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조는 동일 가문 출신의 군주가 연속적으로 통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어원은 그리스어 'δυναστεία'에서 유래되었다. 역사적으로 왕조는 국가와 문명의 시대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통치 가문의 구성원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활용된다. 왕조의 통치는 부계 혈통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현대에는 여성 계승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세계적으로 250년 이상 지속된 왕조가 다수 존재하며, 현재도 43개의 군주국 중 41개가 왕조에 의해 통치되고 있다. 또한, 정치적 권력이 세습되는 세습 독재 국가에서도 왕조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현대에는 기업,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유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에 관한 - 정부수반
    한 국가의 행정부를 통솔하는 최고위 공직자인 정부수반은 국가 원수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총리, 수상,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권한과 역할은 헌법에 따라 다르다.
  • 정치에 관한 - 정치적 스펙트럼
    정치적 스펙트럼은 정치적 입장을 분류하는 개념으로, 좌익과 우익의 1차원 모델, 경제적/개인적 자유를 축으로 하는 2차원 모델, 세속주의-전통주의, 생존주의-자기 표현 가치를 기반으로 하는 잉글하트-벨젤 가치관 지도 등 다양한 모델이 존재한다.
  • 사이드바 - 정부수반
    한 국가의 행정부를 통솔하는 최고위 공직자인 정부수반은 국가 원수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총리, 수상,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권한과 역할은 헌법에 따라 다르다.
  • 사이드바 - 공포
    공포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감정으로, 신체적 반응과 행동 변화를 동반하며, 뇌의 편도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습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치료가 가능하다.
왕조
지도
정의
왕조동일 가문으로 여겨지는 통치자들의 연속
설명권력이나 지위를 세습하는 가문, 가족 또는 집단
지배 계층이 계속해서 구성원을 배출하는 정치 체제
역사적 중요성
역할고대부터 현대까지 많은 사회의 권력 구조를 결정
강력한 국가 및 제국의 부상과 쇠퇴에 기여
대표적인 왕조이집트 1왕조
진나라
카롤링거 왕조
메로빙거 왕조
하인리히 왕조
플랜태저넷 가문
에스테 가문
로마노프 왕조
부르봉 왕조
합스부르크 가문
오스만 왕조
특징
세습왕위 또는 권력이 가족 구성원에게 세습됨
혈통과 가문이 통치자의 정통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권력 유지가족 내 결혼 또는 연합을 통해 권력과 영향력을 유지하려고 함
특정 가문 구성원에게만 권력이 집중되는 경향
안정성사회 안정과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
예측 가능한 권력 계승을 제공하여 정치적 불안정을 완화하기도 함
권력 남용절대 권력은 부패, 폭정, 권력 남용을 초래할 수 있음
통치자의 자질과 능력에 상관없이 권력이 세습될 수 있음
변화에 대한 저항기존 질서 유지에 집중하여 사회 변화에 저항할 수 있음
내부 갈등과 분열을 초래할 수 있음
붕괴외부의 침략, 내부 반란, 경제적 몰락 등으로 인해 붕괴할 수 있음
사회 변화와 혁명으로 대체될 수 있음
연구 분야
역사 정치 경제학Van Coppennolle, Brenda; Smith, Daniel (2023). "Dynasties in Historical Political Economy". The Oxford Handbook of Historical Political Economy.
용어
왕가왕이나 여왕을 중심으로 하는 통치 가문
왕조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함
제실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통치 가문
통치 가문권력을 가지고 통치하는 특정 가문

2. 용어

'왕조'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어 δυναστεία|디나스테이아grc(dynasteía, "권력", "영주권")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dynástes|디나스테스grc("통치자")와 관련이 있다.[3] 비공식적으로는 통치자가 아니더라도 특정 분야에서 영향력과 권력을 가진 가족 구성원에게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주요 기업을 여러 세대에 걸쳐 소유한 가문이나, 대대로 활동하는 시인 또는 배우 가문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같은 문파의 주요 시인들이나 한 스포츠 팀에서 오랫동안 성공을 거둔 여러 선수 구성처럼 혈연관계가 없는 집단에게도 확장되어 사용된다.[1]

왕조 가족이나 혈통은 "귀족 가문"[4]으로 알려질 수 있으며, 이들이 가진 주요 칭호에 따라 "황실", "왕실", "왕자 가문", "공작 가문", "백작 가문", "남작 가문" 등으로 불릴 수 있다. 하지만 보통은 합스부르크 가처럼 특정 가문의 이름으로 지칭하는 경우가 더 흔하다.

부르봉 왕가의 스페인 왕실은 9세기 카페 왕조까지 뿌리를 거슬러 올라가며, 따라서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 왕조이다.(2019년 펠리페 6세 국왕, 레티시아 왕비, 아스투리아스 공주, 소피아 공주 사진)


왕조의 통치자는 때때로 "왕조 구성원"(영어: dynast)으로 불리지만, 이 용어는 계승권을 유지하는 통치 가문의 모든 구성원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에드워드 8세는 왕위를 포기한 후 윈저 왕가의 왕조 구성원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역사적 및 군주주의적 맥락에서 과거 통치 가문을 언급할 때 "왕조 구성원"은 해당 군주제의 규칙이 여전히 유효하다면 계승권을 가졌을 가족 구성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914년 오스트리아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그의 귀천상혼한 부인이 암살된 후, 그들의 아들 호엔베르크 공작 막시밀리안은 합스부르크 왕조의 구성원이 아니라는 이유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왕위 계승에서 제외되었다. 오스트리아 군주제가 폐지된 이후에도 막시밀리안과 그의 후손들은 오스트리아 군주주의자들에게 정당한 왕위 계승자로 여겨지지 않았으며, 그들 스스로도 그러한 지위를 주장하지 않았다.

"왕조 구성원"이라는 용어는 때로는 군주의 장자 계승 후손만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하고, 때로는 방계 혈족을 통해 계승권을 가진 사람들을 포함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용어는 중복되면서도 구별되는 집단을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조카인 데이비드 암스트롱 존스, 스노든 제2대 백작은 영국 왕위 계승 순위에 포함되므로 영국 왕조의 구성원이지만, 영국 왕실의 장자 계승 라인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윈저 왕가의 핵심적인 왕조 구성원으로 간주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한노버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왕자는 조지 3세 국왕의 남계 후손이지만, 현재 법적으로 영국식 이름, 작위 또는 칭호는 없다(비록 과거 컴벌랜드 공작이라는 왕실 공작 작위를 되찾을 자격은 있을 수 있다). 그는 영국 왕위 계승 순위에 있었고, 2015년 3월 26일 왕위 계승법 2013이 발효되기 전까지는 영국의 1772년 왕실 결혼법의 적용을 받았다.[5] 이 법에 따라 그는 1999년 로마 가톨릭 신자인 모나코의 카롤린 공주와 결혼하기 위해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공식적인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당시 영국의 1701년 왕위 계승법 조항은 로마 가톨릭 신자와 결혼한 왕조 구성원은 영국 왕위 계승 목적상 "사망한" 것으로 간주한다고 규정하고 있었다.[6] 이러한 종교적 이유에 따른 계승권 배제 조항은 2015년 3월 26일 소급 적용되어 폐지되었고, 로마 가톨릭 신자와 결혼하여 계승권을 상실했던 왕조 구성원들도 계승권을 회복하게 되었다.[5]

왕조는 역사가들이 군주 계보를 인위적으로 분류한 개념이다. 대부분 혈족이나 양자 입적을 통한 세습 군주제의 군주 계보를 분류하는 데 사용되지만, 이집트의 마믈루크 왕조처럼 혈연과는 무관한 군주 계보에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왕조의 명칭은 해당 군주들의 재위 시대부터 인식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후세의 역사가들이 명명한 것이다.

문화권에 따라 왕조 교체로 보는 기준이 다를 수 있다.

사례한국/일본 등 동아시아 시각서구/중국 시각
에도 막부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기슈 도쿠가와가 출신) 즉위동일 왕조 (도쿠가와)왕조 교체 가능성
응신천황 5대손 계체천황 즉위동일 왕조 (야마토)왕조 교체 가능성
프랑스 왕국카페 왕조, 발루아 왕조, 부르봉 왕조, 오를레앙 왕조동일 왕조 (위그 카페 남계 후손)왕조 교체


  • 중국의 청나라 기점에 대해서도, 일본에서는 누르하치를 기점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중국에서는 누르하치와 홍타이지 시기를 후금으로, 순치제 이후를 청나라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 바부르의 경우처럼, 동일 인물이라도 활동 시기와 정권의 변화에 따라 전반생은 티무르 제국의 역사로, 후반생은 무굴 제국의 역사로 간주되어 다른 왕조에 속하는 것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 영국 국왕 조지 5세의 통치 기간 중 1917년까지는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로 간주되지만, 제1차 세계 대전 중 가문 이름을 변경하여 1917년 이후는 윈저 왕가로 간주된다.


현대에는 상속이나 가족경영이 이루어지는 재벌 기업 그룹, 가원 제도나 세습 정치가의 가계 등을 비유적으로 '왕조'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 "케네디 왕조", "금왕조")

또한 영어 단어 'dynasty'는 스포츠 분야에서 특정 선수나 팀이 해당 경기 또는 리그에서 오랫동안 최정상의 자리를 지배하는 것을 의미하며, 한국어에서도 이를 "왕조"로 번역하여 사용하기도 한다.[21]

3. 왕조의 정의



여러 유럽 왕가와 결혼한 자녀들에게 둘러싸인 마리아 테레지아 황후의 가족 초상화. 왕가 간의 결혼 정책은 ''오스트리아 평화''로 이어졌다.


일반적으로 왕조는 같은 가문 출신의 군주가 연속적으로 통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왕조라는 개념은 역사가들이 군주 계보를 인위적으로 분류한 것이기도 하다. 대부분 혈족이나 양자 입적을 통한 세습 군주제의 계보를 분류하는 데 사용되지만, 혈연과 무관한 군주 계보(예: 마믈루크 왕조)에 사용되기도 한다. 왕조의 이름은 해당 왕조 시대부터 인식되기도 하지만, 후세 역사가들이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문화권에 따라 왕조를 정의하고 교체를 인식하는 기준에 차이가 있다.
중국 문화권에서는 왕조의 교체를 단순히 혈통의 단절뿐만 아니라 덕(德)의 단절로 정의하는 특징이 있다. 덕이 계속된다고 여겨지면 혈통이 멀어진 상속이나 다른 성씨의 비혈연자에 의한 상속도 같은 왕조로 간주될 수 있다. 반대로, 덕이 단절되었다가 다시 부흥한 경우에는 혈통이 이어지더라도 전한후한처럼 다른 왕조로 구별한다. 남조의 제나라와 양나라처럼 남계 혈족의 상속이더라도 덕이 단절되었다고 인식되면 왕조가 교체된 것으로 본다. 대부분의 경우, 같은 성씨 일족의 세습을 가리키며, 왕조마다 국호가 달라 국호가 왕조명으로 사용된다.
서구 문화권에서는 가문의 이름이 왕조의 이름이 되며, 가문 이름이 바뀌면 왕조가 교체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는 직계 혈통이 단절되어 방계 친척이 계승하거나, 여성 상속자를 통해 다른 가문으로 왕위가 넘어가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영국 국왕 조지 5세는 즉위 초기에는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였으나, 1917년 가문 이름을 윈저 왕가로 변경하면서 왕조가 교체된 것으로 본다. 그러나 최근에는 여성 계승 시 모계의 가문 이름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져, 반드시 왕조 교체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유럽의 왕가는 무력으로 멸망하기보다는 직계 단절로 인한 가문 이름 변경으로 교체되는 경우가 많았다. 중세 이전에는 공식적인 가문 이름이 없는 경우가 많아, 후대 역사가가 왕조에서 가장 유명한 군주의 이름이나 출신 지명 등을 따서 임의로 명명하고 분류하기도 했다(예: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슬람 문화권에서는 초기에는 무함마드로부터 시작된 세습 칼리파의 권세가 미치는 범위를 왕조로 정의했다. 최초의 강력한 왕조는 이슬람 제국(사라센 제국)이었다. 이후 페르시아인의 등장과 내부 대립으로 칼리파의 권위가 약화되고, 10세기경에는 여러 칼리파가 난립했다. 그 후 술탄, , 등의 칭호를 가진 유력자들이 각자 왕조를 세워 세습했다. 아라비아, 페르시아, 시리아 등은 고대 그리스어에 기반한 외래 지명이었으나, 이 지역의 군주들은 대외적으로 여러 부족이나 왕국을 통솔하는 제정(帝政)을 펼쳤기에 역사가들은 그 권세 범위를 국가에 상당하는 영토로 인정하고 사산조, 셀레우코스 왕조, 파티마 왕조, 압바스 왕조 등의 왕조명으로 국명을 대신하기도 했다. 현대의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사우드 왕가의 아라비아 지역 왕국"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여러 권세를 아우르는 더 큰 대권이 등장했을 때는 서구의 정의에 따라 이를 "황제"로 인정하고 제국으로 정의하기도 하는데, 오스만 제국이 그 예이다.

왕조와 관련하여 왕조 구성원(dynast)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이는 때때로 왕조의 통치자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왕위 계승권을 유지하는 통치 가문의 모든 구성원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에드워드 8세는 퇴위 후 윈저 왕가의 왕조 구성원이 아니게 되었다. 역사적 맥락에서는 과거 통치 가문의 일원 중 군주제 규칙이 유효했다면 계승권을 가졌을 사람을 의미하기도 한다. 오스트리아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 이후, 그의 아들 호엔베르크 공작 막시밀리안은 모르가나틱 결혼으로 태어나 합스부르크 가문의 왕조 구성원이 아니었기에 왕위 계승에서 제외되었다. 이 용어는 군주의 장자 계승 후손만을 가리키거나, 방계를 통해 계승권을 가진 사람까지 포함하는 등 중복되지만 구별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엘리자베스 2세의 조카인 데이비드 암스트롱 존스, 스노든 제2대 백작은 영국 왕위 계승 순위에 있으므로 영국 왕조 구성원이지만, 영국 왕실의 장자 계승 구성원은 아니므로 윈저 왕가의 핵심 구성원은 아니다. 한노버의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왕자는 조지 3세의 남계 후손으로 영국 왕위 계승 순위에 있었으나, 1701년 왕위 계승법에 따라 로마 가톨릭 신자인 모나코의 카롤린 공주와 결혼하면서 한때 계승권을 상실했었다(이 조항은 2015년 폐지됨).[5][6]
왕가 결혼(dynastic marriage)은 왕실 가족법 제한을 준수하여 태어난 자손이 왕위나 기타 왕족 특권을 상속받을 자격이 있는 결혼을 의미한다.[7] 빌럼-알렉산더 국왕과 막시마 소레기에타의 결혼은 왕가 결혼으로, 장녀 카타리나-아말리아 공주는 왕위 계승권자가 되었다. 반면 그의 동생 오라녜-나사우의 프리스 왕자는 정부와 의회의 승인 없이 결혼하여 자신과 자녀들의 네덜란드 왕위 계승 순위 및 왕족 칭호를 잃었다.

문화권별 인식 차이로 인해 특정 사례가 다르게 해석되기도 한다.

  • 에도 막부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기슈 도쿠가와가에서 나왔거나, 응신천황의 5대손인 계체천황이 즉위한 것은 일본에서는 동일 왕조로 간주되지만, 서구나 중국 문화권에서는 왕조 교체로 볼 수 있다.
  • 프랑스 왕국카페 왕조, 발루아 왕조, 부르봉 왕조, 오를레앙 왕조는 서구에서는 별개의 왕조로 보지만, 일본이나 한자 문화권에서는 모두 위그 카페의 남자 후손이 이은 동일 왕조로 간주할 수 있다.
  • 청나라의 시작점을 일본에서는 누르하치로 보는 경향이 있지만, 중국에서는 누르하치와 홍타이지 시대를 후금, 순치제 이후를 청나라로 구분하기도 한다.
  • 바부르는 전반생이 티무르 제국 역사에 속하지만, 후반생은 무굴 제국의 역사로 간주되는 것처럼, 동일 인물이라도 정권 변화에 따라 다른 왕조로 취급될 수 있다.
  • 영국 조지 5세의 통치 기간 중 1917년 이전은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 이후는 윈저 왕가로 구분된다.

4. 왕조의 역사

역사학자들은 많은 국가와 문명의 역사를 연구할 때 시대 구분(periodization)을 활용하는데, 예를 들어 고대 이란(기원전 3200~539년), 고대 이집트(기원전 3100~기원전 30년), 그리고 고대 및 제국 시대 중국(기원전 2070년~서기 1912년)의 역사는 여러 왕조들을 기반으로 한 틀을 사용하여 연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왕조"라는 용어는 특정 가문이 통치한 시대를 구분하거나, 해당 시대의 사건, 경향, 유물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예: "명나라(Ming dynasty) 시대의 꽃병").[8]

18세기 이전까지 세계 대부분의 왕조는 전통적으로 부계혈통(patrilineality)을 따랐으며, 프랑크족의 살리카 법(Salic law)이 대표적인 예이다. 여성을 통한 계승이 허용된 경우에도, 딸을 통한 계승은 일반적으로 남편 가문의 이름으로 새로운 왕조가 시작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러나 현대 유럽의 남아있는 군주제에서는 계승법(Order of succession)과 관습에 따라 여성을 통해서도 왕조의 이름이 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윈저 왕가(House of Windsor)는 엘리자베스 2세(Elizabeth II) 여왕의 자녀들을 통해 유지되었고, 네덜란드 왕국(monarchy of the Netherlands)의 오라녜나사우가(House of Orange-Nassau) 역시 세 명의 여왕(queen regnant)을 거치면서 유지되었다. 유럽 군주국 중 이러한 변화의 초기 사례로는 18세기 러시아 제국(Russian Empire)이 있으며, 로마노프가(House of Romanov)의 이름은 안나 페트로브나(Grand Duchess Anna Petrovna)를 통해 이어졌다. 포르투갈의 마리아 2세(Maria II of Portugal) 여왕이 페르난두 2세(Ferdinand II of Portugal) 왕자와 결혼했을 때도, 자손들은 포르투갈 법에 따라 브라간사가(House of Braganza)의 일원으로 남았다. 19세기 이후 유럽에서 다른 왕가에 속한 자녀를 둔 유일한 여왕은 빅토리아 여왕(Queen Victoria)이었는데, 이는 비독일계 왕가를 선택하는 방식에 대한 의견 차이 때문이었다. 한편, 남아프리카 공화국(South Africa)의 림포포주(Limpopo Province)에서는 발로베두(Balobedu)의 여왕(Rain Queen)이 모계 계승(matrilineal succession)을 따르기도 했으며, 통치자가 어머니의 왕가 이름을 이어받는 경우도 있었다. 드물게는 여러 왕조가 번갈아 가며 통치하는 다왕조(multi-dynastic 또는 polydynastic) 시스템도 존재했는데, 이는 특정 시점에 여러 왕조의 가장 연장자들이 계승 순위를 구성하는 방식이다.

4. 1. 한국의 왕조

대부분의 경우, 왕조는 같은 성씨의 일족에 의한 일련의 세습을 가리키며, 왕조마다 국호가 다르기 때문에 국호가 왕조명으로 사용된다. 왕조의 교체는 혈통의 단절이 아니라 덕(德)의 단절에 의해 정의된다. 덕이 계속되는 동안에는 혈통이 멀어진 상속이나 다른 성씨의 비혈연자에 의한 상속도 가능하지만, 일단 덕이 단절된 것을 재흥한 경우에는 혈통이 계속되더라도 전한, 후한처럼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중국 남조의 제와 량과 같이, 남계로 이어지는 같은 성씨 혈족의 상속이더라도 덕이 단절되었다고 인식되면 왕조도 교체된 것으로 간주된다.

5. 왕조의 존속

통가의 투포우 6세 국왕과 나나시파우 여왕.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 왕조 중 하나인 투이 통가 제국(Tuʻi Tonga Empire)의 계승자로, 기원후 950년경부터 이어져 왔다.


왕조가 250년 이상 지속된 경우는 역사적으로 다수 존재한다. 아래 표는 부계 혈통 계승을 기준으로 250년 이상 지속된 왕조들을 보여주며, 역사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전설적인 계보는 포함하지 않았다.

시대왕조통치 기간
기원전 400년 – 1618년판디야(Pandya dynasty)2,018년 (추정)
기원전 300년경 – 1279년콜라(Chola dynasty)1,579년 (추정)
기원후 493년경 – 현재일본 천황가(Imperial House of Japan)1,458년
5세기경 – 1947년동부 갠가 왕조(Eastern Ganga dynasty)1,454년 (추정)
5세기경 – 1971년구힐라(Guhila dynasty) / 시소디아(Sisodia dynasty)1,371년 (추정)
730년경 – 1855년보크티(Bohkti)1,125년 (추정)
780년경 – 1812년바그라티온(Bagrationi dynasty)1,032년 (추정)
900년경 – 1930년보르지긴(Borjigid)1,030년 (추정)
987년 – 현재카페(Capetian dynasty)1,037년
기원전 57년 – 935년신라(Silla)992년 (추정)
기원전 722년경 – 기원전 1700년경아다시드(Adaside)978년 (추정)
950년대 – 현재 (1865년까지 투이토응가(Tuʻi Tonga) 칭호)통가(Tonga)974년 (추정)
891년경 – 1846년사이파와(Sayfawa dynasty)955년 (추정)
665년 – 1598년바두스파니드 왕조(Baduspanids)933년
1128년 – 1971년카츠와하 왕조(Kachhwaha)843년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56년(Zhou dynasty)790년
750년 – 1258년, 1261년 – 1517년압바스(Abbasid dynasty)764년
862년 – 1598년류리크 왕조(Rurikid)736년
1243년 – 1971년라토르(Rathore dynasty)728년
기원전 37년 – 668년고구려(Goguryeo)705년
1270년 – 1975년솔로몬(Solomon dynasty)705년
651년 – 1349년바반드 왕조(Bavand dynasty)698년
기원전 18년 – 660년백제(Baekje)678년
1360년대 – 현재볼키아(House of Bolkiah)664년 (추정)
1278년 – 1914년합스부르크(House of Habsburg)636년
1299년 – 1922년오스만(Ottoman dynasty)623년
기원전 543년 – 66년비자야(House of Vijaya)608년
1228년 – 1826년아홈(Ahom dynasty)598년
기원전 1600년 – 기원전 1046년 또는 기원전 1766년 – 기원전 1122년(Shang dynasty)554년 또는 644년
1392년 – 1910년조선(Joseon) 및 대한제국(Korean Empire)518년
1370년 – 1857년티무르(Timurid dynasty)487년
918년 – 1392년고려(Goryeo)474년
기원전 247년 – 224년아르사키드(Arsacid)471년
1154년 – 1624년나브하니(Nabhani dynasty)470년
기원전 202년 – 9년, 25년 – 220년(Han dynasty) 및 촉한(Shu Han)448년
858년 – 1301년아르파드(Árpád dynasty)443년
1586년 – 현재마타람(House of Mataram)438년 (추정)
224년 – 651년사산(Sassanian dynasty)427년
기원전 1010년 – 기원전 586년다윗(Davidic line)424년
220년 – 638년자프니드(Jafnid)418년
960년 – 1370년피아스트(Piast dynasty)410년
기원전 730년 – 기원전 330년아케메네스(Achaemenid dynasty)400년
1220년 – 1597년시리 상가 보(House of Siri Sanga Bo)377년
661년 – 750년, 756년 – 1031년우마이야(Umayyad dynasty)364년
1271년 – 1635년(Yuan dynasty) 및 북원(Northern Yuan)364년
1057년 – 1059년, 1081년 – 1185년, 1204년 – 1461년콤네누스 왕조(Komnenos)363년
1428년 – 1527년, 1533년 – 1789년후 레(Later Lê) (초기 및 부흥기 후 레)(Revival Lê)355년
1047년 – 1375년, 1387년 – 1412년에스트리드센(House of Estridsen)353년
기원전 653년경 – 기원전 309년아르게아드(Argead dynasty)344년
1371년 – 1651년, 1660년 – 1714년스튜어트(House of Stuart)334년
1154년 – 1485년플랜태저넷(House of Plantagenet)330년
905년 – 1234년히메네스(Jiménez dynasty)329년
1699년 – 현재벤다하라(Bendahara dynasty)325년 (추정)
960년 – 279년(Song dynasty)319년
1613년 – 1917년로마노프(House of Romanov)304년
기원전 300년 – 602년락흐미드(Lakhmid)302년
916년 – 1218년(Liao dynasty) 및 서요(Western Liao)302년
1616년 – 1912년후금(Later Jin) 및 (Qing dynasty)296년
1368년 – 1662년(Ming dynasty) 및 남명(Southern Ming)294년
기원전 305년 – 기원전 30년프톨레마이오스(Ptolemaic dynasty)275년
618년 – 690년, 705년 – 907년(Tang dynasty)274년
909년 – 1171년파티마(Fatimid dynasty)262년
1230년 – 1492년나스르(Nasrid dynasty)262년
기원전 1550년 – 기원전 1292년투트모시드(Thutmosid)258년
1034년 – 1286년덩켈드(House of Dunkeld)252년



현재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군주국은 43개이며, 그중 41개는 왕조가 통치한다. 왕조가 아닌 군주가 통치하는 국가는 안도라, 바티칸 시국, 몰타 기사단이다. 현재 26개의 주권 왕조가 존재한다.

왕조국가현재 군주왕조 창시자왕조 발상지왕조 성립
윈저 가문앤티가 바부다, 오스트레일리아, 바하마, 벨리즈, 캐나다, 그레나다, 자메이카,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솔로몬 제도, 투발루, 영국찰스 3세조지 5세튀링겐·바이에른 (현대 독일)1917년 7월 17일
칼리파 가문바레인하마드 빈 이사 알 칼리파칼리파 빈 무함마드 셰이크나즈드 (현대 사우디아라비아)1783년
벨기에 왕가벨기에필리프알베르트 1세튀링겐·바이에른 (현대 독일)1831년
왕축 왕조부탄지그메 케살 남겔 왕축우겐 왕축부탄1907년
볼키아 가문브루나이하사날 볼키아무함마드 샤 술탄타림 in 하드라마웃 (현대 예멘)1405년
노로돔 왕가캄보디아노로돔 시하모니노로돔 프롬바리락 국왕캄보디아1860년
글뤼크스부르크 가문덴마크프레데리크 10세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뤼크스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빌헬름글뤼크스부르크 (현대 독일)1863년
노르웨이하랄 5세
들라미니 가문에스와티니므스와티 3세들라미니 1세 추장동아프리카1720년
일본 황실일본나루히토짐무 천황나라 가시하라 (현대 일본)기원전 660년 2월 11일
하심 가문요르단압둘라 2세후세인 빈 알리 알 하시미 국왕헤자즈 (현대 사우디아라비아)1916년 6월 10일
사바 가문쿠웨이트미샬 알 아마드 알 자베르 알 사바사바 1세 빈 자베르 셰이크나즈드 (현대 사우디아라비아)1756년
모세슈 왕가레소토레치시 3세모세슈 1세 추장레소토1822년
리히텐슈타인 가문리히텐슈타인한스-아담 2세카를 1세 공오스트리아 하부 (현대 오스트리아)1608년
룩셈부르크-나사우 가문룩셈부르크앙리아돌프 대공나사우 (현대 독일)1748년
템멩궁 왕가 / 분다하라 왕조말레이시아이브라힘 3세 술탄 / 압둘라템멩궁 툰 압둘 자말 1세 / 툰 하바브조호르 (현대 말레이시아)1699년
그리말디 가문모나코알베르 2세 공프랑수아 그리말디제노바 (현대 이탈리아)1297년
알라위 왕조모로코무함마드 6세 국왕샤리프 이븐 알리 술탄타필랄트 (현대 모로코)1631년
오라녜-나사우 가문네덜란드 왕국빌럼-알렉산더 국왕빌헬름 1세 공나사우 (현대 독일)1815년
부사이드 가문오만하이삼 빈 타릭아흐마드 빈 사이드 알 부사이디 술탄오만1749년
타니 가문카타르타밈 빈 하마드 알 타니타니 빈 무함마드 셰이크나즈드 (현대 사우디아라비아)1847년
사우드 가문사우디아라비아살만 빈 압둘아지즈사우드 1세 에미르디리야 (현대 사우디아라비아)1744년
부르봉-앙주 가문스페인펠리페 6세 국왕필립 5세 국왕부르봉-라르샹보 (현대 프랑스)1700년
베르나도테 가문스웨덴칼 16세 구스타프 국왕칼 14세 요한 국왕 (현대 프랑스)1763년
차크리 왕조태국와치랄롱꼰라마 1세프라 나콘 시 아유타야 (현대 태국)1782년
투푸 왕가통가투포우 6세조지 투푸 1세 국왕통가1845년
나얀 가문아랍에미리트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얀디야브 빈 이사 알 나얀 셰이크리와 오아시스 (현대 아랍에미리트)1761년


6. 왕조의 정치

정치 집안이나 정치 집안 목록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선거를 통해 정부 구성원을 선출하는 공화국이나 입헌군주국에서는 권력이 자동으로 특정 가문에 상속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실제로는 특정 가문의 여러 세대에 걸쳐 정치적 권력이 집중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에는 해당 가문의 명성, 사회적 영향력, 정치적 전통, 재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가족이나 친척을 등용하는 정실주의(친족 등용) 역시 영향을 미친다.

한편, 세습 독재는 국민의 민주적 동의 없이 강력한 지도자의 압도적인 권력을 바탕으로 정치 권력이 특정 가족 내에서 유지되는 독재의 한 형태이다. 세습 독재 체제 하의 강력한 지도자는 보통 자신의 가족 구성원을 정부의 주요 직책에 임명한다. 지도자는 생전에 후계자를 미리 정해 권력 승계를 준비하거나, 지도자 사후에 가족 구성원이 권력을 장악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세습 독재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현재 세습 독재 국가
왕조(가문)국가현 지도자왕조 창시자집권 시작 연도
그나싱베 가문[9]토고포르 냐싱베냐싱베 에야데마1967
알리예프 가문[10]아제르바이잔일함 알리예프헤이다르 알리예프1993
훈 가문[11][12][13]캄보디아훈 마넷훈 센1985
베르디무하메도프 가문[14]투르크메니스탄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2006
김씨 일가[15][16]북한김정은김일성1948
데비 가문[17]차드마하마트 데비 이트노이드리스 데비 이트노1991



과거에 존재했던 세습 독재 국가들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과거 세습 독재 국가
왕조(가문)국가왕조 창시자마지막 통치자집권 시작 연도집권 종료 연도통치 기간
뒤발리에 왕조아이티프랑수아 뒤발리에장클로드 뒤발리에1957198629년
봉고 가문[18]가봉오마르 봉고알리 봉고 온딤바1967202356년
아사드 가문[19][20]시리아하페즈 알아사드바샤르 알아사드1971202453년


7. 왕조의 비유적 용법

현재에도 상속이나 가족경영이 이루어지는 재벌 기업 그룹, 가원 제도나 세습 정치가의 가계 등에서 비유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케네디 왕조', '금왕조' 와 같이 표현하기도 한다.

또한 영어 단어 dynasty영어 (영어판 dynasty(sports))는 스포츠 분야에서 특정 선수나 팀이 해당 경기 또는 리그의 정상을 장기간 지배하는 것을 나타내며, 일본어에서도 '왕조'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다.[21]

참조

[1] 서적 dynasty, n. Oxford University Press
[2] 논문 Dynasties in Historical Political Economy https://www.dropbox.[...] 2023-08-21
[3] 웹사이트 OEtymD|dynasty
[4] 서적 house, n.1 and int, 10. b.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Statement by Nick Clegg MP http://www.parliamen[...] UK parliament website 2015-03-26
[6] 뉴스 Monaco royal taken seriously ill http://newsvote.bbc.[...] BBC News 2013-01-27
[7] 웹사이트 The Dynastic Marriage http://ieg-ego.eu/en[...] 2023-02-28
[8] 서적 Europe Since Napoleon https://archive.org/[...] Knopf
[9] 뉴스 Togo votes as Faure Gnassingbe seeks to extend dynasty's rule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4-02-20
[10] 웹사이트 Presidential Elections in Azerbaijan Fail to End the Aliyev's Dynastic and Autocratic Rule https://carnegiemosc[...] 2024-02-07
[11] 뉴스 What to expect from Cambodia's new 'dynastic' prime minister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23-08-25
[12] 잡지 What to Know About the Army Chief Who Will Be Cambodia's Next Leader https://time.com/629[...] Time 2023-08-25
[13] 뉴스 Assessing Cambodia's New Political Leadership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3-08-25
[14] 뉴스 The Aura of Governance in Turkmenistan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3-10-27
[15] 뉴스 Delving into North Korea's mystical cult of personality https://www.bbc.co.u[...] BBC News 2024-12-12
[16] 뉴스 North Korea - The Kim Dynasty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24-12-12
[17] 웹사이트 Chad: Political Transition Ends with Déby’s Election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24-12-14
[18] 논문 Gabon's coup will worry regional autocrats http://dx.doi.org/10[...] 2023-08-30
[19]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the Assad Dynasty https://www.tbsnews.[...] The Business Standard 2024-12-08
[20] 웹사이트 Who is Bashar al-Assad, the Syrian leader whose family ruled with an iron fist for more than 50 years? https://edition.cnn.[...] CNN 2024-12-08
[21] 웹사이트 シャック、レイカーズ王朝の到来を確信した瞬間を明かす「その時から俺たちによる支配が始まった」 https://nba.rakuten.[...] nba.rakuten.co.jp 2024-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