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덕녕궁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녕궁주는 고려 인종과 공예왕후의 딸로, 고려 의종 대에 궁주로 책봉되어 강양공 왕감과 혼인하였다. 1148년 언니 승경궁주와 함께 궁주로 책봉되었으며, 왕감과의 혼인은 5촌 숙질 간의 근친혼이었다. 외모가 아름답고 의종과 밤낮으로 함께 지내며 추문이 돌기도 하였다. 1192년에 사망했으며, 강양공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은 효령태자와 혼인했으나, 태자가 유배를 가면서 왕비가 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92년 사망 - 프리트비라자 3세
    프리트비라지 3세는 12세기 샤캄바리 차하마나 왕조의 왕으로, 무함마드 고리와의 타라인 전투에서 승리했으나 패배 후 처형당했으며, 그의 패배는 인도 역사에서 이슬람 세력 확장의 중요한 전환점이자 후대에 '마지막 힌두 황제'로 불리게 된 계기가 되었다.
  • 1192년 사망 - 오리오 마스트로피에로
    오리오 마스트로피에로는 베네치아의 도제로서 롬바르디아 동맹을 맺고 도제 평의회를 설립하여 정치 개혁을 추진했으며, 비잔티움 제국과 동맹을 맺었지만 헝가리와의 교전에서 패배하고 사망했다.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 무신정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무신정권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항쟁은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조직인 삼별초가 원종의 친몽 정책과 해산 명령에 반발하여 1270년 강화도에서 시작, 배중손을 중심으로 왕족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며 진도와 제주도에서 3년간 고려-원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1273년 진압되어 고려의 몽골 지배 강화와 원의 제주도 직접 통치를 가져왔으며, 민족적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되지만 무신정권의 잔재라는 비판도 있다.
덕녕궁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궁주 (궁주), 공주
별칭덕녕공주 (德寧公主)
배우자강양공 왕감
자녀효령태자
왕조고려
아버지인종
어머니공예왕후 (장흥 임씨)
친척의종(남매), 명종(남매), 신종(남매), 희종(조카), 강종(조카) 등 다수
출생일미상
출생지고려
사망지고려
사망일1192년 음력 8월 13일
매장지미상
국적고려
가계
아버지인종
어머니공예왕후 임씨
남매의종, 명종, 신종, 승경궁주, 창락궁주, 경녕궁주
배우자강양공 왕감
효령태자
생애
책봉1148년 (의종 2년) 왕의 누이들을 궁주로 책봉
사망1192년(고종 7) 8월 13일에 사망

2. 생애

의종은 친남매인 덕녕궁주를 밤낮으로 불러 함께 지내며 취할 때까지 술을 마시고 노래를 하는 등 부적절한 관계를 맺어 추문에 휩싸였다.[7] 이로 인해 문극겸이 상소를 올렸으나, 의종은 오히려 문극겸을 좌천시켰다.[7][9] 이후 덕녕궁주는 1192년(명종 22년) 음력 8월 13일에 사망하였다.[5]

2. 1. 출생과 가계

고려 인종과 공예왕후의 차녀로, 생년은 명확하지 않다. 은 왕, 본관개성이다. 의종, 명종, 신종 등은 친남매이며, 희종과 강종 등은 덕녕궁주의 조카이다.

2. 2. 궁주 책봉과 혼인

고려 인종과 공예왕후의 차녀로, 생년은 명확하지 않다. 은 왕, 본관개성이다. 의종, 명종, 신종 등은 친남매이며, 희종과 강종 등은 덕녕궁주의 조카이다.

1148년(의종 2년) 음력 11월 6일, 의종 즉위 후 언니 승경궁주와 함께 궁주로 책봉되어 '''덕녕궁주'''(德寧宮主)의 작호를 받았다[6]. 이후 숙종의 손자이자 대원공 왕효의 아들 강양공 왕감과 혼인하였다[7]. 덕녕궁주와 왕감의 혼인은 5촌 숙질간에 이루어진 근친혼이다[8].

2. 3. 의종과의 관계 및 추문

덕녕궁주는 모습이 매우 아름답고 고왔으며 행동거지가 단정했을 뿐 아니라, 말솜씨도 좋았다고 한다. 이 때문에 의종은 친남매인 덕녕궁주를 밤낮으로 궁으로 불러들여 함께 지냈으며, 덕녕궁주와 함께 취할 때까지 술을 마시고 노래를 했다고 한다.[7] 이로 인해 궁 밖에까지 소문이 퍼졌는데, 당시 좌정언이던 문극겸이 이 사실을 의종에게 상소하자 의종은 크게 화를 내며 문극겸이 올린 상소문을 불태우고 그를 황주의 판관으로 좌천시켰다.[7][9]

2. 4. 사망

명종 22년(1192년) 음력 8월 13일에 덕녕궁주가 사망하였다.[5]

3. 가족 관계

wikitext

관계이름
아버지인종
어머니공예왕후
남편강양공 왕감
시아버지(종조부)대원공 왕효
남매의종
대령후 왕경
명종
원경국사 왕충희
신종
언니승경궁주
동생창락궁주
영화궁주
조카(사위)효령태자
조카강종
희종
효령태자의 태자비


3. 1. 딸과 효령태자

덕녕궁주는 강양공 왕감과 혼인하여 딸 하나를 낳았다. 강양공은 1141년(인종 19년) 음력 8월 10일 검교사공에 올랐으며[10], 1168년(의종 22년) 음력 2월 14일 강양후[11], 이후 강양공으로 진봉되었다[7].

강양공과 덕녕궁주의 딸은 1168년(의종 22년) 음력 1월 26일 의종의 아들이자 덕녕궁주의 조카인 효령태자에게 시집가 태자비에 책봉되었다[12]. 그러나 1170년(의종 24년) 의종이 폐위되고 효령태자진도현[13]으로 유배를 가면서[14], 강양공의 딸은 왕비의 자리에 오르지 못하였다.

3. 2. 가계도

관계이름
아버지인종 (仁宗, 1109~1146, 재위: 1122~1146)
어머니공예왕후 (恭睿王后, 1109~1183)
남편강양공 왕감 (江陽公 王瑊, 생몰년 미상)
시아버지(종조부)대원공 왕효 (大原公 王侾, ?~1170)
남매의종 (毅宗, 1127~1173, 재위: 1147~1170)
대령후 왕경 (大寧侯 王暻, 1130~?)
명종 (明宗, 1131~1202, 재위: 1170~1197)
원경국사 왕충희 (元敬國師 王冲曦, ?~1183)
신종 (神宗, 1144~1204, 재위: 1197~1204)
언니승경궁주 (承慶宮主, 생몰년 미상)
동생창락궁주 (昌樂宮主, ?~1216)
영화궁주 (永和宮主, 1141~1208)
조카(사위)효령태자 (孝靈太子, 생몰년 미상)
조카강종 (康宗, 1152~1213, 재위: 1211~1213)
희종 (熙宗, 1181~1237, 재위: 1204~1211)
효령태자의 태자비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사 > 권88 > 열전 권제1 > 후비(后妃) > 인종 후비 공예태후 임씨 > 왕후 임씨를 왕태후로 책봉하다 https://db.history.g[...] 2023-03-25
[2] 웹사이트 고려사 > 권17 > 세가 권제17 > 의종(毅宗) 2년 > 11월 > 왕의 누이들을 궁주로 책봉하다 https://db.history.g[...] 2023-03-25
[3] 웹사이트 고려사 > 권18 > 세가 권제18 > 의종(毅宗) 22년 > 1월 > 왕감의 딸을 태자비로 삼다 https://db.history.g[...] 2023-03-25
[4] 웹사이트 고려사 > 권91 > 열전 권제4 > 공주(公主) > 인종 소생 공주 > 덕녕궁주 https://db.history.g[...] 2023-03-25
[5] 문서 《고려사》권20〈세가〉권20 - 명종 22년 8월 - 덕녕공주가 죽다
[6] 문서 《고려사》권17〈세가〉권17 - 의종 2년 11월 - 왕의 누이들을 궁주로 책봉하다
[7]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덕녕궁주
[8] 문서 덕녕궁주 ← 인종 ← 예종 ← 숙종 → 대원공 → 강양공
[9] 웹인용 《동사강목》제9상 - 1163년 https://web.archive.[...] 2018-11-13
[10] 문서 《고려사》권17〈세가〉권17 - 인종 19년 8월 - 왕감을 검교사공으로 삼다
[11] 문서 《고려사》권18〈세가〉권18 - 의종 22년 2월 - 왕감을 후로 승격시키다
[12] 문서 《고려사》권18〈세가〉권18 - 의종 22년 1월 - 왕감의 딸을 태자비로 삼다
[13] 네이버 지식사전 진도현 https://terms.naver.[...] 네이버
[14]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효령태자 왕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