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선거구
- 3. 개표 결과
- 3.1. 대구시 중구 (제1선거구)
- 3.2. 대구시 동구 (제2선거구)
- 3.3. 대구시 남구 (제3선거구)
- 3.4. 대구시 서구 (제4선거구)
- 3.5. 대구시 북구 (제5선거구)
- 3.6. 포항시·울릉군 (제6선거구)
- 3.7. 영일군 (제7선거구)
- 3.8. 김천시·금릉군 (제8선거구)
- 3.9. 경주시·월성군 (제9선거구)
- 3.10. 달성군·고령군 (제10선거구)
- 3.11. 군위군·선산군 (제11선거구)
- 3.12. 의성군 (제12선거구)
- 3.13. 안동시·안동군 (제13선거구)
- 3.14. 청송군·영덕군 (제14선거구)
- 3.15. 영양군·울진군 (제15선거구)
- 3.16. 영천군 (제16선거구)
- 3.17. 경산군 (제17선거구)
- 3.18. 청도군 (제18선거구)
- 3.19. 성주군·칠곡군 (제19선거구)
- 3.20. 상주군 (제20선거구)
- 3.21. 문경군 (제21선거구)
- 3.22. 예천군 (제22선거구)
- 3.23. 영주군 (제23선거구)
- 3.24. 봉화군 (제24선거구)
- 4. 당선자
- 참조
1. 개요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지역 선거는 1971년에 치러졌으며, 총 24개의 선거구에서 국회의원을 선출했다. 각 선거구는 대구시와 경상북도 지역의 행정 구역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으며, 선거 결과는 민주공화당과 신민당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선거 결과, 민주공화당은 13석, 신민당은 9석, 국민당은 1석을 확보하였고, 무소속 1석을 기록했다.
1971년 5월 25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경상북도에 총 24개의 선거구가 설치되었다.
2. 선거구
하위 섹션인 '선거구 목록'에 상세한 선거구 목록과 선거구역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선거구 구성 방식에 대한 언급은 생략한다.
2. 1. 선거구 목록
울릉군 일원영일군 (제7선거구) 영일군 일원 김천시·금릉군 (제8선거구) 김천시 일원
금릉군 일원경주시·월성군 (제9선거구) 경주시 일원
월성군 일원달성군·고령군 (제10선거구) 달성군 일원
고령군 일원군위군·선산군 (제11선거구) 군위군 일원
선산군 일원의성군 (제12선거구) 의성군 일원 안동시·안동군 (제13선거구) 안동시 일원
안동군 일원청송군·영덕군 (제14선거구) 청송군 일원
영덕군 일원영양군·울진군 (제15선거구) 영양군 일원
울진군 일원영천군 (제16선거구) 영천군 일원 경산군 (제17선거구) 경산군 일원 청도군 (제18선거구) 청도군 일원 성주군·칠곡군 (제19선거구) 성주군 일원
칠곡군 일원상주군 (제20선거구) 상주군 일원 문경군 (제21선거구) 문경군 일원 예천군 (제22선거구) 예천군 일원 영주군 (제23선거구) 영주군 일원 봉화군 (제24선거구) 봉화군 일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