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육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륙육군은 미국 독립 전쟁 당시 식민지 방어를 위해 창설된 군대이다. 1775년 렉싱턴과 콩코드 전투 이후 제2차 대륙 회의에서 창설이 결의되었으며, 조지 워싱턴이 초대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대륙육군은 영국군에 맞서 주요 전투를 치렀으며, 요크타운 전투에서 승리하며 독립에 기여했다. 조직과 편성은 여러 차례 개편되었으며, 정규군 외에 주 민병대도 전투에 참여했다. 병사들은 자원병으로 구성되었으며, 흑인 노예도 참전했다. 대륙육군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훈련을 통해 전투력을 향상시켰으며, 1783년 파리 조약 체결 이후 해체되어 미국 육군으로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4년 폐지 - 일루미나티
일루미나티는 아담 바이스하우프트가 설립한 계몽주의 시대의 비밀 결사로, 자유주의적 이상을 추구했으나 정부 전복 의혹으로 해산된 후, 세계를 지배하려는 음모론의 중심 소재가 되었으며, 현재는 여러 친목 단체로 명맥을 잇고 있다. - 1775년 설립 - 미국 우정청
미국 우정청(USPS)은 1775년 설립되어 우편 재조직법에 따라 독립된 연방 정부 기관으로 전환되었으며, 우편 및 소포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재정적 어려움 속에서 우정청 개혁법을 통해 부채 탕감 및 개혁 조치가 이루어졌으며, 대규모 우체국과 차량을 운영하고 2026년부터 배달 차량을 전기 자동차로 교체할 계획이다. - 1775년 설립 - 미국 해병대
미국 해병대는 1775년 창설되어 해상 작전 지원과 육상 전투를 수행하며 수많은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역량을 입증한 미국 해군의 일부 군사 조직으로, 독자적인 항공 및 지상 전투력과 해병공지기동부대를 통해 신속한 전력 투사 능력을 갖추고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대륙육군 | |
---|---|
개요 | |
![]() | |
소속 | 13개 식민지(1775–1776) 미국(1776–1783) |
창립자 | 제2차 대륙 회의 |
해산 | 1783년 |
후신 | 미국 군단 미국 육군 |
지휘관 | 조지 워싱턴 |
아군 | 프랑스 왕국 |
적군 | 영국 정부 영국군 독일 용병 |
최대 병력 | 80,000명 |
색상 | 진한 파랑 |
역사적 배경 및 주요 전투 | |
주요 전투 | 미국 독립 전쟁 보스턴 포위전 롱아일랜드 전투 할렘 하이츠 전투 화이트 플레인스 전투 트렌턴 전투 애선핑크 크리크 전투 프린스턴 전투 브랜디와인 전투 저먼타운 전투 새러토가 전투 오거스타 포위전 몬머스 전투 찰스턴 포위전 캠던 전투 카우펜스 전투 길포드 코트하우스 전투 유토 스프링스 전투 나인티식스 포위전 요크타운 전투 |
조직 | |
군대 종류 | 육군 |
본부 | 필라델피아 |
기타 | |
관련 문서 | 미국 독립 전쟁 |
2. 창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775년 4월, 렉싱턴·콩코드 전투로 미국 독립 전쟁이 시작되자, 각 식민지는 자체적으로 민병대를 조직하여 영국군에 대항했다. 이전에는 각 식민지가 지역 방어를 위해 민병대에 의존하거나, 프랑스-인디언 전쟁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임시 지방군을 소집했다. 1774년 강압법 통과 이후 민병대 훈련이 강화되었다. 리처드 헨리 리와 같은 식민지인들은 국가 민병대 창설을 제안했지만, 제1차 대륙 회의는 이 아이디어를 거부했다.[1]
1775년 6월 14일, 제2차 대륙회의는 식민지 공동 방어를 위해 대륙육군 창설을 결의하고, 기존에 보스턴과 뉴욕에 주둔하던 부대를 대륙육군에 편입시켰다. 또한 펜실베이니아, 메릴랜드, 버지니아 출신의 사수 부대를 경보병으로 사용할 대륙군 10개 중대를 처음으로 소집했다. 펜실베이니아 사수는 1776년 1월 제1 대륙 연대가 되었다. 6월 15일, 대륙회의는 만장일치로 조지 워싱턴을 대륙육군 총사령관으로 추대하였다. 워싱턴은 무보수로 이 직책을 수락했다.
대륙회의는 독립된 국가의 입법부로서 점차 책임을 지고 정책을 내놓았기에, 대륙육군의 역할은 상응하는 논의의 대상이 되었다. 미국 식민지인들 사이에서는 상비군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일반적인 혐오감이 있었지만, 영국과의 전쟁에는 근대적인 병사 제도의 훈련과 조직화가 필요했다. 그 결과 군대는 몇 차례의 명백한 단계를 거쳐 부대의 해체와 재편성에 의해 그 성격을 부여받았다.
2. 1. 초기 지휘관
1775년 6월 15일, 제2차 대륙 회의는 만장일치로 조지 워싱턴을 최고사령관으로 추대했다. 그는 필요경비를 제외하고 무상으로 이 역할을 맡았다. 같은 날, 4명의 소장(아르테마스 워드, 찰스 리, 필립 스카일러, 이즈라엘 퍼트넘)과 8명의 준장(세스 포메로이, 리처드 몽고메리, 데이비드 우스터, 윌리엄 히스, 조셉 스펜서, 존 토마스, 존 설리번, 나다니엘 그린)이 지명되었다.직책 | 이름 |
---|---|
총사령관 | 조지 워싱턴 |
소장 | 아르테마스 워드, 찰스 리, 필립 스카일러, 이스라엘 퍼트넘 |
준장 | 세스 포메로이, 리처드 몽고메리, 데이비드 우스터, 윌리엄 히스, 조셉 스펜서, 존 토마스, 존 설리번, 나다니엘 그린 |
대륙육군은 여러 차례 개편을 거치며 발전했다. 초기에는 상비군 유지에 대한 거부감이 있었으나, 영국과의 전쟁을 위해서는 근대적인 병사 제도와 조직화가 필요했다.
3. 조직 및 편성
시기 구성 특징 1775년 3개 사단, 6개 여단, 38개 연대 (뉴잉글랜드 군대 중심) 조지 워싱턴이 조직. 필립 스카일러 소장이 캐나다 침공 작전에 뉴욕의 10개 연대 파견.[2] 1776년 36개 연대 (각 연대는 768명 규모의 1개 대대, 8개 중대로 구성) 뉴잉글랜드 외 지역으로 징병 확대 시도.[2] 1777년 ~ 1780년 각 주가 인구 비례로 연대 제공 ("88개 대대 결의") 대륙회의에서 징병 기간을 3년 또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로 연장.[2] 1781년 ~ 1782년 재정난, 병사 복무 기간 만료 워싱턴 지휘 아래 중요 전투 승리. 펜실베이니아 전선과 뉴저지 전선에서 반란 진압.[2] 1783년 ~ 1784년 대부분 연대 해체 미국 육군으로 계승.[2]
대륙육군의 정규병 외에도 각 주에서 조직하고 예산을 지원하는 민병대가 전투에 참여했다. 이들은 대륙육군을 지원하고 증원하는 역할을 했다.[1]
병사들의 급여, 식량, 장비 등은 각 주에서 부담했다. 그러나 각 주는 이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했고, 이는 병사들의 사기 저하로 이어졌다.[1]
3. 1. 병력 구성
대륙육군 병사들은 자원병으로 1년에서 3년 동안 복무했다. 초기에는 제2차 대륙 회의가 대륙육군이 상비군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우려하여 복무 기간이 짧았다. 군대 전체 병력은 48,000명을 넘지 않았고, 한 지역에 13,000명 이상 주둔하지 않았다.[22] 잦은 인사이동은 특히 1776–1777년 겨울에 끊임없는 문제였고, 더 긴 입대 기간이 승인되었다. 정부는 돈이 없었기 때문에 병사들에게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는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합의했다.[22]
1781년과 1782년, 남부 식민지의 애국자 관리들과 장교들은 대륙 육군에 일정 수의 자원병을 모집하는 데 성공한 모집병에게 노예를 보상으로 제공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1781년 1월, 버지니아의 총회는 버지니아 라인 연대에 자원 입대한 사람들에게 "건강한 흑인 노예"를 보상으로 제공하겠다는 조치를 통과시켰다.[22]
대륙 육군은 인종적으로 통합된 부대였으며, 이는 미국 육군이 1940년대 후반까지 다시 경험하지 못했던 상황이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노예들은 대륙군과 영국군 모두에게 군 복무를 대가로 자유를 약속받았다.[26][27] 약 6,600명의 유색인(아프리카계 미국인, 원주민, 다인종 남성 포함)이 식민지군에서 복무했으며, 북부 대륙 육군의 5분의 1을 차지했다.[28]
대륙 육군 병력 | |||
---|---|---|---|
연도 | 1월 | 7월 | 12월 |
1775 | - | 23,239 | 21,535 |
1776 | 15,608 | 25,606 | 11,423 |
1777 | 25,985 | ||
1778 | 20,868 | 28,638 | 33,411 |
1779 | 33,535 | 26,394 | 18,700 |
1780 | 21,261 | 15,674 | 8,742 |
1781 | 6,853 | 10,265 | |
1782 | 10,687 | 12,392 | 13,973 |
1783 | 12,031 | 2,760 6월 | - |
출처: | [20] |
3. 2. 전력 규모
대륙육군의 전체 병력은 17,000명을 넘지 않았고, 한 지역에 배치된 병력은 최대 13,000명 수준이었다. 대륙군은 여러 차례 재편성을 거쳤다.시기 | 구성 | 특징 |
---|---|---|
1775년 | 3개 사단, 6개 여단, 38개 연대 (뉴잉글랜드 군대 중심) | 조지 워싱턴이 3개 사단, 6개 여단, 38개 연대로 조직. 필립 스카일러 소장이 캐나다 침공 작전에 뉴욕의 10개 연대 파견. |
1776년 | 36개 연대 (각 연대는 768명 규모의 1개 대대, 8개 중대로 구성. 각 중대는 640명의 병졸로 구성) | 뉴잉글랜드 외 지역으로 징병 확대 시도. |
1777년 ~ 1780년 | 각 주가 인구 비례로 연대 제공 ("88개 대대 결의") | 징병 기간 3년 또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로 연장. |
1781년 ~ 1782년 | 재정난, 병사 복무 기간 만료 | 워싱턴 지휘 아래 중요 전투 승리. |
1783년 ~ 1784년 | 대부분 연대 해체 | 현재의 미국 육군으로 계승. |
4. 주요 전투 및 작전
대륙육군은 1775년 보스턴 포위전을 시작으로, 뉴욕주, 뉴저지주, 펜실베이니아주 등지에서 영국군과 격전을 벌였다.
대륙 육군 사상자[32] | ||||
---|---|---|---|---|
연도 | 전사자 | 부상자 | 포로 | 실종자 |
1775 | 323 | 436 | 519 | 5 |
1776 | 600 | 562 | 5365 | 1 |
1777 | 1493 | 2053 | 2084 | 38 |
1778 | 753 | 443 | 1212 | 139 |
1779 | 657 | 824 | 859 | 18 |
1780 | 984 | 1886 | 4661 | 9 |
1781 | 1003 | 1454 | 761 | 1216 |
1782 | 277 | 124 | 80 | 0 |
1783 | 0 | 1 | 1 | 0 |
'''주요 전투'''는 다음과 같다:
- 보스턴 포위전: 1775년 미국 독립 전쟁의 첫 전투로 대륙육군은 보스턴을 포위하여 영국군을 몰아냈다.
- 롱아일랜드 전투: 1776년 뉴욕에서 벌어진 전투.
- 트렌턴 전투: 1776년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대륙육군이 델라웨어 강을 건너 헤센 용병을 기습하여 승리한 전투.
- 프린스턴 전투: 1777년 트렌턴 전투에 이어 대륙육군이 영국군에게 승리한 전투.
- 브랜디와인 전투: 1777년 필라델피아 근교에서 벌어진 전투로 대륙육군은 패배했다.
- 저먼타운 전투: 1777년 대륙육군이 영국군을 공격했으나 패배한 전투.
- 사라토가 전투: 1777년 대륙육군이 영국군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전투로, 프랑스가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 몬머스 전투: 1778년 뉴저지에서 벌어진 전투.
- 찰스턴 포위전: 1780년 영국군이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을 점령한 전투.
- 캠던 전투: 1780년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벌어진 전투로 대륙육군은 패배했다.
- 카우펜스 전투: 1781년 대륙육군이 영국군에게 승리한 전투.
- 길퍼드 코트하우스 전투: 1781년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벌어진 전투.
- 요크타운 전투: 1781년 대륙육군과 프랑스 연합군이 영국군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전투. 이 전투로 사실상 미국 독립 전쟁은 종결되었다.
1776년 3월, 대륙군이 보스턴을 내려다보는 고지에 대포를 설치하자 영국군은 보스턴에서 철수했다. 이후 5년간 대륙군과 영국군은 뉴욕, 뉴저지, 펜실베이니아에서 트렌턴, 프린스턴, 브랜디와인, 저먼타운, 모리스타운 등 주요 전투를 치렀다.
1781년 요크타운 전투에서 대륙육군과 프랑스 연합군은 영국군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고, 이는 사실상 미국 독립 전쟁의 종결로 이어졌다.
4. 1. 어려움과 극복
대륙육군은 열악한 보급, 부적절한 훈련, 짧은 복무 기간, 주 간의 갈등, 재정난 등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31] 초기 병사들의 복무 기간은 1년이었고, 주로 애국심에 의해 군에 들어왔다. 그러나 전쟁이 길어지면서 보상금이나 기타 유인책이 필요하게 되었다.[55]전쟁 후반에는 두 차례의 큰 반란이 일어나 부대의 신뢰성이 크게 손상되었고, 훈련 부족 문제도 항상 존재했다.[31]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륙육군은 시행착오를 통해 실효성과 성공률을 높여갔다. 조지 워싱턴과 같은 뛰어난 장교들은 8년간의 전쟁 동안 결속을 다지고, 배우고, 적응하며, 규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0]
1777년에서 1778년으로 넘어가는 겨울, 프로이센 출신 슈토이벤 남작의 합류는 대륙군의 훈련과 규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Valley Forge영어의 겨울)[30] 워싱턴은 군대를 일시적인 수단으로 여기고, 군대에 대한 문민 통제를 유지하고자 노력했다.[30]
전쟁 말기, 대륙육군은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전력을 강화했다. 로샹보 장군 휘하의 프랑스 원정대와 프랑스 해군의 지원을 받아 1781년 늦여름 주력 부대가 버지니아로 남하하여 요크타운 포위전에서 승리했다.
5. 해체 및 미국 육군으로의 계승
1783년 파리 조약 체결 이후, 대륙육군은 점진적으로 해체되었다. 1784년 6월 3일, 연합 회의는 대륙육군의 해체를 공식적으로 결의하고 미국 육군을 창설하였다. 뉴욕 웨스트포인트와 일부 변경 전초 기지에는 소규모 잔류 병력이 남아 있었다.
조지 워싱턴은 남은 장교들에게 작별을 고하고, 12월 23일 애나폴리스에 있던 의회에 출석하여 사령관직을 반납했다. 의회는 파리 조약을 비준함으로써 1784년 1월 14일에 미국 독립 전쟁을 종결시켰다.
6. 계급 체계 (1780년 기준)
1778년 5월 27일 의회 결의안에 따라 대륙 육군 장교와 병사의 월급이 결정되었으며, 이 급여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51]
병과 | 계급 | 월급 (달러) | 계급 | 월급 (달러) |
---|---|---|---|---|
보병 | 대령 | 75 | 상사 | 10 |
중령 | 60 | 군수 상사 | 10 | |
소령 | 50 | 상사 | 10 | |
대위 | 40 | 군악대장 | 9½ | |
대위 중위 | 26 2/3 | 피리수석 | 9 | |
중위 | 26 2/3 | 드러머, 피리수 | 7½ | |
소위 | 20 | 병장 | 7½ | |
군의관 | 60 | 사병 | 6 2/3 | |
군의관 보조 | 40 | |||
급여 외 추가 지급: 군수 장교 20USD, 부관 13USD, 군수관 13USD | ||||
기병 | 대령 | 93 3/4 | 군수 상사 | 15 |
중령 | 75 | 상사 | 15 | |
소령 | 60 | 나팔수 수석 | 11 | |
대위 | 50 | 나팔수 | 10 | |
중위 | 33 1/3 | 병장 | 10 | |
기수 | 26 2/3 | 용기병 | 8 1/3 | |
군의관 | 60 | 안장 제작공 | 10 | |
군의관 보조 | 40 | 대장장이 | 10 | |
마술사 | 33 1/3 | |||
급여 외 추가 지급: 군수 장교 25USD, 부관 15USD, 군수관 15USD | ||||
포병 | 대령 | 100 | 상사 | 11 23/90 |
중령 | 75 | 군수 상사 | 11 23/90 | |
소령 | 62½ | 군악대장 | 10 33/90 | |
대위 | 50 | 피리수석 | 10 33/90 | |
대위 중위 | 33 1/3 | 상사 | 10 | |
일등 중위 | 33 1/3 | 포병 | 9 | |
이등 중위 | 33 1/3 | 병장 | 9 | |
군의관 | 75 | 포수 | 8 2/3 | |
군의관 보조 | 50 | 드러머, 피리수 | 8 2/3 | |
포병 | 8 1/3 | |||
급여 외 추가 지급: 군수 장교 25USD, 부관 16USD, 군수관 16USD | ||||
공병 | 대위 | 50 | 상사 | 10 |
중위 | 33 1/3 | 병장 | 9 | |
사병 | 8 1/3 | |||
급여 외 추가 지급: 부관 24USD, 여단 군수관 24USD, 여단 소령 15USD | ||||
헌병 | 헌병 대위 | 50 | 상사 | 15 |
중위 | 33 1/3 | 나팔수 | 10 | |
서기 | 33 1/3 | 헌병 또는 사병 | 8 1/3 | |
사형 집행인 | 10 |
;1780년 계급장
6. 1. 장교

조지 워싱턴은 1775년 6월 15일 제2차 대륙 회의에서 대륙 육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총사령관은 참모총장의 지원을 받았다. 호레이쇼 게이츠, 조지프 리드, 조지 위든, 아이작 버드 던, 모건 코너, 티모시 피커링, 알렉산더 스캐멜, 에드워드 핸드가 그 뒤를 이었다.[4] 감찰관은 병력 상태를 보고하여 총사령관을 지원했는데, 토마스 컨웨이, 폰 슈토이벤 남작이 이 직책을 맡았다.[5] 법무감은 군사 재판 행정을 통해 총사령관을 지원했으며, 윌리엄 튜더, 존 로렌스, 토마스 에드워즈가 법무감으로 임명되었다.[6] 군무감은 육군 장교와 병사의 이름을 기록했는데, 스테판 모일란, 거닝 베드포드 주니어, 조셉 워드가 군무감이었다.[7][8]
1778년 5월 27일 대륙 육군 편성이 확정되었으며, 의회 결의안에 따라 결정된 대륙 육군 장교와 병사의 월급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51]
'보병' | |||
---|---|---|---|
계급 | 월급 (달러) | 계급 | 월급 (달러) |
대령 | 75USD | 상사 | 10USD |
중령 | 60USD | 군수 상사 | 10USD |
소령 | 50USD | 상사 | 10USD |
대위 | 40USD | 군악대장 | 9.5USD |
대위 중위 | 26.66USD | 피리수석 | 9USD |
중위 | 26.66USD | 드러머, 피리수 | 7.5USD |
소위 | 20USD | 병장 | 7.5USD |
군의관 | 60USD | 사병 | 6.66USD |
군의관 보조 | 40USD | ||
급여 외 추가 지급: 군수 장교 20USD, 부관 13USD, 군수관 13USD | |||
Source: [52] |
'기병' | |||
---|---|---|---|
계급 | 월급 (달러) | 계급 | 월급 (달러) |
대령 | 93.75USD | 군수 상사 | 15USD |
중령 | 75USD | 상사 | 15USD |
소령 | 60USD | 나팔수 수석 | 11USD |
대위 | 50USD | 나팔수 | 10USD |
중위 | 33.33USD | 병장 | 10USD |
기수 | 26.66USD | 용기병 | 8.33USD |
군의관 | 60USD | 안장 제작공 | 10USD |
군의관 보조 | 40USD | 대장장이 | 10USD |
마술사 | 33.33USD | ||
급여 외 추가 지급: 군수 장교 25USD, 부관 15USD, 군수관 15USD | |||
Source: [52] |
'포병' | |||
---|---|---|---|
계급 | 월급 (달러) | 계급 | 월급 (달러) |
대령 | 100USD | 상사 | 11.25USD |
중령 | 75USD | 군수 상사 | 11.25USD |
소령 | 62.5USD | 군악대장 | 10.36USD |
대위 | 50USD | 피리수석 | 10.36USD |
대위 중위 | 33.33USD | 상사 | 10USD |
일등 중위 | 33.33USD | 포병 | 9USD |
이등 중위 | 33.33USD | 병장 | 9USD |
군의관 | 75USD | 포수 | 8.66USD |
군의관 보조 | 50USD | 드러머, 피리수 | 8.66USD |
포병 | 8.33USD | ||
급여 외 추가 지급: 군수 장교 25USD, 부관 16USD, 군수관 16USD | |||
Source: [52] |
'공병' | |||
---|---|---|---|
계급 | 월급 (달러) | 계급 | 월급 (달러) |
대위 | 50USD | 상사 | 10USD |
중위 | 33.33USD | 병장 | 9USD |
사병 | 8.33USD | ||
급여 외 추가 지급: 부관 24USD, 여단 군수관 24USD, 여단 소령 15USD | |||
Source: [52] |
'헌병' | ||||
---|---|---|---|---|
계급 | 월급 (달러) | 계급 | 월급 (달러) | |
헌병 대위 | 50USD | 상사 | 15USD | |
중위 | 33.33USD | 나팔수 | 10USD | |
서기 | 33.33USD | 헌병 또는 사병 | 8.33USD | |
사형 집행인 | 10USD | |||
Source: [52] |
6. 2. 부사관 및 병
1778년 5월 27일 의회 결의안에 따라 대륙 육군 장교와 병사의 월급이 결정되었으며, 이 급여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51]보병 | 월급 (달러) | 기병 | 월급 (달러) | 포병 | 월급 (달러) | 공병 | 월급 (달러) | 헌병 | 월급 (달러) |
---|---|---|---|---|---|---|---|---|---|
상사 | 10 | 군수 상사 | 15 | 상사 | 11USD | 상사 | 10 | 상사 | 15 |
군수 상사 | 10 | 상사 | 15 | 군수 상사 | 11USD | 병장 | 9 | 나팔수 | 10 |
상사 | 10 | 나팔수 수석 | 11 | 군악대장 | 10USD | 사병 | 8USD | 헌병 또는 사병 | 8USD |
군악대장 | 9USD | 나팔수 | 10 | 피리수석 | 10USD | 사형 집행인 | 10 | ||
피리수석 | 9 | 병장 | 10 | 상사 | 10 | ||||
드러머, 피리수 | 7USD | 용기병 | 8USD | 포병 | 9 | ||||
병장 | 7USD | 안장 제작공 | 10 | 병장 | 9 | ||||
사병 | 6USD | 대장장이 | 10 | 포수 | 8USD | ||||
마술사 | 33USD | 드러머, 피리수 | 8USD | ||||||
포병 | 8USD |
6. 3. 계급장
미국 독립 전쟁 동안 대륙 육군은 초기에는 리본, 코케이드, 다양한 색상의 어깨 견장을 계급장으로 사용했다. 조지 워싱턴 장군은 1775년에 다음과 같이 지시했다.> "1775년 대륙 육군에는 불행히도 제복이 없으므로, 장교와 사병을 구별할 수 없어서 많은 불편함이 발생할 것이므로, 즉시 몇 가지 징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예를 들어 야전 장교는 모자에 빨간색 또는 분홍색 코케이드를, 대위는 노란색 또는 황갈색을, 부관은 녹색을 착용할 수 있습니다."[53]
1776년에는 대위가 황갈색 또는 흰색 코케이드를 착용하도록 변경되었다.
;1775년 계급장
이후 전쟁에서 대륙 육군은 모든 계급에서 흑백 코케이드를 사용하는 자체 제복을 만들었다. 보병 장교는 은색, 다른 병과는 금색 계급장을 착용했다.
;1780년 계급장
참조
[1]
문서
Wright, 1983
[2]
문서
Wehmann 1989
[3]
문서
Wehmann 1989
[4]
문서
Lesser 1976
[5]
문서
Wright 1983
[6]
문서
Bell 2012
[7]
문서
Bell 2012
[8]
문서
Wright 1983
[9]
문서
Wright, Continental Army
[10]
문서
Clay 2018
[11]
문서
Clay 2018
[12]
문서
Wehmann 1989
[13]
문서
Clay 2018
[14]
문서
Clay 2018
[15]
문서
Anonymous 1975
[16]
문서
Anonymous 1975
[17]
문서
Anonymous 1975a
[18]
문서
Anonymous 1975a
[19]
문서
Bell 2012
[20]
문서
Lesser 1976
[21]
서적
A Companion to George Washington
John Wiley & Sons
2012
[22]
서적
'They Were Good Soldiers': African-Americans Serving in the Continental Army, 1775–1783
Helion & Company
2019
[23]
웹사이트
Fighting Man of the Continental Army
https://www.battlefi[...]
2024-05-29
[24]
서적
Washington's Cross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25]
문서
Neimeyer, America Goes to War
[26]
서적
Blacks and the military in American history
Praeger
1974
[27]
문서
Neimeyer, America Goes to War
[28]
서적
The Negro in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archive.org/[...]
1961
[29]
서적
To Starve the Army at Pleasure: Continental Army Administration and American Political Culture, 1775–1783
1990
[30]
간행물
Baron von Steuben and the Training of Armies
EBSCO
1994
[31]
서적
Rebellion in the Ranks: Mutinies of the American Revolution
2008
[32]
문서
Peckham 1974
[33]
문서
Anonymous 1940
[34]
문서
Weig 1950
[35]
문서
Brown 1967
[36]
서적
Anonymous 1983
[37]
서적
Bodle 1982
[38]
서적
Elliot 2017
[39]
서적
Elliot 2017
[40]
서적
Elliot 2017
[41]
서적
Anonymous 1940
[42]
서적
Weig 1950
[43]
서적
Anonymous 1983
[44]
서적
Elliot 2017
[45]
서적
Anonymous 1940
[46]
서적
Weig 1950
[47]
서적
Elliot 2017
[48]
서적
Anonymous 1940
[49]
서적
Weig 1950
[50]
서적
Fisher 1983
[51]
서적
Franklin 1838
[52]
서적
Franklin 1838
[53]
서적
The History of American Ranks and Rank Insignia
2013
[54]
서적
Continental Army
[55]
영상
Liberty! The American Revolution Episode II:Blows Must Decide: 1774-1776
Twin Cities Public Television, Inc.
1997
[56]
서적
The History of American Ranks and Rank Insignia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