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는 대한민국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로, 만 18세 이상의 국민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부여된다. 국회의원 선거는 4년마다 실시되며, 소선거구제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기반으로 한다. 2001년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1인 2표제가 도입되었고, 2016년 기준 지역구 253명, 비례대표 47명으로 구성되었다. 선거구는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정하며, 후보자는 정당 추천 또는 선거권자의 추천을 받아 등록할 수 있다. 역대 국회의원 선거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총 22번 치러졌으며, 선거 방식, 의원 정수, 임기 등에서 변화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는 국회의원 궐원 시 해당 지역구 유권자들이 새로운 대표를 뽑는 선거로, 정치 지형과 민심을 반영하며 정당 간 세력 다툼, 지역주의, 선거 부정 등의 양상을 보인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선거에 관한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는 2012년 4월 11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이 152석을 얻어 과반 의석을 확보했고, 야권연대, 선거구 조정, 투표율 54.3% 등의 특징을 보였다.
  • 대한민국 배경이 적용된 - 수력 발전
    수력 발전은 물의 위치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수차와 발전기를 통해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며, 다양한 운용 방식이 존재하나 댐 건설로 인한 환경 문제 등의 과제도 안고 있는 탄소 중립 시대의 중요한 신재생 에너지원이다.
  • 대한민국 배경이 적용된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개요
유형총선
관할대한민국 국회
투표권만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피선거권만 25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선거 방식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
상세 정보
선출 대상국회의원
선출 정수300명 (지역구 253명, 비례대표 47명)
임기4년
투표 방식1인 2표제
선거권 연령만 18세 이상
피선거권 연령만 25세 이상
선거 제도병립형 비례대표제
역사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1948년 5월 10일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선거1948년 5월 31일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1950년 5월 30일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1954년 5월 20일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1958년 5월 2일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1960년 7월 29일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1963년 11월 26일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1967년 6월 8일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1971년 5월 25일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1973년 2월 27일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1978년 12월 12일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1981년 3월 25일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1985년 2월 12일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4월 26일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1992년 3월 24일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996년 4월 11일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2000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2004년 4월 15일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2008년 4월 9일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2012년 4월 11일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16년 4월 13일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020년 4월 15일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2024년 4월 10일
관련 법규
관련 법률공직선거법
관할 기관중앙선거관리위원회
기타
최근 선거2024년 4월 10일

2. 선거 제도

1988년 3월 선거법 공포 이후, 국회의원은 4년마다 소선거구제와 전국 단위 비례대표제를 혼합한 병립제를 통해 선출되어 왔다.[1]

2001년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혼합형 비례대표제에서 '정당' 의석 배분이 민주적 의사를 왜곡하고, 정당 과점 및 신생 정당의 국회 진입을 저해한다고 판결하여, 국회에 선거 제도 개혁을 요구했다. 그 결과, 2004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부터 1인 2표제가 도입되었다.[2]

2016년 기준으로 국회의원 300석 중 253석은 지역구, 47석은 비례대표로 선출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는 5년 단임제로, 국회의원 선거와 주기가 달라 소수 정부 및 입법 교착 상태를 야기하기도 한다.[3]

2. 1. 선거권과 피선거권

선거권피선거권은 만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에게 부여된다.

2. 2. 선거 방식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소선거구제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있다.[1] 1988년 3월 선거법 개정 이후, 국회의원은 4년 임기로 병립제를 통해 선출된다. 병립제는 지역구 의원을 소선거구제로, 비례대표 의원을 전국 단위 비례대표제로 선출하는 방식이다.[1]

2001년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혼합형 비례대표제에서 '정당' 의석 배분이 민주적 의사를 왜곡하고, 정당 과점 및 신생 정당의 국회 진입을 저해한다고 판결했다. 이에 헌법재판소는 국회에 선거 제도 개혁을 요구했고, 2004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부터 1인 2표제가 도입되었다.[2]

2016년 기준으로 국회의원 300석 중 253석은 지역구, 47석은 비례대표로 선출되었다. 한편,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는 5년 단임제로, 국회의원 선거와 주기가 달라 소수 정부 및 입법 교착 상태를 야기하기도 한다.[3]

2. 2. 1. 선거구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지역구 선거구를 정하는데, 인구 상한과 하한을 두어 조정하나, 일부 선거구는 인구 하한선에 미달하거나, 인구 상한선을 초과한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공직선거법에 규정되어 있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구 획정에서는 지역구 254개 선거구가 획정되었으며, 비례대표는 46석이었다. 지역별 의원 정수는 아래의 표와 같다.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의원 정수
시도정수변동
서울48−1254
부산18
대구12
인천14+1
광주8
대전7
울산6
세종2
경기60+1
강원8
충북8
충남11
전북10
전남10
경북13
경남16
제주3
비례대표46−146
합계300300


2. 3. 후보자 등록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 후보자가 되려면 정당의 당원으로서 소속 정당의 추천을 받거나, 300명에서 500명 사이의 선거권자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2. 3. 1. 기탁금 반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에서 후보자가 당선되거나 사망한 경우, 또는 유효투표 총수의 15% 이상을 득표한 경우에는 기탁금 전액을 반환받는다.[1] 유효투표 총수의 10% 이상 15% 미만을 득표한 경우에는 기탁금의 절반을 반환받는다.[1]

단,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에는 해당 후보자 명부에 올라 있는 후보자 중 당선자가 있으면 기탁금 전액을 반환받는다.[1]

2. 4. 기호 결정

후보자등록마감일 현재 국회에 의석을 보유한 정당은 의석을 많이 보유한 순서대로 기호를 부여받는다. 의석이 없는 정당은 정당 명칭의 가나다 순으로, 무소속 후보는 후보자 성명의 가나다 순으로 기호를 결정한다.

다만, 다음의 요건 중 하나를 충족하는 정당은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호를 부여받는다.

  • 국회에 5인 이상의 소속 지역구 국회의원을 가진 정당
  • 직전 대통령 선거,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또는 비례대표 지방의회 의원 선거에서 전국 유효 투표 총수의 3% 이상을 득표하고 국회에 의석을 보유한 정당

2. 5. 당선자 결정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유효투표의 다수를 얻은 자가 당선된다. 단, 최고 득표자가 2인 이상인 때에는 연장자순으로 당선자를 결정한다. 투표 마감 시각 전까지 후보자가 1인이 될 경우 그 후보자를 당선자로 결정한다.[1] 이 방법으로 지역구 의원 254명이 선출된다.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비례대표 의원 46명이 선출된다.[1]

2001년, 헌법재판소는 혼합형 비례대표제 하에서 '정당' 의원의 의석 배분이 민주적 의지를 왜곡한다는 이유로 위헌 판결을 내렸다. 당시 선거 제도는 '정당의 과점을 영속화하고 새로운 정당의 국회 진출을 저해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 결과, 헌법재판소는 국회에 선거 제도 개혁을 요구하였고, 2004년 2004년부터 유권자 1인 2표제를 도입하도록 명령했다.[2]

2016년 기준으로 253명의 의원이 지역구를 대표하고, 47명의 의원이 비례대표 명부(PR lists)를 통해 선출되었다.[3]

3. 선거 절차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3. 1. 선거일 및 선거 기간

후보자 등록 마감일 다음 날부터 선거일까지의 선거 기간은 14일이며[7], 국회의원 임기 만료일 전 50일부터 첫 번째로 돌아오는 수요일(4월 둘째 주 수요일)에 선거를 시행한다. 선거일이 국민 생활과 관련이 있는 민속절 또는 공휴일이거나, 선거일 전날이나 그 다음 날이 공휴일인 때에는 그 다음 주 수요일로 한다.[8]

선거법에서 정한 선거 운동 기간은 14일로 짧다. "미국, 일본, 한국, 대만의 인터넷 선거운동"이라는 책에 따르면,[4] 한국의 선거 운동 기간은 (대통령 선거의 경우 23일, 대통령 선거 및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 14일)[5] 의도적으로 짧게 설정되었는데, 그 이유는 "장기간의 선거 운동으로 인한 과도한 선거 자금 사용과 과열된 선거의 부정적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이지만, 반면 "유명하지 않은 신규 후보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단점이 있다.

3. 2. 선거 운동

대한민국 선거법에 따르면 선거운동 기간은 14일로 짧게 규정되어 있다. "미국, 일본, 한국, 대만의 인터넷 선거운동"이라는 책에서는,[4] 한국의 선거운동 기간이 의도적으로 짧게 설정되었다고 설명한다. 대통령 선거는 23일, 대통령 선거 및 국회의원 선거는 14일이다.[5] 이는 "장기간의 선거운동으로 인한 과도한 선거 자금 사용과 과열된 선거의 부정적 영향을 방지하기 위함"이지만, "유명하지 않은 신규 후보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한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는 1948년 제헌 국회 구성을 위한 첫 선거 이후 2024년 제22대 선거까지 총 22번 치러졌다. 각 선거는 시대적 상황과 정치 지형에 따라 의원 정수, 선출 방식, 임기 등에서 변화를 겪었다.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수선거일선거 기간의원 정수선출 방식임기법정 임기
전체세부
1대1948. 5. 10.42200지역구 200소선거구제1948. 5. 31.~1950. 5. 30.2년
2대1950. 5. 30.49210지역구 210소선거구제1950. 5. 31.~1954. 5. 30.4년
3대1954. 5. 20.44203지역구 203소선거구제1954. 5. 31.~1958. 5. 30.4년
4대1958. 5. 2.33233지역구 233소선거구제1958. 5. 31.~1960. 7. 28.4년
5대1960. 7. 29.33233지역구 233소선거구제1960. 7. 29.~1961. 5. 16.민의원 4년
58지역구 58대선거구제(선거구 10) 6년
6대1963. 11. 26.32175지역구 131, 전국구 44소선거구제, 1당우선 비례대표제1963. 12. 17.~1967. 6. 30.4년
7대1967. 6. 8.32175지역구 131, 전국구 44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1967. 7. 1.~1971. 6. 30.4년
8대1971. 5. 25.25204지역구 153, 전국구 51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1971. 7. 1.~1972. 10. 17.4년
9대1973. 2. 27.19219지역구 146, 통일주체국민회의 73중선거구제(선거구 77)1973. 3. 12.~1979. 3. 11.6년
10대1978. 12. 12.19231지역구 154, 통일주체국민회의 77중선거구제(선거구 77)1979. 3. 12.~1980. 10. 27.6년
11대1981. 3. 25.21276지역구 184, 전국구 92중선거구제(선거구 92), 1당우선 의석비례제1981. 4. 11.~1985. 4. 10.4년
12대1985. 2. 12.21276지역구 184, 전국구 92중선거구제(선거구 92), 1당우선 의석비례제1985. 4. 11.~1988. 5. 29.4년
13대1988. 4. 26.19299지역구 224, 전국구 75소선거구제, 1당우선 의석비례제1988. 5. 30.~1992. 5. 29.4년
14대1992. 3. 24.18299지역구 237, 전국구 62소선거구제, 의석비례제1992. 5. 30.~1996. 5. 29.4년
15대1996. 4. 11.17299지역구 253, 전국구 46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1996. 5. 30.~2000. 5. 29.4년
16대2000. 4. 13.17273지역구 227, 비례대표 46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2000. 5. 30.~2004. 5. 29.4년
17대2004. 4. 15.14299지역구 243, 비례대표 56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2004. 5. 30.~2008. 5. 29.4년
18대2008. 4. 9.14299지역구 245, 비례대표 54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2008. 5. 30.~2012. 5. 29.4년
19대2012. 4. 11.14300지역구 246, 비례대표 54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2012. 5. 30.~2016. 5. 29.4년
20대2016. 4. 13.14300지역구 253, 비례대표 47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2016. 5. 30.~2020. 5. 29.4년
21대2020. 4. 8.14300지역구 253, 비례대표 47소선거구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2020. 5. 30.~2024. 5. 29.4년
22대2024. 4. 10.14300지역구 254, 비례대표 46소선거구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2024. 5. 30.~2028. 5. 29.4년



역대 주요 정당별 의석 구성 및 득표율은 다음과 같다.

#년도제1당의석 구성득표율정당 (의석순)
141992년민주자유당
151996년신한국당
162000년한나라당
172004년열린우리당
182008년한나라당
192012년새누리당
202016년더불어민주당
212020년더불어민주당/열린민주당



4. 1.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요약)

대수선거일전체 의원 정수세부선출 방식임기법정 임기
1대1948. 5. 10.200지역구 200소선거구제1948. 5. 31.~1950. 5. 30.2년
2대1950. 5. 30.210지역구 210소선거구제1950. 5. 31.~1954. 5. 30.4년
3대1954. 5. 20.203지역구 203소선거구제1954. 5. 31.~1958. 5. 30.4년
4대1958. 5. 2.233지역구 233소선거구제1958. 5. 31.~1960. 7. 28.4년
5대1960. 7. 29.233지역구 233소선거구제1960. 7. 29.~1961. 5. 16.민의원 4년
58지역구 58대선거구제(선거구 10) 6년
6대1963. 11. 26.175지역구 131, 전국구 44소선거구제, 1당우선 비례대표제1963. 12. 17.~1967. 6. 30.4년
7대1967. 6. 8.175지역구 131, 전국구 44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1967. 7. 1.~1971. 6. 30.4년
8대1971. 5. 25.204지역구 153, 전국구 51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1971. 7. 1.~1972. 10. 17.4년
9대1973. 2. 27.219지역구 146, 통일주체국민회의 73중선거구제(선거구 77)1973. 3. 12.~1979. 3. 11.6년
10대1978. 12. 12.231지역구 154, 통일주체국민회의 77중선거구제(선거구 77)1979. 3. 12.~1980. 10. 27.6년
11대1981. 3. 25.276지역구 184, 전국구 92중선거구제(선거구 92), 1당우선 의석비례제1981. 4. 11.~1985. 4. 10.4년
12대1985. 2. 12.276지역구 184, 전국구 92중선거구제(선거구 92), 1당우선 의석비례제1985. 4. 11.~1988. 5. 29.4년
13대1988. 4. 26.299지역구 224, 전국구 75소선거구제, 1당우선 의석비례제1988. 5. 30.~1992. 5. 29.4년
14대1992. 3. 24.299지역구 237, 전국구 62소선거구제, 의석비례제1992. 5. 30.~1996. 5. 29.4년
15대1996. 4. 11.299지역구 253, 전국구 46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1996. 5. 30.~2000. 5. 29.4년
16대2000. 4. 13.273지역구 227, 비례대표 46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2000. 5. 30.~2004. 5. 29.4년
17대2004. 4. 15.299지역구 243, 비례대표 56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2004. 5. 30.~2008. 5. 29.4년
18대2008. 4. 9.299지역구 245, 비례대표 54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2008. 5. 30.~2012. 5. 29.4년
19대2012. 4. 11.300지역구 246, 비례대표 54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2012. 5. 30.~2016. 5. 29.4년
20대2016. 4. 13.300지역구 253, 비례대표 47소선거구제, 비례대표제2016. 5. 30.~2020. 5. 29.4년
21대2020. 4. 8.300지역구 253, 비례대표 47소선거구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2020. 5. 30.~2024. 5. 29.4년
22대2024. 4. 10.300지역구 254, 비례대표 46소선거구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2024. 5. 30.~2028. 5. 29.4년



#년도제1당의석 구성득표율
141992년민주자유당|
151996년신한국당|
162000년한나라당|
172004년열린우리당|
182008년한나라당|
192012년새누리당|
202016년더불어민주당|
212020년더불어민주당/열린민주당|
222024년더불어민주당/더불어민주당|


참조

[1] 서적 Electoral Politics of South Korea Friedrich Ebert Foundation
[2] 서적 Courts and Democracies in Asia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3-10
[3] 서적
[4] 서적 Internet Election Campaigns in the United States, Japan, South Korea, and Taiwan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10-17
[5] 서적 Internet Election Campaigns in the United States, Japan, South Korea, and Taiwan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10-17
[6] 법률 대한민국 헌법 제41조
[7] 법률 공직선거법 제33조
[8] 법률 공직선거법 제34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