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사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쓰퉁은 청나라 말기의 개혁가로,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부패로 위기에 처한 조국을 구하고자 캉유웨이 등과 함께 변법자강 운동을 추진했다. 그는 여섯 번의 과거 실패 후 관직을 샀으나 곧 귀향했고, 청년 시절 호방한 성향으로 무술을 좋아하며 비밀결사와 교류했다. 청일 전쟁 이후 민족의식을 느껴 변법을 지향, 량치차오 등과 교류하며 캉유웨이의 학설을 접하고 기독교에도 관심을 가졌다. 1898년 백일유신에 참여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서태후 등 보수파의 반대로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그의 사상은 《인학》에 담겨 있으며, 유교, 불교, 기독교, 서양 근대과학을 융합하여 평등을 강조하고 혁신을 추구했다. 그의 개혁 실패는 기득권 세력의 저항을 보여주며, 그의 사상은 현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담씨 - 탄둔
탄둔은 중국 전통 음악과 서양 고전 음악을 융합한 독창적인 스타일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작곡가 겸 지휘자이며, 영화 음악, 유기적 음악, 멀티미디어 공연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 담씨 - 탄위링
탄위링은 1920년 베이징에서 태어나 만주국 황제 푸이의 총애를 받았으나 방광염 치료 중 사망했으며, 푸이는 그녀에게 명현귀비 시호를 내렸다. - 후난성 출신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후난성 출신 - 우씽
중국의 남성 음악가 우씽은 2018년 가족과 함께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데뷔, 2020년 "명일지자 슈퍼밴드"에서 뛰어난 실력을 보인 후 은하계악단으로 데뷔하여 활동 중이며, 캐나다 요크 대학교 미디어 전공을 중단하고 음악에 전념하고 있다. - 1898년 사망 - 정범조 (1833년)
조선 후기 정치가 정범조는 1859년 문과 급제 후 이조판서, 예조판서, 공조판서 등 요직을 거쳐 의정부 참찬을 역임했으며, 대한제국 시대 판중추부사와 태의원 도제조를 지낸 후 문헌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898년 사망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19세기 후반 독일 통일의 주역인 프로이센 왕국 출신 정치가로, 철혈 정책을 통해 독일 제국을 건설하고 초대 총리가 되어 강력한 국가를 건설했지만, 국내 정책과 외교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담사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담사동 (谭嗣同) |
로마자 표기 | Tan Sitong |
출생일 | 1865년 3월 10일 |
출생지 | 베이징 |
사망일 | 1898년 9월 28일 |
사망 장소 | 차이시커우 형장, 베이징 |
사망 원인 | 참수형 |
직업 | 정부 관료, 개혁가, 작가 |
휘 | 복생 (復生) |
자 | 장비 (壯飛) |
경력 | |
직책 | 군기장경 (軍機章京), 군기처 |
임기 시작 | 1898년 5월 |
임기 종료 | 1898년 9월 |
2. 생애
후난성 출신의 탄쓰퉁은 과거를 목표로 공부했으나 여섯 번이나 향시에 낙방했다. 30세 무렵 관직을 샀지만 관계에 반발하여 귀향했다. 청년 시절 왕선산의 유서를 읽고 강한 민족의식을 갖게 되었으며, 청일 전쟁 이후 변법을 지향했다.[1]
1896년 베이징에서 량치차오 등과 교류하며 캉유웨이의 학설에 영향을 받았고, 상하이에서 영국 선교사 존 프라이어를 만나 기독교에 관심을 가졌다. 1898년 초 귀향하여 탕차이창 등과 남학회(南學會)를 설립, 상보(湘報)를 발행하며 후난의 혁신 운동을 이끌었다. 같은 해 무술변법에 참여했으나, 서태후 등 보수파의 탄압으로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탄쓰퉁은 1865년 베이징에서 태어났으나, 그의 가문은 원래 후난성 류양현 출신이었다. 아버지 탄지쉰(谭继洵|탄지쉰중국어)은 후베이성 총독을 지낸 고위 관료였고, 어머니 쉬우위안(徐五缘|쉬우위안중국어)은 전통적인 중국 가정주부였다.탄쓰퉁은 5세에 정규 교육을 시작했고, 10세 때 오양중곡(欧阳中鹄)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 12세 때 디프테리아로 인해 어머니, 장남, 둘째 누나가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고, 자신도 병에 걸렸으나 기적적으로 회복했다. 이후 아버지의 첩에게 학대받으며 성장했고, 이는 그가 중국의 전통적인 가족 제도에 반감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다.
1879년부터 학자 쉬치셴(徐启先)에게서 공부하며 중국 고전과 자연 과학을 체계적으로 연구했다. 16세 때에는 동향의 도대위에게 수학을 배우고 자연과학에도 관심을 보였다.[3] 19세 때에는 『묵자』와 『장자』를 처음 접하고 감명을 받았다.[3]
2. 2. 청년 시절과 방랑
1884년, 탄사동은 집을 떠나 중국 각지를 여행하며 견문을 넓혔다. 허베이, 간쑤, 신장, 산시, 허난, 후베이, 장시, 장쑤, 안후이, 저장, 산둥 등 여러 성을 방문했다. 여행 중 200편이 넘는 시를 지으며 문학적 재능을 발휘했다. 19세에 리룬(李闰)과 결혼하여 아들 탄란성(谭兰生)을 낳았으나, 아들은 1년 만에 사망했다. 비밀 결사와 교류하며 협객의 기질을 배우고, 대도왕오에게서 무술을 연마했다.2. 3. 개혁 운동
후난성 출신 탄쓰퉁은 어릴 때부터 과거를 목표로 공부했으나, 여섯 번이나 향시에 낙방했다. 30세 무렵 관직을 샀지만 관계에 반발하여 귀향했다. 청년 시절 호방한 성격으로 무예를 좋아하고 비밀결사와 교류했으며, 왕선산의 유서를 읽고 강한 민족의식을 갖게 되었다. 청일 전쟁 이후 변법을 지향하게 되었다.[1]1896년 베이징에서 량치차오 등과 교류하며 캉유웨이의 학설에 영향을 받았고, 상하이에서 영국 선교사 존 프라이어를 만나 기독교에 관심을 가졌다. 1898년 초 귀향하여 탕차이창 등과 남학회(南學會)를 설립, 상보(湘報)를 발행하며 후난의 혁신 운동을 이끌었다. 같은 해 무술변법에 참여했으나, 서태후 등 보수파의 탄압으로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2. 3. 1. 배경
후난성 출신인 탄쓰퉁은 소년 시절부터 과거를 목표로 학문을 공부했지만, 여섯 번이나 향시에 실패하였다. 청년 시절 왕선산의 유서를 보고 강렬한 민족의식을 갖게 되었고, 청일 전쟁을 계기로 변법을 지향하게 되었다.[1]19세기 초, 중국은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부패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아편 전쟁은 외세 침략과 식민지화의 시대를 열었고, 중국 지식인과 관료들은 국가적 전망을 개선할 방법을 모색했다.[2]
1895년, 청일 전쟁에서 일본에게 패한 후, 중국은 시모노세키 조약을 강제로 체결해야 했다. 이 조약에 따라 타이완이 점령당하고 일본에 이 지불되었다. 이 패배에 충격을 받은 탄쓰퉁은 중국의 철저한 개혁의 필요성을 깨달았다.[3] 그는 과거 시험 공부와 고증학에서 벗어나 개혁을 위한 학문, 즉 경세치용의 학문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2. 3. 2. 개혁 활동
1896년, 탄사동은 시 《유감(有感)》을 통해 국가적 위기 상황에 대한 비통한 심정을 드러냈다. 같은 해, 베이징에서 량치차오 등과 교류하며 캉유웨이의 학설에 영향을 받았다. 상하이에서는 영국 선교사 존 프라이어를 만나 기독교와 서구 과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5]1898년 초, 후난성으로 돌아온 그는 량치차오, 탕차이창 등과 함께 후난 혁신 운동을 추진했다. 그들은 남학회(南學會)를 설립하고, 《상보(湘報)》를 발행하여 혁신 사상을 전파했다. 또한, 무술변법의 중심인물 중 하나로 활약하였다.
2. 3. 3. 백일유신 참여와 실패
1898년, 광서제는 ''명정국시조''(明定国是诏)라는 칙령을 발표하며 백일유신을 시작했다. 탄쓰퉁은 군기처의 구성원으로 임명되어 개혁에 참여했다.[5]그러나 새로운 정책은 만주족 귀족들의 반발을 불러왔고, 이들은 서태후에게 이 사실을 보고했다. 서태후는 개혁파가 이토 히로부미를 고문으로 임명하려는 것에 위협을 느껴 쿠데타를 일으켰다.
1898년 9월 21일, 서태후는 광서제를 중난하이의 영대에 감금하고 개혁파 체포 명령을 내렸다. 탄쓰퉁은 9월 24일 체포되었고, 9월 28일 양신슈, 린쉬, 류광디, 강광인(캉유웨이의 동생), 양루이와 함께 채시구 처형장에서 처형되었다. 이들은 백일유신 육군자로 불린다.[5] 탄쓰퉁은 국가의 개혁을 위해 자신의 희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도주를 거부했다.
> 각국의 변법은 피를 흘리지 않고 성공한 적이 없다. 지금 중국에서는 변법 때문에 피를 흘린 사람이 없으니, 이 나라가 번창하지 못하는 이유이다. 만약 그런 사람이 있다면, 나 탄쓰퉁부터 시작하겠다.
3. 사상 및 저서
담사동은 주저 《인학》에서 왕부지의 사상, 공양학, 불교와 기독교, 서양 지식 등을 관련지어 독자적인 변법론(變法論)을 전개하였다. 여기에는 강력한 반만(反滿) 의식이 반영되어 있어, 캉유웨이나 량치차오보다 한층 더 급진적이었다. 그의 저술 대부분은 채상언(蔡尙思) 등이 편집한 《담사동전집》(譚嗣同全集, 1954년 간행)에 수록되어 있다.
3. 1. 《인학(仁學)》
1896년경 저술되었으며, 1899년 량치차오에 의해 일본에서 간행되었다. 유교의 인(仁), 묵자의 겸애(兼愛), 불교의 자비(慈悲), 기독교의 사랑을 동일한 것으로 보고, 그 본체를 자연과학의 에테르(以太)와 연결시켰다. 인(仁)은 에테르의 작용(用)이고, 에테르는 인의 본체(體)라고 주장했다. 인(仁)의 가장 중요한 의미를 '통(通)'으로 규정하고, 남녀, 상하, 중외, 인아(人我) 간의 차별을 없애는 평등을 이상으로 제시했다. 전통적인 윤리 도덕인 명교(名敎)를 타파해야 할 대상으로 비판하고, 혁신을 강조했으며, 유교, 불교, 기독교, 서양 근대 과학 지식을 융합하여 독자적인 사상을 전개했다.3. 2. 기타 저서
《동해건명씨삼십이전구학사종(東海騫冥氏三十以前舊學四種)》[1], 《요천일각문(寥天一閣文)》, 《망창창재시(莽蒼蒼斎詩)》, 《원유당집외문초편(遠遺堂集外文初編)》, 《원유당집외문속편(遠遺堂集外文続編)》, 《석국영려필식(石菊影廬筆識)》, 《흥산학의(興算学議)》, 《사위일조대단서(思緯壹㚃臺短書)》, 《추우년화지관총좌서(秋雨年華之館叢脞書)》, 《장비루치사(壮飛楼治事)》, 《인학》 등이 있다.4. 평가 및 유산
탄쓰퉁의 유해는 그의 친구들이 수습하여 보관하다가, 1899년 고향인 후난성 류양으로 보내져 안장되었다.[1] 그의 아버지 또한 아들의 개혁에 반대했음에도 모든 공직에서 쫓겨나 고향으로 돌아가 3년 후 사망했다.[1] 탄쓰퉁의 부인 리룬은 여성 교육 장려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만년에는 후난에서 위탁모 봉사도 했다.[1] 그녀는 청 왕조 붕괴 14년 후이자 남편 사망 27년 만인 1925년에 사망했다.[1]
참조
[1]
서적
Great Thinkers of the Eastern World: The Major Thinkers and the Philosophical and Religious Classics of China, India, Japan, Korea, and the World of Islam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Publishers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dern China (1800-1949)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9-06-16
[3]
ECCP
T'an Ssŭ-t'ung
[4]
간행물
Tan Sitong and the Ether Reconsidered
http://www.jstor.org[...]
1994
[5]
서적
China's Revolution and the Quest for a Socialist Future
1804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