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능성 구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능성 구씨는 대한민국의 성씨로, 시조는 고려의 구존유이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54명, 무과 급제자 363명, 왕비 1명, 부마 3명 등을 배출하며 명문가로 이름을 떨쳤다. 능성 구씨는 구존유의 후손 대에서 여러 분파로 나뉘며, 인헌왕후를 배출하여 조선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기도 했다. 2015년에는 능성 구씨와 능주 구씨를 합쳐 174,161명이 존재하며, 충청북도 보은군과 전라남도 화순군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능성 구씨 - 구자춘
    구자춘은 5·16 군사정변에 가담한 후 박정희 정부에서 제주도지사, 수산청장, 경상북도지사, 서울특별시장,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국회의원도 지낸 인물로, 서울시장 시절 서울 지하철 2호선 건설과 강남 개발을 추진했으며 군사정권 협력, 부정축재 혐의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지만, 지하철 2호선 건설과 강남 개발은 주요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능성 구씨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능성 구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능성 구씨 종문
능성 구씨의 종문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화순군
창시자구존유
관련 인물인헌왕후
구혜선
구하라
구준회
웹사이트능성 구씨 대종회
역사
가조구존유
집성촌전라남도 화순군, 광양시
전라북도 익산시
충청남도 당진시, 공주시
충청북도 보은군, 옥천군
경기도 광주시, 하남시
대구광역시
인물
주요 인물구영검
구홍
구치관
구사안
구수영
구사맹
구굉
인헌왕후
구인후
구익균
구천서
구학서
구욱서
구인회
구태회
구평회
구두회
구용상
구논회
구충곤
구자옥
구자경
구자철
구자열
구윤철
구본무
구본능
구본영
구본준
구본환
구본선
구광모
구은수
통계
2015년 인구174,161명

2. 역사

시조 구존유(具存裕)는 고려 벽상삼한삼중대광 검교상장군(檢校上將軍)을 지냈다.

2세는 평장사 구민첨, 3세는 문하좌정승을 지낸 면성부원군 구연, 4세는 면성부원군 구예, 5세는 전리판서를 지낸 면성군 구영검(具榮儉)이다.[8] 6세는 면성부원군 문정공 구위와 문하찬성사를 지낸 구흥, 공조전서를 지낸 구의가 있다. 7세 문절공 구홍(具鴻)은 고려 말 좌시중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 은둔하여 고려에 대한 절의를 지켰다.

능성 구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54명, 무과 급제자 363명, 왕비 1명, 부마(駙馬) 3명, 상신(相臣) 2명, 공신 9명, 생원·진사 173명을 배출하였다. 과거 급제자는 도원수파 359명, 판안동파 72명, 좌정승파 42명으로 3파가 전체의 84%를 차지한다.

9세손 구치관(具致寬)이 세조 때 영의정을 지냈고, 구치관의 동생 구치홍은 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으며, 구치관의 조카 구겸은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중종반정의 정국공신인 구현휘·구수영(具壽永), 성종 때 좌리공신에 오른 구문신, 중종의 부마가 된 구사언, 능양군의 외조부로서 이조판서·좌찬성·숭록공신에 오른 구사맹(具思孟), 참판·대사헌을 지낸 구봉령 등이 있다.

무과 출신 가운데 영조 때까지 종2품 장신급이 9명이나 배출되었는데, 당시 장신의 1/12에 해당한다. 병마절도사·수군절도사를 지낸 구사직, 훈련대장 구굉(具宏), 어영대장 구인후(具仁垕), 공조판서 구인기, 어영대장 구문치, 총융사 구감, 훈련대장 구성임·구선복(具善復)이 있으며, 구굉·구인후·구인기는 반정에 공을 세워 정사공신에 녹훈되었다. 구인기는 1675년 능풍부원군에 봉해지고,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능양군의 어머니이자 정원군의 아내인 연주군부인 구씨를 배출하여 영조 대에 이르기까지 조선 왕조의 외척으로 가문의 세를 떨쳤다.

3. 분파

시조 구존유, 2세 평장사 구민첨, 3세 문하좌정승 구연으로 이어오다가 4세손부터 갈라져 7세손에서 12파로 나뉜다. 이북 지역에 살고 있는 재신파와 후손이 없는 전서파와 임천군사파의 3파를 제외한 9파가 세계를 잇는다.


  • 4세 구의(具宜)
  • * 5세 구해(具㧡)
  • ** 6세 구서진(具瑞珍)

7세 구현좌(具賢佐) → 판사공파(判事公派)
7세 구현로(具賢老) → 전서공파(典書公派) : 무후(無後)

  • 4세 구천용(具天容)
  • * 5세 구식(具軾)
  • ** 6세 구록(具祿)

7세 구영량(具英良) → 시랑공파(侍郞公派)

  • 4세 구예(具藝)
  • * 5세 구영검
  • ** 6세 구위(具偉)

7세 구홍 → 좌정승공파(左政丞公派)
7세 구성량(具成亮) → 판안동공파(判安東公派)
7세 구성로(具成老) → 도원수공파(都元帥公派)
7세 구성덕 → 재신파(宰臣派) : 북한 거주

  • ** 6세 구흥(具興)

7세 구현보(具賢輔) → 낭장공파(郎將公派)
7세 구현기(具賢器) → 감무공파(監務公派)

  • ** 6세 구의(具義)

7세 구성미(具成美) → 참판공파(參判公派)
7세 구원립(具爰立) → 문천군사공파(文川郡事公派)

4. 기원 및 본관

능성 구씨(綾城具氏)는 시조 구존유가 1224년 주잠과 함께 중국에서 도래하였다는 일부의 주장이 있으나, 주잠 이전인 1021년(고려 현종 12년)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오른 나주 주씨(羅州朱氏) 주덕명(朱德明) 등이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9] 1224년 이전부터 호남 지방에 토착 구(具)씨가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 백제가 멸망한 뒤 나주(羅州)에서 포로로 잡힌 백제 장군 구도(具道)의 아들 단서(端舒)가 있고,[10] 궁예의 태봉국 시중(侍中)이었던 구진(具鎭)이 918년(태조 1) 나주도(羅州道) 대행대(大行臺) 시중(侍中)에 임명되었으며,[11] 1101년(고려 숙종 6년)에 탁라(乇羅) 성주(星主)인 배융부위(陪戎副尉) 구대(具代)가 유격장군(遊擊將軍)에 임명되었던 사실을 《고려사(高麗史)》에서 확인할 수 있다.[12]

이처럼 구씨(具氏)는 예로부터 나주(羅州)나 능성(綾城) 지역의 토착 성씨로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의 능성현(綾城縣) 토성조(土姓條)에도 구씨(具氏)를 능성현(綾城縣)의 토착 성씨로 기록하고 있다.

대종회에서는 역사서를 근거로 중국 도래설을 반박하고 능성 구씨가 토착 성씨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13] 첫째, 고려 이전에 호남 지방에 토착 구씨가 존재했다는 점, 둘째, 정식 사료에 능성 구씨가 토착 성씨로 기록된 점, 셋째, 중국 측 주씨의 기록에는 구존유가 고려인으로 되어있다는 점을 들었다. 따라서 현대에 편찬된 신안 주씨의 족보를 토대로 능성 구씨가 중국계 성씨임을 주장하는 것은 역사 사실과 맞지 않다. 넷째, 현재 중국에는 구(具)씨 성을 가진 씨족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능성 구씨가 중국계 성씨라는 주장은 모화사상에 기초하여 중국과의 관련성을 부각하고자 했던 시도로 보는 것이 설득력 있다.

능성(綾城)은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 능주면(綾州面)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이릉부리군(尔陵夫里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에 능성군(陵城郡)으로 개칭하였다. 고려 현종 9년(1018년) 나주(羅州)의 속현(屬縣)이 되었다가 고려 인종 21년(1143년)에 능성현으로 승격하였다. 조선 태종 16년(1416년) 화순을 병합하여 순성현(順城縣)이 되었다가, 1418년 화순이 분리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전라도 능성현의 토성(土姓)으로 구(具)·정(鄭)·문(文)·조(曺)·채(蔡)·주(朱) 6성이 기록되어 있다. 1632년(인조 10)에 능주목으로 승격하였다. 1896년 전라남도 능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08년에 능주군이 화순군을 병합하였으나, 1914년 능주군을 화순군으로 이름을 바꾸면서, 능주면이라는 지명으로 남아 있다.

5.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6. 항렬자

능성 구씨 항렬표[7]
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47세48세49세50세51세52세53세





























7. 인물

능성 구씨는 조선시대에 총 349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다.[5]

관직이름
문과구사맹(司猛)·구성(조선)·구연(淵)·구택규(宅揆)·구홍·구문신(文臣)·구치관·구치홍(致洪)·구봉서(鳳瑞)·구종지(1546년)·구종직·구종길(宗吉)·구종우(조선)·구종수(宗洙)·구종악(宗岳)·구종협(宗協)·구종한(宗漢)·구종윤(宗潤)·구종주(宗周)·구종진(宗鎭)·구종률(宗栗)·구종희(宗熙)·구종원(宗遠)·구종근(宗謹)·구종면(宗勉)·구종헌(宗憲)·구종록(宗祿)·구종보(宗輔)·구종익(宗翼)·구종겸(宗謙)·구종후(宗垕)·구종경(宗慶)·구종명(宗溟)·구종해(宗海)·구종기(宗夔)·구종량(宗亮)·구종선(宗善)·구종일(宗一)·구종령(宗令)·구종범(宗範)·구종준(宗準)·구종현(宗鉉)·구종화(宗華)·구종복(宗復)·구종상(宗常)·구종필(宗弼)·구종태(宗泰)·구종각(宗恪)·구종덕(宗德)·구종렬(宗說)·구종성(宗聖)·구종달(宗達)·구종원(宗元)·구종방(宗邦)·구종세(宗世)·구종벽(宗璧)·구종재(宗在)·구종백(宗伯)·구종숙(宗淑)·구종간(宗幹)·구종무(宗茂)·구종흥(宗興)·구종시(宗蓍)·구종언(宗彦)·구종인(宗仁)·구종의(宗義)·구종례(宗禮)·구종지(宗智)·구종신(宗信)·구종검(宗儉)·구종용(宗容)·구종도(宗道)·구종행(宗行)·구종효(宗孝)·구종충(宗忠)


8. 인구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능성 구씨는 109,669명, 능주 구씨는 62,574명, 릉성 구씨는 1,460명, 릉주 구씨는 458명으로 모두 합하여 174,161명이다.[6]

능성 구씨 인구 비율 (2015년)[6]
지역인구비율(%)
충청북도 보은군3641.2
전라남도 화순군6601.16[7]


9. 집성촌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능성구씨 綾城具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6
[4] 웹사이트 능성구씨 시조(始祖) 존유(存裕)공의 상세(上世)에 대하여 http://www.neungsung[...]
[5] 웹사이트 능성 구씨 https://namu.wiki/w/[...]
[6]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7] 웹사이트 구씨(具氏) 본관(本貫) 능성(綾城)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8] 서적 『고려사』 권114, 열전27 https://terms.naver.[...]
[9] 서적 《고려사》 세가 권제4 현종(顯宗) 12년 3월 http://db.history.go[...]
[10] 서적 《고려사》 권92 열전 권제5 http://db.history.go[...]
[11] 서적 《고려사》 세가 권제1 태조(太祖) 원년 9월 http://db.history.go[...]
[12] 서적 《고려사》 세가 권제11 숙종(肅宗) 6년 10월 http://db.history.go[...]
[13] 웹사이트 능성구씨 시조(始祖) 존유(存裕)공의 상세(上世)에 대하여 http://www.neungsu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