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멘은 어원적으로 "머리를 끄덕임"을 의미하며, 고대 로마 종교에서 신이나 황제의 신성한 힘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 개념이다. 누멘은 의인화되지 않은 힘의 표현으로, 로마 황제 숭배에서 살아있는 황제의 수호령을 나타내기도 했다. 누멘은 키케로, 베르길리우스, 타키투스 등 다양한 저술가들에 의해 언급되었으며, 융의 심리학에서도 초자연적인 에너지의 원천으로 묘사되었다. 또한, 고대 로마 종교의 전(前) 정령주의적 단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힌두교의 브라만, 신토의 가미 등 다른 사회에서도 유사한 개념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기론 - 영혼
    영혼은 육체와 정신 활동을 관장하는 인격적 실재 또는 영원불멸의 존재를 의미하며, 종교에서 핵심 개념으로 다뤄지고 사후 세계와 관련되어 다양한 종교와 철학에서 해석되며, 과학적으로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여러 분야에서 탐구되고 철학적으로도 논의되는 개념이다.
  • 생기론 - 쿤달리니
    쿤달리니는 힌두교에서 척추 기저부에 잠재된 우주 에너지로, 각성 시 척추를 따라 상승하며 각 차크라를 통과해 다양한 각성과 신비 체험을 유발하고, 시바파, 샤크티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티베트 불교의 조크림 수행과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고, 준비 상태와 준비되지 않은 상태 모두에서 각성될 수 있으며, 각성 과정에서 쿤달리니 증후군으로 정의되는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로마 신화 - 변신 이야기
    《변신 이야기》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세계 창조부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까지의 역사를 3음보 6보격으로 구성한 서사시로, 신화 속 변신을 소재로 사랑과 인간의 열정을 다루며 신들의 우스꽝스러운 면모를 드러낸다.
  • 로마 신화 - 피그말리온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서 자신의 조각상 갈라테이아를 사랑하여 아프로디테 여신의 도움으로 결혼하게 되는 키프로스의 조각가이며, 예술가가 창조물에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의 원형이자 '피그말리온 효과'와 '피그말리오니즘' 용어의 기원이 되었다.
누멘
일반 정보
의미라틴어: 신성한 정신, 신의 뜻, 신의 권능
동의어라틴어: divina mens(신성한 정신), vis divina(신성한 힘)
특징
특징신, 신성, 또는 신성한 권능을 나타내는 추상적인 개념. 신의 의지, 힘, 현존을 의미하며, 숭배와 경외의 대상
용례개인, 장소, 사물에 깃들어 특별한 힘이나 중요성을 부여하는 신성한 속성.
철학적 의미
키케로키케로: 신의 섭리와 관련된 정신적인 힘, 신성한 지성
루크레티우스루크레티우스: 정신의 힘(numen mentis)

2. 어원

어원적으로 이 단어는 "머리를 끄덕임"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마치 "끄덕이는" 또는 자신의 의지나 존재를 알리는 을 지칭한다. H. J. Rose에 따르면:[8]

>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단순히 "끄덕임", 또는 더 정확하게는, 수동적 형태이므로, "끄덕임에 의해 생성된 것"이며, 이는 ''flamen''이 "부는 것에 의해 생성된 것", 즉, 돌풍인 것과 같다. 이는 "힘의 산물 또는 표현"을 의미하게 되었는데, 주목할 것은 힘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numen''(신성)은 의인화되지 않으며 (개인적인 속성이 될 수는 있지만) ''deus''(신)과 구별되어야 한다.[9]

3. 고대 로마 종교에서의 누멘

라틴어 저술가들은 누멘을 다양하게 정의했다. 누멘은 고대 로마의 황제 숭배에서 살아있는 황제의 수호령, '신성' 또는 신성한 힘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다.[9]

3. 1. 언급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신성한 마음"(divina mens), "모든 것이 다 순종하는 신", "신성한 힘"(vim divinam)을 쓰면서 "사람의 삶에 퍼져있다."라고 하였다. 그것은 징조로서 새들의 움직임과 외침을 일으킨다고 여겼다.[18]

베르길리우스의 외눈박이 거인 폴리페무스가 오디세이에서 눈물을 흘리며 그의 아이네이드에서 눈을 뜬 것을 그는 오디세우스와 그의 부하들이 먼저 "위대한 누미나(magna precati numina)의 도움을 구한다."고 언급한다.[19]

역사가 타키투스아우구스투스의 기일과 관련하여 여론을 검토하면서 '사원과 누멘의 전령으로서 신격화한 그에게 신의 가호'를 바라는 취지의 언급을한다.[20]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카이킬리우스 세쿤두스는 파테르누스(Paternus)에 보내는 편지에서 "권력", "존엄성"및 "위엄"에 대해 열렬히 비난한다. 간단히 말해서 "역사의 누멘"(numen of history)으로도 다루어진다.[21]

루크레티우스는 누멘 멘티스(numen mentis) 또는 '마음의 명령'(bidding of the mind)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22][23] "bidding"은 누멘(numen)이거나 또는 아닐 수도 있다. 마음은 신성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지만, 단순히 인간의 의지와 같은 것으로 다루어지기도 한다.[17]

카를 융은 그의 자서전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As it approaches consciousness it first appears projected in figures like mana, gods, daimons, etc., whose numen seems to be the vital source of energy, and in point of fact is so as long as these supernatural figures are accepted.|그것이 의식에 접근함에 따라 그것이 처음 나타난다. 마나, 신, 다이몬 등으로 불리는 누멘이 투영되어 에너지의 중요한 원천인 것처럼 보여지며 이러한 초자연적 인격이 수용되는 한 실제한다.영어 (기억,꿈,반사상 - Chapter12 II 346)

3. 2. 황제 숭배

티베리우스는 ''Ara Numinis Augusti''를 봉헌하여 아우구스투스의 황제 숭배를 장려했다.[10] 누멘은 고대 로마의 황제 숭배에서 살아있는 황제의 수호령, '신성' 또는 신성한 힘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는 황제를 문자 그대로 신이라고 부르지 않고 숭배하는 수단이었다.[9] 이 맥락에서 "누멘"과 "게니우스"라는 용어는 구별된다.[11]

4. 종교의 전(前)정령주의적 단계로서의 정의

어원적으로 이 단어는 "머리를 끄덕임"을 의미하며, 여기서는 마치 "끄덕이는" 또는 자신의 의지나 존재를 알리는 을 지칭한다. H. J. Rose에 따르면:[8]

>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단순히 "끄덕임", 또는 더 정확하게는, 수동적 형태이므로, "끄덕임에 의해 생성된 것"이며, 이는 ''flamen''이 "부는 것에 의해 생성된 것", 즉, 돌풍인 것과 같다. 이는 "힘의 산물 또는 표현"을 의미하게 되었는데, 주목할 것은 힘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numen'' (신성)은 의인화되지 않으며 (개인적인 속성이 될 수는 있지만) ''deus'' (신)과 구별되어야 한다.[9] "누멘 인에스트"(Numen inest)라는 표현은 오비디우스《축제일》 (III, 296)에 등장하며, "여기에 정령이 있다"로 번역되어 왔다.[12] 그 해석, 특히 "누멘"(numen)의 정확한 의미는 문헌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었다.[13]

이탈리아 고대 종교의 가장 초기 단계에서 자연 세계에 "누미노스한 현존"이 있다고 추정하는 것은, 마치 역사적인 로마 종교와 특히 라틴어 신명의 어원에 남아있는 "만물유기론적" 요소와 같다는 추정은 대중적으로 암시되어 왔지만, 맥고우(2004)에 의해 "대개 학문적인 허구"라고 비판받았다.[14]

5. 다른 사회에서의 유사 개념


  • 브라만 (힌두교)
  • 가미 (신토)
  • 마나 (폴리네시아 신화)
  • 마반 (호주 원주민 신화)
  • 마네투왁 (레나페 신화)
  • 세키나 (유대교)
  • 실라, 이누아 (이누이트 신화)
  • 테오틀 (아즈텍 신화)
  • 매겐 (앵글로색슨 신화)
  • 배키 (발트-핀 신화)

6. 현대 심리학에서의 언급

카를 융은 그의 자서전에서 누멘(numen)을 마나, 신, 다이몬 등과 같이 의식에 투영되는 에너지의 근원으로 보았다. 이러한 초자연적인 존재들이 받아들여지는 한, 누멘은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여겨진다고 언급했다.[17]

참조

[1] encyclopedia numen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2] 웹사이트 De Divinatione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penelope.uchicago.edu
[3] 문서 3. 634.
[4] 웹사이트 Annales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5] 웹사이트 Letters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6] 문서 De Natura rerum
[7] 서적 On the Nature of Things Arthur Humphries
[8] 서적 Primitive Culture in Italy https://archive.org/[...] Methuen & Co.
[9] 서적 The Religion of Ancient Rome http://www.gutenberg[...] Archibald Constable & Co Ltd
[10] 학술지 "Genius" and "Numen" 1969-07
[11] 학술지 Numina Augustorum 1970-05
[12] 문서 Fasti
[13] 학술지 Nvmen inest: 'Animism' in Greek and Roman Religion 1935-10
[14] 문서 The Romans: new perspectives
[15] 서적 Pseudo-Hilarius Metrum in Genesin, Carmen de Evangelio: Einleitung, Text und Kommentar https://books.google[...] Verlag der Österreich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2012-04-09
[16] 학술지 The Pastoral World of Hilarius' "in Genesin" 1989-12
[17] 백과사전 numen http://www.perseus.t[...] Perseus Digital Library
[18] 웹인용 De Divinatione http://penelope.uchi[...] Loeb Classical Library; penelope.uchicago.edu
[19] 문서 아이네이스
[20] 웹인용 Annales http://www.perseus.t[...] Perseus Digital Library
[21] 웹인용 Letters http://www.perseus.t[...] Perseus Digital Library
[22] 서적 인용 On the Nature of Things Arthur Humphries
[23] 서적 인용 On the Nature of Things Arthur Humphr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