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이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몬은 고대 그리스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신과 인간 사이를 연결하는 영적인 존재를 의미한다. 호메로스는 '테오이'(신)와 '다이모네스'를 구분했지만 유사한 존재로 보았고, 플라톤은 다이몬을 지혜로운 존재인 '다에몬'과 연관 지었다. 다이몬은 개인의 운명을 관장하며, 헬레니즘 시대에는 선한 존재인 '아가토다이몬'과 악한 존재인 '카코다이몬'으로 구분되었다. 플라톤의 영향을 받은 신플라톤주의에서는 다이몬을 에로스와 유사한 존재로 보았으며, 기독교에서는 수호 천사나 악마와 연결되기도 했다.

2. 역사적 배경

다이몬은 작은 신성체 또는 정령으로, 종종 추상 개념을 의인화한 존재였다. 필멸자와 신 양쪽 모두의 본성을 가지고 있어, 유령, 지하 영웅, 영적 인도자, 자연의 힘, 또는 신 자체와 유사했다. 발터 부르케르트는 다이몬이 준 신성한 존재라기보다는, 비인격화된 활동의 "독특한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헤시오도스의 신화에 따르면, "위대하고 강력한 인물들은 죽은 후에 다이몬으로 존경받았다…"[19] 영웅의 ''다이몬''은 신전을 건설하여 지역화되었으며, 존경을 표하는 사람들에게 보호와 행운을 부여한다고 믿었다.[19]

플라톤의 사상에 따르면, 각 개인은 탄생 이전에 제비뽑기를 통해 특정한 다이몬을 부여받았다.[19]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하고 사악한 하위 영적 존재로서의 다이몬 개념은 플라톤과 그의 제자 크세노크라테스가 만들었으며,[29] 신플라톤주의 요소와 함께 기독교 교부들의 저서에 수용되었다.

구약성서의 판관기열왕기 등에는 악령이 등장한다. 알렉산드리아유대인이 번역한 그리스어 번역 구약성서인 70인역 성서에서는, "말라크"가 "앙겔로스"로 번역되었다. 한편, 신적이지 않은 정령의 의미는 "다이몬"(또는 중성 명사 "다이모니온")이라는 단어가 담당했는데, 이는 히브리인의 이웃 우상신과 이방의 신, 적대적인 자연령과 자연의 악한 것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세딤", "세이림"을 번역한 것이었다.[30] 신약성서의 그리스어 원전에서 "다이몬"이라는 단어는 늦어도 서기 2세기 초에는 유대-기독교 악령의 개념에 적용되었다.

2. 1. 고대 그리스

호메로스의 저작에서는 ''θεοί|테오이|신들grc''와 ''δαίμονες|다이모네스|신적인 존재grc''는 실질적으로 동의어였지만, 후대의 플라톤 등은 이 둘을 구분하여 다루게 되었다.[31] 플라톤의 『크라튈로스』(398 b)에서는, ''δαίμονες|다이모네스grc''의 어원을 ''δαήμονες|다에모네스|박식한 또는 현명한grc''로 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 단어의 어근은 ''δαίω|다이오|배분하다grc''일 가능성이 높다.[32] 다이몬은 개인의 운명을 쥐고 있으며, 일종의 운명의 배분자였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파에톤은 다이몬으로 변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가 되었지만[26], 판도라가 풀어놓은 인류의 재앙은 다이몬이 아닌 케르라고 한다. 또한 헤시오도스는 제우스의 뜻에 따라 황금 시대의 사람들이 다이몬으로 변하여 선의를 가지고 죽어야 할 인간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수호신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는 모습을 그렸다.[27]

마찬가지로 숭배받는 영웅이나 창시자의 다이몬은 신전 건립으로 그곳에 머물며, 멈춰서서 그곳에 기도를 드리는 자에게 행운과 비호를 준다고 여겨졌다. 다이몬은 기본적으로 나쁜 존재로 여겨지지 않았다. 다이몬이라는 말은 또한 수호신으로서 작용하는 황금 시대 사람들의 영혼을 가리켰다.[28]

2. 2. 헬레니즘 시대

카르넬리안에 소크라테스의 초상을 새긴 것(로마, 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


호메로스의 저작에서는 ''θεοίgrc''(테오이=신들)와 ''δαίμονεςgrc''(다이모네스=신적인 존재)는 실질적으로 동의어였지만, 후대의 플라톤 등은 이 둘을 구분하여 다루게 되었다[31]。플라톤의 『크라틸로스』(398 b)에서는, ''δαίμονεςgrc''(다이모네스)의 어원을 ''δαήμονεςgrc''(다에모네스, "박식한" 또는 "현명한")로 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 단어의 어근은 ''δαίωgrc''(다이오=배분하다)일 가능성이 높다[32]。다이몬은 개인의 운명을 쥐고 있으며, 일종의 운명의 배분자였다.

플라톤의 『향연』에서는, 무녀 디오티마가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에로스)은 신이 아니라 오히려 "위대한 다이몬"이라고 말한다(202d). 그녀는 더 나아가 "모든 다이모니온(다이몬적인 것)은 신과 죽을 인간의 중간에 있습니다"(202d-e)라고 말하며, 다이몬은 "인간에 속하는 일들을 신들에게, 신들에게 속하는 일들을 인간에게, 해석하고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인간에서 신에게는 탄원과 제물을, 신에서 인간에게는 법령과 보상을, 이라는 것입니다"(202e)라고 설명한다.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에게는 "다이모니온"(글자 그대로 "신적인 무언가")이라는 것이 있으며[33],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목소리"의 형태로 종종 소크라테스에게 경고했지만, 무엇을 해야 할지 알려주는 일은 없었다고 주장했다[34]。하지만, 플라톤이 묘사하는 소크라테스는 다이모니온이 다이몬이라고 전혀 말하지 않는다. 그것은 항상 비인격적인 "무언가"였고 "징표"였다[35]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인들은 다이몬을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분류하여, 각각 에우다이몬(또는 카로다이몬), 카코다이몬이라고 불렀다. 에우다이몬은, 유대·기독교적 개념인 수호천사나 심리학에서 말하는 상위 자아와 비슷하다. 그것은 죽을 인간을 지켜보며, 그들이 재난을 겪지 않도록 한다. 이 때문에, 행운은 다이몬의 작용의 선물이라는 생각에서, 글자 그대로 에우다이몬을 가지고 있는 상황을 의미하는 에우다이모니아라는 단어는 "행복"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와 유사한 로마인의 게니우스는, 개인에게 따라다니는 수호신이거나, 장소에 깃들어 그곳을 지키는 것(게니우스 로키=토지의 수호신)이었다.

위험하고, 많은 경우, 사악하기까지 한 하급 정령이라는 다이몬의 관념은, 플라톤과 그의 제자 크세노크라테스가 그 기원이다[36]。그 때문에 후세의 인간이 호메로스의 저작을 해석하면, 의미의 왜곡이 일어났다[37]。"플라톤의 화법에서 벗어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라고 발터 부르케르트는 말했다[38]。다이몬은 그리스 신화나 그리스 미술에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케르와 마찬가지로, 느껴지지만 보이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유일한 예외로 좋은 다이몬인 아가토다이몬이 있다. 특히 디오니소스의 성역에서 의식으로 와인을 마실 때 아가토다이몬에게 헌주하는 습관이 있었으며, 그 신비적인 존재는 도상학적으로 지하의 뱀으로 상징적으로 표현되었다.

플라톤 시대 이후, 알렉산드로스 3세가 스스로 시작한 군주 숭배 속에서, 군주 자신이 아니라 군주의 수호신인 다이몬을 숭배하게 되었고, 헬레니즘 시대에는 다이몬은 수호하는 인물 밖에 존재하며, 본인에게 영감을 불어넣고, 이끄는 존재로 여겨졌다[39]。마찬가지로, 1세기 무렵의 로마에서는 아우구스투스의 게니우스가 숭배받게 되었지만, 그 구별은 점차 흐릿해져 갔다.

2. 3. 로마 시대

로마인들은 그리스의 다이몬 개념을 받아들여 자신들의 수호신 개념인 게니우스로 발전시켰다.[19] 이는 사람을 동반하고 보호하거나 장소를 관장하는 로마의 개념과 유사하다. 1세기 로마 황제 숭배는 아우구스투스의 ''지니어스''를 숭배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 구분은 점차 모호해졌다.

3. 철학 및 종교에서의 다이몬

다이몬은 적인 존재나 정령으로, 추상적인 개념을 의인화한 경우가 많다. 필멸자와 신의 본성을 모두 가진 존재로, 유령, 지하 영웅, 영적 인도자, 자연의 힘, 또는 신과 유사하다. 헤시오도스의 신화에 따르면, "위대하고 강력한 인물들은 죽은 후에 다이몬으로 존경받았다."[19] 발터 부르케르트는 다이몬이 준 신성한 존재라기보다는, 비인격화된 활동의 "독특한 방식"이라고 설명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파에톤은 무형의 ''다이몬''이 되지만,[7] 판도라에 의해 풀려난 불행은 ''다이몬''이 아닌 치명적인 여신 ''케레스''이다.[19]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황금 시대의 사람들은 제우스의 뜻에 따라 ''다이몬''이 되어 인간의 수호령으로 봉사했다. "부유함을 베푸는 좋은 존재…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보이지 않으며, 그들의 행위로만 알려져 있다."[8] 존경받는 영웅의 ''다이몬''은 신전을 건설하여 지역화되었으며, 존경을 표하는 사람들에게 보호와 행운을 부여한다고 믿었다.[19]

플라톤의 사상에 따르면, 각 개인은 탄생 이전에 제비뽑기를 통해 특정한 다이몬을 부여받는다.[19]

헬레니즘 시대 그리스인들은 다이몬을 선과 악으로 나누었다. ''아가토다이몬'' (ἀγαθοδαίμωνgrc, "고귀한 영혼")은 ''아가토스'' (ἀγαθόςgrc, "선함, 용감함, 고귀함, 도덕적임, 운이 좋음, 유용함")에서, ''카코다이몬'' (κακοδαίμωνgrc, "악의적인 영혼")은 ''카코스'' (κακόςgrc, "나쁨, 악함")에서 유래했다. 이는 아랍의 과 유사하며, 기독교의 수호 천사와 악마에 비견될 수 있다. ''에우다이모니아'' (εὐδαιμονίαgrc)는 "복지" 또는 "행복"을 의미한다. 로마의 유사한 개념으로는 ''지니어스''가 있다 (''genius loci'' 참조).

호메로스의 다이몬에 대한 왜곡된 견해는 플라톤크세노크라테스가 다이몬을 잠재적으로 위험한 작은 영으로 묘사한 것에서 비롯된다.[19][20] 부르케르트는 향연에서 플라톤이 에로스와 함께 다이몬을 신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로 묘사함으로써, 다이몬을 다른 방식으로 상상하기 어렵게 만들었다고 말한다. 에로스는 무형의 순수한 현실성, 즉 ''에네르게이아''이며, '생각하는 생각'( ''노에시스 노에세오스'')은 가장 축복받은 존재이자 모든 것의 근원이다.

날개 달린 지니어스가 손잡이를 든 여성과 거울을 마주보고 있는 모습, 남부 이탈리아, 기원전 320년경


부르케르트는 플라톤에게 신학은 선과 단순이라는 두 가지 형상에 의존하며, "크세노크라테스는 시와 비극의 시인들의 신들과는 대조적으로 분명히 통일 신이라고 불렀다"고 말한다.[19]

3. 1. 고대 그리스 철학

호메로스의 저작에서 ''θεοί|테오이|신들grc''와 ''δαίμονες|다이모네스|신적인 존재grc''는 실질적으로 동의어였지만, 후대의 플라톤 등은 이 둘을 구분하여 다루게 되었다.[9][10][31] 플라톤은 ''크라튈로스''에서[11] ''δαίμονες|다이모네스grc''의 어원을 ''δαήμονες|다에모네스|박식한 또는 현명한grc''로 보고 있지만,[12] 실제로는 이 단어의 어근이 ''δαίω|다이오|배분하다grc''일 가능성이 높다.[13][32] 다이몬은 개인의 운명을 쥐고 있으며, 일종의 운명의 배분자였다.

플라톤의 ''향연''에서 무녀 디오티마는 소크라테스에게, 사랑(에로스)은 신이 아니라 오히려 "위대한 다이몬"이라고 가르친다(202d). 그녀는 더 나아가 "모든 다이모니온(다이몬적인 것)은 신과 죽을 인간의 중간에 있습니다"(202d-e)라고 말하며, 다이몬은 "인간에 속하는 일들을 신들에게, 신들에게 속하는 일들을 인간에게, 해석하고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인간에서 신에게는 탄원과 제물을, 신에서 인간에게는 법령과 보상을, 이라는 것입니다"(202e)라고 설명한다.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에게는 "다이모니온"(글자 그대로 "신적인 무언가")이라는 것이 있으며,[14][33]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목소리"의 형태로 종종 소크라테스에게 경고했지만, 무엇을 해야 할지 알려주는 일은 없었다고 주장했다.[15][34] 하지만, 플라톤이 묘사하는 소크라테스는 다이모니온이 다이몬이라고 전혀 말하지 않는다. 그것은 항상 비인격적인 "무언가"였고 "징표"였다.[16][35] 폴 쇼리는 ''다이모니온''을 영감으로 보기보다는 "소크라테스가 그의 진정한 도덕적, 지적 관심사에 반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막는 일종의 ''영적인 재치''"로 본다.[18]

3. 2. 신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 철학에서 다이몬은 중요한 존재였다. 신플라톤주의에서는 에로스가 신과 인간의 중간 존재로 여겨진 것처럼, 다이몬은 악령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반신에 가까운 존재였다. 기독교가 플라톤주의를 수용할 때, 에우다이몬은 천사와 동일시되었다.

3. 3. 초기 기독교

70인역 성서에서는 δαίμων|다이몬grc을 이방 신이나 악령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했다. 이 단어는 히브리어 '세딤', '세이림'을 번역한 것으로, 이웃 우상신, 이방 신, 적대적인 자연령, 자연의 악한 것을 의미했다.[30] 이러한 번역은 신약성서의 다이몬 개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기독교 교부들은 다이몬을 타락한 천사, 즉 악마(데몬)로 간주했다. 키프리아누스는 저서 『우상신의 허영에 대하여』에서 다이몬(데몬)을 타락하여 다른 사람에게 그 타락을 옮기려는 불순한 존재로 묘사하며, 사람을 미혹하고 속이는 존재라고 비판했다. 아풀레이우스는 『소크라테스의 신에 대하여』에서 다이몬이 지성과 감정을 가진 공기와 같은 존재이며, 시간적으로 영원불멸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리스와 로마 신들이 인간계에 관여하지 않는 반면, 다이몬은 지상에 머물며 감정을 가진다고 보았고, 이후 좋은 다이몬과 나쁜 다이몬으로 구분했다.

참조

[1] 서적 From Bonbon to Cha-cha: Oxford Dictionary of Foreign Words and Phras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Little Oxford Dictionary of Word Origin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demons in Christian thought https://oxfordre.com[...] 2024-12-12
[4] 웹사이트 daimōn "δαίμων" https://www.perseus.[...]
[5] 웹사이트 Demon http://www.etymonlin[...]
[6] 웹사이트 2323243 https://www.perseus.[...] 2017-05-05
[7]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8] 서적 Works and Days
[9] 웹사이트 Hom. Il. 1.222 https://www.perseus.[...]
[10] 서적 Plato's Euthyprh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Clarendon
[11] 웹사이트 Cratylus 398 b https://www.perseus.[...]
[12] 웹사이트 δαήμων https://www.perseus.[...]
[13]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http://archimedes.fa[...]
[14] 서적 Apology
[15] 서적 Plato's Euthyprh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16] 서적 Plato's Euthyprh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17] 서적 Socrate, il demone e il risveglio ESD
[18] 서적 The Republic
[19] 서적 Greek Religion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 간행물 ΔΑΙΜΩΝ in Homer
[21] 서적 Witchcraft and Magic in Europe: Ancient Greece and Ro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2] 서적 ソークラテースの弁明 新潮文庫
[23] 서적 饗宴 岩波文庫
[24] 서적 仕事と日 岩波文庫
[25] 서적 Greek religion
[26] 서적 Theogony
[27] 서적 Works and Days
[28] 웹사이트 δαίμων http://old.perseus.t[...]
[29] 서적 Greek Religion
[30] 웹사이트 Demonology http://xtf.lib.virgi[...] 2009-12-02
[31] 서적 Plato's Euthyprh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Clarendon
[32]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http://archimedes.fa[...]
[33] 서적 Apology
[34] 서적 Plato's Euthyprh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35] 서적 Plato's Euthyprho, Apology of Socrates, and Crito
[36] 서적 Greek Religion Harvard University Press
[37] 간행물 ΔΑΙΜΩΝ in Homer
[38] 서적 (서적 제목 정보 부족)
[39] 간행물 The Hellenistic Ruler-Cult and the Daemon
[40] 서적 Christianizing death: the creation of a ritual process in early medieval Euro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