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서고가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서고가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서 남구 감만동을 잇는 왕복 4차선, 총 연장 14.8km의 고가도로이다. 1988년 착공하여 1994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9년 통행료가 폐지되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주요 경유지로는 사상구, 부산진구, 남구가 있으며, 사상 나들목, 문현 나들목 등 여러 나들목을 통해 진출입이 가능하다. 현재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보행자, 자전거, 이륜차(긴급자동차 제외)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2021년 착공하여 2027년 완공 예정인 사상~해운대 지하고속도로 건설 사업과 연계되어 동서고가도로의 일부 구간 철거가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사상구의 교통 - 사상역 (한국철도공사)
    사상역은 1921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경부선과 가야선 열차가 정차하며, 부산-김해 경전철과 환승이 가능한 역이다.
  • 부산 사상구의 교통 - 관문대로
    부산광역시 동구에서 사상구까지 이어지는 총 10.8km의 관문대로는 수정터널, 백양터널을 포함하며 주요 도로와 연결되고,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영화 '친구'의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 부산 남구의 교통 - 번영로 (부산)
    부산 번영로는 금정구, 해운대구 등 부산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다수의 터널과 나들목을 포함하고 부산의 주요 간선 도로망을 구성하며 아시안 하이웨이의 일부 구간이기도 하다.
  • 부산 남구의 교통 - 황령터널
    부산 남구와 수영구를 연결하는 황령터널은 1995년 개통된 총 연장 1.83km의 편도 2차선 쌍굴형 터널로, 2010년부터 통행료가 무료화되었다.
  • 부산 부산진구의 교통 - 관문대로
    부산광역시 동구에서 사상구까지 이어지는 총 10.8km의 관문대로는 수정터널, 백양터널을 포함하며 주요 도로와 연결되고,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영화 '친구'의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 부산 부산진구의 교통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동서고가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종류부산도시고속화도로
노선명제2도시고속도로 (동서고가로)
노선 번호부산광역시도 제22호선
노선 정보
총 연장10.9km (본문), 14.8km (도로 정보)
개통일1992년 12월 9일
기점부산광역시 사상구
주요 경유지부산광역시 사상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산광역시 남구
종점부산광역시 남구
주요 연결 도로부산제2도시고속도로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가칭)
부산광역시도 제71호선 (가칭)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부산광역시도 제24호선
부산광역시도 제30호선
부산광역시도 제35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3호선
부산항부두순환도로
위치 정보
진양 램프
진양 램프
기타 정보
영어 이름Busan 2nd Urban Expressway
한글 이름부산제2도시고속도로
한자 이름釜山第二都市高速道路
가타카나 이름プサンジェイートシゴソクトロ

2. 연혁


  • 1988년 4월 6일: 착공
  • 1992년 12월 9일: 학장 램프-문현 램프 구간 개통
  • 1993년 10월 15일: 유료화
  • 1994년 12월 24일: 전 구간 개통
  • 2007년 3월 21일: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에 우암고가로 구간도 포함[2]
  • 2009년 8월 1일: 통행료 폐지로 무료화[3][4]

3. 구성

동서고가도로는 왕복 4차선, 총연장 14.8km이며, 최고 제한 속도는 70km/h이다.

3. 1. 차선수

전 구간이 왕복 4차선이다.

3. 2. 총연장

14.8km

3. 3.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제한 속도는 70km/h이다.

4. 주요 경유지

동서고가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서 부산진구 개금동을 거쳐 남구 감만동까지 이어진다. 주요 경유지와 나들목은 다음과 같다.

주요 경유지주요 나들목
|


5. 노선

우암고가로와 함께 전 구간이 국토교통부에 의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보행자자전거는 통행이 금지된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다.

종류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IC감만동 시점제8부두부산광역시 남구감만동 방면 진출, 낙동대교 방면 진입만 가능
IC(이름 없음)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번영로)
부산광역시도 제33호선(관문대로)
감만동 방면 진입, 낙동대교 방면 진출만 가능
IC문현전포대로감만동 방면 진출, 낙동대교 방면 진입만 가능
IC황령황령대로부산진구
IC범내골신천대로
황령대로
IC진양백양대로
-개금 요금소철거됨
IC주례백양대로사상구감만동 방면 진입, 낙동대교 방면 진출만 가능
IC학장가야대로
IC감전가야대로
IC사상가야대로감만동 방면 진출, 낙동대교 방면 진입만 가능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직결


6. 이용 안내

우암고가로와 함께 전 구간이 국토교통부에 의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보행자자전거의 통행은 금지되며,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다.[10]

종류이름접속 노선소재지비고
IC감만동 시점제8부두부산광역시 남구감만동 방면 진출, 낙동대교 방면 진입만 가능
IC(이름 없음)부산광역시도 제11호선(번영로)
부산광역시도 제33호선(관문대로)
부산광역시 남구감만동 방면 진입, 낙동대교 방면 진출만 가능
IC문현전포대로부산광역시 남구감만동 방면 진출, 낙동대교 방면 진입만 가능
IC황령황령대로부산광역시 부산진구
IC범내골신천대로
황령대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IC진양백양대로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 요금소부산광역시 부산진구철거됨
IC주례백양대로부산광역시 사상구감만동 방면 진입, 낙동대교 방면 진출만 가능
IC학장가야대로부산광역시 사상구
IC감전가야대로부산광역시 사상구
IC사상가야대로부산광역시 사상구감만동 방면 진출, 낙동대교 방면 진입만 가능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직결



과거 남포동, 영도에서 부산외대, 감만동으로 갈 경우 부산항배후도로를 통해 7부두 IC에서 진입할 수 있었으나, 감만동에서 7부두 IC를 통하여 부산항배후도로를 이용할 경우 수정터널 방향으로만 통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부산항순환도로가 완전 개통되어 감만동에서 부산역, 남포동 방향으로 갈 때에도 동서고가도로 이용이 가능하다.

2009년 8월 16일부터 8월 29일까지 주례 IC의 통행이 진출입 모두 금지되었다. 이는 동서고가로 무료화에 따른 차량 유입 증가에 따른 정체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조치였으며, 시범 기간 동안 성과가 좋으면 추후 주례 IC를 영구 통행금지를 한다는 취지였다. 현재는 자유롭게 통행 가능하다.

2009년 9월 7일부터 주말 (토·일), 공휴일은 제외한 월 ~ 금 (오후 6시 ~ 오후 8시) 문현 방향 주례 IC에 램프미터링을 적용한다.

2015년 8월 3일부터 주말 (토·일), 공휴일은 제외한 월 ~ 금 (오전 7시 ~ 오전 9시) 사상 방향 진양 IC에 램프미터링을 실시하였다.

무료화되면서 이용 차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구 개금 요금소 철거로 인한 교통체증과 민원이 발생한다.

특히 동서고가로의 종점인 서부산낙동강교에서 서부산 나들목까지의 정체가 매우 극심하다. (평일 오전 출근 시간대)

모든 차량들은 주례 램프와 진양 램프 사이에 있는 옛 개금 요금소 터를 거치지 않고는 동서고가로에 들어갔다 나올 수 없다. (단, 감전 ~ 사상, 부두 ~ 감만 구간은 제외)

7. 통행료 징수 문제

동서고가로를 건설하는데 총 4633억이 소요되었으며, 이 가운데 1620억기부채납으로 모은 비용이었다. 1992년 12월 개통 이후 1993년 8월부터 문현 램프 기점으로 8.5km 지점, 감전 램프 기점으로 5.5km 지점인 개금 요금소에서 승용차 기준 편도 600원의 요금을 부과하였다. 기부채납 상환은 1998년에 모두 완료되었으나, 부산광역시는 유지보수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통행료를 계속 징수했다.

그러나 통행료 징수로 인해 심각한 정체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2008년 기준으로 연간 교통혼잡비용은 93억에 달했다. 이는 연간 전체 통행료 174억 가운데 유지보수비 74억을 제외한 순수 통행료 수익 100억과 맞먹는 비용으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것이 별 이득이 없다고 판단한 부산광역시2009년 8월부터 동서고가로의 전 구간을 통행료 징수 없이 전면 무료화하기로 선언하였다.[11] 무료화 선언 이후, 개금 요금소는 철거되었다.

8. 사상 ~ 해운대 지하고속도로 건설 구간

GS건설2021년에 착공하여 2027년에 완공할 예정인 사상-해운대 지하고속도로 건설 구간이다.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서 해운대구 송정동까지 구간이며, 평균 지하 50m 깊이에 고속도로가 건설되어 사상에서 해운대 간 이동 시간이 1시간 20분에서 30분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5][6]

이 사업은 남해고속도로와 부산-울산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를 연결하여 전국 U자형 고속도로를 완성하는 데 기여한다. 총 길이는 22.8km, 왕복 4~6차로이며, 사업비는 201.88억이다. 이 사업으로 주례동, 개금동, 당감동 등 주변 지역의 주거 환경이 좋아지고, 개금주공아파트 재건축 기대감이 높아지는 등 도심 불균형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7][8][9]

참조

[1] 웹사이트 국토교통부 교통정책실의 자동차 전용도로 현황 http://transport.mlt[...]
[2] 공고 부산광역시 공고 제2007-194호 https://news.busan.g[...] 2007-03-21
[3] 조례 부산광역시 조례 제4395호 https://news.busan.g[...] 2009-07-08
[4] 조례 부산광역시 조례 제4395호 https://news.busan.g[...] 2009-07-08
[5] 뉴스 땅밑 50m 관통 ‘사상~해운대 지하고속도로’ 본격 착수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19-09-02
[6] 뉴스 부산 신설 3개 초대형 도로 진·출입로 위치·개수 정했다 http://www.kookje.co[...] 2019-05-12
[7] 뉴스 동서고가도로 철거 논의 배경과 전망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19-06-25
[8] 뉴스 동서고가 전 구간 철거 논의 본격화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19-06-25
[9] 뉴스 부산 핵심 교통망 동서고가도로 서부산 구간 철거 논의 https://yna.co.kr/vi[...] 연합뉴스 2019-06-30
[10] 문서 신호등을 설치해 진입교통량을 조절함으로써 도로의 지정체 발생을 예방하는 교통수요관리 기법.
[11] 뉴스 부산 동서고가로 8월부터 돈 안받는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9-05-19
[12]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13] 보고서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14] 통계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https://www.data.go.[...]
[15]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http://www.yooshin.c[...]
[16]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http://its.busan.go.[...]
[17] 고시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7-423호 부산광역시 도로노선의(지정, 변경, 폐지) 고시 http://news.busan.go[...]
[18] 문서 기장군 정관읍을 경유한다.
[19] 공고 부산광역시 기장군 공고 제2002-526호 노선 인정(변경) 공고 http://new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