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보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보병은 일반 보병에 비해 가벼운 무기와 장비를 갖춘 보병 부대로, 신속한 기동성을 특징으로 한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기사를 보조하는 역할, 근세에는 스커미셔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에는 중장비가 부족하지만 전술적 이동성이 뛰어나며, 산악, 정글, 시가전 등 특수한 환경에서 임무를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병 - 펠타스트
    펠타스트는 고대 그리스에서 펠테라는 초승달 방패를 들고 투창을 주 무기로 사용하며 기동성이 뛰어났던 경무장 보병으로, 트라키아에서 기원하여 그리스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에는 마케도니아 군대의 핵심 구성원으로 활약했다.
  • 보병 - 소총
    소총은 강선이 있는 총열을 사용하고 어깨에 견착하여 발사하는 개인 화기로, 핸드 캐논에서 발전하여 15세기부터 소형화되었으며,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 군사 용어 - 망명
    망명은 정치적 탄압, 종교 갈등, 경제적 빈곤 등 다양한 이유로 자신의 국가를 떠나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며, 쿠데타, 정변, 정치적 박해 등을 피해 안전한 국가로 이동하거나 망명 정부를 조직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 군사 용어 - 지휘통제
    지휘통제는 군사 작전에서 지휘관이 부대를 지휘 및 통제하여 임무를 완수하는 핵심 활동으로, 현대전에서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지휘통제와 지휘통제전이 중요하며, 대한민국 국군은 C4I 체계 발전과 한미 연합 지휘통제 체계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경보병
지도
기본 정보
유형보병
역할정찰, 습격, 전초전, 차단
특징기동성, 유연성, 독립성
장비가벼운 무기, 최소한의 장비
전술분산, 매복, 유격전
역사
기원고대부터 존재, 비정규군 형태
발전17~18세기 유럽에서 정규군으로 발전
주요 사용 국가프랑스, 영국, 오스트리아 등
현대현대전에서 특수부대, 기동 부대 역할
특징
장점높은 기동성, 유연성, 낮은 유지비용
단점중무장 보병에 비해 낮은 화력, 방어력
전술
주요 전술정찰
매복
유격전
후퇴
전개개활지
산악지형
시가지
한국어 번역
한국어 번역경보병
사용 예경보병은 주로 정찰과 매복 작전에 투입된다.
참고
관련 부대엽병
척탄병
특수부대

2. 역사

경보병이라는 개념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주류를 이루는 보병에 상대적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시대를 초월하여 일정한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 각 시대별, 지역별 군사적 맥락 속에서 주력 보병에 비해 장비의 경중, 역할, 전술에 따라 구분될 뿐이다. 일반적으로 경장비로 유연한 전투를 수행하는 보병을 경보병이라 부른다.

19세기 후반 이후 과학 문명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무기의 발전으로 인해 전열보병은 사라졌고, 거의 모든 보병산병으로 싸우게 되었다.

2. 1. 고대

아그리아니아의 펠타스트(peltast), 기원전 4세기경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는 파랑크스(Phalanx)나 레기온(Legion)과 같은 진형을 갖추고 밀집하여 싸우는 중장보병이 전투의 주역으로 활약했다. 이들은 공격력과 방어력이 모두 뛰어나 주변 이민족과의 전쟁에서 우위를 점했다.

하지만 중장보병은 기동성과 유연성이 부족하여, 저항을 받으면서 전진하면 전열이 어긋나는 경향이 있었고, 기동력이 높은 이민족의 경보병에게 농락당하면 취약했다. 또한, 당시 병사의 장비는 자비 부담이었기 때문에, 중산층 이하의 시민들은 중장보병이 되기 어려웠다. 문명도가 낮고 경제력과 공업력이 부족한 주변 이민족들은 대규모 중장보병을 구성할 수 없었다.

경보병은 재산이 없는 시민들과, 동맹·종속 부족 또는 이민족 출신의 용병으로 구성되었다. 그리스 시민은 펠타스트(peltast), 로마 시민은 벨리테스(velites)라고 불렸다. 로마에서는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이후로 경보병은 대부분 비로마 시민(보조군단)으로 구성되었다.

전장에서 경보병은 중장보병 앞에 선봉으로 배치되었다. 이들의 역할은 적 전열에 공격을 가하여 전력을 감소시키고, 대열에 혼란을 야기하여 전투력을 저하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아군 중장보병대를 보호하고 적 경보병의 공격을 막는 역할도 수행했다.

경보병은 방어력이 낮았기 때문에 중장보병과의 직접적인 백병전은 피해야 했다. 따라서 (javelin), 투석기, (弓)과 같은 원거리 무기를 장비하여, 접근하여 공격하거나 물러서는 일격이탈전법을 사용했다. 이들은 기동성과 유연성을 활용하여 경기병의 역할을 보완하고 정찰과 경계에도 활약했다.

2. 2. 중세

중세 시대에는 무거운 갑옷을 착용한 기사가 전장의 지배자가 되었다. 그들에게 따르는 보병 전투원들 또한 갑옷을 입고 전투에 참여했다.

앵글로색슨 시대 잉글랜드에는 자유 농민을 필요에 따라 병사로 소집하는 제도가 있었는데, 그들을 피르드라고 불렀다. 부유한 자들은 가죽 갑옷을 입었지만, 그렇지 못한 자들은 방패에만 의지하여 전장에 나왔다. 수적으로는 가장 많았지만, 실제로는 세인이나 하우스카를과 같은 중장비를 갖춘 상급 전사들을 지원하는 역할이었다.

봉건제가 확립되고 농민과 전사의 계급 분리가 진행된 기사 전성기의 경보병은 가난한 농민들로부터 징집된 자들이 매우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었다. 전쟁의 규모가 작아지고 과거의 전술이 잊혀짐에 따라 진형이 갖춰지지 않게 되면서 보병 전체의 가치가 하락했다. 그 때문에 경보병은 전력과 전력 외의 경계에 위치하여 그 존재 자체가 불확실한 것이 되었다.

중세 후기, 전쟁의 규모가 커지고 많은 인력이 필요해짐에 따라 보병의 부활이 시작되면서 경보병도 다시 전장에 등장하게 되었다. 이 시대의 경보병은 납세액이 적은 가난한 지역(아일랜드 등)에서 요구된 군자금 대신 보내진 징집병이었다. 가난했기 때문에 방어구 등을 소지할 수 없어, 전장까지의 여비로 옷을 바꿔 입고 벌거벗은 채로 오는 자도 있을 정도였고, 자금이 없었기 때문에 장비 지급도 없었지만, 없는 것보다 나으니 전장에 투입되었다. 용병파이크병과 달리 전력으로서의 평가는 낮았고, 고대와 달리 후위로 배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2. 3. 근세

근대 초반의 정규군은 경보병 스커미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비정규병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17세기에는 드래군이 스커미셔로 사용되기도 했다. 드래군은 기병이었지만 전투에서는 말을 타지 않고 싸웠으며, 이는 일반 보병에게 부족했던 기동성을 제공했다.[2]

18세기와 19세기에는 대부분의 보병 연대 또는 대대에 '''경보병 중대'''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었다. 경보병 중대원들은 체격이 작고, 민첩하며, 사격 능력이 뛰어나고 주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일반 보병처럼 엄격한 대열로 싸우지 않고, 넓게 분산된 그룹으로 싸웠으며, 이는 스커미셔 전투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했다.[1]

나폴레옹 시대 숲 속의 프랑스 경보병, 빅토르 위앵 작


경보병은 일반 보병보다 가벼운 머스킷을 휴대하기도 했고, 소총을 휴대하고 녹색 군복을 입는 경우도 있었다. 이들은 영국에서는 '소총 연대'로, 독일어권 유럽에서는 예거와 슈체네(저격수) 연대로 불렸다. 프랑스에서는 나폴레옹 전쟁 기간 동안 경보병은 볼티주르와 샤쇠르로, 저격수는 티라유르로 불렸다.

경보병 장교는 권총 대신 머스킷이나 소총을 휴대하기도 했고, 이들의 검은 다른 보병 장교들의 무겁고 곧은 검과는 달리 가볍고 휘어진 사브르였다. 명령은 나팔이나 휘슬로 전달되었고 으로 전달되지 않았다.[3]

19세기 후반에는 무기 발전으로 인해 대형으로 전투하는 개념이 쇠퇴했고, 경보병과 중보병의 차이는 점차 사라졌다. 사실상 모든 보병이 작전상 경보병이 되었다.

1917년 리예파야(리바우)에서 열병식에서 돌아오는 제27예거대대의 개척 중대


화기 사용이 널리 퍼지면서 금속 갑옷의 방어력은 거의 무력화되었고, 기사는 사라지고 창병, 총병, 보조 기병의 시대가 도래했다. 용병 고용이 대규모화되고 상시화되면서, 진형을 갖춘 보병 간의 전투가 전쟁의 승패를 결정지었다.

근세 전기, 경보병은 주요 보병과 마찬가지로 용병으로 구성되었다. 갑옷을 착용한 창병이 정면으로 적과 맞서는 동안, 가벼운 창이나 검을 장비한 경보병은 총병과 함께 측면을 보호하고, 적 본대의 측면을 공격하여 아군을 지원했다.

근세 후기부터 근대 초기까지, 총이 모든 병사에게 보급되고 갑옷이 완전히 사라지면서, 경보병이라는 말은 더 이상 장비 측면에서 비교되는 용어가 아니었다. 중장보병은 전열보병으로 대체되었고, 전열을 갖추지 않고 산병으로 전투에 참가하는 병사를 일반적으로 경보병이라고 불렀다.

오스트리아터키와의 국경에 군정국경지대라는 직할 지역을 설치하고 둔전병 제도를 시행하여 터키와의 전쟁에 대비했다. 군사 경계 지역의 병사들은 전장에서 행군 중인 적에 대한 기습이나 산병으로서의 개별 사격에 능숙했다. 프로이센엽병이라 불린 경보병을 오스트리아와의 전투에 투입했다. 엽병은 저격에 능숙하여 명중률과 사정거리가 뛰어났지만, 당시 기술 수준에서는 장전 시간이 오래 걸려 전열보병에게는 기피되던 라이플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2. 4. 근대



근대 초반, 정규군은 경보병 스커미셔 임무를 위해 비정규병에 의존했다. 17세기 드래군은 기병이었지만 하마 전투를 통해 일반 보병에게 부족한 기동성을 제공했다.[2] 18세기와 19세기에는 대부분의 보병 연대 또는 대대에 '''경보병 중대'''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었다. 이들은 체격이 작고 민첩하며, 사격 능력이 뛰어나고 주도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사람들이었다. 일반 보병과 달리 넓게 분산된 그룹으로 싸웠으며, 백병전을 피하고 주력 부대 앞에서 적을 교란한 후 후퇴했다.

1777년부터 1781년까지 미국의 대륙군은 영국군의 관행을 채택하여 경보병 연대를 징집했다.

경보병은 일반 보병보다 가벼운 머스킷이나 소총을 휴대했고, 녹색 군복을 입기도 했다. 영국에서는 ''소총 연대'', 독일어권 유럽에서는 ''예거''와 ''슈체네''(저격수) 연대로 불렸다. 프랑스에서는 나폴레옹 전쟁 동안 ''볼티주르'', ''샤쇠르'', ''티라유르''(저격수)로 불렸다. 오스트리아군은 그렌처 연대를 보유했는데, 이들은 정규 보병에 편입되어 프랑스군에 대항하여 성공적인 혼성 유형이 되었다. 포르투갈에서는 1797년 ''카사도레스''(사냥꾼) 중대가 창설되었고, 1808년에는 독립적인 "카사도르" 대대가 결성되어 원거리 정밀 사격 능력으로 유명해졌다.

경보병 장교는 권총 대신 머스킷이나 소총을 휴대했고, 가볍고 휘어진 사브르를 사용했다. 명령은 나팔이나 휘슬로 전달되었다.[3] 영국프랑스을 포함한 일부 군대는 경보병 연대 전체를 모집하거나 기존 연대를 개편했다. 이들은 정예 부대로 간주되었다.

19세기 후반, 무기 발전으로 대형 전투 개념이 쇠퇴하면서 경보병과 중보병의 차이가 사라졌다. 모든 보병이 작전상 경보병이 되었고, 일부 연대는 명칭과 관습만 유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영국군에는 7개의 경보병 연대가 있었는데, 이들은 나팔을 포함하는 휘장, 정복을 위한 짙은 녹색 투구, 빠른 속도의 열병식 행진과 같은 전통적인 차이점만 유지했다.[3]

미국 독립 전쟁에서 대륙군 민병대인 민병저격을 통해 영국군에 많은 사상자를 강요했다. 존 무어는 산병전을 수행하는 소총 부대를 창설했고, 이들은 반도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웠다.

프랑스 혁명 전쟁에서는 프랑스국민군 제도를 확립하여 사기가 높고 탈영 위험이 없는 다량의 병사를 확보했다. 이들은 산병선을 펼쳐 적 전열을 공격하여 프로이센군이나 오스트리아군에 대해 우위를 점했다. 나폴레옹 전쟁 후기에는 산병의 전개가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3. 현대

조선인민군의 경보병(준특수부대)이 대표적이다.[1] 현대에는 정규 보병에 비해 경장비를 갖춘 보병을 의미한다. 여기서 "경장비"는 병사 개인이 휴대하는 장비뿐만 아니라, 부대 편제상 장갑차량이나 포병 같은 중장비를 보유하지 않은 것을 뜻한다. 현대 정규 보병은 보병전투차나 장갑병원수송차 등으로 기계화되는 경우가 많아, 그렇지 않은 보병을 경보병으로 구분한다. 경보병은 전투 지속 능력은 약하지만, 단시간에 상황에 대응하는 즉응 부대로 편성되거나, 시가전, 산악전, 제한적인 특수작전(대게릴라전 등), 국제 평화유지활동 등 특수 임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19세기 후반 과학 문명이 발전하면서 전열보병은 사라지고, 대부분의 보병산병으로 싸우게 되었다.

2005년 합동 군사 훈련 중인 조지아 제23 경보병 대대(미 해병대 소수 병력 합류)

3. 1. 현대의 경보병

오늘날 미국 편제 및 장비표에서 "경보병"이라는 용어는 중화기와 장갑이 부족하거나 차량의 발자국이 줄어든 부대를 의미한다. 경보병 부대는 기계화 또는 장갑 부대의 강력한 화력, 작전 이동성 및 방호력이 부족하지만, 더 큰 전술적 이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형이 매우 제한적인 지역이나 날씨로 인해 차량 이동이 어려운 지역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1]

경보병 부대는 일반적으로 제한적인 조건, 기습, 행동의 맹렬함, 훈련, 은밀성, 야전 기술 및 개별 병사의 체력 수준에 의존하여 감소된 치명성을 보상한다. "경보병"이라는 용어가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경보병 부대의 병력은 일반적으로 다른 부대에 비해 더 무거운 개인 장비를 휴대한다. 차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싸우고, 생존하고, 승리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휴대해야 한다.[1] 제101 공수(공중돌격) 사단제82공수사단과 같은 부대는 각각 공중돌격 보병 및 공수 보병으로 분류되지만, 전체적으로 경보병 개념에 속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산악 또는 극지(미 해병대, 영국 해병대, 미국 육군 제10 산악사단, 미국 육군 제86 보병여단 전투단(산악), 이탈리아 육군 알피니, 프랑스 육군 제27 알프스 사냥꾼 대대) 또는 정글(제1 정찰 레인저 연대, 필리핀 육군, 브라질 육군 정글 보병 여단)과 같은 험난한 지형에 투입될 목적으로 편성된 보병이다.[1]

1980년대 미국 육군은 제한된 환경에서 제한된 기간 동안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더욱 신속하게 배치 가능한 부대에 대한 요구사항과 증가하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경보병 부대를 증강했다. 전성기에는 제6 보병사단(경보병), 제7 보병사단(경보병), 제10 산악사단(경보병), 제25 보병사단, 제75 레인저 연대가 포함되었다. 정당한 원인 작전은 종종 개념 증명으로 인용된다. 대부분 경보병으로 구성된 약 3만 명의 미군이 전투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48시간 이내에 파나마에 배치되었다. 1985년 9월 30일, 제29 보병사단(메릴랜드 및 버지니아 주 방위군)은 버지니아 주 포트 벨보어에서 미국 육군 예비 부대의 유일한 경보병 사단으로 재활성화되었다.[1]

1982년 포클랜드 전쟁 당시 아르헨티나와 영국 모두 이 전투에서 경보병과 그 교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는데, 특히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제5 해병대대와 아르헨티나 제25 보병연대, 그리고 영국의 공수여단과 영국 해병대 제3 코만도 여단이 대표적이다. 포클랜드 제도의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인해 지상 작전은 기계화 보병이나 장갑부대의 사용이 지형 때문에 심하게 제한되었기 때문에 경보병을 사용해야만 가능했으며, 이로 인해 영국 해병대와 공수부대가 장비를 짊어지고 포클랜드 제도를 횡단하는 "욤프"가 발생했는데, 1982년 5월 21일 동포클랜드 산 카를로스에서 배에서 하선한 후 3일 만에 약 36.29kg의 짐을 지고 약 90.12km를 이동했다.[1]

1990년대 미국 군대에서 순수한 경보병 부대의 개념은 치명성과 생존성이 감소되었다는 이유로 재검토되었다. 이러한 재검토는 스트라이커 여단 전투단, 임무 조직 부대(예: 해병 원정 부대)에 대한 더 큰 집중, 그리고 순수 경보병 부대의 감축으로 이어졌다.[1]

경보병 부대의 감축에도 불구하고, 아프가니스탄(항구적 자유 작전)에서 성공을 거두면서 경보병의 지속적인 필요성을 강조했다.[1]

3. 2. 각국의 경보병


  • 아르헨티나
  • * 산악 사냥꾼(Cazadores de Montañaes)
  • * 정글 사냥꾼(Cazadores de Montees)
  • 벨기에
  • * 12-13 선발대대
  • * 제1 기갑 정찰대대 기마 사격병 연대
  • * 제2/4 기갑 정찰대대 기마 소총병 연대(전자전 부대 포함)
  • * 부데뱅 왕자 카빈총병-척탄병 연대
  • 브라질

경보병여단 3개(제4산악경보병여단, 제11경보병여단, 제12공수경보병여단)와 공수보병여단이 있다. 제12경보병여단과 공수보병여단은 모두 전국 어디든 신속하게 전투에 참여할 수 있는 부대들로 구성된 전략신속대응군에 소속되어 있다.

  • 캐나다

정규군 3개 연대(프린세스 패트리샤 캐나다 경보병 연대, 로열 캐나다 연대, 로열 22e 연대)는 각각 제3대대를 공수, 산악, 수륙양용 작전이 가능한 경보병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그 능력의 수준은 다양하다. 예비군 보병 부대는 모두 경보병으로 분류되며, 역시 능력의 수준은 다양하다.

  • 덴마크
  • * 슐레스비히 보병 연대
  • 핀란드
  • * 핀란드 예거 부대, 독일에서 훈련받은 핀란드 자원병 예거 부대
  • * 근위 예거 연대, 핀란드 육군 부대
  • * 예거 여단, 핀란드 육군 부대
  • * 낙하산 예거, 핀란드 육군 특수작전 공수보병
  • * 우티 예거 연대, 핀란드 육군 특수부대 및 헬리콥터 작전 훈련 및 개발 센터
  • * 시시 부대는 경보병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핀란드 보병 부대는 예거(핀란드어 복수형 ''Jääkärit'', 스웨덴어 복수형 ''Jägarna'')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러시아로부터 핀란드를 해방시키기 위해 독일에서 창설된 핀란드 자원 예거 대대의 유산이다.

  • 프랑스

'''샤쇠르'''라는 명칭은 프랑스 경보병(''Chasseurs à pied'') 또는 경기병(''Chasseurs à cheval'')의 특정 연대에 주어졌다.

''Chasseurs à pied''(경보병)는 원래 사냥꾼이나 산림 노동자들로부터 모집되었다. 프랑스군의 저격수였던 ''Chasseurs à Pied''는 엘리트로 여겨졌다.[4] 최초로 창설된 부대는 1743년 장 크리스티앙 피셔의 자유 사냥꾼 중대였다. 초기 부대는 종종 기병과 보병이 혼합된 형태였다. 1776년, 모든 ''Chasseurs'' 부대는 각각 기병 연대(''Chasseurs à cheval'')와 연계된 6개 대대로 재편성되었다. 1788년, 보병 대대와 기병 연대 간의 연계는 끊어졌다.

나폴레옹의 그랑 아르메 경보병 연대의 ''샤쇠르''


1793년, 구체제(Ancien Régime)의 샤쇠르(Chasseur) 대대는 경보병 반여단(demi-brigades d’infanterie légère)이라 불리는 새로운 부대에서 자원병 대대와 합쳐졌다.[5] 1803년, 반여단은 연대로 개명되었다.[6] 이 부대들은 세 개의 정규 샤쇠르 중대, 하나의 정예 카라비니에(Carabinier) 중대, 그리고 하나의 정찰 볼티주르(voltigeurs) 중대로 구성된 세 개의 대대를 가지고 있었다.

나폴레옹의 제국 근위대에는 경보병과 관련된 이름을 사용하는 많은 부대가 있었다.

  • '''샤쇠르 아 피에(Chasseurs à pied)''': 세 개의 연대 (1809~1815; 1815~1815; 1815~1815). 이 연대들은 경보병 연대의 정예 부대였다.
  • '''퓨질리에-샤쇠르(Fusilier-Chasseurs)''': 하나의 연대, 원래는 제1 근위 퓨질리에 연대 (1809~1815)
  • '''볼티주르(Voltigeur)''': 16개 연대, 원래는 티라유르-샤쇠르(Tirailleurs-chasseur) 두 개 연대와 콩스크리-샤쇠르(Conscrits-chasseurs) 두 개 연대 (1810~1815), 그리고 나중에 12개의 신규 연대 (1811~1815). 이 연대들은 샤쇠르 아 피에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 '''플랑크르-샤쇠르(Flanqueurs-Chasseurs)''': 두 개의 연대, 징집된 산림청 직원들로 구성 (1811~1815; 1813~1815)


부르봉 왕당파에서

  • '''브리타니크 샤쇠르(Chasseurs Britanniques)''': 왕당파 자원병으로 구성된 대대 규모의 부대.

1885년 정복을 착용한 사수 보병 나팔수


나폴레옹 시대의 경보병 연대는 1854년까지 존재했지만, 일반 보병 연대와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므로, 남은 25개의 경보병 연대는 1854년에 일반 보병 연대로 개편되었다.

  • '''사수 보병(Chasseurs à pied)''': 왕위 계승자인 오를레앙 공작은 1838년 새로운 경보병 부대인 티라유르(Tirailleurs) 대대를 창설했다. 이 부대는 곧 '사수 보병(Chasseur à Pied)'이라는 이름으로 프랑스군의 주요 경보병 부대가 되었다. 대대의 수는 19세기 동안 꾸준히 증가했으며, 현재의 사수 보병 대대들은 이 부대를 계승하고 있다.
  • '''알프스 사수(Chasseurs alpins)''': 일부 사수 보병 대대는 알프스 국경에 주둔한 이탈리아 알피니(알피니(Alpini)) 연대에 대응하여 1888년 '알프스 사수 대대(Bataillons de Chasseurs Alpins)'로 개편되어 특수 산악 부대가 되었다.
  • '''산림 사수(Chasseurs Forestiers)''': 산림 사수(Chasseurs forestiers, 산림 사냥꾼)는 산림청의 군사화된 부대였다. 중대 단위로 편성되었으며, 1875년부터 1924년까지 존재했다.
  • '''아프리카 경보병(Infanterie Légère d'Afrique)'''(아프리카 경보병)은 북아프리카에서 복무하는 프랑스군의 일부를 구성하는 형벌 대대였다. 이 부대는 주로 프랑스군 각 부대의 유죄 판결을 받은 군 범죄자들 중에서 모집되었으며, 군형무소에서 복역을 마쳤지만 복무 기간이 끝날 때까지 남은 기간이 있었다.[7]
  • '''주브(Zouaves)''': 주브(Zouaves) 대대와 연대는 식민지 군대로, 처음에는 알제리인들에 의해, 그 다음에는 유럽 정착민과 식민지 주민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최초의 주브 대대는 1831년에 창설되었고 1841년에 유럽인으로 모집 방식을 변경했다. 1859년 프랑스-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주브와 사수 보병(위 참조)은 주 전투선을 차폐하는 것 이상으로 진화된 경보병 전술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솔페리노 전투에서 이렇게 새롭게 조직된 스커미셔들은 독립적인 부대로 작전하여 갑작스러운 측면 공격으로 오스트리아군을 교란시켰다.[8]
  • '''티라유르(Tirailleurs)''': 티라유르(
  • '''샤소르 아 피에(Chasseurs à pied)''': 20세기 중반 샤소르 아 피에는 기계화 보병 부대(샤소르 메카니제, Chasseurs mécanisés) 또는 기갑사단 보병(샤소르 포르테, Chasseurs portés)으로 발전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모든 샤소르 부대는 기계화 보병 모델로 조직되었다.
  • '''샤소르 알팽(Chasseurs alpins)''': 샤소르 알팽은 1888년에 창설된 프랑스군의 산악전 부대이다.
  • '''샤소르 피레네앵(Chasseurs pyrénéens)'''는 피레네 산맥에 편성되었던 단명한(1939~1940년) 산악전 부대였다.
  • '''샤소르 파라슈티스트(Chasseurs-Parachutistes)''': 샤소르 파라슈티스트는 1943년 공군 보병 중대가 육군으로 이관되어 편성된 공수 보병 부대였다.
  • '''주아브(Zouaves)'''와 '''티라유르(Tirailleurs)''': 프랑스 식민 제국의 일부였던 국가들이 독립한 후, 주아브와 티라유르 부대는 하나를 제외하고 모두 해산되었다.
  • * 제7 알프스 사냥병 대대
  • * 제13 알프스 사냥병 대대
  • * 제16 사냥병 대대
  • * 제27 알프스 사냥병 대대
  • * 제1 티라유르 연대
  • * 제1 공수 사냥병 연대


프랑스군의 이러한 다양한 병과의 전통은 매우 다르지만, 여전히 서로 혼동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 레옹 베일(Léon Weil)이 사망했을 때, AFP 통신은 그가 제5 "알프스 사냥병 연대" 소속이라고 보도했다. 사실 그는 제5 대대 소속이었다.

  • 인도

1914년 인도 육군에는 명칭에 "경보병(Light Infantry)"이 포함된 10개 연대가 있었다.

연대
제2 퀸 빅토리아 왕실 라즈푸트 경보병 연대
제5 경보병 연대
제6 자트 경보병 연대
제63 팔람코타 경보병 연대
제83 발라자바드 경보병 연대
제91 펀자브 경보병 연대
제103 마라타 경보병 연대
제105 마라타 경보병 연대
제110 마라타 경보병 연대
제127 발루치 경보병 연대



1922년 광범위한 합병으로 인해 이들 연대 대부분은 독립적인 정체성을 잃었다. 현대 인도 육군은 마라타 경보병과 시크 경보병을 유지하고 있다.

현대 인도 육군의 28개 보병 연대 중 다음 10개 연대는 "라이플(Rifles)"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은 검은색 계급 휘장, 정복과 의장용 군복의 검은색 단추, 다른 연대보다 어두운 녹색 베레모로 구별된다. 아쌈 라이플과 동부 국경 라이플이라는 두 개의 준군사 조직도 라이플 연대의 전통을 따르고 있다.

연대
라즈푸타나 라이플
가르왈 라이플
제1 고르카 라이플 (말라운 연대)
제3 고르카 라이플
제4 고르카 라이플
제5 고르카 라이플 (국경군)
제8 고르카 라이플
제9 고르카 라이플
제11 고르카 라이플
잠무 카슈미르 라이플
잠무 카슈미르 경보병 연대
마라타 경보병
시크 경보병


  • 아일랜드

아일랜드는 가벼운 보병인 "케르나흐트"(Cethernacht) 또는 "케른"(Kern)을 유명하게 사용했다. 이들은 중세부터 르네상스 시대까지 게일계 및 후기 앵글로-노르망 아일랜드 군대의 대부분을 구성했다. 전통적으로 투창과 검으로 무장하고 갑옷을 착용하지 않았지만, 후기에는 칼리버 소총을 장착했지만 여전히 갑옷을 거의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그들은 중무장한 "갈로그라이흐"(Galloglaich) 또는 앵글리사이즈된 갈로글래스와 함께 사용될 때 특히 효과적이었다. 그들은 중무장한 부대에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험준한 지형에서 적을 끊임없이 괴롭힐 수도 있었다.

오늘날, 아일랜드 육군의 모든 보병 대대는 경보병이다.

  • 이탈리아

이탈리아 통일 이전에는 이탈리아 반도의 대부분 주(州)에 자체 경보병 부대가 있었다. 이 중 소수만이 통일 이후에도 존속했는데, 그중 하나가 1836년에 창설된 사르데냐 왕국(Kingdom of Sardinia)의 베르사글리에리(Bersaglieri)이다. 베르사글리에리는 이탈리아 육군(Italian Army)에서 가장 상징적인 병사 중 일부가 되었으며, 이탈리아 육군의 "신속 대응 부대" 역할을 맡았다. 알피니(Alpini)는 1875년에 창설된 이탈리아 육군의 정예 산악 부대이다. 진정한 "경보병" 부대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자체 포병이 배속되었고, 모든 장비를 두 배로 휴대했으며, 분당 45보라는 느린 행군 속도를 가졌다), 알피니는 예거(jager)와 경보병으로 훈련을 받았으며, 모든 신병에게 스키와 등반 훈련을 도입했다. 이 두 부대는 오늘날까지 존재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베르사글리에리는 기갑 부대와 긴밀히 협력하는 기계화 보병 부대가 되었으며, 1990년대 중반까지 자체 전차 및 포병 부대를 보유했다. 경보병으로 분류할 수 있는 다른 부대는 다음과 같다.

  • * 1963년에 창설된 폴고레(Folgore) 공수여단은 이탈리아 육군의 유일한 공수 부대이다. 경기병 연대 하나를 제외하고, 3개의 공수 보병 연대와 2개의 특수부대 연대를 포함한다.
  • * 프리울리 공수여단(Friuli Air Assault Brigade)은 원래 이탈리아 육군의 기계화 여단이었다. 2000년에 완전한 공수 역할로 전환되었으며, "프리울리" 사단의 일부이다. 3개의 경항공 연대와 1개의 보병 연대—66 트리에스테(Trieste) 기동 보병 연대(66° Reggimento Fanteria Aeromobile "Trieste")—를 포함하며, 이 연대는 이탈리아 육군에서 유일하게 완전한 공수 역할을 수행하는 연대이다.
  • * 이탈리아 해군(Italian Navy)의 산 마르코 해병 여단(San Marco Marine Brigade)은 3개의 연대로 구성된다. 제1연대는 상륙 강습 부대이고, 제2연대는 함정의 방호, 승선 및 수색·압수 절차를 수행하며, 제3연대는 훈련 부대이다. 주로 경량 차량만 보유하고 (가장 무거운 차량이 상륙용 수륙양용 차량인 아리스가토르(Arisgator)와 AAV7 상륙 장갑차이다) 험난한 지형(해안선, 석호, 사막, 산악, 정글)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임무를 맡고 있으므로, 이탈리아군에서 가장 순수한 "경보병" 부대 중 하나이다.
  • 미얀마

현재 보고에 따르면 미얀마군은 "경보병사단"으로 지정된 총 10개 부대와 "군사 작전 사령부"로 지정된 총 20개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두 부대는 조직 구조 측면에서 대부분 유사하다.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경보병사단(LID)은 11, 22, 33, 44와 같이 대부분 두 자릿수로 번호가 매겨지는 반면, 군사 작전 사령부(MOC)는 순차적으로 번호가 매겨진다는 점이다. 두 사령부 모두 10개의 대대를 가지고 있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조직 구조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는 경보병사단의 10개 대대가 모두 경보병인 반면, 군사 작전 사령부는 기계화보병대대 3개와 자동차보병대대 7개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두 부대 모두 대대와 사단 사령부 사이에 전술 작전 사령부(TOC)라는 중간 계층이 있다. TOC는 최대 3개 대대를 지휘하는 부대이다. 본질적으로 경보병사단은 3개의 TOC와 사령부 예비 대대 1개로 구성되고, 군사 작전 사령부는 2개의 자동차보병 TOC와 1개의 기계화보병 TOC, 그리고 사령부 예비 자동차보병대대 1개로 구성된다. 지휘 구조의 경우, 경보병사단은 육군 총사령관에게 직접 보고하고, 군사 작전 사령부는 각 지역 군사 사령부에 종속된다. 부대 마크의 경우, 경보병사단은 자체 사단 마크를 가지고 있는 반면, 군사 작전 사령부는 독특한 마크를 가지고 있지 않고 대신 지역 군사 사령부의 마크를 착용한다.[9] 미얀마어로 경보병사단은 ခြေမြန်တပ်မဌာနချုပ် (တမခ)로, 군사 작전 사령부는 စစ်ဆင်ရေးကွပ်ကဲမှုဌာနချုပ် (စကခ)로 불린다. 경보병사단과 군사 작전 사령부 모두 준장을 사령관으로, 대령을 부사령관으로, 중령을 사단 참모장(비공식적으로 사단 G/A/Q)으로 두고 있다.

"'''경보병사단'''"으로 지정된 부대는 다음과 같다.

사단
제11 경보병사단
제22 경보병사단
제33 경보병사단
제44 경보병사단
제55 경보병사단
제66 경보병사단
제77 경보병사단
제88 경보병사단
제99 경보병사단
제101 경보병사단



"'''군사 작전 사령부'''"로 지정된 부대는 다음과 같다.

사령부
제1 군사 작전 사령부
제2 군사 작전 사령부
제3 군사 작전 사령부
제4 군사 작전 사령부
제5 군사 작전 사령부
제6 군사 작전 사령부
제7 군사 작전 사령부
제8 군사 작전 사령부
제9 군사 작전 사령부
제10 군사 작전 사령부



제11 경보병사단이 이미 개편되었으므로 제11 군사 작전 사령부는 편성되지 않았다.

사령부
제12 군사 작전 사령부
제13 군사 작전 사령부
제14 군사 작전 사령부
제15 군사 작전 사령부
제16 군사 작전 사령부
제17 군사 작전 사령부
제18 군사 작전 사령부
제19 군사 작전 사령부
제20 군사 작전 사령부
제21 군사 작전 사령부


  • 네덜란드

판도렌 군단(1793~1806) 병사의 복제 유니폼

  • * 근위 그레나디어 및 사냥병 연대: 근위 그레나디어 연대와 근위 사냥병 연대가 합쳐진 근위 연대. 공수 기갑 보병 대대 1개로 구성됨.
  • * 림뷔르크 사냥병 연대: (구 제2보병연대) 일반 보병. 기갑 보병 대대 1개로 구성됨.
  • * 판도렌 군단: 코이코이인 민병대를 통합하여 프랑스 혁명 전쟁 중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복무했던 부대.[10]
  • 노르웨이
  • * 육군 예거 사령부(Hærens Jegerkommando)는 노르웨이 육군의 레인저, 공수 및 대테러 임무를 담당하는 군사 전문 센터이다.
  • * 예거 중대(Jegerkompaniet)는 노르웨이 육군 최북단 부대이다.
  • * 해상 예거 사령부(Marinejegerkommandoen)는 해상 특수부대이다.
  • * 해안 예거 사령부(Kystjegerkommandoen)는 해안 부대이다.
  • * 국경 예거(Grensejeger)는 러시아와 노르웨이 국경에 있는 국경 경비대이다.
  • 폴란드
  • * 주방위군(Wojska Obrony Terytorialnej), 영토방위군 17개 경보병여단
  • 포르투갈

1960년대 초 안골라 정글에서 반란 진압 작전 중인 포르투갈 ''카사도레스 에스페시알리스''(caçadores especiais)


포르투갈 경보병들은 ''카사도레스''(caçadores, 직역하면 "사냥꾼")로 알려져 있었다. 초기에는 각 보병 연대에 경보병 중대 형태로 편성되었으나, 이후 독립 대대로 재편되었다. 반도 전쟁 당시 포르투갈 육군의 정예 경보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웰링턴 공작은 그들을 "자신의 군대의 싸움닭"으로 여겼다. 초기 형태의 위장으로 독특한 갈색 군복을 착용하였다.

카사도레스 부대는 1911년 육군 개편으로 해체되었지만, 1926년에 정규 부대가 동원될 때까지 국경과 기타 전략 요충지를 방어하는 고대비태세 부대로 재편성되었다. 1950년대에는 카사도레스라는 명칭이 해외 영토 주둔군을 증강하기 위한 원정대 임시 경보병 대대 및 독립 중대에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부대들은 1961년부터 1975년까지 여러 전장에서 포르투갈 해외 전쟁에 참전한 포르투갈군의 대부분을 구성했다. 이 명칭을 사용하는 식민지 병사들도 존재했으며, 포르투갈 유럽계 정착민과 원주민 모두에서 모병되었다. 1950년대, 포르투갈 공군은 ''카사도레스 파라케디스타스''(caçadores paraquedistas, "낙하산 사냥꾼")라 불리는 낙하병 부대를 창설했다. 이후 안골라, 모잠비크, 포르투갈 기니에 추가적인 카사도레스 파라케디스타스 대대가 창설되었다. 1960년대 초, 포르투갈 육군은 ''카사도레스 에스페시알리스''(caçadores especiais, 특수 사냥꾼)로 명명된 특수 부대 중대를 창설했다. 카사도레스 에스페시알리스는 반도 전쟁 당시 카사도레스의 군복 색깔과 같은 갈색 베레모를 착용했다. 이 부대들은 나중에 해체되었고, 갈색 베레모는 포르투갈 육군 대부분의 부대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75년, 포르투갈군에서 "카사도레스"라는 명칭은 사용 중단되었다. 이전의 모든 카사도레스 부대는 "보병"으로 재편성되었다. 현재 포르투갈 육군의 모든 보병은 ''아티라도르''(atirador)로 알려져 있다. 오늘날 포르투갈 육군은 낙하산 부대, 코만도 부대, 특수 작전 부대를 포괄적인 명칭인 "경보병"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보병은 "기계화/자동차 보병"으로 분류한다.

  • 루마니아
  • * 산악 사냥꾼(Vânători de Munte) 또는 "산악 사냥꾼"은 1916년 창설 이후 루마니아 육군의 정예 산악 부대이다.
  • * 사냥꾼(Vânători) 또는 "사냥꾼"은 1947년 해체될 때까지 루마니아 정예 경보병 부대였다.
  • 러시아

프러시아와 오스트리아 군사 제도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러시아 제국 육군은 1812년까지 예거(Jäger) 또는 예게르스키(yegerskii) [егерский] 연대 50개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여기에는 예게르스키 근위 연대도 포함되었다. 1833년 거의 모든 러시아 보병이 사격술 훈련을 받기 시작하면서 대부분의 예거 연대는 보병 연대와 통합되었다. 동시에 스트렐코비(strelkovyi) [стрелковый] 대대가 편성되었다. 이들은 보병의 사격술이 부족할 때 경보병의 임무를 수행했다.

  • 스페인

역사적으로 스페인 보병에는 여러 개의 경보병 대대가 있었는데, 이들은 '카사도레스(Cazadores)'로 지정되었다. 이 부대들은 1930년대 초 군대 개편 후 일반 보병에 통합되었다. 2006년까지 현대 스페인 육군은 아라곤 1 산악 사냥꾼 여단(Brigada de Cazadores de Montaña "Aragón I")을 유지했다.

  • 스웨덴
  • * 예테레(Jägare), 스웨덴 국방군(Swedish Armed Forces)의 정예 부대
  • * 낙하산여단(Fallskärmsjägarna), 낙하산 여단
  • * 스웨덴 낙하산 여단 학교(Swedish Parachute Ranger School)
  • * 외르네리케 소대, 정보 소대
  • * 바즈보 소대, 공수 소대
  • * 육군 레인저 대대, 북극전 전투소총
  • * 해안 레인저(Kustjägarna), 해안 레인저
  • * 근위대 대대(Livbataljon), 근위대 대대
  • 소말리아
  • * 다나브(Danab)(Danab)는 "번개"를 뜻하며 소말리아 국군의 정예 특수부대이다.
  • 영국

영국 95보병대의 역사 재현


영국 육군은 프랑스-인디언 전쟁에서 프랑스와 동맹을 맺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전술에 대응하기 위해 최초로 경보병을 실험했다. 정규 보병의 차출과 함께 여러 특수 부대( 로저스 레인저스 및 제80경보병 연대 포함)가 창설되었지만, 1760년대 중반까지 대부분 해산되었다. 1770년부터 모든 정규 대대는 10개 중대 중 하나를 "경중대"로 지정해야 했지만, 그들의 스커미싱 훈련은 부족하고 일관성이 없었다.

헌신적인 소총 및 경보병 연대는 프랑스의 ''샤슈르''에 대응하기 위해 나폴레옹 전쟁에서 편성되거나 개편되기 시작했다. 제60왕립 아메리카 연대(후에 왕립 소총 부대)의 새로운 대대가 1797년에 창설되었고, 1800년에는 "실험 소총병 부대"(후에 제95소총병, 그리고 라이플 여단)가 창설되었다. 두 부대 모두 녹색 재킷과 베이커 소총으로 무장했다. 일부 기존 연대는 이 시점에서 "경보병"으로 지정되기 시작했지만, 스커미싱 훈련을 받았음에도 일반적으로 빨간색 외투와 머스켓으로 무장했다. 반도 전쟁에서 경여단, 그리고 나중에는 경보병 사단이 편성되었는데, 어떤 시점에서는 포르투갈 ''카사도레스''를 포함하기도 했다. 크림 전쟁까지 소총이 보편화되고 전술이 크게 변화했다. 이는 경보병과 선 보병의 차이가 명칭, 분당 140보의 빠른 행군, 드러머와 파이퍼 대신 나팔수, 소총을 지면과 평행하게 들고 행진하는 사열 훈련("트레일에서"), 그리고 진한 파란색 대신 진한 녹색 천 모자 등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됨을 의미한다.

3. 3. 한국 현대사에서의 경보병

경보병은 일반 보병부대에 비해 가벼운 무기와 장비를 갖춘 부대를 의미한다. 각국 군대의 편제에 따라서는 가벼운 무장으로 넓은 지역을 정찰, 수색하는 등의 특수전을 수행하는 부대를 뜻하기도 한다. 조선인민군의 경보병이 대표적인 예이다.[1]

참조

[1] 서적 Louis XV's Army (4) Light Troops and Specialists Bloomsbury USA 1997
[2] 서적 Louis XIV's Army Bloomsbury USA 1988
[3] 서적 A History of the Regiments & Uniforms of the British Army Sphere Books 1972
[4] 서적 From Flintlock to Rifle: Infantry Tactics, 1740–1866 Taylor & Francis
[5] 서적 Napoleon's Light Infantry Bloomsbury USA
[6] 서적 Napoleon's Light Infantry Bloomsbury USA
[7] 서적 Les Bataillons d' Infanterie Legere d'Afrique et leurs insignes, 1832–1972 Militaria Magazine 1994
[8] 서적 Soferino 1859 Bloomsbury USA 2009
[9] 뉴스 မြန်မာစစ်တပ်ကိုခွဲခြမ်းစိတ်ဖြာခြင်း https://burma.irrawa[...]
[10] 웹사이트 South African Military History Society – Journal – The Khoekhoe soldier at the Cape of Good Hope http://samilitaryhis[...] 2024-03-23
[11] 서적 Glory of the Empires 1880–1914 History Press Limited 2018
[12] 서적 Colonel J.F. Hamtramck. His Life and Times. Volume One (1756–1783) W.L. Otten
[13] 서적 Defending a New Nation, 1783–1811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2021-07-12
[14] 서적 Revised Regulations for the Army of the United States, 1861: With a Full Index J. G. L. Brown, printer 1861
[15] 서적 Sharpshooters of the American Civil War 1861–65 Osprey Publishing
[16] 웹사이트 82nd Airborne Division History http://www.bragg.arm[...] 82nd Airborne Division Public Affairs Office 2012-09-01
[17] 웹사이트 101st Infantry Division History https://home.army.mi[...] 2024-05-31
[18] 웹사이트 10th Mountain Division (LI) https://home.army.mi[...] 2021-07-12
[19] 웹사이트 10th Mountain Division (LI) https://home.army.mi[...] 2021-07-12
[20] 논문 The Army's Light Infantry Divisions: an analysis of Advocacy and Opposition https://apps.dtic.mi[...] National War College 2021-07-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