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즈카 다카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즈카 다카코는 일본의 여자 축구 선수 및 지도자로, 1970년생이다. 선수 시절에는 요미우리 베레자에서 활약하며 L 리그 3연패에 기여했고, 1991년에는 득점왕과 MVP를 수상했다.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41경기에 출전하여 19골을 기록했으며,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에도 참가했다. 은퇴 후에는 지도자로 활동하며 U-20, U-17 일본 여자 대표팀 코치를 역임, 2011년 AFC 올해의 여자 코치상을 수상했으며,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레이디스 감독을 맡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선수 - 미셸 에이커스
미셸 에이커스는 1966년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나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FIFA 여자 월드컵 2회 우승과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고, FIFA 선정 20세기 최고의 여자 선수로 선정된 전직 축구 선수이다. -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선수 - 질비아 나이트
질비아 나이트는 독일의 전직 여자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리그 우승과 DFB-포칼 우승을, 국가대표팀에서는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3회 우승과 FIFA 여자 월드컵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은퇴 후에는 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와 감독을 역임하며 FIFA U-20 여자 월드컵, FIFA 여자 월드컵,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올림픽에서 우승을 달성하고 FIFA 올해의 여자 축구 감독상을 3회 수상했다. - 도치기현 출신 축구 선수 - 스가마타 데쓰오
스가마타 데쓰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수비수로 활약하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23경기에 출전했고, 히타치 제작소 축구부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1980년과 1982년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는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 - 도치기현 출신 축구 선수 - 요시자와 유야
요시자와 유야는 가시마 앤틀러스와 카마타마레 사누키에서 활약한 일본 축구 선수 출신으로, 은퇴 후 축구 학교 강사를 거쳐 현재는 경시청 경찰관으로 근무하고 있다. - 닛폰 TV 도쿄 베르디 벨레자의 축구 선수 - 이와시미즈 아즈사
이와시미즈 아즈사는 닛폰 TV 베레자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하여 L리그와 WE리그에서 300경기 이상 출전하고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A매치 122경기 11골을 기록하며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우승 등에 기여한, 저서도 출간한 일본의 여자 축구 선수이다. - 닛폰 TV 도쿄 베르디 벨레자의 축구 선수 - 이토 가나코
이토 가나코는 일본의 여자 축구 선수로, NTV 벨레자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닛폰 TV 벨레자 등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L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기도 했고,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13경기 3골을 기록, 2002년 FIFA U-19 여자 월드컵에 참가했으며 2003년에는 일본 여자 축구 리그 감투상을 수상했다.
데즈카 다카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데즈카 다카코 |
원어 이름 | 手塚 貴子 |
로마자 표기 | Tezuka Takako |
출생일 | 1970년 11월 6일 |
출생지 | 일본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 |
포지션 | 공격수 |
클럽 경력 | |
유스 클럽 | 해당 정보 없음 |
소속팀 | 요미우리 니폰 벨레자 (????–1992) NTV 벨레자 (1996–1999) |
출전 횟수 (NTV 벨레자) | 59 |
득점 횟수 (NTV 벨레자) | 21 |
총 출전 횟수 | 118 |
총 득점 횟수 | 83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일본 (1986–1991) |
국가대표 출전 횟수 | 41 |
국가대표 득점 횟수 | 19 |
감독 경력 | |
감독팀 | 우라와 레즈 레이디스 (2013) 블랑카 FC/도치기 SC 블랑카 (????-2010) |
수상 내역 (클럽) | |
나데시코 리그 우승 | 1990 1991 1992 |
나데시코 리그 준우승 | 1989 1997 1998 1999 |
나데시코 리그컵 우승 | 1996 1999 |
나데시코 리그컵 준우승 | 1997 |
황후배 전일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 1997 |
황후배 전일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 1991 1992 1996 |
수상 내역 (국가대표) | |
AFC 여자 아시안컵 | 준우승: 1986 중국, 1991 일본 3위: 1989 홍콩 |
아시안 게임 | 준우승: 1990 베이징 팀 |
2. 클럽 경력
초등학교 3학년 때 담임 선생님의 권유로 축구팀에 들어갔으나, 당시 팀의 유일한 여자 선수였다. 리프팅 실력이 뛰어나 1000번 이상 계속할 수 있었으며, 10세와 12세 때 전일본 주니어 볼 리프팅 대회에서 우승했다. 특히 10세 때 우승 당시 일본을 방문 중이던 펠레와 악수하기도 했다.[8] 뛰어난 리프팅 기술을 인정받아 중학교 1학년 때 요미우리 SC 벨레자에 입단했다.
일본 여자 축구 리그(당시 JLSL)가 출범한 1989년부터 요미우리 닛폰 SC 벨레자(이후 NTV 벨레자) 소속으로 활약했다. 1989년 9월 9일 열린 리그 역사상 첫 경기에서 다카쿠라 아사코의 리그 1호 골을 어시스트하는 센터링을 올렸다. 소속팀의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리그 3연패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1991 시즌에는 18경기에 출전하여 29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에 올랐고, 최다 어시스트(31 포인트)와 최우수 선수(MVP)까지 석권하는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또한 1989년부터 1992년까지 4년 연속으로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다. 천황배 전일본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팀의 4차례 우승에 기여했으며, 제10회 대회(1989년)에서는 MVP로 선정되었다.
1992 시즌을 마친 후, 취업을 이유로 22세의 나이에 현역에서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고향인 우쓰노미야시에서 소녀 축구팀을 지도했다.
그러나 1995년 제7회 일본 여자 축구 리그 후반기에 현역으로 복귀하여, 1999년 시즌까지 NTV 벨레자(당시 요미우리 세이유 벨레자, 요미우리 벨레자 등)에서 활약했다. 1999 시즌을 끝으로 다시 은퇴했다.
연도 | 클럽 | 등번호 | 리그 | 리그 출장 | 리그 득점 |
---|---|---|---|---|---|
1989 | 요미우리 SC 여자 벨레자 | 10 | JLSL | 10 | 6 |
1990 | 15 | 12 | |||
1991 | 18 | 29 | |||
1992 | 요미우리 일본 SC 여자 벨레자 | 9 | |||
1995 | 요미우리 세이유 벨레자 | 26 | L・리그 | 9 | 1 |
1996 | 9 | 18 | 5 | ||
1997 | 11 | 3 | |||
1998 | 요미우리 벨레자 | 17 | 9 | ||
1999 | NTV 벨레자 | 4 | 3 |
데즈카 다카코는 1986년 3월 7일, 15세의 나이로 중화 타이베이와의 경기에서 일본 대표팀에 데뷔했다.[10] 그녀는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까지 국제 A매치 41경기에 출전하여 19골을 기록했다.[10]
3. 국가대표 경력
3. 1.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
연도 | 출장 | 득점 |
1986 | 10 | 1 |
1987 | 4 | 0 |
1988 | 3 | 1 |
1989 | 9 | 6 |
1990 | 4 | 6 |
1991 | 11 | 5 |
합계 | 41 | 19 |
- '''주요 기록'''
- * 1986년 3월 7일: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데뷔 (vs 중화 타이베이, 국립 니시가오카 축구장)
- * 1986년 12월 18일: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첫 득점 (vs 말레이시아, 1986년 AFC 여자 아시안컵, 홍콩)
# | 개최 연월일 | 개최지 | 대결 국가 | 승패 | 경기 개요 |
---|---|---|---|---|---|
1 | 1986년 12월 18일 | 홍콩 | 말레이시아 | ○ 10-0 | 1986년 AFC 여자 아시안컵 |
2 | 1988년 6월 1일 | 광저우 | 미국 | ● 2-5 | 국제 여자 대회 |
3 | 1989년 1월 14일 | 샤먼 | 필리핀 | ○ 13-0 | 샤먼 국제 대회 |
4 | |||||
5 | |||||
6 | |||||
7 | 1989년 12월 19일 | 홍콩 | 인도네시아 | ○ 11-0 | 1989년 AFC 여자 아시안컵 |
8 | |||||
9 | 1990년 9월 6일 | 서울 | 대한민국 | ○ 13-1 | 국제 친선 경기 |
10 | ○ 13-1 | ||||
11 | ○ 13-1 | ||||
12 | ○ 13-1 | ||||
13 | ○ 13-1 | ||||
14 | 1990년 9월 9일 | 부산 | 대한민국 | ○ 5-0 | 국제 친선 경기 |
15 | 1991년 5월 28일 | 후쿠오카현 | 홍콩 | ○ 4-1 | 1991년 AFC 여자 아시안컵 |
16 | 1991년 6월 1일 | 말레이시아 | ○ 12-0 | ||
17 | |||||
18 | |||||
19 | 1991년 6월 3일 | 싱가포르 | ○ 10-0 |
3. 2. 주요 대회 참가 기록
데즈카는 1986년 3월 7일, 15세의 나이로 일본 여자 대표팀에 데뷔했으며, 상대는 중화 타이베이였다.[1] 그녀는 1986년 AFC 여자 아시안컵, 1989년 AFC 여자 아시안컵, 1991년 AFC 여자 아시안컵과 1990년 아시안 게임에 일본 대표로 참가했다.[1] 또한 1991년 FIFA 여자 월드컵에도 출전했으며, 이 대회가 그녀의 마지막 국가대표팀 경기가 되었다.[1] 그녀는 1991년까지 일본 대표팀 소속으로 총 41경기에 출전하여 19골을 기록했다.[1]일본 여자 국가대표팀 연도별 출장 및 득점 기록[2] | ||
---|---|---|
연도 | 출장 | 득점 |
1986 | 10 | 1 |
1987 | 4 | 0 |
1988 | 3 | 1 |
1989 | 9 | 6 |
1990 | 4 | 6 |
1991 | 11 | 5 |
합계 | 41 | 19 |
# | 개최일 | 개최지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점수 | 감독 | 대회 |
---|---|---|---|---|---|---|---|---|
1 | 1986년 3월 7일 | 도쿄도 | 국립 니시가오카 축구장 | 중화 타이베이 | 패 | 0-2 | 스즈키 료헤이 | 국제 친선 경기 |
2 | 1986년 7월 21일 | 예솔로 | 멕시코 | 승 | 3-0 | 이탈리아 국제 대회 | ||
3 | 1986년 7월 25일 | 예솔로 | 미국 | 패 | 1-3 | 이탈리아 국제 대회 | ||
4 | 1986년 7월 26일 | 예솔로 | 중국 | 패 | 1-2 | 이탈리아 국제 대회 | ||
5 | 1986년 9월 18일 | 도쿄도 | 국립 니시가오카 축구장 | 이탈리아 | 패 | 1-2 | SEIYU CUP | |
6 | 1986년 9월 23일 | 도쿄도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이탈리아 | 패 | 2-3 | SEIYU CUP | |
7 | 1986년 12월 14일 | 홍콩 | 중국 | 패 | 0-2 | AFC 여자 아시안컵 | ||
8 | 1986년 12월 18일 | 홍콩 | 말레이시아 | 승 | 10-0 | AFC 여자 아시안컵 | ||
9 | 1986년 12월 21일 | 홍콩 | 태국 | 승 | 4-0 | AFC 여자 아시안컵 | ||
10 | 1986년 12월 23일 | 홍콩 | 중국 | 패 | 0-2 | AFC 여자 아시안컵 | ||
11 | 1987년 8월 4일 | 타이베이 | 중화 타이베이 | 패 | 1-3 | 국제 친선 경기 | ||
12 | 1987년 8월 9일 | 가오슝 | 중화 타이베이 | 패 | 1-2 | 국제 친선 경기 | ||
13 | 1987년 12월 12일 | 타이베이 | 미국 | 패 | 0-1 | 중화배 세계 대회 | ||
14 | 1987년 12월 15일 | 가오슝 | 홍콩 | 승 | 5-0 | 중화배 세계 대회 | ||
15 | 1988년 6월 1일 | 광저우 | 미국 | 패 | 2-5 | 광저우 국제 대회 | ||
16 | 1988년 6월 3일 | 광저우 | 체코슬로바키아 | 패 | 1-2 | 광저우 국제 대회 | ||
17 | 1988년 6월 5일 | 광저우 | 스웨덴 | 패 | 0-3 | 광저우 국제 대회 | ||
18 | 1989년 1월 12일 | 샤먼 | 핀란드 | 패 | 0-1 | 샤먼 국제 대회 | ||
19 | 1989년 1월 14일 | 샤먼 | 필리핀 | 승 | 13-0 | 샤먼 국제 대회 | ||
20 | 1989년 1월 16일 | 샤먼 | 중국 | 패 | 0-4 | 샤먼 국제 대회 | ||
21 | 1989년 12월 2일 | 가나가와현 | 히라츠카 경기장 | 호주 | 무 | 2-2 | 스즈키 호 | 프리마컵 |
22 | 1989년 12월 4일 | 지바현 | 나리시노시 아키츠 축구장 | 호주 | 무 | 1-1 | 프리마컵 | |
23 | 1989년 12월 19일 | 홍콩 | 인도네시아 | 승 | 11-0 | AFC 여자 아시안컵 | ||
24 | 1989년 12월 22일 | 홍콩 | 홍콩 | 승 | 3-0 | AFC 여자 아시안컵 | ||
25 | 1989년 12월 26일 | 홍콩 | 중화 타이베이 | 패 | 0-1 | AFC 여자 아시안컵 | ||
26 | 1989년 12월 29일 | 홍콩 | 홍콩 | 승 | 9-0 | AFC 여자 아시안컵 | ||
27 | 1990년 9월 6일 | 서울 | 대한민국 | 승 | 13-1 | 국제 친선 경기 | ||
28 | 1990년 9월 9일 | 부산 | 대한민국 | 승 | 5-0 | 국제 친선 경기 | ||
29 | 1990년 9월 29일 | 베이징 | 대한민국 | 승 | 8-1 | 아시안 게임 | ||
30 | 1990년 10월 1일 | 베이징 | 홍콩 | 승 | 5-0 | 아시안 게임 | ||
31 | 1991년 4월 3일 | 바르나 | 스웨덴 | 무 | 2-2 | 바르나 국제 대회 | ||
32 | 1991년 4월 5일 | 바르나 | 헝가리 | 승 | 2-0 | 바르나 국제 대회 | ||
33 | 1991년 5월 28일 | 후쿠오카현 | 헤이와다이 육상 경기장 | 홍콩 | 승 | 4-1 | AFC 여자 아시안컵 | |
34 | 1991년 6월 1일 | 후쿠오카현 | 후쿠오카현영 카스가 공원 | 말레이시아 | 승 | 12-0 | AFC 여자 아시안컵 | |
35 | 1991년 6월 3일 | 후쿠오카현 | 헤이와다이 육상 경기장 | 싱가포르 | 승 | 10-0 | AFC 여자 아시안컵 | |
36 | 1991년 6월 6일 | 후쿠오카현 | 히가시히라오 공원 하카타노모리 육상 경기장 | 중화 타이베이 | 무 | 0-0 (PK 5-4) | AFC 여자 아시안컵 | |
37 | 1991년 6월 8일 | 후쿠오카현 | 히가시히라오 공원 하카타노모리 육상 경기장 | 중국 | 패 | 0-5 | AFC 여자 아시안컵 | |
38 | 1991년 8월 21일 | 다롄 | 중국 | 무 | 0-0 | 국제 친선 경기 | ||
39 | 1991년 11월 17일 | 포산 | 브라질 | 패 | 0-1 | FIFA 여자 월드컵 | ||
40 | 1991년 11월 19일 | 포산 | 스웨덴 | 패 | 0-8 | FIFA 여자 월드컵 | ||
41 | 1991년 11월 21일 | 포산 | 미국 | 패 | 0-3 | FIFA 여자 월드컵 |
4. 지도자 경력
선수 은퇴 후 고향인 도치기현에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여 축구 스쿨 등에서 유소년 지도를 맡았고, NPO 법인 블랑카를 결성하기도 했다. 도치기현 스포츠 진흥 심의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2004년 6월 20일에는 일본 축구 협회 특별 이사로 취임했다.
2007년 2월, 자신이 대표로 있던 블랑카 FC를 J리그 구단 토치기 SC 산하의 여자팀 "토치기 SC 블랑카"로 개편하고 2010년까지 감독직을 수행했다[4]. 이후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연령별 대표팀 코치와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레이디스 감독 등을 역임하며 지도력을 인정받기도 했으나[5][3], 건강 문제로 사임하기도 했다[6].
2018년 3월에는 일본 축구 협회 이사로 다시 선임되었고[7], 2023년 4월부터는 새로 창단되는 야이타 주오 고등학교 여자 축구부의 초대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