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생승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생승통은 고려 문종과 인예왕후의 여섯째 아들로, 순종, 선종, 숙종의 친동생이다. 이름은 왕탱, 왕규, 왕정 등으로 기록되었으며, 승통 호칭은 도생승통과 보응승통 두 가지로 불렸다. 1070년 문종의 명으로 출가하여 현화사에서 승려가 되었으며, 소현의 제자가 되어 법상종에 속했다. 법주사 주지를 거쳐 승통이 되었고, 금산사 중창에도 기여했다. 1112년 역모 혐의로 거제현으로 유배를 갔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세기 사망 - 이청조
    이청조는 송나라 시대의 여류 시인으로, 완약파 시풍을 통해 섬세한 감성을 표현했으며, 연애, 자연, 시대적 고난 등을 시에 담아 중국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2세기 사망 - 크레티앵 드 트루아
    크레티앵 드 트루아는 12세기 프랑스 작가로, 아서 왕 전설을 서사시로 정리하고 심리학적, 윤리적 고찰을 담아 12세기 궁정풍 인문주의를 대표하며 유럽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1세기 출생 - 타티키오스
    타티키오스는 11세기 후반 비잔티움 제국의 장군이자 귀족으로, 콤네누스 가문 노예 출신으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신임을 받아 메가스 프리미케리오스 직책을 맡아 군사 및 정치적으로 활약했으며, 제1차 십자군 전쟁 당시 십자군에 합류하여 활동했다.
  • 11세기 출생 - 드미타르 즈보니미르
    드미타르 즈보니미르는 1075년부터 1089년까지 크로아티아를 통치한 왕으로, 교황과의 동맹을 통해 그레고리오 개혁을 추진하고 노예제를 폐지하는 등 여러 정책을 도입했으나 의문사했으며, 그의 죽음 이후 크로아티아는 정치적 혼란에 빠졌다.
  • 고려의 승려 - 현종 (고려)
    현종은 고려 제8대 국왕으로, 왕위에 올라 거란의 침입을 극복하고 국방을 강화했으며, 중앙집권화 추진과 연등회 및 팔관회 부활 등 문화 사업에도 힘썼다.
  • 고려의 승려 - 신돈
    신돈은 고려 공민왕 시기 개혁을 추진했던 승려로, 신진사류 등용과 토지 개혁을 시도했으나 기득권 세력의 반발로 처형되었고, 현대에는 개혁 정책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도생승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직함도생승통 또는 보응승통
본명왕탱 (王竀)
다른 이름왕규 (王規), 왕정 (王靖)
아버지문종
어머니인예태후 이씨
종교불교
왕실왕씨
생애
사망일1112년경
사망 장소경상도 거제현, 고려
기타
관련 인물의천
이자겸
한안인

2. 생애

문종과 인예왕후 이씨의 여섯째 아들로, 순종, 선종, 숙종 등의 친동생이다. 이름은 왕탱(王竀)[13], 왕규(王規)[14], 왕정(王靖)[15] 등으로 나타나며, 승통 호칭 역시 '''도생승통'''(道生僧統)[16]과 '''보응승통'''(普應僧統)[14]의 2가지로 나타난다.

2. 1. 출가와 승려 생활

1070년(문종 24년) 음력 5월 13일 부왕 문종의 명으로 머리를 깎고 개경 현화사에서 승려가 되었다.[17] 외숙 소현의 법을 이어 그의 제자가 되었으며[18], 왕탱 역시 소현의 학파인 법상종에 속하였다. 이후 속리산 법주사의 주지를 지냈으며, 이때 승통이 되었다. 1084년(선종 원년)에는 복천암 극락보전을 중수하였고[19], 1095년(숙종 원년) 소현이 입적하자 금산사의 주지도 겸임하게 되면서, 금산사의 중창에 기여하였다.[15]

2. 2. 역모 혐의와 유배

1112년(예종 7년) 어떤 사람이 왕탱이 상서우승 김인석, 전주목사 이여림 등과 반역을 도모하고 있다는 고변을 올렸다. 이로 인해 그해 음력 8월 22일 거제현으로 유배되었다.[20] 왕탱을 따르던 무리들도 모두 죽거나 유배되었으며, 왕탱 역시 유배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곧 죽었다. 《고려사》〈열전〉에서는 왕탱이 재산이 많아 늘 남에게 후하게 베풀었는데, 이 때문에 개인적인 이익을 탐하는 이들이 모여들어 결국 패망하였다고 평가한다.[20]

2. 3. 평가

고려사》〈열전〉에는 왕탱이 재산이 많아 늘 남에게 후하게 베풀었는데, 이 때문에 개인적인 이익을 탐하는 이들이 모여들어 결국 패망하였다고 평하고 있다.[20] 도생승통의 역모 사건은 당시 정치적 혼란과 권력 암투 속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진보적인 관점에서는 왕권 강화와 개혁 과정에서 발생한 희생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친조부현종 (992~1031, 재위: 1009~1031)
친조모원혜왕후 (?~1022)
아버지문종 (1019~1083, 재위: 1046~1083)
외조부이자연 (1003~1061)
외조모계림국대부인 김씨 (생몰년 미상)
어머니인예왕후 (?~1092)
순종 (1047~1083, 재위: 1083)
선종 (1049~1094, 재위: 1083~1094)
조카헌종 (1084~1097, 재위: 1094~1095)
숙종 (1054~1105, 재위: 1095~1105)
조카예종 (1079~1122, 재위: 1105~1122)
대각국사 의천 (1055~1101)
상안공 왕수 (?~1095)
동생금관후 왕비 (?~1092)
동생변한후 왕음 (? ~ 1086)
동생낙랑후 왕침 (?~1083)
동생총혜수좌 왕경 (생몰년 미상)
남매적경궁주 (생몰년 미상)
남매보령궁주 (?~1113)
이모인경현비 (생몰년 미상)
이모인절현비 (생몰년 미상)
외숙이호 (생몰년 미상)
외숙이석 (생몰년 미상)
외숙이정 (생몰년 미상)
외숙혜덕왕사 소현 (1038~1096)


참조

[1] 서적 韓國女性關係資料集: 中世篇(中)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85
[2] 웹사이트 "[김준태 호적수(16) 이자겸과 한안인] 혼돈의 고려, 단칼에 이자겸 못 내친 한안인의 악수" https://jmagazine.jo[...] 2021-03-08
[3] 웹사이트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도생승통의 이름) https://www.korean.g[...]
[4] 웹사이트 고려사 > 권90 > 열전 권제3 > 종실(宗室) > 문종 소생 왕자 http://db.history.go[...]
[5] 서적 국역 "고려사".: 열전. 20-28 https://books.google[...] National Culture 2006
[6] 서적 야사 로 보는 고려 의 역사, Volume 1 https://books.google[...] Garam Planning 2005
[7] 웹사이트 의천과 도생승통의 관계는 어땠나요? https://m.kin.naver.[...] 2018-06-22
[8] 웹사이트 고려사 > 권8 > 세가 권제8 > 문종(文宗) 24년 > 5월 > 왕자 탱이 승려가 되다 http://db.history.go[...]
[9] 웹사이트 千佛千塔 이야기② 보은 법주사(法住寺) https://m.bravo.etod[...] 2018-08-31
[10] 웹사이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보은 법주사 복천암 극락보전 (報恩 法住寺 福泉庵 極樂寶殿) http://www.heritage.[...]
[11] 문서
[12] 웹사이트 고려사 > 권13 > 세가 권제13 > 예종(睿宗) 7년 > 8월 > 승통 왕탱을 거제현으로 유배보내다 http://db.history.go[...]
[13] 문서 《고려사》권8〈세가〉권8 - 왕자 탱이 승려가 되다, 《고려사》권90〈열전〉권3 - 문종 왕자 - 도생승통 왕탱
[14] 문서 《고려사》권88〈열전〉권1 - 후비 - 문종 후비 인예순덕태후 이씨
[15]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도생〉항목 http://encykorea.aks[...]
[16] 문서 《고려사》권90〈열전〉권3 - 문종 왕자 - 도생승통 왕탱
[17] 문서 《고려사》권8〈세가〉권8 - 왕자 탱이 승려가 되다
[18]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소현〉항목 http://encykorea.aks[...]
[19] 뉴스 道 유형문화재로 체계적 관리 https://news.naver.c[...] 대전일보 2009-03-08
[20] 문서 《고려사》권13〈세가〉권13 - 승통 왕탱을 거제현으로 유배보내다, 《고려사》권90〈열전〉권3 - 문종 왕자 - 도생승통 왕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