양산의 어려움과 전황 악화로 114대만 생산되었다.


2. 4. 독일

독일은 Fi-167을 소수 운용했고,[21] Ju-87을 항공모함용 뇌격기로 개조했으나 실제로는 사용하지 못했다.[21] Ju-88, He-111, Do-217 등의 수평폭격기 일부도 어뢰 탑재가 가능했다.[21]

2. 5. 이탈리아

이탈리아는 사보이아-마르케티 SM.79, 사보이아-마르케티 SM.84, Z.506 등을 뇌격기로 활용했다.

3. 겸용기

제2차 세계 대전 중반, 함선의 방어력 강화와 뇌격기의 기민한 운동성 요구 증대로 인해 급강하 폭격기와 뇌격기의 성능 차이가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미국 해군과 일본 해군은 급강하 폭격과 뇌격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겸용기를 개발했다.


  • A-1 스카이레이더(함상공격기)
  • 류세이
  • 긴가 (분류는 폭격기지만 류세이와 마찬가지로 뇌격기(육상뇌격기)와 급강하폭격기를 겸하는 기체이다.)


류세이는 일부 사용되었지만, 실질적으로 미국과 일본 모두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실전 배치에 성공하지 못했다. A-1은 한국 전쟁 이후에 사용되었지만, 어뢰를 사용한 것은 수풍댐 공격 단 한 번뿐이었다. 이후에는 미사일을 탑재하여 공격기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후일 A-6 인트루더나 F/A-18 호넷과 같은 함상공격기의 시초가 되었다.

일본의 류세이 (혜성) 뇌격기


영국 해군은 항공모함 함재기 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투기에 뇌격 기능을 추가한 '전투 뇌격기'를 개발했다. 원래 급강하 폭격기는 전투기 역할도 수행할 수 있었지만, 뇌격기에 전투기 기능을 부여한 것은 영국 해군이 유일했다.[1]

  • 블랙번 파이어브랜드
  • 웨스트랜드 와이번[1]


이 기체들은 현대 다목적 전투기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독일은 포케불프 Fw-190, 이탈리아는 피아트 G.55를 개조하여 뇌격 전투기를 시험 제작했지만, 실용화되지는 않았다.[1]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함 미사일의 발달로 공중 발사 어뢰의 중요성은 감소하였다.[1] 그러나, 유도 어뢰의 발달로 대잠전 및 해상 초계기에서는 어뢰가 여전히 유효한 무기로 사용되고 있다.[1]

한국 전쟁 중 화천댐(파로호)을 상대로 미국 해군 더글러스 A-1 스카이레이더가 뇌격기 공격을 수행한 것이 마지막 뇌격기 공격으로 알려져 있다.[1] 조선인민군 공군은 1980년대에 세계 마지막 운용 뇌격기를 퇴역시켰다.[1]

P-3 오라이온이 대잠수함 어뢰를 투하하고 있다


냉전 동안, 많은 해상 공격기 및 헬리콥터가 유도 어뢰를 발사할 수 있게 되었지만, 탐지 및 추적 능력이 훨씬 뛰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뇌격기로는 언급되지 않는다.[1]

5. 전술

뇌격기는 어뢰를 발사하기 위해 일정 고도와 직선 경로를 유지해야 했기 때문에 적 전투기와 대공포화에 취약했다. 특히 어뢰는 파도 위에서 물에 착륙할 때 손상되기 쉬웠고, 이상적으로는 파도의 바닥을 노려야 했지만 실제로는 달성하기 어려웠다.[22]

1930년대에 일본 제국 해군은 표적 함선의 양쪽에서 동시에 공격하는 "모루 공격" 전술을 개발했다. 이 전술은 표적 함선의 선수에서 약 45도 각도로 두 그룹의 뇌격기가 접근하여 함선의 양쪽에 위치, 같은 거리에서 어뢰를 발사하여 함선의 기동에 관계없이 명중을 보장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공격은 조정이 어려워 실제로는 드물었다.[22]

어뢰 공격 전술의 발전
전술내용장점단점
모루 공격두 그룹의 뇌격기가 함선의 양쪽 선수 45도 각도에서 동시 접근, 어뢰 발사함선 기동과 관계없이 명중률 높음공격 조정이 어려움, 실제 사용 드묾



뇌격기는 급강하 폭격기, 전투기 등과 협동 공격을 통해 효과를 극대화했다. 예를 들어, 전함 ''야마토'' 공격 당시, 전투기는 기관총으로 함선을 사격하여 대공포 사격을 억제하고, 급강하 폭격기는 혼란을 야기하고 상부 손상을 입혀 뇌격기의 공격을 지원했다. 전함 ''무사시'' 공격에도 유사한 전술이 사용되었다.[22]

협동 공격의 예시
공격 대상협동 공격 내용결과
전함 야마토전투기의 기관총 사격으로 대공포 억제, 급강하 폭격기의 상부 손상 공격, 뇌격기의 어뢰 공격총 12발의 어뢰와 8발의 폭탄 명중, 야마토 격침
전함 무사시전투기의 기관총 사격으로 대공포 억제, 급강하 폭격기의 상부 손상 공격, 뇌격기의 어뢰 공격19발의 어뢰와 17발의 폭탄 명중, 무사시 격침



그러나 공격자들이 제공권을 확보하거나 기습에 성공하지 못하면 뇌격기는 큰 손실을 입었다. 미드웨이 해전에서 어뢰 제8비행대(VT-8)는 전투기 엄호 없이 공격하다가 조지 H. 게이 주니어 소위를 제외하고 모두 격추되었다. 어뢰 제6비행대(VT-6)도 비슷한 운명을 겪었다.[2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근접 신관 등 대공 무장의 발달로 인해 어뢰 공격을 포함해 항공기에 의한 적함에의 육박은 일반적이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대함 미사일과 같은 다른 공격 수단으로 대체되었다.

6. 저명한 뇌격기 조종사


  • 카를로 에마누엘레 부스칼리아
  • 조지 H. W. 부시
  • 케네스 캠벨
  • 찰스 에드먼즈
  • 유진 에스몬드
  • 후치다 미쓰오
  • 조지 H. 게이 주니어
  • 존 켈빈 콜쉬
  • 존 모팻
  • 울버트 M. 무어
  • 존 C. 월드론

참조

[1] 서적 The world's great bombers Barnes and Noble 1990
[2] 특허 US patent 1032394
[3] 서적 Documents relating to the Royal Naval Air Service 1908-18 Navy Records Society 1969
[4] 서적 Shorts aircraft 1914-18 Putnam 1957
[5] 서적 Jackson 1993
[6] 간행물 Wight Elephants: Murray Sueter's Quest for a Large Military Aircraft Key Publishing 1998-01
[7] 서적 The Short 184 Profile Publications 2001
[8] 서적 Naval aviation in the First World War: Its impact and influence Caxton 2002
[9] 서적 The complete encyclopaedia of world aircraft Noble and Barnes 1977
[10] 서적 Sea Battles of World War Two in close-up Ian Allan 1988
[11] 서적 Beaufort Special Ian Allan 1976
[12] 서적 The Grand Alliance
[13] 서적 The Loss of the Bismarck
[14] 서적 Sunburst: the rise of Japanese naval air power 1909-41 Naval Institute Press 1991
[15] 서적 Sea battles in close-up Ian Allan 1988
[16] 서적 The Douglas TBD Devastator Profile Publications 1967
[17] 서적 The quiet warrior a biography of Admiral Raymond A. Spruance Naval Institute Press 1987
[18] 서적 Miracle at Midway Viking 1983
[19] 서적 The Eagle and the Rising Sun: The Japanese-American War 1941–43 Norton and Co. 2004
[20] 뉴스 The Real Story of the Yamato Sinking Grosse Pointe News 2008-03-06
[21] 문서 US Air launched 5 inch rockets 2006
[22] 문서 A Dawn Like Thunder
[23] 서적 海軍航空史話 1944
[24] 서적 海軍航空史話 1944
[25] 서적 海軍航空史話 194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