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989년 설립된 대한민국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대외 경제 정책 연구를 수행한다. 1989년 재단법인으로 시작하여 같은 해 특별법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국제 거시경제, 금융, 통상, 지역 경제, 개발 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한다. 주요 연구 부서로는 국제 거시경제·금융 연구실, 국제 통상 연구실, 지역 연구 센터 등이 있으며, 북경사무소, 워싱턴 한미경제연구소 등의 부설기관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싱크탱크 - 여의도연구원
    여의도연구원은 역대 이사장과 원장 목록을 제공하며, 이 목록은 여의도연구소와 여의도연구원의 역대 직책자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싱크탱크 - 세종연구소
    세종연구소는 외교, 안보, 통일 전략 등을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재단법인 연구소로, 사회 공헌 및 교육 사업도 수행하며 세종 코멘터리 등의 연구 결과물을 발표한다.
  • 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984년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하여 1997년 여러 기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출범한 해양수산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 공공기관 (국무조정실 소관) - 국토연구원
    국토연구원은 국토종합장기계획 수립, 국토 이용 및 보전 연구 등을 수행하며, 1978년 국토개발연구원으로 개원하여 1999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세종특별자치시로 청사를 이전했다.
  •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
    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는 장관급 정무직 공무원으로, 국무총리를 보좌하여 정부 정책 조정, 행정 지휘·감독, 사회적 위험 및 갈등 관리, 정부 업무 평가, 규제 개혁 등을 담당하며, 과거 행정조정실장에서 격상되었다.
  • 대한민국 국무조정실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1984년 한국해운기술원으로 시작하여 1997년 여러 기관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출범한 해양수산 분야의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현재는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기본 정보
약칭KIEP
유형싱크 탱크
설립일1989년
소재지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경제정책동
상위 기관경제인문사회연구회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조직
기관장 직책원장
기관장 성명이시욱
명칭
한국어 명칭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자 명칭對外經濟政策硏究院
로마자 표기Daeoe gyeongje jeongchaek yeonguwon
영어 명칭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2. 연혁

wiki

연도내용
1989년 8월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재단 설립[1]
1989년 12월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설립 특별법 공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공식 설립 (KIEP 재단 해산).[1]
1990년 1월미국 KEI에 대한 감독 권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관, KOPEC 사무국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전.[1]
1992년 1월북방 지역 센터 설립 (한국 국제 사립 경제 협의회 해산).[1]
1992년 10월북방 지역 센터, 지역 정보 센터로 명칭 변경.[1]
1994년 1월한국 국제 경제 전문가 공식 풀(Pool) 사무국 지정.[1]
1994년 12월한국 APEC 연구 센터 지정 (국제 경제 조정 위원회).[1]
1995년 3월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 사무소 설립.[1]
1997년 1월동북아 연구 개발 센터(CNARD) 설립.[1]
1997년 10월지역 정보 센터,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통합.[1]
1999년 1월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설립 법률 변경 (KIEP 법 → 정부 출연 연구 기관의 설립, 운영 및 발전에 관한 법률).[1]
2000년 4월지역 정보 센터 폐지, 지역 경제 연구 센터 설립.[1]
2002년 3월DDA 연구 센터 설립.[1]
2003년 4월동북아 연구 개발 센터 폐지, 동북아 협력 센터 설립.[1]
2005년 12월서울대학교-대외경제정책연구원 EU 센터 설립.[1]
2008년 6월동북아 협력 센터 폐지, 국제 개발 협력 센터 설립.[1]
2010년 2월중국 지역 및 성 연구 그룹 출범.[1]
2011년 3월KOPEC 사무국 업무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관 (KOPEC 법인 해산 및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흡수).[1]
2011년 8월지역 경제 연구 센터 폐지, 신흥 경제 연구 센터 설립.[1]
2012년 2월기획재정부 지침, 국제 행사 전문 연구 기관 지정 (국제 행사 초청 및 개최에 관한 규정).[1]
2012년 3월한-중 FTA 연구 지원 그룹 출범.[1]
2013년 4월동아시아 FTA (EAFTA) 연구 지원 그룹 출범.[1]
2014년 1월G20 연구 지원 그룹 출범.[1]
2014년 5월고려대학교-대외경제정책연구원 EU 센터 설립.[1]
2015년 6월동북아 경제부 및 전략 연구팀 설립.[1]
2017년 5월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년 선도 연구 기관 선정.[1]
2018년 4월지역 연구 센터 설립 (중국 경제부, 선진 경제부, 신남방 정책부, 신북방 정책부 확대 및 개편).[1]
2020년 7월국제 개발 협력 센터 설립.[1]


2. 1. 설립 초기 (1989년 ~ 1999년)


  • 1989년 8월: 재단법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설립[1]
  • 1989년 12월: 특별법에 의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설립 (재단법인 해산)[1]
  • 1990년 1월: 미국 KEI에 대한 감독 권한이 대외경제정책연구원으로 이관, KOPEC 사무국이 대외경제정책연구원으로 이전.[1]
  • 1992년 1월: 북방 지역 센터 설립. (한국 국제 사립 경제 협의회 해산.)[1]
  • 1992년 10월: 북방 지역 센터가 지역 정보 센터로 명칭 변경.[1]
  • 1994년 1월: 한국 국제 경제 전문가 공식 풀(Pool) 사무국으로 지정.[1]
  • 1994년 12월: 한국 APEC 연구 센터로 지정. (국제 경제 조정 위원회.)[1]
  • 1995년 3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북경 사무소 설립.[1]
  • 1997년 1월: 동북아 연구 개발 센터(CNARD) 설립.[1]
  • 1997년 10월: 지역 정보 센터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통합.[1]
  • 1999년 1월: 연구원 설립 근거법 변경(대외경제정책연구원법 →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1]

2. 2. 조직 개편 및 확장 (2000년 ~ 현재)

2000년 4월, 지역 정보 센터가 폐지되고 지역 경제 연구 센터가 설립되었다.[1] 2002년 3월 DDA 연구 센터가,[1] 2003년 4월 동북아 연구 개발 센터가 폐지되고 동북아 협력 센터가 각각 설립되었다.[1] 2005년 12월에는 서울대학교-대외경제정책연구원 EU 센터가 설립되었다.[1]

2008년 6월, 동북아 협력 센터는 국제 개발 협력 센터로 변경되었다.[1] 2010년 2월에는 중국 지역 및 성 연구 그룹이 출범했다.[1] 2011년 3월, KOPEC 사무국 업무가 대외경제정책연구원으로 이관되면서 KOPEC 법인은 해산,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흡수되었다.[1] 같은 해 8월, 지역 경제 연구 센터는 신흥 경제 연구 센터로 변경되었다.[1]

2012년 2월, 기획재정부 지침에 따라 국제 행사 전문 연구 기관으로 지정되었다.[1] 같은 해 3월 한-중 FTA 연구 지원 그룹이,[1] 2013년 4월 동아시아 FTA (EAFTA) 연구 지원 그룹이,[1] 2014년 1월 G20 연구 지원 그룹이 각각 출범했다.[1] 같은 해 5월 고려대학교-대외경제정책연구원 EU 센터가 설립되었다.[1]

2015년 6월, 동북아 경제부 및 전략 연구팀이 설립되었다.[1] 2017년 5월,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2016년 선도 연구 기관으로 선정되었다.[1] 2018년 4월, 지역 연구 센터가 설립, 중국 경제부, 선진 경제부, 신남방 정책부, 신북방 정책부가 확대 및 개편되었다.[1] 2020년 7월, 국제 개발 협력 센터가 설립되었다.[1]

3. 조직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다음과 같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 '''주요 연구 부서'''
  • 국제 거시경제·금융 연구실
  • 국제 통상 연구실
  • 지역 연구 센터
  • 중국 경제 연구실
  • 선진 경제 연구실
  • 신남방 정책 연구실
  • 신북방 정책 연구실
  • 국제 개발 협력 센터
  • '''부설기관'''
  • KIEP 북경사무소
  • 워싱턴 한미경제연구소
  • APEC 연구컨소시엄사무국

3. 1. 주요 연구 부서


  • '''국제 거시경제·금융 연구실'''은 국제 거시경제 및 금융 현안, 세계 경제 변화, 외환 및 자본 시장, 외환/금융 분야의 지역 협력, 국제 금융 체제 개혁 등을 분석한다.
  • '''국제 통상 연구실'''은 한국 정부의 통상 정책, 다국가적 차원의 국제 통상 체제(예: WTO, APEC, OECD, G20) 분석, 지역 무역 협정의 증진 전략 및 경제적 영향 평가, 그리고 통상 및 투자 분야의 새로운 이슈(예: 디지털 무역, 4차 산업 혁명) 등을 연구한다.
  • '''지역 연구 센터'''
  • '''중국 경제 연구실'''은 중국 경제를 분석한다.
  • '''선진 경제 연구실'''은 미국, EU, 일본 등 선진 지역 경제와 동아시아 국가와의 경제 협력을 분석한다.
  • '''신남방 정책 연구실'''은 한국의 신남방 정책 지원을 위한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인도/남아시아 경제에 대한 지역 연구, 국제 개발 협력 분야의 주요 국가 동향 및 정책, 그리고 한국의 ODA 정책 및 연성력을 활용한 신흥 경제국과의 협력 증진 방안 등을 분석한다.
  • '''신북방 정책 연구실'''은 한국의 신북방 정책 지원을 위한 러시아/유라시아 경제에 대한 지역 연구, 북한의 국제 경제 관계, 북한 정권 변화를 위한 국제 협력 및 한반도 통일, 그리고 아프리카중동을 포함한 신흥 지역 등을 분석한다.
  • '''국제 개발 협력 센터'''는 국제 개발 협력 분야의 주요 국가 동향 및 정책과 한국의 ODA 정책을 연구한다.

3. 2. 부설기관


  • KIEP 북경사무소
  • 워싱턴 한미경제연구소
  • APEC 연구컨소시엄사무국

참조

[1] 웹사이트 ABOUT US https://keia.org/abo[...] Korea Economic Institute
[2] 웹사이트 Professor Siwook Lee appointed 12th President of KIEP https://www.kiep.go.[...] 2024-03-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