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저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있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부산-김해 경전철의 환승역이다. 1997년 3호선 구간 공사가 시작되어 2005년 3호선이 개통하면서 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했으며, 2011년 부산-김해 경전철이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 3호선은 섬식 승강장, 부산-김해 경전철은 상대식 승강장 형태의 고가역이며, 두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인근에 부산우편집중국, 대저초등학교 등이 있으며, 부산-김해 경전철 개통 이후 이용객이 증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수영역
수영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 환승역으로, 2호선 개통 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좌수영에서 유래되었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역 - 거제역
거제역은 부산광역시 연제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동해선과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지나며, 1989년 남문구역으로 시작하여 2016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 부산 강서구의 전철역 - 서부산유통지구역
서부산유통지구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에 위치한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부산-김해 경전철의 환승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사상 및 가야대 방면으로 운행된다. - 부산 강서구의 전철역 - 등구역
부산-김해경전철의 등구역은 2011년 9월에 개통되어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운영되며, 주변에 등구마을과 강서다목적운동장이 위치하고 대저역 방면에는 급커브 구간이 있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수영역
수영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 환승역으로, 2호선 개통 후 3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좌수영에서 유래되었다.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거제역
거제역은 부산광역시 연제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동해선과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지나며, 1989년 남문구역으로 시작하여 2016년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
대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 | |
![]() | |
주소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 |
3호선 정보 |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1면 2선 |
개업일 | 2005년 11월 28일 |
역 번호 | 317 |
운영 기관 | 부산교통공사 |
이전 역명 | 중리 (개업 전) |
부산-김해 경전철 정보 |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2선 |
개업일 | 2011년 9월 16일 |
역 번호 | 7 |
운영 기관 | 부산-김해 경전철 운영 주식회사 |
이전 역명 | 서연정 (개업 전) |
편의 시설 | 접근 가능 |
한국어 역명 | |
한글 | 대저역 |
한자 | 大渚驛 |
로마자 표기 | Daejeo yeok |
일본어 역명 | |
역명 | 大渚駅 |
よみがな | テジョ |
로마자 | Daejeo |
기타 정보 | |
관리역 | 부산교통공사 제3운영사업소 대저관리역 |
낙동북로 주소 | 295 (3호선), 294 (부산김해경전철) |
2. 역사
- 1997년 11월 25일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대저역~수영역 구간 착공
- 2005년 11월 28일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대저역~수영역 구간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 개시
- 2006년 2월 15일 : 부산-김해 경전철 사상역~가야대역 구간 착공
- 2011년 9월 16일 : 부산-김해 경전철 사상역~가야대역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됨

3. 역명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역의 공사 중 가역명은 '''중리역'''이었으며, 부산-김해 경전철 역의 공사 중 가역명은 '''서연정역'''이었다.
4. 역 구조
부산 도시철도 3호선과 부산-김해 경전철 두 노선 모두 고가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호선은 섬식 승강장, 부산-김해 경전철은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두 노선 간의 환승은 대합실에 설치된 연결 통로를 통해야 한다. 이 통로는 요금 지역(Fare Zone) 밖에 있어 직접 환승은 불가능하며, 반드시 개찰구를 통과해야 한다. 2011년부터 부산광역시, 양산시, 김해시 간 광역환승할인제가 시행되어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4. 1.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는 2개다.

4. 1. 1.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대저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상행 | 수영 방면 |
---|---|
하행 | 하차 전용 |
4. 2. 부산-김해 경전철
부산-김해 경전철 대저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는 2개이며, 역 번호는 '''7'''번이다.4. 2. 1. 부산-김해 경전철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4. 2. 2. 환승 시 유의
부산-김해 경전철 역사 연결 통로가 대합실에 설치되어 있으나, 요금 지역(Fare Zone) 외부에 있어 직접 환승은 불가능하며 반드시 개찰구를 통과해야 한다. 환승 처리는 선/후불 교통카드로만 가능한 소프트 환승이다. 2011년부터 부산광역시, 양산시, 김해시 간 광역환승할인제가 시행되어 카드로 요금을 내면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5. 역 주변
6. 승차량 변동
부산-김해 경전철 개통 이후 이용객이 증가하였다. 현재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역들 중 승객이 4번째로 많다. 단 대부분이 환승객이다. 부산-김해 경전철은 기본적으로 승·하차량을 공개하지 않지만 부산광역시에서 실시하는 교통조사 분석용역을 통해서 부산권 역(사상역-대사역 구간)들의 승·하차량은 확인 가능하다. 환승 인원이 포함되었다.
노선 | 승차 인원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3호선 | 1409 | 1641 | 1954 | 2276 | 2295 | 2732 | 4348 | 7400 | 7928 | 8709 | 8750 | [5] |
부산-김해 경전철 | 미개통 | 4394 | 4867 | 5344 |
7. 갤러리
8. 인접한 역
wikitext
8. 1.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체육공원역 (316) - '''대저역 (317)''' --8. 2. 부산-김해 경전철
부산-김해 경전철한국어[1] 등구역 (6) - '''대저역 (7)''' - 평강역 (8)[1]참조
[1]
뉴스
http://news20.busan.[...]
Busan Ilbo
2014-02-13
[2]
뉴스
http://news.naver.co[...]
Yonhap News Agency
2014-02-13
[3]
뉴스
釜山~金海のライトレール開通、金海国際空港も経由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11-09-09
[4]
문서
역명과 맞게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 있다.
[5]
웹사이트
부산 도시철도 승객량 통계
http://www.humetro.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