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청조는 송나라 시대의 대표적인 여류 시인으로, 이안거사라는 호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학문적 배경과 결혼을 통해 문학적 재능을 키웠으며, 특히 섬세하고 간결한 문체로 묘사되는 완약파 시인으로 유명하다. 이청조의 시는 초기에는 연애와 자연을, 후기에는 시대적 고난과 개인적 불행을 담아냈으며, 중국 문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여류 시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오늘날까지도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고 있으며, 여러 기념 시설과 문학 작품을 통해 기려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84년 출생 - 현공황후
현공황후는 북송 휘종의 황후로, 휘종의 즉위 전에 혼인하여 황후로 책봉되었고 흠종과 영덕제희를 낳았으며 25세에 사망하여 정화의 시호를 받았고 남송 고종 대에 현공으로 시호가 개칭되어 휘종 묘실에 배향되었다. - 1084년 출생 - 헌종 (고려)
헌종은 고려 제14대 왕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했으나 이자겸의 난으로 숙종에게 왕위를 물려주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왕실 내부 권력 다툼을 겪었다. - 12세기 사망 - 크레티앵 드 트루아
크레티앵 드 트루아는 12세기 프랑스 작가로, 아서 왕 전설을 서사시로 정리하고 심리학적, 윤리적 고찰을 담아 12세기 궁정풍 인문주의를 대표하며 유럽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2세기 사망 - 타티키오스
타티키오스는 11세기 후반 비잔티움 제국의 장군이자 귀족으로, 콤네누스 가문 노예 출신으로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의 신임을 받아 메가스 프리미케리오스 직책을 맡아 군사 및 정치적으로 활약했으며, 제1차 십자군 전쟁 당시 십자군에 합류하여 활동했다. - 사 - 육유
남송 시대의 시인이자 관리였던 육유는 '방옹'이라는 호를 사용하며 만 수 이상의 시를 남겼고, 특히 중원 회복을 염원하는 우국시를 통해 애국 시인으로 알려졌으며, 당완과의 비극적인 사랑과 관련된 시조 「채두봉」으로도 유명하다. - 사 - 악비
남송 시대 장군 악비는 금나라에 맞선 애국 영웅으로, 진회의 모함으로 처형되었으나 사후 충절을 인정받아 무목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만강홍이라는 시와 함께 현대 중국에서도 존경받는 인물이지만, 최근 그의 군사 행위에 대한 재평가 논의가 있다.
| 이청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본명 | 리칭자오 |
| 다른 이름 | 이안 거사 |
| 출생일 | 1084년 |
| 출생지 | 지난 시, 북송 |
| 사망일 | 1155년 |
| 사망지 | 사오싱 시, 남송 |
| 직업 | 시인, 수필가 |
| 알려진 이유 | 금석문 목록 후기 수위사 |
| 배우자 | 조명성 장여주 |
| 부모 | 이격비 (아버지) |
| 한자 표기 | 한자: 병음: Lǐ Qīngzhào 웨이드-자일스: Li Ch'ing-chao |
| 자 | 이안 거사 |
| 한자 표기 (자) | 한자: 병음: Yì'ān Jūshì |
| 작품 활동 | |
| 활동 시기 | 작가로서 활동 기간 |
| 장르 | 사 시 문 |
| 영향 | 영향 받은 작가 이름 |
| 영향을 준 작가 | 영향을 준 작가 이름 |
| 데뷔작 | 데뷔작 |
| 주요 작품 | 대표작 |
| 가족 관계 | |
| 배우자 | 조명성 |
| 파트너 | 결혼하지 않은 일 파트너 (친척 등) |
| 자녀 | 자녀의 수, 자녀 중 유명 인물이 있을 경우 이름 기록 |
| 친척 | 친척. 친척 중 유명 인물이 있을 경우 기록 |
| 기타 | |
| 서명 | 서명 |
| 각주 | 각주 또는 뒷이야기 |
2. 생애
이청조의 생애는 북송 멸망을 기점으로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뉜다. 그녀는 문학적 분위기가 짙은 가정 환경 속에서 천부적인 문학적 자질을 키웠으며, 조명성(趙明誠)과의 결혼으로 더욱 깊이 있고 수준 높은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전반기에는 주로 자연에 대한 사랑을 깔끔하고 밝게 묘사하고, 인간에 대한 정은 애틋한 정조로 그려냈다. 특히, 18세에 결혼한 조명성과의 금실 좋은 부부 생활은 이청조의 낭만적인 문학적 취향을 극대화했다. 부부는 공통 관심사였던 금석서화를 함께 연구하여 ≪금석록(金石錄)≫을 편찬하기도 했다. 그러나 원우당 사건으로 인한 이별과 만남을 거듭하며 애절한 정취를 작품에 담아내기도 했다.
1127년 북송 멸망과 1129년 남편 조명성의 죽음은 이청조의 삶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 이청조는 남송 조정의 무능함을 비판하고 사회와 사대부의 부패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기 시작했다. 정강의 변으로 인해 남편의 근무지가 금나라 군대의 공격을 받고, 수많은 장서들이 불타 없어지는 아픔을 겪기도 했다.
1132년에는 장여주(張汝舟)와 재혼했으나, 한 달여 만에 파경을 맞았다. 이후 학대를 받고 이별하는 등 고통스러운 방랑 생활을 하며 뛰어난 시가를 남겼다. 이러한 개인적, 시대적 불행은 이청조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쳐, 이전의 작풍에서 벗어나 슬픔과 비참함을 강하게 표현하게 되었다. 이후 항저우(杭州), 금화 등지를 떠돌다 홀로 생을 마감했는데, 정확한 사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대략 73세 이상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3]
2. 1. 초기 생애
이안거사(易安居士)라는 호로 알려진 이청조는 1084년 산둥성(山東省) 지난시(濟南)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격비(李格非)로 학자이자 유명한 수필가였으며, 소식(蘇軾)이 이끄는 시와 문학 모임의 일원이었다. 어머니는 유명한 시인이었으며, 왕공참(王拱辰) 재상의 후손이었다. 이청조는 이러한 학문과 예술을 애호하는 집안 분위기 속에서 방대한 서적을 접하며 폭넓은 교육을 받았고,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3] 십대 시절부터 열심히 공부해 문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쌓았으며, 친구의 시에 운을 맞추어 두 편의 시(시형)를 지으며 시인으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3][4]1101년, 18세에 태학의 학생이었던 세 살 연상의 조명성(趙明誠)과 결혼하였다. 조명성은 문학과 금석서화에 조예가 깊었고, 이청조에게 예리한 분석력과 종합적인 정리 능력을 배양시켜 주었다. 이들 부부는 금석서화를 함께 연구하여 ≪금석록(金石錄)≫을 편찬하였고, 책과 골동품을 매우 사랑하여 옷을 저당잡혀가며 마음에 드는 책 등을 구입할 정도였다고 한다.
2. 2. 결혼과 행복
18세에 당시 태학의 학생이었던 세 살 위의 조명성과 결혼하였다. 책과 골동품을 매우 사랑했던 두 사람은 옷을 저당잡혀가며 마음에 드는 책 등을 구입할 정도의 애서가였다. 이청조의 탁월한 재능은 학문과 문학에 열정적이고 진지했던 부친의 지지와 학술과 예술을 애호했던 집안 분위기 때문에 일찌감치 발휘될 수 있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비판적 안목 또한 기를 수 있었다.[3] 남편이 관직 생활을 시작하면서 집을 비우는 일이 잦았지만, 이청조는 남편과 상당히 행복한 시간을 보냈고, 그녀의 시풍은 더욱 차분하고 우아해졌다. 이청조와 남편은 상과 주 왕조의 청동 유물에 대한 시를 짓기도 하고, 많은 책을 수집하며 서로에게 시를 짓기도 했다. 그녀의 초기 시는 상류층 여성으로서의 자유로운 날들을 묘사하고 있으며, 우아함으로 특징지어진다. 후에 청조는 남편 조명성의 『금석록』 편찬을 돕게 된다.2. 3. 정강의 변과 남편과의 사별
1127년 북송 정권이 멸망하면서 이청조의 불행도 시작되었다. 1129년에 조명성은 호주지부(湖州知府)로 임명되어 가던 중 건강(建康)에서 열병으로 죽었다.[3] 조명성의 죽음은 송의 남도(南渡)와 함께 이청조의 생애에 커다란 전환점으로 작용한다. 남편이 관직으로 가는 도중 장티푸스로 사망했고, 이청조는 이 충격에서 회복하지 못했다. 그녀는 남편의 죽음 후 방황하며 살았다. 남은 소장품을 지키는 것은 이제 그녀의 몫이었다. 이청조는 남편의 사후 출판된 저서인 金石錄|금석록중국어의 후서에서 그녀의 결혼 생활과 혼란스러운 피난 생활을 묘사했다.어머니 장례식을 위해 부부가 함께 고향으로 돌아가는 도중, 정강의 변이 발생하여 남편의 근무지도 금나라 군대의 공격을 받았고, 열 개가 넘는 수레에 나뉘어 실려 있던 장서들은 모두 불타 없어졌다. 더욱이 1129년에 임안의 궁정에 불려갔던 남편 조명성이 48세의 나이로 갑자기 사망하였고, 이청조와 함께 남아 있던 수십 대의 수레에 실린 장서의 나머지들도 금나라 군대의 화재와 유민들의 약탈로 모두 유실되었다.
2. 4. 재혼과 방랑 생활
1132년, 이청조는 피란 중에 장여주(張汝舟)와 재혼하였다. 그러나 인간적인 고마움 때문에 맺어진 재혼은 한 달여 만에 인간성에 대한 불신만을 남긴 채 깨어진다.[5] 이후 장여주에게 학대를 받은 끝에 이별하고 방랑 생활을 보내는 중에 많은 뛰어난 시가를 남겼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이청조로 하여금 이전의 작풍에서 탈피하여 시대적, 개인적 불행을 강하게 표현하게 하였다. 이후 그녀는 항주, 금화 등지를 떠돌며 홀로 늙다가 세상을 떠났다. 졸년이 분명치 않으나 대략 73년 이상의 삶을 누린 것으로 추정된다.[3]3. 문학적 특징과 의의
이청조의 문학은 삶과 시대를 반영하며, 뛰어난 예술성과 깊은 사상을 담고 있어 높은 평가를 받는다. 사(詞) 형식 위주로, 이욱과 안기도(晏幾道)의 영향을 받은 청려(淸麗)한 표현이 특징이며, 송사(宋詞) 중에서도 뛰어나고, 송대 사인(詞人)들에 대한 날카로운 평가로도 유명하다.[6]
시가(詩歌), 시(詩), 산문(文)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으며, 『이청조집교주』(왕학초(王学初) 편찬, 중국 인민문학출판사)에 작품 대부분이 수록되어 있다.[17]
주희는 "본조(本朝)의 부인 중 문장을 잘하는 이는 오직 이이안(李易安)과 위부인[18] 뿐이다"라고 칭찬했고,[19] 왕작(王灼)은 "재능과 기량이 풍부하여, 전대 인물들에 필적하며, 사대부들 사이에서도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본조(本朝)의 부인이라면 문채로는 당연히 첫째"라고 평가했다.[20]
현대 문학가 정진탁(鄭振鐸)은 "송대에서 가장 위대한 여류 시인일 뿐만 아니라, 중국 문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여류 시인이다"라고 극찬했다.[22]
일본에서도 평가가 높아, 한문학 여성 번역가 화사키 사이엔(花崎采琰)은 "송대가 낳은 여류 시인의 보배"라며, "이후주(李後主), 이청조, 이백을 시가의 삼이(三李)로 인정받고 있다"고 평했다.[23] 중다 유지로(中田勇次郎)는 "와카(和歌)와 비슷하지만, 지성의 빛이 더해져 신선한 감각 속에 송시의 가장 좋은 특징인 쓸쓸함과 섬세함이 절제되어 있다"고 칭찬했다.[24]
하지만,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아 작품 대부분이 유실되어 자료가 부족하다.[3]
대표작 "꿈같은 노래"(如夢令(Rú Mèng Lìng))는 제남(濟南)에 살면서 결혼 전 고향을 회상하며 쓴 시(16~17세 추정)로, 초기 시 세계를 보여준다.[6]
3. 1. 완약파의 대표 시인
이청조의 사(詞)는 이욱이나 안기도(晏幾道)의 전통을 따른 청려(淸麗)한 작품으로, 재기가 넘치는 훌륭한 표현은 송사(宋詞) 중에서도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송대 사인들에게 적절한 단평(短評)을 가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6] 이청조는 "섬세하고 간결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완약파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여겨진다.[6]이청조의 시는 남쪽으로 이주하기 전과 후,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 시들은 대부분 처녀 시절의 감정과 관련된 연애시였다. 남쪽으로 이주한 후에는 여진족과의 전쟁에 대한 증오와 애국심이 깊이 반영되었다.[6]
이청조는 중국 시의 운율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비평을 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6]
청대(清代)에 이르러 이청조는 완약파(婉約派)라는 송시(宋詞)의 한 유파의 종장(宗匠)으로 여겨졌으며,[21] 사단(詞壇)에서의 지위는 생전보다 더욱 확고해졌다.
3. 2. 시대적 아픔과 저항 정신
그녀의 사는 이욱이나 안기도(晏幾道)의 전통을 따른 청려(淸麗)한 작품으로 재기가 넘치는 훌륭한 표현은 송사(宋詞) 중에서도 뛰어난 것이다. 또한 송대의 사인에게 적절한 단평(短評)을 가한 것으로도 알려지고 있다. 이후 금나라와의 전쟁 이후 송나라 정부가 새 수도로 삼은 항주에 정착했다. 이 기간 동안 그녀는 계속 시를 썼지만, 후기 작품들은 남편과 고향에 대한 향수에 젖어 있었다.[3]안타깝게도 그녀의 많은 시들은 이후 격변의 세월 속에서 사라졌고, 이는 중국 문학계에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이 되었다.[3] 현재까지 약 백 수십 수 편의 시만이 전해져 오는데, 대부분 사 형식이며, 그녀의 삶의 다양한 운명을 보여준다.
이청조의 삶은 우여곡절로 가득했고, 그녀의 시는 남쪽으로 이주하기 전과 후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 시들은 대부분 처녀 시절의 감정과 관련된 연애시였다. 남쪽으로 이주한 후에는 여진족과의 전쟁에 대한 증오와 애국심이 깊이 반영되었다. 그녀는 중국 시의 운율에 대한 최초의 상세한 비평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섬세하고 간결한 스타일" 완약파의 거장으로 여겨진다.
4. 평가
이청조는 뛰어난 사 작품과 송대 사인들에 대한 평가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주희와 왕작은 그녀의 재능을 칭찬했으며, 청대에는 송시(宋詞) 완약파(婉約派)의 종장(宗匠)으로 여겨졌다. 현대 문학가 정진탁 또한 그녀를 높이 평가했다.
일본에서도 이청조에 대한 평가는 높았다. 화사키 사이엔은 그녀를 "송대가 낳은 여류 시인의 보배"라고 칭송했고, 나카타 유지로는 그녀의 시가에 "지성의 빛"과 "쓸쓸함과 섬세함"이 있다고 평가했다.[23][24]
다만, 혼란한 시대를 살았던 탓에 작품 대부분이 유실되어 자료가 부족하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4. 1. 당대의 평가
그녀의 사(詞)는 이욱이나 안기도(晏幾道)의 전통을 따른 청려(淸麗)한 작품으로 재기가 넘치는 훌륭한 표현은 송사(宋詞) 중에서도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송대의 사인에게 적절한 단평(短評)을 가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17]남송을 대표하는 유학자(儒学者) 주희는 이청조의 시가 작품에 대해 "본조(本朝)의 부인 중 문장을 잘하는 이는 오직 이이안(李易安)과 위부인[18] 뿐이다"라고 칭찬했다.[19] 송대(宋代) 문인 왕작(王灼)은 "재능과 기량이 풍부하여, 전대의 인물들에 필적하며, 사대부들 사이에 있어도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만약 본조(本朝)의 부인이라면 문채로는 당연히 첫째라고 해야 할 것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20]
청대에는 이청조는 완약파(婉約派)라는 송시(宋詞)의 한 유파의 종장(宗匠)으로 여겨졌고,[21] 사단(詞壇)에서의 지위는 생전보다 더 확고해졌다.
현대에 와서는 중국 현대를 대표하는 문학가 정진탁(鄭振鐸)은 "이청조는 송대에서 가장 위대한 여류 시인일 뿐만 아니라, 중국 문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여류 시인이다"라고 평가했다.[22]
일본에서도 이청조에 대한 평가는 높다. 한문학 여성 번역가로 유명한 화사키 사이엔(花崎采琰)(아들은 작가 화사키 고헤이(花崎皋平))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청조는 송대가 낳은 여류 시인의 보배이다. 그녀의 재능은 전혀 남녀의 구별을 느끼게 하지 않는 완벽한 것이며, 남송십걸(南宋十傑) 중에서도 손꼽히는 거장이다. 남자 중에서는 이후주(李後主)(이유(李煜)), 여자 중에서는 이청조가 대조되고 있다. 이백(李白)을 더하여 시가의 삼이(三李)로 인정받고 있다."[23]
나카타 유지로(中田勇次郎)는 화사키 사이엔이 편역한 시가집[24]의 서문에서 "시가는 우리나라의 와카(和歌)와 비슷하여, 부드럽고 아름다운 것이지만, 이청조의 시가는 그 위에 지성의 빛이 더해져, 신선한 감각 속에 송시의 가장 좋은 특징인 쓸쓸함과 섬세함이 본격적인 모습을 갖추고 절제되어 있는 점에서는 송시의 가장 좋은 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칭찬하고 있다.
4. 2. 후대의 평가
그녀의 사(詞)는 이욱이나 안기도(晏幾道)의 전통을 따른 청려(淸麗)한 작품으로, 재기가 넘치는 훌륭한 표현은 송사(宋詞) 중에서도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송대의 사인(詞人)에게 적절한 단평(短評)을 가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3]주희는 이청조의 시가 작품에 대해 "본조(本朝)의 부인 중 문장을 잘하는 이는 오직 이이안(李易安)과 위부인[18] 뿐이다"라고 칭찬했다.[19] 송대 문인 왕작(王灼)은 "재능과 기량이 풍부하여, 전대의 인물들에 필적하며, 사대부들 사이에 있어도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만약 본조(本朝)의 부인이라면 문채로는 당연히 첫째라고 해야 할 것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다.[20]
청대(清代)에 이청조는 완약파(婉約派)라는 송시(宋詞)의 한 유파의 종장(宗匠)으로 여겨졌고,[21] 사단(詞壇)에서의 지위는 생전보다 더 확고해졌다. 현대에 와서 중국 현대를 대표하는 문학가 정진탁(鄭振鐸)은 "이청조는 송대에서 가장 위대한 여류 시인일 뿐만 아니라, 중국 문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여류 시인이다"라고 평가했다.[22]
일본에서도 이청조에 대한 평가는 높다. 한문학 여성 번역가로 유명한 화사키 사이엔(花崎采琰)은 "이청조는 송대가 낳은 여류 시인의 보배이다. 그녀의 재능은 전혀 남녀의 구별을 느끼게 하지 않는 완벽한 것이며, 남송십걸(南宋十傑) 중에서도 손꼽히는 거장이다. 남자 중에서는 이후주(李後主)(이유(李煜)), 여자 중에서는 이청조가 대조되고 있다. 이백(李白)을 더하여 시가의 삼이(三李)로 인정받고 있다."라고 평가했다.[23] 중다 유지로(中田勇次郎)는 "이청조의 시가는 그 위에 지성의 빛이 더해져, 신선한 감각 속에 송시의 가장 좋은 특징인 쓸쓸함과 섬세함이 본격적인 모습을 갖추고 절제되어 있는 점에서는 송시의 가장 좋은 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칭찬하고 있다.[24]
다만, 혼란한 시대를 살았던 탓에 작품 대부분이 유실되어 자료가 부족하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3]
5. 기념 시설
- 칭자오 정원(沁園): 장추 시(장추 시) 밍수이(明水)의 백매천(白渼泉) 기슭에 위치하며, 면적은 18000m2이다. 건물 1270m2, 수면 1500m2, 녹지 10000m2로 구성되어 있다. 1997년 5월 1일 개장한 이청조 기념 시설이다.[10]
- 청주 이청조 기념관: 청주 고성 서문 밖 양서호에 위치하며, 부지 면적은 약 630m2이다. 건물은 남향으로, 북쪽 입구에는 터널, 동쪽에는 도로가 있다. 슌허(舜河) 건물과 서쪽의 사송정(四松亭)은 청나라 건축 양식이다. 복도 끝에는 1993년에 세워진 사각형 건물에 서예가 소로(蕭老)가 쓴 "이청조 기념관" 현판이 걸려 있다.
- 제남 이청조 기념관: 보투춘(趵突泉) 공원 내 류슈 춘(柳絮泉) 북쪽 안뜰에 위치하며, 면적은 360m2이다. 북송 시대 제남 장씨 가문의 안뜰이었고, 진나라 때 린촨 현(臨泉)이라는 관청으로 바뀌었다. 청나라 말기 정보진(丁寶楨)의 사당이었으며, 청나라 초기 시인 천원(田雯)이 "류슈 춘에 있는 이옌(李廌, 이청조의 아버지)의 옛집 방문"이라는 시를 짓기도 했다. 이 시 때문에 이청조의 옛집이 류슈 춘 근처라는 오해가 생겼고, 이후 많은 문인들이 이곳을 찾으면서 제남이 이청조의 옛집이라는 말이 퍼졌다. 이청조는 다밍 호(大明湖) 옆 연꽃 사당에 연근 신으로 모셔졌으며, 청나라 이후 제남 사람들은 이청조를 "연꽃 여신"으로 숭배했다.
- 금화 이청조 기념관: 저장성 진화시 남쪽 모퉁이, 바용 로에 위치한다. 바용루는 남조 칠룡창 원년에 동양현(東陽縣) 태수 심약(沈約)이 건립했다. 1994년 바용루 문화재 보존관리처는 본당을 이청조 기념관으로 변경했다.
- 칭저우정(清照亭): 항저우(杭州) 서호(西湖) 칭보문(清波門) 근처에 이청조가 살았던 것을 기념하여 2002년 류랑어야오공원(柳浪闻莺公园) 내 메타세쿼이아 숲 개울에 건립되었다.[11]
6. 현대적 재조명
수성과 금성의 충돌구 중 리칭자오와 리칭자오는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2011년 작곡가 요한 파마이(Johan Famaey)는 "소원(A Dream Song)"과 "승승만(Sheng Sheng Man)"[14]을 그의 노래 모음집 '중국 기억(Chinese Memories)'의 일부로 음악으로 편곡하였다.
2017년, 작곡가 카롤 베파는 그녀의 시 네 편을 음악으로 편곡한 "중국의 단편들(Fragments of China)"(Klarthe)을 작곡했다. 가이 가브리엘 케이의 소설 별들의 강에는 가상의 송나라를 배경으로, 작가가 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청조에게서 영감을 받은 주인공이 등장한다.[15]
2022년 비디오 게임 테라 인빅타에서 학술파의 지도자는 이청조를 기념하여 이름이 지어졌다.
참조
[1]
서적
The Works of Li Qingzhao
https://doi.org/10.1[...]
De Gruyter Mouton
2019
[2]
백과사전
Li Qingzhao
http://www.britannic[...]
2016-04-24
[3]
서적
The Complete Ci-poems of Li Qingzhao: A New English Translation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4]
서적
Li Ch'ing-chao: Complete Poems
New Directions
[5]
서적
Li Ch'ing-chao: Complete Poems
New Directions
[6]
서적
Li Qingzhao Full Ci-poems
Shandong Friendship Press
[7]
일반
[8]
일반
[9]
웹사이트
有没有人曾经装到了你擅长的领域?下次外国人问中国#文学 有多美,把这首 - 抖音
https://v.douyin.com[...]
[10]
서적
济南市志
中华书局
[11]
뉴스
Li Qingzhao Memorial Hall
http://news.sina.com[...]
2006-03-26
[12]
웹사이트
Li Ch'ing-Chao
http://planetaryname[...]
NASA
2021-05-31
[13]
웹사이트
Li Qingzhao
http://planetaryname[...]
NASA
2021-05-31
[14]
웹사이트
Sheng Sheng Man 声声慢 中国记忆 左汉 Chinese Memories Johan Famaey
https://www.youtube.[...]
[15]
서적
River of Stars.
https://archive.org/[...]
Penguin Canada
2013-04-02
[16]
일반
[17]
서적
李清照その人と文学
日中出版
[18]
일반
[19]
서적
朱子語類
[20]
서적
碧鶏漫志
[21]
일반
[22]
서적
挿図本中国文学史
[23]
서적
中国の女詩人
西田書店
[24]
서적
新譯 漱玉詞
新樹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