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브릿지 (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 브릿지는 개발도상국과의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사회적 금융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비영리 민간단체로, 현지 기업가 교육 및 발굴, 크라우드 펀딩, 임팩트 기부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2013년 설립 이후, 국내외 대학과 협력하여 개발도상국 현지 자립 및 창업 교육을 진행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모금된 기부금을 현지 기업에 전달하여 자립을 지원한다. 2017년에는 UN DPI 정식 협력 단체로 지정되었으며, 사회적 기업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적 기업 - Ecosia
Ecosia는 검색 광고 수익의 80%를 나무 심기 프로젝트에 기부하는 친환경 검색 엔진으로, 사용자 개인 정보 보호를 중시하며 AI 챗봇 출시 및 지속 가능한 소비를 위한 투자 활동 등을 통해 사회적, 환경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 사회적 기업 - 마리몬드
마리몬드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존엄성 회복을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으로, 할머니들이 만든 압화 디자인을 활용한 제품 판매 수익금의 일부를 기부하며 사회공헌 활동을 하지만, 2018년 대표 부친의 성추행 논란으로 불매 운동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비영리 단체 - 대한적십자사
대한적십자사는 1905년 대한제국 칙령으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지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으로 재건, 1949년 재조직되었으며, 재난구호, 혈액사업, 사회봉사, 국제협력, 남북 적십자 회담 등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인도주의 단체이다. - 대한민국의 비영리 단체 - 반크
반크는 1999년 박기태 단장이 설립한 대한민국의 민간 외교 단체로, 초기 사이버 펜팔을 통해 한국을 알리는 활동을 시작하여 일본 역사 왜곡 대응, 독도 및 동해 관련 국제 홍보, 한국 관련 오류 수정 및 자료 제작·배포 등의 활동을 전개하며 긍정적 평가와 함께 논란도 존재한다. - 국제 개발 - 선진국
선진국은 경제적 번영, 높은 인간 개발 지수, 산업화 등을 기준으로 분류되지만 명확한 정의는 없으며, 대한민국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선진국으로 평가받아 2021년 UNCTAD에서 공식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되었다. - 국제 개발 - 개발도상국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을 제외한 국가로 낮은 경제 발전 수준과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소득 수준, 산업화 정도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빈곤, 열악한 인적 자원, 환경 오염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 더 브릿지 (기업) | |
|---|---|
| 기본 정보 | |
![]() | |
| 개요 | |
| 회사 명칭 | 더 브릿지 |
| 국가 | 대한민국 |
| 설립일 | 2015년 |
| 업종 | 엑셀러레이터, 임팩트 투자 |
| 본사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4길 25, 5층 |
| 웹사이트 | 더 브릿지 공식 웹사이트 |
| 상세 정보 | |
| 주요 인물 | 황세운 (대표) 김민석 (이사) 임팩트 투자팀 벤처 투자팀 |
| 주요 사업 | 임팩트 투자 벤처 투자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ESG 컨설팅 |
| 특징 |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 지원 사회적 기업 투자 ESG 경영 도입 지원 |
| 수상 경력 | 2017년 사회적 기업 육성 유공 표창 (고용노동부 장관) 2020년 대한민국 사회적 경제 대상 (국무총리 표창) |
2. 미션 및 비전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사람들이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는 사회적 금융 생태계를 조성하며, 개발도상국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지원한다. 또한, 국내외 파트너들과 함께 지속가능한 비영리 사업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1. 미션
개발도상국 사람들과의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협력과 사회적 금융 생태계를 조성한다.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사람들이 서로 존중하고 다름을 인정하며, 수평적 협력을 통해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만든다. 개발도상국 사람들이 스스로 지역 커뮤니티를 활성화 할 수 있도록 사람과 환경 중심의 소셜 비즈니스를 발굴하고 지원한다.2. 2. 비전
신뢰를 바탕으로 국내외 파트너들과 함께 영리 사업을 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비영리 사업 모델을 구축한다.3. 주요 사업
더 브릿지는 국제개발사업을 개발단체가 직접 실행하는 대신, 경제적 자립을 희망하고 자국의 문제 해결과 발전을 추구하는 현지 기업과 기업가들이 스스로 사업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이들을 교육하고 발굴하여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하며, 모금된 기부금은 수수료 없이 전액 개발도상국 기업에게 전달된다. 현지 기업가들은 사업 수익으로 더 브릿지에 기부금 원금 환급을 목표로 하며, 환급된 기부금은 다른 자립 프로젝트에 재투자되어 기부 효과를 높인다.
3. 1. 현지 기업가 교육 및 발굴
경제적 자립을 원하고 자국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며 발전을 바라는 현지 기업과 기업가들이 스스로 국제개발사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이들을 교육하고 발굴해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한다. 2017년 12월 기준으로 20여 개 국가의 110개 개발도상국 현지 파트너와 긴밀한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3. 2. 크라우드 펀딩
국제개발사업을 개발단체가 직접 실행하는 것이 아닌, 경제적 자립을 원하고 자국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며 발전을 바라는 현지 기업과 기업가들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이들을 교육하고 발굴해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한다. 2017년 12월 기준으로 20여 개 국가의 110개 개발도상국 현지 파트너와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3. 3. 임팩트 기부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모인 기부금은 운영 수수료 및 이자 없이 개발도상국 기업(가)에 100% 전달된다. 현지 기업가는 비즈니스를 통해 창출된 수익으로 더 브릿지에 기부금 원금 환급을 목표로 활동한다. 환급된 기부금은 다시 다른 자립 프로젝트에 재기부되어, 기부의 효과성을 높인다.4. 활동
더 브릿지는 국내외 여러 대학과 개발도상국 현지에서 주체적 자립 및 디자인 씽킹 교육과 창업 교육을 진행했다. 2017년까지 르완다 ICT 창업 센터 지원, 가나 여성 바구니 제작 사업 지원 등 23개의 프라우드 펀딩 자립 프로젝트를 지원했다.
4. 1. 국내 활동
이화여자대학교, 한동대학교, 한양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고려대학교, 뉴욕주립대(한국), 미국 워싱턴 대학교, 플레처 대학교 등에서 개발도상국 현지 주체적 자립 및 디자인 씽킹 교육을 진행했다. 캄보디아, 라오스, 네팔, 르완다, 우간다의 대학에서 현지 대학생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창업 교육을 진행해왔다. 2017년까지 르완다 ICT 창업 센터 지원, 가나 여성 바구니 제작 사업 지원 등 23개의 프라우드 펀딩 자립 프로젝트를 지원했다.4. 2. 해외 활동
더 브릿지(The Bridge영어)는 이화여자대학교, 한동대학교, 한양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고려대학교, 뉴욕주립대 한국캠퍼스, 미국 워싱턴 대학교, 플레처 스쿨 등에서 개발도상국 현지의 주체적 자립 및 디자인 싱킹 교육을 진행했다. 캄보디아, 라오스, 네팔, 르완다, 우간다의 대학에서 현지 대학생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창업 교육을 진행해왔다. 2017년까지 르완다 ICT 창업 센터 지원, 가나 여성 바구니 제작 사업 지원 등 23개의 프라우드 펀딩 자립 프로젝트를 지원했다.4. 3. 펀딩 프로젝트 지원
이화여자대학교, 한동대학교, 한양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고려대학교, 뉴욕주립대 한국캠퍼스, 워싱턴 대학교, 플레처 스쿨 등에서 개발도상국 현지 주체적 자립 및 디자인 싱킹 교육을 진행했다. 캄보디아, 라오스, 네팔, 르완다, 우간다의 대학에서 현지 대학생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창업 교육을 진행해왔다. 2017년까지 르완다 ICT 창업 센터 지원, 가나 여성 바구니 제작 사업 지원 등 23개의 프라우드 펀딩 자립 프로젝트를 지원했다.5. 연혁
더 브릿지 미국 법인 설립
네팔 적정과학기술 거점센터 기업가 정신(ATET)연구개발사업
탄자니아 연합대학교 학생대상 적정기술 창업기반 워크샵 수행 (유네스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