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봉화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화군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1895년 안동부 봉화군으로 개편된 후 1896년 경상북도에 편입되었다. 현재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1,201.46km², 인구는 2017년 기준 33,385명이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영동선 철도와 국도, 농어촌버스가 있으며, 교육 시설로는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분천역 산타마을, 승부역 등이 있으며, 자매 도시로는 강동구, 연제구, 부천시, 퉁촨시, 셀렝게주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군 - 칠곡군
    칠곡군은 경상북도에 위치한 군으로, 낙동강을 경계로 충적평야가 발달했으며, 1640년 칠곡도호부 설치 후 여러 번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3읍 5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섬유, 전자 관련 산업이 발달하였으며, 가산산성, 칠곡호국평화기념관 등의 관광지와 경부선, 중앙고속도로를 갖추고 있다.
  • 경상북도의 군 - 의성군
    의성군은 경상북도 중부에 위치하며, 신라 시대 조문국으로 불렸고 고려 시대에 의성이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백악기 지질과 국가지질공원이 존재하고, 1914년 비안군과 용궁군 일부가 통합되었고, 대륙성 기후와 한지형 마늘 주산지, 그리고 대한민국 컬링의 중심지로 컬링훈련원이 있는 군이다.
  • 봉화군 - 석포면
    봉화군에 있는 석포면은 석포리, 대현리, 승부리 3개의 법정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석포면에 면사무소를 비롯한 주요 기관이 있고, 낙동강 상류의 대현리는 문수산의 경관이 뛰어나며, 승부리에는 오지 역으로 알려진 승부역이 위치한다.
  • 봉화군 - 봉성면
    봉성면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봉화군에 속하는 면으로, 1914년 군내면과 북면이 통폐합되어 봉성면이 되었으며, 봉성리 등 7개의 리와 영동선 거촌역, 봉성역, 봉성초등학교, 동양초등학교가 있다.
  • 1914년 폐지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914년 폐지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봉화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대한민국 경상북도 봉화군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봉화군
한글 표기봉화군
한자 표기奉化郡
로마자 표기Bonghwa-gun
종류
위치영남 지방
방언경상도
읍/면1읍 9면
봉화군 엠블럼
봉화군 깃발
면적1201 km²
인구 (2024년 9월 기준)29,082명
인구 밀도34.5 명/km²
행정 구역행정 구역
군청 소재지봉화읍 봉화로 1111 (내성리 537)
홈페이지봉화군청 홈페이지
군수박현국 (국민의힘)
국회의원임종득 (국민의힘, 영주시·영양군·봉화군)
군목춘양목
군화산목련
군조산까치
행정 구역 코드
행정 구역 분류 코드37410

2. 역사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봉화군으로 개편되었으며,[16][6]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개편되었다. 이때 안동군 내성면, 춘양면, 재산면, 소천면을 봉화군에 편입하였다.[17][7]

1914년 4월 1일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을 편입하고 9면으로 개편하였다.[18][8] 이때, 봉화군에 편입된 면은 춘양면, 법전면, 명호면, 소천면, 재산면, 상운면, 봉성면, 물야면, 내성면이다.

1916년 군청을 춘양면에서 내성면 (현 봉화읍)으로 이전하였다.

2. 1. 고대

봉화군은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봉화군으로 개편되었다가,[16]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개편되었다.[17] 이때 안동군 내성면, 춘양면, 재산면, 소천면을 봉화군에 편입하였다.[17] 1914년 4월 1일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을 편입하고 9면으로 개편하였다.[18] 9면은 춘양면, 법전면, 명호면, 소천면, 재산면, 상운면, 봉성면, 물야면, 내성면이다.

1916년 군청을 춘양면에서 내성면 (현 봉화읍)으로 이전하였다. 1956년 7월 8일 내성면을 봉화면으로 개칭하였고,[19] 1963년 1월 1일 춘양면 일부를 강원도 영월군 상동면에 편입하였다.[20] 1963년 3월 소천면 석포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73년 7월 1일 법전면 소로리를 춘양면으로, 상운면 일부를 영주군 이산면으로 편입하였다. 1979년 5월 1일 봉화면을 봉화읍으로 승격하였다.[21]

2. 2. 조선시대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봉화군으로 개편되었으며,[16][6]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개편되었다. 이때 안동군 내성면, 춘양면, 재산면, 소천면을 봉화군에 편입하였다.[17][7]

1914년 4월 1일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을 편입하고 9면으로 개편하였다.[18][8] 이때, 봉화군에 편입된 면은 춘양면, 법전면, 명호면, 소천면, 재산면, 상운면, 봉성면, 물야면, 내성면이다.

1916년 군청을 춘양면에서 내성면 (현 봉화읍)으로 이전하였다.

2. 3. 일제강점기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봉화군으로 개편하였다.[16]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개편하면서 안동군 내성면, 춘양면, 재산면, 소천면을 봉화군에 편입하였다.[17] 1914년 4월 1일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을 편입하고 9면으로 개편하였다.[18] 당시 봉화군에 편입된 면은 춘양면, 법전면, 명호면, 소천면, 재산면, 상운면, 봉성면, 물야면, 내성면이다.

1916년 군청을 춘양면에서 내성면(현 봉화읍)으로 이전하였다. 1956년 7월 8일 내성면을 봉화면으로 개칭하였다.[19] 1963년 1월 1일 춘양면 일부를 강원도 영월군 상동면에 편입하였다.[20] 1963년 3월 소천면 석포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73년 7월 1일 법전면 소로리를 춘양면으로, 상운면 일부를 영주군 이산면으로 편입하였다.

2. 4. 대한민국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안동부 봉화군으로 개편되었고,[16]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봉화군으로 개편되면서 안동군 내성면, 춘양면, 재산면, 소천면을 편입하였다.[17] 1914년 4월 1일 순흥군 화천면, 수민단면, 수식면을 편입하고 9면으로 개편하였다.[18] 1916년 군청을 춘양면에서 내성면(현 봉화읍)으로 이전하였다.

1956년 7월 8일 내성면을 봉화면으로 개칭하였고,[19] 1963년 1월 1일 춘양면 일부를 강원도 영월군 상동면에 편입하였다.[20] 1963년 3월 소천면 석포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73년 7월 1일 법전면 소로리를 춘양면으로, 상운면 일부를 영주군 이산면으로 편입하였다.

1979년 5월 1일 봉화면을 봉화읍으로 승격하였다.[21] 1983년 2월 15일 명호면 신라리를 상운면으로 편입하고, 석포출장소를 석포면으로 승격하였다. 1991년 1월 1일 봉성면 원둔리를 봉양리로 개칭하였고, 2002년 11월 6일 봉화읍 포저리를 내성리로 개칭하였다. 2004년 1월 12일 군 청사를 봉화읍 내성리 285번지에서 내성리 537번지(봉화읍 봉화로 1111)로 이전하였다.

3. 지리

3. 1. 지형

3. 2. 기후

봉화군은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이 오는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 기후(쾨펜: Dwa)의 영향을 받는다.[22][23] 1988년 기상관측소(공식 무인) 설치 이후 단 한 번도 열대야를 기록한 적이 없다.[22][23]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3.05.911.218.123.326.628.028.624.519.512.15.117.2
평균 기온 (℃)-4.0-1.63.79.915.519.622.822.917.811.14.2-2.110.0
평균 최저 기온 (℃)-10.6-8.4-3.21.97.713.418.518.512.44.4-2.2-8.33.7
역대 최고 기온 (℃)13.219.525.231.233.034.636.637.833.827.824.416.237.8
역대 최저 기온 (℃)-25.0-27.7-16.2-9.1-1.01.28.27.51.9-7.3-14.6-21.4-27.7
강수량 (mm)16.525.946.680.7101.5143.2277.7246.8135.148.133.220.31175.6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5.25.17.68.08.710.315.414.59.25.56.65.4101.5
평균 상대 습도 (%)63.862.062.059.965.271.079.779.978.074.770.966.469.5
일조 시간187.3183.8203.5215.4234.5196.0145.1155.8152.8176.9164.2182.52197.8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봉화군의 연평균 기온은 10.0℃, 연평균 최고 기온은 17.2℃, 연평균 최저 기온은 3.7℃이다. 연 강수량은 1175.6mm이며, 연평균 상대 습도는 69.5%이다. 역대 최고 기온은 1988년 8월 4일에 기록된 37.8℃이며, 역대 최저 기온은 2013년 2월 3일에 기록된 -27.7℃이다.[12][13][2][3][4]

4. 지질

경상 분지 북동부 영양군, 울진군, 안동시봉화군의 지질


영남 육괴의 북동부에 위치한 봉화군은 전체적으로 현동역과 도래기재를 잇는 선을 경계로 그 북동쪽에는 선캄브리아기의 암석이, 남동쪽에는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이 분포한다.[24]

4. 1. 개요

4. 2. 선캄브리아기 편마암류

봉화군 내 선캄브리아기의 주요 암석은 원남층군과 율리층군 그리고 분천 화강편마암이다.

4. 3. 고생대

봉화군 남부 장군봉 주변에는 고생대 조선 누층군의 지층인 장산 규암층과 재산층이 소규모 분포한다. 장산 규암층은 원래 태백시-삼척시 지역에 분포하는 두위봉형 조선 누층군의 지층이다. 재산층은 평안 누층군에 대비된다.

4. 4. 중생대 화강암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은 대부분 봉화군 남서부인 춘양면, 법전면, 물야면 일대에 넓게 분포한다.

4. 5. 중생대 퇴적암

중생대에 형성된 퇴적암 경상 누층군은 청량산과 일월산 사이 지역인 재산면명호면 남부에 분포한다. 청량산은 경상 누층군 청량산층으로 구성되며 재산면 지역에는 선경상계 퇴적층인 묘곡층이 분포한다.

4. 6. 지하자원과 광물

봉화군은 한국의 지질 구조상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영남 지괴의 북동부에 위치한다. 이 지역은 주로 화강암과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광물이 발견된다.

5. 행정 구역

봉화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화군의 면적은 1,201.46 km2이며, 인구는 2017년 7월 1일 기준으로 16,552세대 33,385명이고 그 중 31.7%가 봉화읍에 거주한다.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행정지도
봉화읍奉化邑4,72210,59674.32
450px
물야면物野面1,6943,359109.27
봉성면鳳城面1,1052,25566.69
법전면法田面1,1382,17570.21
춘양면春陽面2,3654,588167.30
소천면小川面1,3252,336264.44
석포면石浦面1,0702,213150.16
재산면才山面9041,663126.05
명호면明湖面1,2222,333114.49
상운면祥雲面1,0071,86758.53



읍과 면은 더 작은 여러 개의 리(里)로 세분된다.

5. 1. 개요

5. 2. 읍/면 목록

봉화군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총 10개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201.46 km2이며, 인구는 2017년 7월 1일 기준으로 16,552세대 33,385명이다. 인구의 31.7%가 봉화읍에 거주한다.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행정지도
봉화읍奉化邑4,72210,59674.32|450px]]
물야면物野面1,6943,359109.27
봉성면鳳城面1,1052,25566.69
법전면法田面1,1382,17570.21
춘양면春陽面2,3654,588167.30
소천면小川面1,3252,336264.44
석포면石浦面1,0702,213150.16
재산면才山面9041,663126.05
명호면明湖面1,2222,333114.49
상운면祥雲面1,0071,86758.53



봉화군의 행정 구역


각 읍/면은 여러 개의 리(里)로 세분된다.

읍·면법정리
봉화읍내성리, 삼계리, 유곡리, 거촌리, 석평리, 해저리, 적덕리, 화천리, 도촌리, 문단리
춘양면의양리, 학산리, 서동리, 서벽리, 석현리, 애당리, 도심리, 우구치리, 소로리
법전면법전리, 풍정리, 척곡리, 소천리, 소지리, 어지리, 눌산리
명호면도천리, 삼동리, 양곡리, 고감리, 고계리, 북곡리, 풍호리, 관장리
소천면현동리, 고선리, 남회룡리, 임기리, 두음리, 서천리, 분천리
석포면석포리, 대현리, 승부리
재산면현동리, 남면리, 동면리, 갈산리, 상리
상운면가곡리, 운계리, 문촌리, 하눌리, 토일리, 구천리, 설매리, 신라리
봉성면봉성리, 봉양리, 외삼리, 창평리, 동양리, 금봉리, 우곡리
물야면오록리, 오전리, 가평리, 개단리, 압동리, 두문리, 수식리, 북지리


6. 인구

봉화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25]

연도총인구
1960년106,861명
1966년119,644명
1970년115,038명
1975년114,606명
1980년97,513명
1985년78,557명
1990년58,168명
1995년42,968명
2000년38,238명
2005년32,413명
2010년31,242명
2013년33,894명
2017년33,358명


7. 교통

7. 1. 철도

한국철도공사 영동선이 봉화군 관내를 통과하며, 봉화역, 춘양역, 석포역 등 8개 정거장에서 여객 영업을 하고 있다. 강릉, 안동, 부산(부전역), 대구(동대구역)로 가는 많은 열차가 운행되는 철도의 요충지이다.

영동선은 문단역, 봉화역, 거촌역, 봉성역, 법전역, 춘양역, 녹동역, 임기역, 현동역, 분천역, 비동역, 양원역, 승부역, 석포역을 지난다.

7. 2. 도로

국도 제36호선이 동서로 봉화를 관통한다. 남북으로는 국도 제31호선국도 제35호선이 지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88호선도 있다.

7. 3. 버스

봉화군에서는 2024년부터 농어촌버스가 전면 무료화되었다.[26] 관내 농어촌버스는 봉화여객이 운행하며, 영주시, 안동시, 영양군 지역의 일부 노선도 봉화군을 경유한다.[27] 봉화시외버스터미널춘양버스터미널이 있다.

7. 4. 항공

봉화군에는 공항이 없다.[28] 2004년까지는 인근의 예천공항을 통해 김포제주로 갈 수 있었으나, 현재는 예천공항이 폐쇄된 상태이다.[28] 국내선 및 중국, 동남아시아행 항공편을 이용하려면 가장 가까운 대구국제공항을 이용해야 하고, 장거리 국제선을 이용하려면 인천국제공항으로 가야 한다.

8. 교육

봉화고등학교, 소천고등학교,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경북인터넷고등학교가 있다. 봉화중학교, 청량중학교, 소천중학교, 물야중학교, 석포중학교, 춘양중학교가 있다. 춘양중학교 서벽분교는 춘양중학교의 분교이다. 봉화군에는 봉화초등학교, 도촌초등학교, 내성초등학교, 물야초등학교(물야초등학교 수식분교, 물야초등학교 북지분교, 물야초등학교 개단분교, 물야초등학교 오전분교, 물야초등학교 두문분교)가 있다. 또한, 봉성초등학교, 동양초등학교, 법전중앙초등학교, 춘양초등학교, 서벽초등학교, 소천초등학교(소천초등학교 임기분교, 소천초등학교 두음분교, 소천초등학교 분천분교, 소천초등학교 남회룡분교)가 있다. 석포초등학교, 재산초등학교, 명호초등학교, 상운초등학교도 봉화군에 위치한다.

8. 1. 초등학교

봉화군에는 봉화초등학교, 도촌초등학교, 내성초등학교, 물야초등학교(물야초등학교 수식분교, 물야초등학교 북지분교, 물야초등학교 개단분교, 물야초등학교 오전분교, 물야초등학교 두문분교)가 있다. 또한, 봉성초등학교, 동양초등학교, 법전중앙초등학교, 춘양초등학교, 서벽초등학교, 소천초등학교(소천초등학교 임기분교, 소천초등학교 두음분교, 소천초등학교 분천분교, 소천초등학교 남회룡분교)가 있다. 석포초등학교, 재산초등학교, 명호초등학교, 상운초등학교도 봉화군에 위치한다.

8. 2. 중학교

봉화중학교, 청량중학교, 소천중학교, 물야중학교, 석포중학교, 춘양중학교가 있다. 춘양중학교 서벽분교는 춘양중학교의 분교이다.

8. 3. 고등학교

봉화고등학교, 소천고등학교,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경북인터넷고등학교가 있다.

9. 문화·관광

분천역 산타마을, 승부역[29], 두동마을(띠띠미마을)[30]이 있다. 고선계곡, 매호유원지, 반야계곡, 백천계곡, 사미정계곡, 석천계곡, 우구치계곡, 참새골, 석문동계곡 등이 있다.

봉화군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 시설이 있다.


  • 분천역 산타마을
  • 승부역[29]
  • 두동마을(띠띠미마을)[30]
  • 고선계곡
  • 매호유원지
  • 반야계곡
  • 백천계곡
  • 사미정계곡
  • 석천계곡
  • 우구치계곡
  • 참새골
  • 석문동계곡

9. 1. 관광지

분천역 산타마을, 승부역[29], 두동마을(띠띠미마을)[30]이 있다. 고선계곡, 매호유원지, 반야계곡, 백천계곡, 사미정계곡, 석천계곡, 우구치계곡, 참새골, 석문동계곡 등이 있다.

9. 2. 문화 시설

봉화군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 시설이 있다.

  • 분천역 산타마을
  • 승부역[29]
  • 두동마을(띠띠미마을)[30]
  • 고선계곡
  • 매호유원지
  • 반야계곡
  • 백천계곡
  • 사미정계곡
  • 석천계곡
  • 우구치계곡
  • 참새골
  • 석문동계곡

10. 정치

10. 1. 봉화군수

봉화군수는 봉화군을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직위이다. 봉화군수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10. 2. 국회의원

11. 자매 도시



봉화군은 대한민국 내에서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부산광역시 연제구, 경기도 부천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국외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퉁촨시와 몽골 셀렝게주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2. 출신 인물


  • 김재창 - 제10대 연합지구 사령관
  • 정문흠 - 제2-4대 국회의원
  • 김기덕 - 영화 감독
  • 이성민 -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6] 문서 勅令第98号 地方制度改正件
[7] 문서 勅令第36号 地方制度官制改正件(1896年8月4日) 1896-08-04
[8] 문서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9] 문서 法律第393号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6-07-08
[10] 문서 法律第1172号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11] 문서 大統領令第9409号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2]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봉화(271)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03-25
[1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봉화(271)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10-02
[1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6] 문서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7] 문서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1896-08-04
[18]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9] 문서 법률 제393호 읍·면설치와행정구역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56-07-08
[20] 문서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21] 문서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2]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봉화(27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3]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봉화(27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4]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5] 문서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26] 뉴스 봉화군도 시내버스도 무료.."전국 3번째" https://www.phmbc.co[...] 포항MBC 2024-01-02
[27] 뉴스 버스시간표 https://bonghwa.go.k[...] 2024-05-23
[28] 뉴스 예천공항 개항 15년 만에 폐쇄 https://news.naver.c[...]
[29] 뉴스 (경북) 마음도 쉬었다 오는 곳, 봉화 승부역 ① http://myfriday.join[...] Friday 2005-06-29
[30] 뉴스 띠띠미 마을 산수유 활짝 http://www.yjinews.c[...] 영주시민신문 2015-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