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각미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의각미록》은 청나라 옹정제가 저술한 책으로,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의 정통성을 중국의 화이사상에 입각하여 논증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증정의 반청 사상을 문제 삼아 그와의 문답을 기록하고 옹정제의 논평을 더하여 완성되었으며, 유교의 덕치주의를 통해 청나라의 통치 정당성을 주장한다. 이 책은 중국을 '화'와 '이'로 구분하고, 덕이 있는 자라면 출신에 관계없이 황제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옹정제의 뒤를 이은 건륭제는 이 책을 금서로 지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선전 - 동방홍
동방홍은 중국 섬서성 북부 민요 가락에 리유위안이 가사를 붙여 마오쩌둥을 찬양하는 노래로, 마오쩌둥 시대에 사실상 국가 역할을 했으며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마오쩌둥 개인 숭배에 이용되었고, 덩샤오핑 시대 이후 공식적인 사용은 줄었으나 중국인들에게 문화적 상징으로 남아 뮤지컬, 기관차, 역, 광장 등의 명칭에 사용되었다. - 중국의 선전 - 삼개대표사상
삼개대표사상은 장쩌민이 제시한 이론으로, 중국 공산당이 선진 생산력, 선진 문화, 그리고 인민의 이익을 대표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 공산당의 주요 이론적 기반으로 작용한다.
대의각미록 |
---|
2. 목적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왕조였다. 이 때문에 청나라의 통치에 대해 중국의 전통적인 화이사상(중화사상)과의 충돌이 있었다. 역대 황제들은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서 강압적으로 임했지만, 그것만으로는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는 한족 중심의 중국 대륙을 장기간에 걸쳐 통치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실력 과시뿐만 아니라 청나라의 정통성을 논증할 필요가 있었다. 《대의각미록》은 이러한 배경을 두고 저술된 것이다.
1728년(옹정 6년), 증정은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청나라에 반대하고 여진족에 반대하는 사상을 퍼뜨렸다. 또한 사천총독 악종기에게 청나라를 무너뜨릴 것을 부추겼다는 혐의로 체포되었다.[1] 일반적으로 이러한 죄는 사형, 그 중에서도 가장 잔혹한 처형인 능지형에 처해지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러나 증정은 사형을 면했다.[1] 대신 관리들의 조사 과정에서 자신의 사상적 오류를 인정하고 청나라의 정통성을 인정하는 사상 개조를 당했다.[1] 이때 옹정제와 증정이 논박하는 과정이 담긴 결과물이 《대의각미록》이다.[1] 즉, 옹정제의 '큰 뜻(大義)'에 따라 청나라가 정통 왕조가 아니라는 '미혹(迷)'을 '깨우치는(覺)' '기록(錄)'이라는 뜻이다.[1] 이는 국가 권력에 의한 강요가 아니라, 청나라에 대해 비판한 인물을 용서하고 덕을 통해 스스로 반성하고 고백하게 만드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1] 이를 통해 청나라가 유교의 가르침에 따른 왕도와 덕치주의를 지향하는 왕조라는 주장을 백성들에게 널리 알리고자 하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1]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왕조였다. 이 때문에 청나라의 통치에 대해 중국의 전통적인 화이사상(중화사상)과의 충돌이 있었다. 역대 황제들은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서 강압적으로 임했지만, 그것만으로는 압도적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족 중심의 중국 대륙을 장기간에 걸쳐 통치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실력의 과시뿐만 아니라 청나라의 정통성을 논증할 필요가 있었다. 《대의각미록》은 이러한 배경을 두고 저술된 것이다.
건륭제는 준가르부 및 회부를 평정하고 청나라의 판도를 최대로 하였다. 이는 《대의각미록》에 나타난 중화 세계를 구현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건륭제는 즉위 직후인 옹정 13년(1735년)에 증정에 대한 죄상을 거듭 물어 능지형에 처했고, 《대의각미록》도 금서로 지정했다. 건륭제가 《대의각미록》을 금서 처분한 이유에 대해서는 분명하지 않다.[1]
[1]
인용문
3. 성립 과정
4. 내용
이 책에서 중국은 '화(華)'와 (지리적, 종족적인 의미에서의) '이(夷)'를 포함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덕이 있고 예절을 알고 민중의 생활을 평안하게 할 수 있는 인물이라면 비록 한족이 아닌 '이(夷)'의 출신이더라도 중화문명을 담당하는 황제에 어울린다는 생각을 나타냈다. 그 예로 명군으로 알려진 '동이(東夷)' 출신의 순(舜)임금과 '서이(西夷)' 출신의 주(周)의 문왕(文王)을 들고 있다. 옹정제는 맹자(孟子)의 "순(舜)은 저풍(諸馮)에서 태어나 부하(負夏)로 옮기셔서 명조(鳴條)에서 죽었는데 동이(東夷)의 사람이다. 문왕은 기주(岐周)에서 태어나 필령(畢郢)에서 죽었는데 서이(西夷)의 사람이다. (두 사람이 활동한) 지역의 거리차가 천여리나 되었고, (두 사람이 활동한) 세대의 시간차가 천여년이 되었지만, 뜻을 얻어 중원에서 실천함이 마치 부절(符節)이 합치되듯, 앞의 성인(순임금)과 뒤의 성인(주문왕)의 그 법도가 하나같이 똑같았다"[6][7]라는 글귀를 인용하며[8] "본조가 만주 출신인 것은 중국인에게 원적이 있는 것 같다. 순은 동이의 사람이었고, 주문왕은 서이의 사람이었는데 그 성덕은 아무런 손상을 입지 않았다", "덕이 있는 자만이 천하의 주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라고 강조하면서[9] 만주인이 중국 왕조의 제위에 오르는 것에 대한 정통성을 논증하였다.[8]
[10]
5. 옹정제와 건륭제의 상반된 입장
참조
[2]
뉴스
第8回 「中華」の世界観と「正統」の歴史
https://ocw.u-tokyo.[...]
東京大学教養学部
2016-09-10
[3]
뉴스
基調講演記録 華夷の変 ―華語語系研究の新しいビジョン―
http://id.nii.ac.jp/[...]
愛知大学国際問題研究所
2020-03-16
[4]
뉴스
古代中国文化の日本における伝播と変容
https://www.mofa.go.[...]
日中歴史共同研究
2010
[5]
뉴스
清朝の「非漢民族世界」における「大中華」の表現 : 『大義覚迷録』から『清帝遜位詔書』まで
http://id.nii.ac.jp/[...]
島根県立大学北東アジア地域研究センター
2018-09
[6]
인용문
[7]
뉴스
제8회 "중화"의 세계관과 "정통"의 역사
https://ocw.u-tokyo.[...]
도쿄대학 교양학부
2016-09-10
[8]
뉴스
기조 강연 기록 화이의 변 - 화어어계 연구의 새로운 비전
http://id.nii.ac.jp/[...]
아이치대학 국제문제연구소
2020-03-16
[9]
뉴스
고대 중국 문화의 일본으로의 전파와 변형
https://www.mofa.go.[...]
중일 역사 공동 연구
2010
[10]
뉴스
청조의 "비한민족세계"에서의 "대중화"의 표현: 《대의각미록》에서 《청제손위조서》까지
http://id.nii.ac.jp/[...]
시마네현립 대학 동북아 지역 연구 센터
201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