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고속도로제2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은 경상남도 김해시 부곡동과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을 잇는 고속도로이다. 1978년 부산마산고속도로로 지정되어 개통되었으며, 이후 남해고속도로지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으로 노선명이 변경되었다. 2008년 확장 공사를 거쳐 2010년 남해2지선고속도로로 고시되었으며, 서부산 요금소 이설, 율하 하이패스 나들목 설치 등의 변화를 겪었다. 총 연장은 18.78km이며, 냉정 분기점, 장유 나들목, 사상 나들목 등을 포함한 나들목과 분기점을 갖추고 있다. 서부산 요금소 이전으로 가락 나들목 통행료 징수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사상 나들목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에 위치한 사상 나들목은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과 부산광역시도 제22호선을 연결하며, 나들목 명칭은 사상구에서 유래되었다.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남장유 나들목
남장유 나들목은 2024년 11월 28일에 개통되었다. - 부산 사상구의 교통 - 사상역 (한국철도공사)
사상역은 1921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경부선과 가야선 열차가 정차하며, 부산-김해 경전철과 환승이 가능한 역이다. - 부산 사상구의 교통 - 관문대로
부산광역시 동구에서 사상구까지 이어지는 총 10.8km의 관문대로는 수정터널, 백양터널을 포함하며 주요 도로와 연결되고,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영화 '친구'의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노선 이름 |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
| 로마자 표기 | Namhae Gosok Doro Jei Jiseon |
| 한자 표기 | 南海高速道路第二支線 |
| 노선 번호 | 고속국도 제104호선 |
| 다른 이름 | 남해고속도로 2nd Branch |
| 총 길이 | 20.6 km |
| 개통일 | 1981년 9월 4일 |
| 노선 정보 | |
| 서쪽 종점 | 김해시 냉정 JC ([[File:Korea Expressway No.10.svg|20px]] 남해고속도로) |
| 동쪽 종점 |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 IC |
| 주요 경유지 | 경상남도 김해시 부산광역시 |
| 주요 교차 도로 | 남해고속도로 국도 제58호선 |
| 분기점 | 5 |
2. 역사
1978년 6월 22일, 부산시 부산진구 감전동에서 경상남도 김해군 주촌면 구간이 '''고속국도 제9호선''' 부산 ~ 마산선으로 지정되었다.[7] 이후 1981년 11월 7일 '''고속국도 제6호의2호선 남해고속도로지선(남해선의 지선)'''으로 노선명이 변경되었고,[8] 1982년 12월 3일에는 가락 나들목이 개통되었다.[9]
1992년 4월 29일, 기점이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감전동'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감전동'으로 변경되었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남해제2지선)'''으로 노선명이 변경되었다.[10] 1993년 4월 17일 장유 나들목 개선 공사,[11] 1996년 7월 1일 기점이 '부산직할시 북구 감전동'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으로, 종점이 '경상남도 김해군 주촌면'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으로 변경되었다.[12]
1998년 3월 10일 가락 나들목 요금소 설치 공사,[13] 2001년 6월 1일 장유 나들목 요금소 설치 공사가 진행되었다.[14] 2001년 8월 25일, 노선번호가 제6호의2에서 '''제104호'''로 변경되었다.[15]
2008년 7월 16일, 냉정 ~ 부산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도로구역이 변경되었고,[16] 같은 해 12월 전 구간 확장 공사 및 서부산 요금소 이설 공사가 착공되었다. 2010년 12월 28일 도로명주소에 냉정 분기점부터 사상 나들목까지 20.6 km 구간을 '''남해2지선고속도로'''로 고시하였다.[17]
2014년 10월 1일, 서부산 요금소 이전 및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2015년 3월 27일 기점과 종점이 변경되었고,[18] 2020년 8월 6일 율하 하이패스 나들목 설치 공사를 위해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19] 2022년 6월 8일 율하 나들목이 착공되었고,[20] 2022년 7월 8일 구 서부산 요금소 부지에 서부산휴게소가 개장되었다.[21] 2024년 11월 28일에는 남장유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2. 1. 개통 초기 (1978년 ~ 2001년)
1978년 5월 22일 냉정 분기점 ~ 사상 나들목 전 구간이 착공되어 1978년 6월 22일 고속국도 제9호 '''부산마산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1] 1981년 9월 4일에 전 구간이 남해고속도로 마산 ~ 냉정 구간의 왕복 4차로 확장과 함께 왕복 4차로로 개통되었다.[2] 본선인 냉정 분기점 ~ 덕천 나들목은 1996년까지 왕복 2차로였기 때문에, 지선이 본선보다 차로 수가 더 많았다. 개통 두 달만인 1981년 11월 7일 고속국도 제6의2호 '''남해고속도로지선'''으로 개칭되었고,[3] 1992년 4월 29일에는 남해고속도로의 또다른 지선인 구 남해고속도로제3지선이 지정됨으로 인해 고속국도 제6의2호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으로 개칭되었다.[4] 2001년 8월 25일에는 고속국도 노선번호가 제6의2호에서 제104호로 변경되었다.[5]연혁은 다음과 같다.
| 날짜 | 내용 |
|---|---|
| 1978년 6월 22일 | 부산시 부산진구 감전동 ~ 경상남도 김해군 주촌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9호선 부산 ~ 마산선으로 지정[7] |
| 1981년 11월 7일 | 고속국도 제6호의2호선 남해고속도로지선(남해선의 지선)으로 노선명 변경[8] |
| 1982년 12월 3일 | 가락 나들목 개통[9] |
| 1992년 4월 29일 | 기점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감전동에서 부산직할시 북구 감전동으로 변경, 남해고속도로제2지선(남해제2지선)으로 노선명 변경[10] |
| 1993년 4월 17일 | 장유 나들목 개선 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김해군 장유면 무계리, 산문리, 신문리 1.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1] |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부산직할시 북구 감전동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으로, 종점을 경상남도 김해군 주촌면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으로 변경[12] |
| 1998년 3월 10일 | 1999년 12월까지 가락 나들목 요금소 설치 공사로 인해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 6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3] |
| 2001년 6월 1일 | 2001년 12월까지 장유 나들목 요금소 설치 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 무계리 ~ 삼문리 4.1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 |
| 2001년 8월 25일 | 노선번호를 제6호의2에서 제104호로 변경.[15] |
2. 2. 확장 및 노선 번호 변경 (2001년 ~ 현재)
2001년 8월 25일, 노선번호가 제6호의2에서 제104호로 변경되었다.[15] 교통량 증가에 따라 2002년 타당성 조사와 기본설계가 시작되어 2003년 10월 완료되었고, 2007년 9월 실시설계, 2008년 4월 보완설계를 거쳐 2008년 12월 남해고속도로 냉정 분기점 ~ 덕천 나들목, 중앙고속도로지선 전 구간 (김해 분기점 ~ 대동 분기점 신설 구간 포함)과 함께 냉정 분기점 ~ 사상 나들목 구간이 왕복 6, 8차로 확장 공사에 들어갔다. (서부산 나들목 ~ 사상 나들목 구간은 2009년 2월 착공)[6]2012년 10월 15일 신낙동대교가 개통되면서 기존 낙동대교는 보수공사를 위해 폐쇄되었다. 2014년 4월 28일 낙동대교 보수 공사가 완료되어 확장 개통되었고, 2014년 9월 12일 새로운 서부산 요금소가 완공되었으나, 실제 운영은 10월 1일부터 시작되었다. 서부산 요금소는 기존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동에서 김해시 수가동과 강서구 범방동 경계로 이전하였다. 당초 2013년 12월 전 구간 확장 개통 예정이었으나, 공사 지연으로 2014년 12월 12일 서부산 요금소 - 사상 나들목 구간이 우선 확장 개통되었다. 냉정 분기점 ~ 서부산 요금소 구간은 2014년 10월 공사 업체 (울트라건설)의 부도로 공사가 중단되었으나, 건설공제조합의 보증 이행으로 대저건설이 잔여 공사를 맡아 2015년 6월 11일 왕복 6, 8차로 확장 개통되었다.[6]
2014년 10월 1일, 서부산 요금소가 부산광역시 강서구 남해2지선고속도로 17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남해2지선고속도로 12 (수가동)로 이전하면서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로 기점이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에서 '경상남도 김해시 부곡동'으로 변경되었고, 종점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으로 명시되었다.[18]
2020년 8월 6일, 율하 하이패스 나들목 설치 공사로 인해 경상남도 김해시 신문동 ~ 관동동 1.09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19] 2022년 6월 8일 율하 나들목이 착공되었고,[20] 2022년 7월 8일 구 서부산 요금소 부지에 서부산휴게소가 신설 개장되었다.[21] 2024년 11월 28일에는 남장유 나들목이 개통되었다.
3. 구성
남해고속도로제2지선은 냉정 분기점에서 장유 나들목을 거쳐 사상 나들목까지 이르는 고속도로이다. 총 연장은 18.78km이며, 전 구간 최고 제한 속도는 100km/h,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 창원 방향과 부산 방향 모두 냉정 분기점 ~ 장유 나들목 구간은 3차로, 장유 나들목 ~ 사상 나들목 구간은 4차로로 운영된다.
3. 1. 차로수
3. 2. 총 연장
18.78km3. 3.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제한 속도는 100km/h, 최저 제한 속도는 50km/h이다.4. 나들목 · 분기점
구 서부산 요금소 부지
부산광역시도 제30호선 (가야대로)
부산광역시도 제41호선 (낙동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