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담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담징은 614년 고구려 영양왕 때 일본으로 건너가 법정과 함께 오경, 채색화, 공예 등을 가르치고 종이, 먹, 칠, 맷돌 등의 제작 기술을 전파한 승려이다. 일본 호류지 금당 벽화가 그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나, 학계에서는 실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한국에서는 호류지 금당 벽화를 담징의 작품으로 보는 시각이 있으며, 일부 백과사전과 역사 교과서에서도 이를 언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79년 출생 - 양소 (원덕태자)
    양소(원덕태자)는 수 문제의 손자이자 수 양제의 아들로, 황태손에 책봉되었다가 황태자가 되었으나 양광의 사주를 받은 양소에게 독살당해 원덕태자로 추존되었고, 아들 양유가 황제에 즉위한 뒤 효성황제로 다시 추존되었다.
  • 고구려-일본 관계 - 고구려-왜 전쟁
    고구려-왜 전쟁은 391년부터 404년까지 고구려가 한반도 남부 주도권을 두고 왜와 벌인 군사적 충돌로, 광개토대왕의 주도 하에 고구려가 왜의 침략을 격퇴하며 동아시아 강국으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 고구려-일본 관계 - 고마 신사
    고마 신사는 730년 고구려 유민들이 고구려 왕족을 기리기 위해 창건한 신사로, 한일 우호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출세와 관련된 속설로 인해 참배객이 많다.
담징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법명담징
출생일579년
입적일631년
직업화가
설명

2. 생애

담징은 고구려의 승려로, 610년 (영양왕 21년) 일본에 건너가 다양한 기술을 전파한 인물이다.

담징은 일본불교뿐만 아니라 오경, 채화, 공예 기술을 전하고, 종이, , 칠, 맷돌 등을 만드는 방법을 가르쳤다고 알려져 있다.[22] 이러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2. 1. 일본에서의 활동과 논란

614년 영양왕 때 일본인 승려 법정과 함께 일본에 가서 오경, 채화, 공예를 가르치고 종이, , 칠, 맷돌 등을 만드는 법을 가르쳤다.[22] 현재 학계에선 실체성 여부에 논란이 있지만, 구전에 따르면 일본 호류지의 금당벽화가 바로 담징 선사가 그렸다고 전해진다.

한국에서는 호류지 금당 벽화는 담징에 의한 것으로 주장되는 경우가 있어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의 역사교과서도 그렇게 가르치고 있다. 한국의 역사교과서는 “고구려도 많은 문화를 일본에 전해줬다. 그래도 그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것을 지지하는 자료는 전혀 없으며 현재의 호류지는 7세기 후반에 재건된 것으로 비정된다.

『일본 서기』에는 고구려 왕이 채색 및 지묵 기술자인 승려 담징을 공상(공물로 바침)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본 서기』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13]

스이코 천황 18년(서기 610년) 봄 3월에 고구려 왕은 승려 담징과 법정(호조, 호테이)을 공물로 바쳤다. 담징은 오경에 통달했다. 그림 물감이나 종이, 먹을 잘 만들고, 더 나아가 맷돌[12]도 만들었다. 생각건대, 맷돌을 만드는 것은, 이 때부터 시작되었을까.

『일본 서기』에는 이 부분 외에 담징에 대한 기술은 없다. 『쇼토쿠 태자 전력』(917년 또는 992년 성립)에는 쇼토쿠 태자가 담징을 이카루가 궁으로 초청하여, 그 후에 호류지에 머물게 했다고 한다[14]. 그러나 해당 서적은 후세에 성행했던 신화적 태자전의 집대성이며, 사사실성이 의문시되고 있으며, 게다가 이 일화는 선행하는 어떤 쇼토쿠 태자전에도 보이지 않는다[15]. 또한, 이때 담징은 전생에서는 남악 혜사 선사(여기서는 쇼토쿠 태자의 전생)의 제자였다고 대답하고 있다.

일본에서 처음 제지(製紙)에 대한 기사가 보이는 것은 『일본 서기』 권 22의 스이코 천황 18년의 기록이 처음이다. "봄 3월에 고구려에서 담징, 법정이라는 두 승려가 내일했는데, 담징은 중국 고전에 통달했을 뿐만 아니라, 그림 물감이나 종이, 먹을 만드는 명인이었으며, 또한 일본에서 처음으로 수력으로 절구를 움직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사에서는 담징이 처음으로 종이를 떴다고 쓰여 있지 않고, 기술 도입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제지 기술은 이미 중국에서 전해졌으며, 또한 고분 시대의 벽화, , , 황 등의 채색이 이미 사용되었기 때문에, 은 상당히 이른 시기에 중국에서 수입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담징이 종이와 먹의 제법을 전했다고 하는 것이 사실인지 아닌지의 확증은 없다. 제지의 기록이 여기서 처음 등장한다는 이유로, 담징을 일본에서의 제지 창시자로 보는 의견이 있다. 그러나, 만약 담징에 의해 처음으로 가져온 것이라면, 맷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렇게 기록되었을 것이라며, 스즈타케 분쇼는, 여러 문헌을 정밀 조사한 결과, 이 기록은 승려이면서, 유학에도 통달하고, 공예면에도 어둡지 않았던 담징에 대한 찬사이며, 그가 그림 물감이나 종이, 먹을 처음 만들었다는 의미로 해석하기보다는, 그 제작에 관해서는 상당한 달인이었다,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고 있다.[16]. 호적 용지 등 많은 종이를 필요로 하는 국가 기구의 정비가, 이 시대에는 이미 시작되었던 것도, 담징 이전에 제지 기술이 전해졌을 가능성을 지지하고 있다.[17]. 사실, 종이 그 자체는, 외교 문서나 사적인 선물로 이미 고분 시대에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졌으며, 일본의 어딘가에서 이미 제지가 행해졌다고 보인다. 당시의 종이는 귀중품이었으며, 중국에서 가져온 종이는 당지라고 불리는 외국산이었다..

3. 한국의 인식과 교과서 서술

한국에서는 호류지 금당 벽화가 담징의 작품이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으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18]이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에도 기술되어 있으며, 한국역사 교과서도 그렇게 가르치고 있다.[20] 한국의 역사 교과서는 "고구려도 많은 문화를 일본에 전해주었다. 고구려 승려 혜자쇼토쿠 태자의 스승이며, 담징은 종이, , 벼루를 만드는 기술을 가르쳐 주었고, 호류지 금당 벽화도 그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21] 그러나 이를 지지하는 사료는 전혀 없으며 (또한 현재의 호류지는 7세기 후반에 재건된 것이다), 속설이다.

4. 평가 및 영향

담징은 일본오경, 채화, 공예를 가르치고 종이, , 칠, 맷돌 등을 만드는 법을 전하였다.[22] 구전에 따르면 일본 호류지의 금당벽화를 담징이 그렸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현재 학계에서는 담징의 실체성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한국에서는 호류사 금당벽화가 담징의 작품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는데, 이는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 역사 교과서에도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자료는 없으며, 현재의 호류지는 7세기 후반에 재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3.town.min[...] Minobu Town 2019-08-25
[2] 문서 610 A.D.
[3] 문서 Koma(高麗) is Goguryeo in this context. The king was [[Yeong-yang of Goguryeo|Yeong-yang]].
[4] 문서 法定. Beopjeong in modern Korean.
[5] 문서 To be exact, 碾磑 is a mortar to grind grain by water power.
[6] 문서 Original text : 十八年春三月 高麗王貢上 僧曇徵・法定 曇徵知五經 且能作彩色及紙墨 并造碾磑 蓋造碾磑始于是時歟.
[7] 서적 日本の紙 (The Japanese Paper) 吉川弘文館 1967
[8] 문서 "''和紙 (Washi)''" in [[Heibonsha World Encyclopedia]] Heibonsha 2007
[9] 문서 From 聖徳太子伝暦, "十八年春三月 高麗僧曇徴・法定二口來 太子引入斑鳩宮 問之以昔身微言 二僧百拜 啓太子曰 我等學道年久 未知天眼 今遙想昔 殿下弟子而遊衡山者也 太子命曰 師等遲來 宜住吾寺 即置法隆寺."
[10] 문서 the article on ''Prince Shōtoku'', in 国史大辞典 (The Grand Dictionary of Japanese History) 吉川弘文館 1979-1997
[11] 웹사이트 articles on Damjing http://ko.wikisource[...]
[12] 문서 碾磑(みずうす、てんがい)とは、穀物を挽くための、水力を利用した臼のこと。その後の日本では、殆ど普及することはなかった。
[13] 문서 『[[元亨釈書]]』(1322年成立)は、この記述を写したもの。「釋曇徴。推古十八年三月。高麗國貢來。沙門法定共之。微渉外學善五經。又有伎藝。造碾磑工彩畫」。日本書紀の「彩色」は絵の具のことであるが(『新編日本古典文学全集 (3) 日本書紀 (2)』, 小学館, 1996, p.562)、[[虎関師錬]]は「彩画が巧みであった」と解釈している。
[14] 문서 「十八年春三月。高麗僧曇徴。法定二口來。太子引入斑鳩宮。問之以昔身微言。二僧百拜。啓太子曰。我等學道年久。未知天眼。今遙想昔。殿下弟子而遊衡山者也。太子命曰。師等遲來。宜住吾寺。即置法隆寺」
[15] 서적 聖徳太子 吉川弘文館 1997
[16] 서적 日本の紙 吉川弘文館 1996-05-01
[17] 서적 和紙 平凡社 2007
[18] 웹사이트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http://ko.wikisource[...]
[19] 서적 담징 曇徵 https://web.archiv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 서적 Ⅲ 古代社会の発展 https://web.archive.[...] 명석서점 2000
[21] 뉴스 歴史の共同研究 聞く耳持たぬ中韓ではなく米台と始めるべき https://www.news-pos[...] 2013-07-28
[22] 문서 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담징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