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병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병채는 일제강점기 대구 출신의 법조인 및 정치인이다. 고려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판사,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신민당 대변인, 국회의원, 헌법재판소 상임재판관 등을 역임했다. 헌법재판소 재판관 재임 중 논문 표절 논란이 있었으며, 이후 사과하고 배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서부초등학교 동문 - 김상훈 (1963년)
김상훈은 대구 서구 출신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대구광역시청 공무원으로 근무하다 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4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여러 당직과 상임위에서 활동하며 국무총리 표창과 홍조근정훈장을 받았다. - 대구서부초등학교 동문 - 정인숙 (모델)
정인숙은 1960년대 후반 뛰어난 미모와 영어 실력으로 요정에서 이름을 알리며 정재계 고위 인사들과 관계를 맺었던 모델로, 국무총리 정일권과의 스캔들과 1970년 피살 사건으로 사회 지도층 타락상 논란을 일으킨 인물이다. - 무당파국민연합 - 김중권
김중권은 김대중 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김대중 대통령의 경제 정책 결정을 지원하며 주요 국정 운영에 참여했다. - 무당파국민연합 - 김현욱 (정치인)
김현욱은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빈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제11, 12, 13, 1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한국민족발전연구원 이사장 등을 지내며 정의구현사제단 비난 등으로 논란이 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능인고등학교 동문 - 변창흠
변창흠은 대한민국의 학자이자 공무원, 공공기관인으로, 세종대학교 교수, SH공사 및 LH 사장을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재직 시절 여러 논란으로 비판을 받았다. - 능인고등학교 동문 - 전경환
전경환은 전두환 전 대통령의 동생으로, 다양한 학력과 군 경력, 대통령 경호실 근무, 민주정의당 당무위원, 새마을운동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나 횡령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조카 전재용과 전우원 또한 사회적 관심을 받았다.
한병채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병채 |
한자 | 韓柄寀 |
출생일 | 1933년 7월 3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상북도 대구부 |
국적 | 대한민국 |
종교 | 불교 |
학력 | 고려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
경력 | |
정당 | 신민당 상임위원 민주정의당 전임위원 새한국당 최고위원 |
의원 선수 | 4 |
의원 대수 | 8·9·10·11 |
공직 | 대한민국의 초대 헌법재판소 재판관 |
취임일 | 1988년 9월 15일 |
퇴임일 | 1994년 9월 14일 |
기타 |
2. 학력
- 대구서부공립국민학교 졸업
- 경북공립중학교 졸업
- 능인고등학교 졸업
- 고려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3. 경력
4. 생애 및 활동
일제강점기 경상북도 대구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했다.[1][3] 춘천, 서울, 대전, 대구에서 10년간 판사로 근무했으며, 의성지청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1][3]
4. 1. 법조인 및 정치인 활동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하여 춘천, 서울, 대전, 대구에서 10년간 판사로 근무했으며, 의성군 지청장을 역임하였다.[1][3]고향인 대구에서 변호사 개업 후, 제8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 신민당 공천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4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신민당 대변인, 국회 문교공보위원회 상임위원장, 제30회 아시아·태평양 국제의원연합(APPU) 한국 대표 및 단장, 1988년 서울올림픽 조직위원 및 집행위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상임위원장, 헌법재판소 초대 상임재판관 및 헌법재판관을 역임하였다. 퇴임 후에는 변호사로 복귀하여 헌정재판연구소를 설립하였다.[1][4]
4. 2. 헌법재판관 활동 및 논란
초대 헌법재판소 재판관(상임재판관)을 역임했다.[5][6]헌법재판소 재판관 재임 중, 중앙대학교 법대 교수 이 상돈(1951년생)의 석사 논문을 각주를 포함하여 34곳 이상 표절한 논문을 작성한 것이 밝혀졌다. 이에 이 상돈은 1991년 8월 31일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에 저작권 분쟁 조정 신청을 제출했다.[5][6] 이후 한병채는 이 상돈에게 공식 사과하고 배상했다.[6]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71년 | 총선 | 신민당 | 27,266표 (57.20%) | 1위 | 당선 | 초선 |
1973년 | 총선 | 무소속 | 41,175표 (23.79%) | 2위 | 당선 | 재선 |
1978년 | 총선 | 무소속 | 128,810표 (48.03%) | 1위 | 당선 | 3선 |
1981년 | 총선 | 민주정의당 | 67,822표 (28.33%) | 2위 | 당선 | 4선 |
1985년 | 총선 | 민주정의당 | 76,341표 (22.83%) | 3위 | 낙선 | |
1996년 | 총선 | 무당파국민연합 | 3,686표 (6.95%) | 5위 | 낙선 |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8-03
[2]
웹사이트
국회개원 30돌
https://www.joongang[...]
1978-05-31
[3]
웹사이트
제10대 국회의원선거 경북 제1선거구 국회의원 한병채 선전벽보
https://terms.naver.[...]
2022-08-03
[4]
웹사이트
제12대 국회의원선거 대구 서구중구 국회의원 한병채 선전벽보
https://terms.naver.[...]
2022-08-03
[5]
웹사이트
"헌재 재판관이 논문 표절" 이상돈 교수,한병채씨 상대 저작권분쟁조정신청
https://newslibrary.[...]
1991-09-03
[6]
웹사이트
[미디어워치] 1964년 이후 논문 표절의 역사가 한눈에
https://www.mediawat[...]
2014-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