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윗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윗교는 1934년 불가리아 출신 빅터 호테프가 설립한 종교 분파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에서 파문된 후 종말론적 사상을 기반으로 다윗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를 결성했다. 호테프 사후 아내 플로렌스가 지도자가 되었으나 예언 실패로 분열되었고, 벤자민 로덴이 브랜치 다비디언으로 교단을 개칭했다. 이후 버논 하웰(데이비드 코레쉬)이 권력을 장악하여 교세를 확장했으나, 1993년 텍사스 웨이코에서 연방 수사국과의 무력 충돌로 인해 80명 이상의 신도와 함께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을 겪었다. 현재는 여러 분파로 나뉘어 활동하고 있으며,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와는 상반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텍사스주의 단체 - Bible Study Fellowship
    Bible Study Fellowship(BSF)는 1952년 캘리포니아에서 시작된 구조화된 성경 공부 프로그램이며, 믿음을 통한 은혜로 인한 구원과 거룩한 생활 방식을 강조한다.
  • 미국의 종교 - 에퍼슨 대 아칸소 사건
    에퍼슨 대 아칸소 사건은 1968년 미국 연방 대법원에서 아칸소 주의 진화론 교육 금지 법률이 수정헌법 제1조의 정교분리 원칙에 위배된다고 판결한 사건으로, 공립학교에서 진화론 교육을 금지하는 것이 위헌임을 확인하고 과학 교육과 종교적 신념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미국의 종교 - 대각성 (운동)
    대각성 운동은 18세기부터 20세기 초 서구 기독교계의 종교 부흥 운동으로, 형식주의에 빠진 교회 침체에서 비롯되어 개인 회심, 감정적 예배, 초교파 연대를 중시하며 미국 사회 여러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목회 스타일 변화와 종교 파벌 형성을 가져왔다.
  • 미국의 준군사조직 - 특수활동센터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특수활동센터(SAC)는 전략사무국(OSS)의 후신으로, 냉전 시대부터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비밀 작전을 수행하며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민간인 피해 및 국제법 위반 논란 등 비판도 제기되는 CIA의 부서이다.
  • 미국의 준군사조직 - 민병대 (미국)
    미국 민병대는 초기 식민지 시대부터 방어와 공공 안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미국 독립 전쟁에서 주요 전력이 되었고, 현대에는 주 방위군과 비조직 민병대로 구분된다.
다윗교
개요
브랜치 다비디안 깃발
브랜치 다비디안 깃발
창립자벤자민 로덴
지역마운트 카멜 센터
지역 상세엘크, 텍사스, 미국
언어영어
관련 종교
역사적 사건
주요 사건웨이코 포위전 (1993년)

2. 역사적 배경

1929년, 불가리아 출신 이민자이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신자였던 빅터 호테프는 요한계시록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해석을 주장하며 ''목자의 지팡이: 144,000 - 개혁의 부름''을 저술했다.[9] 그러나 그의 주장은 기존 교리와 충돌했고, 결국 호테프와 그의 추종자들은 교회에서 제명되었다.

호테프는 1934년 텍사스주 웨이코에 본부를 설립하고 다윗교를 세웠다.[10] 1942년에는 이스라엘의 다윗 왕국 재건에 대한 믿음을 반영하여 교단 이름을 다윗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총회로 바꾸었다. 1955년 호테프 사후, 그의 아내 플로렌스는 선지자를 자처하며 1959년에 묵시록의 예언이 실현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녀는 추종자들을 마운트 카멜 센터로 모았으나, 예언은 실현되지 않았다.[11]

이후 벤자민 로덴이 이끄는 분파가 나타나 마운트 카멜을 장악하고, 스가랴서에 나오는 '기름부음받은 가지'를 의미하는 브랜치 다비디언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2][13] 1978년 벤자민 로덴 사후, 그의 아내 로이스 로덴이 뒤를 이었으나, 아들 조지와의 갈등이 있었다. 로이스 사후 조지가 지도자가 되었지만, 곧 버논 하웰이 권력을 잡았다.

2. 1. 다윗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1929년, 불가리아 출신 이민자이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안식일 학교 교사였던 빅터 호테프는 자신이 안식일 예수 재림교 전체에 대한 새로운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견해를 ''목자의 지팡이: 144,000 - 개혁의 부름''이라는 책으로 발표했다.[9] 안식일 예수 재림교 지도부는 호테프의 견해가 교회의 기본 가르침에 어긋난다고 보았고, 지역 교회 회중은 호테프와 그의 추종자들을 제명했다.

1934년, 호테프는 텍사스주 웨이코 서쪽에 본부를 설립하고 다윗교를 결성했다.[10] 1942년, 그는 그룹의 이름을 다윗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총회로 변경했는데, 이는 이스라엘의 다윗 왕국의 부활에 대한 그들의 믿음을 나타낸 것이다.

2. 2. 분열과 브랜치 다비디언의 탄생

1930년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에서 파문된 불가리아 출신 빅터 호우테프는 1934년 요한 계시록에 따른 종말 사상을 따르는 다윗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를 결성했다. 이 분파는 호우테프의 저서에 따라 "양치기의 지팡이"라고도 불렸다. 1955년 호우테프가 사망하고 그의 아내 플로렌스가 지도자가 되어, 1959년에 종말이 올 것이라고 예언했다. 그러나 예언은 빗나갔고, 교단은 분열되었다. 유대계 벤자민 로덴이 다음 지도자가 되어 교단을 브랜치 다비디언(Branch Davidians)으로 개칭하고 마운트 카멜 센터를 건설했다.

1978년 로덴이 사망하고 그의 아내 로이스가 후계자가 되었지만, 1986년 로이스도 사망했다. 그 후, 로이스의 아들 조지와 특별한 예언력을 가졌다고 주장하는 버논 하우웰(후에 데이비드 코레쉬)이 후계자 다툼을 벌였다. 1987년에는 양쪽 파벌 간의 총격전으로까지 번져 조지가 축출되었다. 이 사건은 미디어에 크게 보도되어 브랜치 다비디언의 이름을 사람들에게 각인시켰다.

3. 데이비드 코레쉬의 등장과 지도권 장악

버논 하웰(Vernon Howell)은 1981년 다윗교(브랜치 다비디언)의 본거지인 마운트 카멜 센터에 도착했을 때, 대부분의 신도들에게 환영받았다. 그는 20대 초반에 60대 후반의 지도자 로이스 로덴과 관계를 맺었다. 1986년 로이스가 사망하자, 아들 조지 로덴과 하웰 사이에 지도권 다툼이 벌어졌다.

1987년, 하웰은 추종자들과 함께 마운트 카멜을 무력으로 점거하려 했으나, 재판에서 배심원 평결 불일치로 결론이 나지 않았다. 이후 하웰은 데이비드 코레쉬로 이름을 바꾸고, 요한계시록의 어린 양이 자신이라 주장하며 종말론적 교리를 펼쳤다. 1990년, 코레쉬는 정식 교주가 되어 브랜치 다비디언 신자들만이 선택받은 민족이라고 가르치며 세력을 확장했다.

3. 1. 로이스 로덴과의 관계 및 권력 투쟁

하웰은 1981년 마운트 카멜에 도착하여 20대 초반의 나이로 60대 후반의 지도자 로이스 로덴과 불륜 관계를 맺었다.[14] 하웰은 로이스와의 사이에서 아이를 갖고 싶어했는데, 그 아이가 '선택받은 자'가 될 것이라고 믿었다. 1986년 로이스 로덴이 사망하자, 그녀의 아들 조지 로덴이 교단의 지도자 자리를 물려받았다.[14] 그러나 하웰과 조지 로덴 사이에는 권력 투쟁이 벌어졌고,[14] 하웰은 곧 다수의 다윗교인들의 충성을 얻었다.[15]

1987년 머그샷 속의 데이비드 코레쉬


1984년, 조지 로덴은 하웰을 50만 달러 상당의 행정 건물과 언론사를 불태운 방화 혐의로 고발했고,[16] 하웰과 그의 추종자들은 마운트 카멜을 떠났다. 이후 로덴은 그곳의 이름을 "로덴빌"로 바꿨다.

로덴은 자신의 영적 우위를 증명하기 위해 하웰에게 부활을 통해 죽은 자를 일으키라고 도전했고, 20년 전에 사망한 다윗교인의 시신을 발굴하기까지 했다. 로덴은 이를 부인하며, 단지 공동묘지를 옮겼을 뿐이라고 말했다. 이 불법 행위는 하웰에게 로덴을 고발할 기회를 주었지만, 혐의를 입증하기 위한 증거가 필요하다는 말을 들었다. 1987년 11월 3일, 하웰과 그의 추종자 7명은 마운트 카멜을 습격하여 다섯 자루의 .223 구경 반자동 소총, 두 자루의 .22 구경 소총, 두 정의 12 게이지 산탄총, 그리고 400발에 가까운 탄약을 갖추고 복합 시설을 되찾으려 시도했다. 하웰 일행은 로덴의 불법 행위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려 했다고 주장했지만, 카메라를 가지고 가지 않았다.[17]

재판은 배심원들이 하웰의 추종자들에게 무죄 평결을 내리면서 끝났지만, 배심원들은 하웰 자신에 대해서는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그의 추종자들이 무죄 방면된 후, 하웰은 검사들을 아이스크림을 먹기 위해 마운트 카멜로 초대했다.[18]

1978년 로이스 로덴의 남편 벤자민 로덴이 사망하고, 아내 로이스가 후계자가 되었지만, 1986년 로이스도 사망했다. 그 후, 로이스의 아들 조지와 특별한 예언력을 가졌다고 자칭하는 버논 하웰이 후계자 다툼을 일으켰고, 1987년 양측 간의 총격전으로 발전하여 조지를 몰아냈다. 이 사건은 미디어에 크게 보도되었고, 브랜치 다비디언(다윗교)의 이름을 사람들에게 각인시켰다.

3. 2. 코레쉬의 영적 지도자로서의 활동

로드(Roden)로부터 영적 지도자 지위를 얻은 하웰(Howell)은 자신의 이름을 데이비드 코레쉬로 변경했는데, 이는 성경의 다윗과 키루스 대왕(코레쉬는 키루스의 히브리어 버전)과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냈다. 그는 새로운 세계 지도자 계보를 만들고 싶어했다.[11]

요한계시록 5:2를 해석하면서 코레쉬는 그 안에 언급된 어린 양과 자신을 동일시했다.[21][22] 이는 전통적으로 예수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코레쉬는 어린 양이 예수보다 먼저 와서 그의 재림의 길을 닦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3][11]

1993년 웨이코 포위 당시, 코레쉬는 추종자들에게 더 이상 "분파 다윗 교도"가 아닌 "일곱 봉인의 학생"으로 생각하도록 권장했다. 대치 기간 동안, 그의 추종자 중 한 명이 그 이후로 그들을 "코레시안"이라는 이름으로 불러달라고 공개적으로 발표했다.[24]

1990년에 하웰은 새로운 교주로 취임한 것을 계기로 선민 사상을 설파하여, 브랜치 다비디언 신자들만이 최종 전쟁에서 살아남을 것을 에게 인정받은 민족으로 규정하고, 카리스마적인 독자적인 포교로 신자를 확보했다. 하웰 자신은 데이비드 코레쉬로 개명했다. 데이비드는 이스라엘 왕국다윗 왕에서 유래했고, 코레시는 바빌론 유수의 유대인을 해방한 페르시아 황제 키루스 2세에서 유래한다.

4. 웨이코 참사

1993년 2월 28일, 텍사스주웨이코의 다윗교 본부(마운트 카멜 센터)에 대한 ATF의 강제 수사가 있었다. 다윗교 신도들은 연방 수사관들을 바빌로니아 군대로 오인하여 맹렬하게 저항했고, 이 과정에서 ATF 수사관 4명과 다윗교 신도 6명이 사망했다. ATF의 수사 정보가 사전에 유출되어, 텔레비전으로 총격전이 생중계되면서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이후 수사는 FBI로 이관되었고, 51일간 교착 상태가 이어졌다. 다윗교는 무기탄약, 1년분 이상의 식량을 비축하고 농성했다. 4월 19일, 재닛 리노 법무장관은 강제 진입을 명령했다. FBI와 ATF는 군에서 빌린 전차장갑차(M3 브래들리 기병 전투차, M728 전투 공병차, M1A1 에이브람스 주력 전차, M88 장갑 회수차), 무장 헬리콥터, 최루탄 등을 동원했다. 그러나 신자들은 투항하지 않았고,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코레시를 포함한 81명(어린이 25명 포함)이 사망하고 9명이 생존했다.

1993년 4월 19일, 불타는 마운트 카멜 센터. FBI 촬영.


웨이코 참사 이후, 초기에는 다윗교를 컬트 집단으로 비난하는 여론이 많았으나, 미국 남부를 중심으로 연방 정부의 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1995년 웨이코에 희생자 추모 기념비가 세워졌다.

다윗교는 본부를 잃었지만, "The Branch, The Lord Our Righteousness"로 개칭하여 존속하고 있다. 현재 지도자는 찰스 페이스이며, 신도는 1200명으로 추정된다.

4. 1. ATF의 강제 수사 및 초기 충돌

1993년 2월 28일 오전 4시 20분, ATF는 성적 학대 혐의와 불법 무기 소지 혐의와 관련하여 수색 영장을 집행하려 했다.[25][26] ATF는 탄약이 소진될 때까지 약 2시간 동안 다윗교 건물을 공격했다.[27] 이 과정에서 ATF 요원 4명(스티브 윌리스, 로버트 윌리엄스, 토드 맥키한, 컨웨이 찰스 르블루)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을 입었다. 같은 날 오전 9시 45분 급습에서 사망한 다윗교 신도 5명은 윈스턴 블레이크(영국), 피터 젠트(호주), 피터 힙스먼, 페리 존스, 제이딘 웬델이었으며, 이들 중 2명은 다윗교 신도들에게 살해되었다.[28]

휴전 후 약 6시간 뒤, 마이클 슈로더는 우드로 켄드릭, 노먼 앨리슨과 함께 건물로 다시 진입하려다 ATF 요원들에게 권총을 발사한 혐의로 사살되었다.[29] 그의 아내는 슈로더가 단순히 일터에서 돌아오는 길이었으며, 이날 초반의 싸움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27]

마운트 카멜 센터에서 2월 28일 급습으로 사망한 4명의 ATF 요원을 기리는 기념관


ATF의 강제 수사는 다윗교 측이 바빌로니아 군대의 공격을 받을 것이라는 예언을 믿고 있었기 때문에, 연방 수사관을 바빌로니아 군대로 오인한 신자들의 맹렬한 응전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ATF의 수사 정보가 사전에 유출되어 텔레비전 방송국 카메라 앞에서 총격전이 생중계되는 상황이 벌어져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4. 2. FBI의 개입과 51일간의 대치

알코올·담배·화기 및 폭발물 단속국(ATF)의 초기 강제 수사 이후, 연방 요원 사망으로 FBI가 사건 지휘권을 인수했다. FBI는 협상 초기, 부모가 없는 19명의 아이들을 비교적 쉽게 석방하는 데 성공했다. 그 후 아이들은 FBI와 텍사스 레인저에 의해 인터뷰를 받았다.[30]

다윗교 측은 무기탄약 외에도 1년분 이상의 식량을 비축하며 농성에 대비하고 있었다.

4. 3. 강제 진압과 화재 발생

1993년 4월 19일, 재닛 리노 법무장관은 연방 수사국(FBI)에 강제 진압을 명령했다. FBI는 .50 구경 (12.7mm) 소총, 전투 공병 차량(CEV), 최루 가스 등 중화기를 동원하여 다윗교 신도들을 진압하려 했다.[29] FBI는 신도들을 쫓아내기 위해 최루 가스를 사용했고, 일부 신도들이 총격을 가하자 가스 사용량을 늘렸다.[29]

정오 무렵, 건물 여러 곳에서 동시에 세 개의 화재가 발생했다. 정부는 다윗교 신도들이 의도적으로 불을 질렀다고 주장하는 반면,[29][31] 일부 생존자들은 화재가 사고로 발생했거나 공격으로 인해 의도적으로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27][32]

화재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제기되었다. 장갑차가 랜턴이나 프로판 가스 용기를 파열시켰다는 설, 가연성 최루 가스에 FBI 측 총격이 가해져 불이 붙었다는 설도 있었지만, 최루 가스 발사 후 화재 발생까지 3시간 이상 걸린 점, 도청된 교단의 대화 등을 고려할 때 현재는 전차를 맞이하기 위한 방화설이 유력하다.

FBI는 실탄을 한 발도 발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초기 FBI가 발화 물질이 든 최루 가스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허위 설명을 한 점 때문에 이 주장도 의심받았다. 언론이 적외선 카메라로 헬리콥터에서 촬영한 영상에 총탄 발사 모습이 포착되었다고 보도되었으나, 실제 발포 영상과 비교했을 때 빛의 형태가 다르고, 총구와 빛의 위치가 어긋나는 점 등을 근거로 어떤 반사광을 잡은 것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 또한, 신도들이 탈출하려던 곳에 최소 2번의 실탄 공격을 가했다는 증언도 있지만 신빙성은 불확실하다.

최종 포위 당시 단지에 있던 85명의 신도 중 76명이 4월 19일에 사망했다. 사인은 붕괴된 잔해에 깔림, 화재로 인한 질식, 동료 신도들의 총격 등 다양했다.[31] 코레시를 포함해 81명이 사망했고, 그 중 어린이는 25명이었으며, 생존자는 9명이었다.

FBI가 4월 14일에 코레시가 보낸 항복 서한(교도소에서 신도들에게 포교할 수 있도록 조치하면 투항하겠다는 내용)을 법무 장관에게 전달하지 않은 사실도 드러났다. 일련의 교단 시설 공격은 적법 절차(due process)라는 점에서 정부의 대처에 문제가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5. 웨이코 참사 이후

1993년 웨이코 포위 사건 초기에는 브랜치 다비디언(다윗교)을 위험한 컬트 집단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미국 남부를 중심으로 연방 정부의 대응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졌다. 특히 FBI의 강제 진압 과정과 그 이후의 해명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사회적 논란이 증폭되었다.

FBI는 강제 진압 과정에서 군용 전차장갑차, 무장 헬리콥터, 최루탄 등을 동원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화재로 데이비드 코레시를 포함한 81명의 신도가 사망했고, 그중에는 25명의 어린이도 포함되어 있었다. 생존자는 9명에 불과했다.[3]

화재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었다. 장갑차가 랜턴이나 프로판 가스 용기를 파열시켰다는 설, 가연성 최루 가스에 FBI 측의 총격이 가해져 불이 붙었다는 설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다비디언 측의 방화 가능성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FBI는 최루 가스 발사에서 화재까지 3시간 이상 걸렸다는 점과 도청된 교단의 대화 내용을 근거로 제시했다.[3]

FBI는 초기에 실탄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나, 발화 물질이 든 최루 가스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허위 해명을 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신뢰성에 타격을 입었다. 언론이 적외선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 총탄 발사 장면이 포착되었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이는 실제 발포 장면과는 다른 반사광을 잡은 것으로 밝혀졌다. 신도들이 탈출하려던 곳에 실탄 공격을 가했다는 증언도 있으나, 신빙성은 불확실하다.[3]

1993년 4월 14일 코레시가 '교도소에서 신도들에게 포교할 수 있도록 조치하면 투항하겠다'는 내용의 항복 서한을 보냈으나, FBI가 이를 법무 장관에게 전달하지 않은 사실도 드러났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적법 절차(due process)에 대한 문제 제기로 이어졌다.[3]

1995년 북 텍사스 헌법 민병대에 의해 웨이코에 신자들을 추모하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교단은 본부를 잃었지만, 현재도 "The Branch, The Lord Our Righteousness"로 개칭하여 존속하고 있다. 지도자는 로덴 부부의 신봉자인 찰스 페이스이며, 신도는 1200명으로 추정된다.

5. 1. 사법 처리 및 민사 소송

연방 대배심은 살아남은 다윗파 신도 12명( 클라이브 도일, 브래드 브랜치, 루스 리들, 리빙스턴 페이건 포함)을 연방 요원 살인을 방조하고 다양한 총기를 불법 소지 및 사용한 혐의로 기소했다. 8명의 다윗파 신도가 총기 관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5명은 과실치사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4명은 모든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다.[33] 2007년 7월 기준으로 모든 다윗파 신도들은 석방되었다.[34]

미국 정부, 연방 관리, 전 텍사스 주지사 앤 리차드, 텍사스 육군 방위군 소속 구성원들을 상대로 민사 소송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소송의 대부분은 법률상 근거가 불충분하거나 원고가 이를 뒷받침할 만한 실질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에 기각되었다. 한 사건인 ''안드라데 대 초이내키''는 제5 순회 법원까지 갔고, 그곳에서 "무효, 기각"이라는 이전 판결을 유지했다.[35]

5. 2. 사회적 논란과 비판

1993년 웨이코 포위 사건은 발생 초기에는 브랜치 다비디언(다윗교)을 위험한 컬트 집단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미국 남부를 중심으로 연방 정부의 대응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졌다. 특히 FBI의 강제 진압 과정과 그 이후의 해명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사회적 논란이 증폭되었다.[3]

FBI는 강제 진압 과정에서 군용 전차장갑차, 무장 헬리콥터, 최루탄 등을 동원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화재로 데이비드 코레시를 포함한 81명의 신도가 사망했고, 그중에는 25명의 어린이도 포함되어 있었다. 생존자는 9명에 불과했다.[3]

화재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었다. 장갑차가 랜턴이나 프로판 가스 용기를 파열시켰다는 설, 가연성 최루 가스에 FBI 측의 총격이 가해져 불이 붙었다는 설 등이 있었으나, 현재는 다비디언 측의 방화 가능성이 유력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FBI는 최루 가스 발사에서 화재까지 3시간 이상 걸렸다는 점과 도청된 교단의 대화 내용을 근거로 제시했다.[3]

FBI는 초기에 실탄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나, 발화 물질이 든 최루 가스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허위 해명을 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신뢰성에 타격을 입었다. 언론이 적외선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는 총탄 발사 장면이 포착되었다는 주장도 있었지만, 이는 실제 발포 장면과는 다른 반사광을 잡은 것으로 밝혀졌다. 신도들이 탈출하려던 곳에 실탄 공격을 가했다는 증언도 있으나, 신빙성은 불확실하다.[3]

1993년 4월 14일에는 코레시가 '교도소에서 신도들에게 포교할 수 있도록 조치하면 투항하겠다'는 내용의 항복 서한을 보냈으나, FBI가 이를 법무 장관에게 전달하지 않은 사실도 드러났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적법 절차(due process)에 대한 문제 제기로 이어졌다.[3]

1995년에는 북 텍사스 헌법 민병대에 의해 웨이코에 신자들을 추모하는 기념비가 세워지는 등, 미국 남부를 중심으로 연방 정부를 비판하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3]

6. 현재의 브랜치 다비디언

다윗교를 식별하는 마운트 카멜 센터의 표지판


1993년 웨이코 참사 이후, 브랜치 다비디언은 여러 분파로 나뉘었다. 1930년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에서 파문된 불가리아 출신 빅터 호우테프는 1934년에 요한 계시록에 따른 종말론을 바탕으로 다윗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를 결성했다. 이 분파는 호우테프의 저서에 따라 "양치기의 지팡이"라고도 불렸다. 1955년 호우테프 사후, 그의 아내 플로렌스가 지도자가 되어 1959년에 종말이 올 것이라고 예언했지만 빗나갔다. 이후 교단은 분열되었고, 유대계 벤자민 로덴이 다음 지도자가 되어 교단을 브랜치 다비디언으로 개칭하고 마운트 카멜 센터를 건설했다.

1978년 로덴 사후, 그의 아내 로이스가 후계자가 되었으나 1986년에 사망했다. 이후 로이스의 아들 조지와 예언력을 가졌다고 주장하는 버논 하우웰(이후 데이비드 코레쉬)이 후계자 다툼을 벌였고, 1987년에는 양측 파벌 간의 총격전으로 이어져 조지가 축출되었다. 이 사건은 미디어에 크게 보도되어 브랜치 다비디언의 이름을 널리 알렸다.

1990년 하우웰이 새로운 교주로 취임하면서, 브랜치 다비디언 신자들만이 최종 전쟁에서 살아남을 것이라고 에게 인정받은 민족이라는 선민 사상을 설파하며, 카리스마적인 포교로 신자를 확보했다. 하우웰은 다윗 왕과 페르시아 황제 키루스 2세의 이름을 따서 데이비드 코레쉬로 개명했다. 교단은 최종 전쟁을 위해 무장화를 추진하여 다량의 총기를 불법으로 획득하여 사법 당국의 주목을 받았다.

1993년 2월 28일, 텍사스주 웨이코의 교단 본부(마운트 카멜 센터)에 대한 강제 수사가 진행되었으나, 다비디언 측은 바빌로니아 군대의 공격을 받을 것이라는 예언을 믿고 있었기 때문에, 연방 수사관을 바빌로니아 군대로 오인한 신자들의 격렬한 저항으로 ATF 수사관 4명과 다비디언 측 6명이 사망했다. ATF의 수사 정보가 사전에 유출되어 총격전이 텔레비전으로 방영되어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이후, 수사는 FBI가 이어받아 51일간 교착 상태가 이어졌다. 다비디언 측은 무기탄약 외에도 1년분 이상의 식량을 비축하고 농성했다. 같은 해 4월 19일, 법무장관 재닛 리노는 강제 돌입을 감행했다. FBI와 ATF는 군으로부터 빌린 10여 대의 전차장갑차 (M3 브래들리 기병 전투차 9~10대, CS 가스(최루 가스)로 무장한 M728 전투 공병차 4~5대, M1A1 에이브람스 주력 전차 2대, M88 장갑 회수차 1대), 무장 헬리콥터, 최루탄 등으로 돌입했다. 그러나 신자들은 투항하지 않았고, 갑자기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교단 본부는 불길에 휩싸였다. 코레쉬를 포함해 81명이 사망했고, 그 중 어린이가 25명, 생존자는 9명이었다.

브랜치 다비디언 본부 폭발 화재 사건 발생 직후에는 브랜치 다비디언을 위험한 컬트 집단으로 비난하는 목소리가 컸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미국 남부에서는 남부 특유의 정서로 이 사건을 비극으로 여기고 연방 정부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1995년에는 북 텍사스 헌법 민병대에 의해 웨이코에 신자를 추모하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6. 1. 주요 분파 소개

오늘날 다윗교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는 여러 그룹이 있다. "다윗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라는 원래 이름을 유지하는 그룹은 로이스 로든의 후계자를 더그 미첼, 미첼의 후계자를 트렌트 와일드로 간주하며, 이들은 데이비드 코레쉬를 따르지 않았다.[36]

마운트 카멜 센터 부지에 있는 다윗교 교회


또 다른 그룹은 찰스 페이스의 지도 아래 '''다윗, 우리의 의로우신 주'''라고 불린다. 이 그룹은 법적으로 인정된 종교 단체이며, 12명의 회원을 두고 있다. 페이스는 코레쉬를 하나님이 임명한 사람으로 여기지만, 코레쉬가 성경의 가르침을 왜곡했다고 말한다.[37] 페이스는 주님께서 "나를 기름 부어 지도자로 임명하셨다"고 믿지만, 그는 "선지자가 아니라 의로움의 교사"라고 말한다. 클라이브 도일이 이끌었던 다른 사람들은 코레쉬가 선지자였다고 계속 믿으며, 사망한 추종자들과 함께 그의 부활을 기다리고 있다.[38] 이 두 그룹 모두 종말을 기다리고 있다.[38] 도일은 2022년 6월에 사망했다.[39]

~~본부를 잃었지만, 교단 자체는 현재도 "The Branch, The Lord Our Righteousness "로 개칭하여 존속하고 있다. 지도자는 로덴 부부의 신봉자인 찰스 페이스이며, 신도는 1200명으로 추정된다는 잘못된 정보가 있다.~~ (앞선 내용과 중복되므로 삭제)

7. 브랜치 다비디언과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와의 관계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재림교 전통의 주요 교회로, 1930년 빅터 하우테프의 가르침을 거부하고 그의 회원 자격을 박탈했다.[50] 하우테프는 이후 다윗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일명 목자의 지팡이)를 설립했다. 분파 다윗교는 다윗파에서 벤자민 로덴에 의해 시작된 분파이다.[50]

플로렌스 하우테프(빅터 하우테프의 아내)는 자신이 예언자라고 믿었지만, 그녀가 예언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의 멸망은 하우테프 사망 후 42개월(1959년) 후에 일어날 것이었지만 현실화되지 않았다. 벤 로덴 역시 자신이 예언자이자 다윗파의 지도자 자격을 물려받을 자라고 믿었다.[50]

분파 다윗교 지도자들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에 교회 개혁을 요구했으나,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인과 다윗파 모두의 반대에 부딪히자 교단을 떠나 다윗파와도 거리를 두었다.[50]

7. 1. 빅터 호테프와 다윗파에 대한 입장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1930년 빅터 하우테프의 가르침을 거부하고 그의 회원 자격을 박탈했다.[50] 하우테프는 이후 다윗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목자의 지팡이)를 설립했다. 분파 다윗교는 다윗파에서 벤자민 로덴에 의해 시작된 분파이다.[50]

분파 다윗교 지도자들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에 개혁을 요구했고,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인과 다윗파 모두의 반대에 부딪히자 교단을 떠나 다윗파와도 거리를 두었다.[50]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분파 다윗교와 다윗파 모두에서 교단 회원 자격을 박탈했지만, 분파 다윗교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구성원들을 "사냥"하여 자신들의 그룹에 합류하도록 장려했다.[50]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인들은 분파 다윗교가 빅터 하우테프를 엘렌 G. 화이트의 후계자로 믿고 자신들이 "유일하게 정당한 재림교 메시지의 연속"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우려했다.[50] 다윗파와 분파 다윗교는 모두 하우테프를 다윗파 창시자이자 정신적 영감으로 주장했다.[50]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분파 다윗교의 견해에 대해 정기적으로 경고했다.[50]

7. 2. 브랜치 다비디언의 분파적 성격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에서 분리된 빅터 하우테프는 다윗파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를 설립했다. 다윗교는 이 다윗파에서 다시 분파된 분파인데, 이는 하우테프가 사망한 후 그의 아내 플로렌스가 권력을 차지하려 하자 벤자민 로덴이 반발하며 분열했기 때문이다.[50]

플로렌스는 자신이 예언자라고 믿었지만, 그녀가 예언한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의 멸망은 하우테프 사망 후 42개월(1959년) 후에 일어날 것이었지만 현실화되지 않았다. 벤 로덴 역시 자신이 예언자이자 다윗파의 지도자 자격을 물려받을 자라고 믿었다.[50]

분파 다윗교 지도자들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에 여전히 정식으로 소속되어 있는 동안 교회 개혁을 요구했고, 그들의 요구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인과 다윗파 모두의 반대에 부딪히자 그 교단을 떠나기로 결정했고 동시에 다윗파와도 크게 거리를 두었다.[50]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분파 다윗교와 다윗파 모두에게서 교단 회원 자격을 박탈했지만, 분파 다윗교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의 구성원을 적극적으로 "사냥"하여 그들이 교회를 떠나 자신들의 그룹에 합류하도록 장려했다.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인들은 분파 다윗교가 빅터 하우테프가 신성하게 선택된 예언자이자 엘렌 G. 화이트의 후계자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자신들이 "유일하게 정당한 재림교 메시지의 연속"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그들의 견해에 대해 "우려"했다고 한다. 다윗파와 분파 다윗교 모두 하우테프가 다윗파의 창시자로서 그들의 정신적 영감이라고 주장했다.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분파 다윗교의 견해에 대해 정기적으로 회원들에게 경고를 발령했다.[50]

7. 3. 상호 관계 및 갈등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분파 다윗교와 다윗파 모두에서 교단 회원 자격을 박탈했다.[50]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파 다윗교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 신도들을 적극적으로 포섭하여 자신들의 그룹에 합류하도록 장려했다.[50]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 교회는 분파 다윗교가 빅터 하우테프를 신성하게 선택된 예언자로 보았기 때문에 그들의 견해에 대해 경고해 왔다.[50]

8. 브랜치 다비디언의 상징 (깃발)

1942년 ''Catalog-Syllabus''에 묘사된 다윗교의 원래 깃발은 검은색 육각형 별 안에 붉은 사자를 묘사했고, 녹색 바탕에 오각별로 둘러싸여 있었다.[40]

1993년 2월 28일, 주류·담배·화기 및 폭발물 단속국 (ATF)과의 첫 대립이 있던 날, 술이 달린 새틴으로 만들어진 유사한 깃발이 단지 정면 창문에 걸려 있었다. 이 깃발은 금색 바탕에 분홍색 육각형 별과 오각별로 둘러싸여 있었다.[41] 이 깃발은 북부 분파 다윗교인들이 벤자민 로덴에게 증정했지만, 로덴은 "색깔이 잘못되었다"는 이유로 게양하지 않았다. 그러나 코레쉬는 그것을 걸기로 결정했고, 첫날에 파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포위 기간 내내 너덜너덜한 상태로 걸려 있었다.[42]

매튜 D. 위트머가 재구성한 두 번째 웨이코 깃발


웨이코 공방전 당시 분파 다윗교는 연방 요원들에게 포위된 후 1993년 3월 1일에 다른 깃발을 깃대에 게양했다. 이 깃발 또한 새틴으로 만들어졌으며, 캐시 존스가 부분적으로 바느질했다.[44] 스티브 슈나이더는 그것이 "양식화된 다윗의 별"과 이사야 14장에 언급된 불타는 날으는 뱀을 포함하고 있다고 묘사했다.[45] 코레쉬에 따르면, 이 깃발은 마운트 카멜의 주권 지위를 나타냈다.[46] 이 깃발은 마운트 카멜 단지 화재 중에 깃대에서 찢어졌고, ATF는 그것을 미국 국기, 텍사스 기 및 자체 깃발로 교체했다.[47][48]

캐롤 하우는 오클라호마주 엘로힘 시티에 1995년 1월까지 분파 다윗교 깃발이 걸려 있었다고 보고했다. 오클라호마 시티 폭탄 테러 이전이었다.[49]

참조

[1] 웹사이트 Seven Letters to Florence Houteff and the Executive Council of the Davidian Seventh Day Adventist Association http://www.bdsda.com[...]
[2] 서적 The Branch Davidians of Waco: The History and Beliefs of an Apocalyptic Sect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3] 웹사이트 Davidians and Branch Davidians (1929–1981) https://wrldrels.org[...]
[4] 문서 June 10, 1985 document written by Vernon Howell https://web.archive.[...]
[5] 문서 March 28, 1985 document written by Lois Roden https://web.archive.[...]
[6] 문서 Oct. 30, 1987 document written by Vernon Howell https://web.archive.[...]
[7] 서적 Waco Untold: How David Koresh Stole The Identity of the Branch Davidians https://www.amazon.c[...]
[8] 웹사이트 Waco – The Inside Story https://www.pbs.org/[...] PBS 2020-04-28
[9] 웹사이트 The Shepherd's Rod, Vol. 1 https://web.archive.[...] The-branch.org 2011-03-18
[10] 웹사이트 Davidians and Branch Davidians http://www.tshaonlin[...] Handbook of Texas – Texas State Historical Association 2012-11-25
[11] 뉴스 Branch Davidian {{!}} Religious Organization https://www.britanni[...] 2017-05-17
[12] 서적 Zechariah 3:8; "'Listen, High Priest Joshua, you and your associates seated before you, who are men symbolic of things to come: I am going to bring my servant, the Branch. https://www.bible.co[...] 2017-05-17
[13] 서적 Zechariah 6:12; Tell him this is what the Lord Almighty says: 'Here is the man whose name is the Branch, and he will branch out from his place and build the temple of the Lord. https://www.bible.co[...] 2017-05-17
[14] 웹사이트 Biography: David Koresh https://www.pbs.org/[...] Frontline 2016-05-21
[15] 서적 The Davidian Tradition: From Patronal Clan to Prophetic Movemen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1995
[16] 웹사이트 Crying in the wilderness: A religious commune sets up a dwelling place in the woods amid a struggle between rival prophets https://wacotrib.com[...] 1988-01-17
[17] 웹사이트 BIOGRAPHY: David Koresh https://www.pbs.org/[...] PBS 2016-05-23
[18] 뉴스 Warning of Violence Was Unheeded After Cult Leader's Gun Battle in '87 https://www.nytimes.[...] 2016-05-19
[19] 서적 Waco Untold: How David Koresh Stole The Identity of the Branch Davidians https://www.amazon.c[...]
[20] 웹사이트 Report to the Deputy Attorney General on the Events at Waco, Texas: Child Abuse {{!}} DOJ {{!}} Department of Justice https://web.archive.[...] 2017-05-17
[21] 뉴스 Branch Davidian {{!}} religious organization https://www.britanni[...] 2017-05-17
[22] 서적 Revelation 5, New International Version (NIV) {{!}} Chapter 5 {{!}} The Bible App {{!}} Bible.com https://www.bible.co[...] 2017-05-17
[23] 뉴스 14. When All Heaven Breaks Loose! (Revelation 5:1-14) https://web.archive.[...] 2017-05-17
[24] 뉴스 "Mr. Ricks [FBI negotiator] said today that Ms. Schroeder had told him that members of the sect, a renegade offshoot of Seventh-day Adventists, henceforth wanted to be known as Koreshians." New York Times 1993-03-15
[25] 문서 Affidavit of Davy Aguilera, Special Agent with the U.S Treasury Department, BATF, Austin, Texas, sworn before Dennis G. Green, United States Magistrate Judge Western District of Texas – Waco on the February 25, 1993.
[26] 뉴스 ATF's basis for the assault on Waco is shot full of holes - Bureau of Alcohol, Tobacco and Firearms fatal attack on the Branch Davidian complex in Waco, Texas http://findarticles.[...] 1993-06-28
[27] 웹사이트 Waco: The Rules of Engagement (1997) https://www.imdb.com[...] IMDb – Internet Movie Database 2012-11-25
[28] 서적 No Heroes : Inside the FBI's Secret Counter-Terror Force Pocket Books 2001
[29] 기타 Inside Waco Channel 4/HBO 2007-02-02
[30] 간행물 Stairway to Heaven; Treating children in the crosshairs of trauma. Psychotherapy Networker 2007
[31] 웹사이트 Report to the Deputy Attorney General on the Events at Waco, Texas: The Aftermath of the April 19 Fire https://web.archive.[...] 1993
[32] 서적 A Place Called Waco : A Survivor's Story https://archive.org/[...] PublicAffairs 1999
[33] 기타 p. 7403 of the trial transcripts
[34] 뉴스 Six Branch Davidians Due for Release 13 Years After Waco Inferno https://www.foxnews.[...] 2006-04-19
[35] 기타 Andrade v. Chojnacki, 338 F.3d 448 (5th Cir. 2003), cert. denied (2004).
[36] 웹사이트 bdsda.com FAQ http://www.bdsda.com[...]
[37] 뉴스 Near Waco, a New Fight Over an Old Compound https://www.nytimes.[...] The Associated Press 2007-04-15
[38] 뉴스 Two Decades Later, Some Branch Davidians Still Believe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13-04-20
[39] 뉴스 Clive Doyle, leader of Branch Davidian survivors, dies at 81 https://wacotrib.com[...] Waco Tribune-Herald 2022-06-16
[40] 웹사이트 Mt. Carmel Training Center https://gadsda.com/m[...] 1942-11-28
[41] 웹사이트 Assault on the Branch Davidian Community: A Photographic Retrospective https://wrldrels.org[...]
[42] 서적 A Journey to Waco: Autobiography of a Branch Davidia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2
[43] 문서 Tape 7 https://vault.fbi.go[...]
[44] 웹사이트 The 1993 Branch Davidian flag at Mount Carmel in Waco, Texas https://www.stormbou[...]
[45] 문서 Tape 24 https://vault.fbi.go[...]
[46] 문서 Tape 139 https://vault.fbi.go[...]
[47] 서적 Theorizing the Standoff: Contingency in A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3-28
[48] 서적 American Heretics: Catholics, Jews, Muslims, and the History of Religious Intolerance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3-11-12
[49] 서적 Deadly Secrets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2010
[50] 서적 Armageddon in Waco: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Branch Davidian Conflict
[51] 웹사이트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Treasury: Bureau of Alcohol, Tobacco & Firearms (Tape #126 Transcription) https://digital.libr[...] 1993-03-13
[52] 서적 Waco Untold, How David Koresh Stole the Identity of The Branch Davidians Ten Strings Publishing
[53] 뉴스 텍사스 비료공장 폭발은 다윗파 사건의 보복? http://www.hani.co.k[...] 2019-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