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성제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성제약은 195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제약 회사로, 1961년 서울동성제약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했다. 염모제 시장 진출, 정로환 출시, 와까모또 제약과의 기술 제휴, 화장품 사업 진출 등 사업 확장을 거쳐 1990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이후 2000년대 들어 이지엔 헤어마스카라 출시, 해외 지사 설립, 송음 학술재단을 통한 사회공헌 활동을 펼쳤으며, 2010년대에는 다양한 신제품 출시와 연구 개발 투자를 이어갔다. 2020년대에는 정로환 에프환 리뉴얼, 비오킬 판매량 증가, ESG 경영 강화 등 변화를 모색했고, 대표 제품인 정로환은 발매 100년 만에 연 매출 100억 원을 돌파했다. 현재 다양한 의약품, 의약외품, 염모제, 화장품 등을 생산하며, 본사는 서울 도봉구에, 주요 생산 시설은 충남 아산시에, 연구소는 대구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화장품 회사 - 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은 윤독정 여사가 동백기름을 판매하며 시작하여 서성환 회장이 태평양화학공업사를 설립하면서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 연구 개발과 해외 시장 진출을 통해 성장하여 설화수, 라네즈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한 화장품 회사이다.
  • 대한민국의 화장품 회사 - LG생활건강
    LG생활건강은 1947년 설립되어 2001년 LG화학에서 분사한 대한민국의 생활용품, 화장품, 음료 제조 및 판매 기업으로, 적극적인 M&A를 통해 사업을 확장하며 '후', '숨37°', '오휘' 등의 고급 화장품 브랜드와 '페리오', '엘라스틴' 등의 생활용품 브랜드를 보유하고 코카콜라 음료를 인수하여 음료 사업도 전개하고 있지만, 기업 문화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충청남도의 기업 - 경남기업
    경남기업은 1951년 설립되어 국내 건설업 면허 2호 취득 후 토건 사업을 시작, 업계 최초로 해외 건설 시장에 진출하여 동남아시아에서 성장했으나, 대우그룹 인수, IMF 외환 위기, 부실한 해외 투자, 비리 연루 등으로 법정관리를 신청, 2017년 SM그룹에 인수되어 재도약을 준비 중인 건설 기업이다.
  • 충청남도의 기업 - 남양유업
    남양유업은 1964년에 설립되어 유제품 및 음료를 제조하며 사업을 확장해 왔으나, 여러 사건과 논란으로 사회적 비판을 받았다.
  • 1957년 설립된 기업 - 후지 TV
    후지 TV는 닛폰 방송, 문화방송, 영화 3사의 참여로 1959년 개국한 일본의 민영 방송국으로, 전국 방송망을 구축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했으나, 2010년대 이후 경영 악화로 구조조정을 단행하며 디지털 전환에 대응하고 있다.
  • 1957년 설립된 기업 - 한보철강
    한보철강은 초석건설을 모태로 1980년 설립되어 건설 및 철강 사업을 영위했으나, 무리한 투자와 자금난으로 1997년 부도 처리되었고, 이는 외환위기의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되며 자산은 현대제철에 인수합병되었다.
동성제약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창립일1957년 11월 25일
창립자이선규
이전 회사서울동성제약사근제
이전 회사2서울동성제약주식회사
소재지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83 (방학동)
주요 인물이양구 (대표이사)
제품일반의약품
전문의약품
의약외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자본금22,404,756,000원 (2016)
매출액86,536,755,320원 (2019)
영업 이익-2,289,618,759원 (2016)
순이익-1,660,443,187원 (2016)
자산 총액131,730,492,742원 (2019)
직원 수328명 (2019)
자회사동성크리너
슬로건Health From Nature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2. 연혁

1957년 서울동성제약사근제 설립을 시작으로, 1961년 서울동성제약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했다. 1965년 끓이지 않는 염색약 '양귀비'와 1968년 패션 염색약 '훼미닌'을 출시했다. 1972년 일본 다이코신약과 기술 제휴로 지사제 '정로환'을 출시, 발매 첫 해 50억의 판매를 기록했다. 1990년 주식 상장, 1991년 무공해 살충제 '비오킬' 출시, 1994년 동성장학재단 설립 및 중국 시장 진출, 1997년 KGMP 아산공장 준공 등 성장을 이어갔다.

2006년 미국, 2007년 중국에 지사를 설립하며 해외 시장을 넓혔다. 2014년 2세대 광과민제 '포토론' 희귀의약품 지정, 2017년 대구암센터 개소, 2023년 '정로환' 연 매출 1000억 돌파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2. 1. 1950년대 ~ 1970년대

1957년 동성제약의 전신인 서울동성제약사근제가 설립되었다. 1961년에는 서울동성제약주식회사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

1965년에는 끓이지 않아도 되는 염색약 '양귀비'를 출시하였고, 1968년에는 패션 염색약 '훼미닌'을 출시하며 염색약 시장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1년 서울 도봉구 방학동에 공장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1972년에는 일본 다이코신약과의 기술 제휴를 통해 지사제 '정로환'을 출시했다. 정로환은 발매 첫해 50억의 판매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1977년에는 서울 성북구 길음동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2. 2. 1980년대

1980년 일본 와까모또제약과 기술 제휴를 통해 영양제 '동성와까모또'를 출시했다. 1983년에는 미국 오리리화장품과 기술 제휴하여 '오리리카바마크'를 출시했다. 1984년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 사옥을 신축하여 이전했고, 1985년에는 어린이용 지사제 '어린이 정로환', 1987년에는 약 냄새가 나지 않는 '정로환당의정'을 출시했다.

2. 3. 1990년대

1990년, 동성제약은 주식시장에 상장되었다. 1991년에는 스위스 Jesmond 사와 기술 제휴를 통해 무공해 살충제 '비오킬'을 출시했다.

1994년에는 사회 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동성장학재단을 설립하고, 포쉬에화장품 주식회사와 생활용품 자회사인 선희종합상사를 설립했다. 같은 해, 중국 대련화학과 살충제 합작 계약을 체결하며 해외 시장 진출을 시작했고, 선희복지재단도 설립했다.

1995년, 선희종합상사는 동성크리너로 상호를 변경했다. 1997년에는 최신 시설을 갖춘 KGMP 아산공장을 준공했다. 1998년에는 약학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송음 이선규 약학상'을 제정했다.

2. 4. 2000년대

2002년 서울 도봉구 방학동으로 사옥을 이전하였다. 2006년 미국 지사 동성 월드와이드를 설립하였고, 2007년 중국 상해 지사 한몽상무유한공사를 설립하여 해외 시장 진출을 확대하였다. 같은 해, 마스카라 타입 염모제 '이지엔 헤어마스카라'를 출시하였다.

2008년 동성장학재단을 송음 학술재단으로 변경하고, 오마샤리프화장품 태국 지사인 Do Thailavd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세븐에이트 무향료'를 출시하였고, 2009년에는 순간 증모제 '세븐에이트 흑채 커버스프레이'를 출시하였다.

2. 5. 2010년대

2010년대 동성제약은 신제품 출시와 연구 개발에 힘썼다. 2011년 거품 염모제 '버블비 포밍 헤어칼라', 2012년 정수리 냄새 소취제 '동성 데오스칼프'와 피부 보호 제품 '아토24', 2013년 미백 기능성 화장품 '동성 랑스크림'을 출시했다.

2014년 광역학 치료용 2세대 광과민제 '포토론'이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었고, 대구광역시와 대구첨단의료복합단지 연구소 건립 MOU를 체결했다. 2015년에는 '이지엔 쉐이킹 푸딩 헤어컬러' 염모제를 출시했다.

2017년 창립 60주년을 맞아 혈액순환 개선제 '징코린정'을 출시하고 대구암센터를 개소했으며, 2018년에는 기업 CI를 변경했다. 2019년 '이지엔 푸딩 헤어컬러' 14종을 리뉴얼하고, 지사제 '정로환에프환, 에프정'을 출시했다.

2. 6. 2020년대

2020년, 동성제약은 기존 '정로환 에프환'을 리뉴얼하여 출시했다. 또한, 바르는 소염 진통제 '케토팝겔'과 광노화 질환 치료제 '이노바에이 크림'을 출시하며 제품군을 다양화했다.

2021년에는 마늘 발효 추출액 '갈릭MF'를 출시했다.

2022년, 동성제약의 염모제 브랜드 '이지엔'은 한국과 중국에서 '2022 브랜드 대상'을 수상하고, 브랜드 파워 3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2023년에는 전국적으로 빈대가 확산되면서 동성제약의 살충제 '비오킬'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10배 급증했다. 같은 해, 동성제약은 고용노동부 서울북부지청과 일·생활 균형 및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정로환'은 출시 51년 만에 연 매출 100억 원을 돌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3. 제품

동성제약에서 생산 및 판매하는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종류제품
일반의약품정로환, 미녹시딜, 두캅스에이, 가네타인액, 리베마린, 비가졸, 토스롱액, 벤포콜캡슐, 슬라인정, 멘자펜정, 유그린에프연고, 유그린크림, 치스민캡슐, 케토팝겔, 이노바에이크림, 지노콜시럽
OEM 위탁제품Server Cool영어 (판매원: 녹십자)
전문의약품크라맥스듀오시럽, 베로단연고, 데타손연고
의약외품/기타비오킬 (스위스 제스몬드홀딩스와 1991년부터 제휴생산), 바이오가이아, 와우레이디, 와우순면커버, 와우프리미엄(유기농), 아나파테이프, 메디가드, 한장으로, 블링데이 버블캔디 마우스 워시, 핸클겔, 갈릭MF
염모제/펌제양귀비골드플러스, 세븐에이트 (일본 헨켈사와 1993년부터 제휴), 훼미닌 실키, 허브/허브스피디, 버블비, 이지엔, 헤이
화장품에이씨케어, 오마샤리프, 비즈톡스, 메디커버, 더커버클래식, 랑스, 아토24, 블링데이


3. 1. 일반의약품

동성제약에서 판매하는 일반 의약품은 다음과 같다.

  • 정로환
  • * 정로환에프환
  • * 정로환에프정
  • 미녹시딜
  • * 동성 미녹시딜 3%
  • * 동성 미녹시딜 5%
  • 두캅스에이
  • 가네타인액
  • 리베마린
  • 비가졸
  • 토스롱액
  • 벤포콜캡슐
  • 슬라인정
  • 멘자펜정
  • 유그린에프연고
  • 유그린크림
  • 치스민캡슐
  • 케토팝겔
  • 이노바에이크림
  • 지노콜시럽

3. 2. OEM 위탁제품

Server Cool영어 (판매원: 녹십자)

3. 3. 전문의약품


  • 크라맥스듀오시럽
  • 베로단연고
  • 데타손연고

3. 4. 의약외품/기타

제품명설명
비오킬1991년부터 스위스 제스몬드홀딩스와 제휴생산
바이오가이아
와우레이디
와우순면커버
와우프리미엄(유기농)
아나파테이프
메디가드
한장으로
블링데이 버블캔디 마우스 워시
핸클겔
갈릭MF


3. 5. 염모제/펌제

동성제약에서 생산하는 염모제 및 펌제는 다음과 같다.

  • 양귀비골드플러스
  • 세븐에이트: 1993년부터 일본 헨켈사와 제휴하여 생산 및 판매를 시작했다.
  • 훼미닌 실키
  • 허브/허브스피디
  • 버블비
  • 이지엔
  • 헤이

3. 6. 화장품


  • 에이씨케어
  • 오마샤리프
  • 비즈톡스
  • 메디커버
  • 더커버클래식
  • 랑스
  • 아토24
  • 블링데이

4. 판매중단제품

제품명
동성린덴
뉴-피링
세다뽕
뇌활
오-트링
베비콜트
양귀비
헥사트롱
백동청혈환
위활소
과니볼
안티폴
미화파스티
나이파스
수루피링
뉴-코프
데카메롱
비타구밍
세다뽐
동성귀약
신경피링
동성살충액
메치오닌
도스민
동성짓
데카비타민
메치구롱
케-오
포리칼
오렌지쥬-스시렆
파인애풀쥬-스시렆
생강쥬-스시렆
콜-라쥬스시럽
백독
청혈환
듸파마롱
파파아민
에나킹
뉴-피림
누리하
토스민
스카아민에스
스코루
아이푸라돌
유스티몬
양귀비 헤어칼라
마론
훝파우다
동성벤질
옥사페란
아스레탄3
지놀시럽
88-G 자연갈색
와까모도
훼미린
감비탄
오리리카바마크
싼도롤
어린이정로환
안중산
흑채스프레이
코스믹 카바마스크 휠
지놀타시럽/캅셀
바이락토정
벳쯔
탓치네스
안중산엑스
로드롱
스카민
온한포
다그린
파스탄
SENNEN쑥뜸
유로컵-A
칼라인터뷰
오리리 C로숀
BIO SLEEP INDUCER 수면유도기
이온수
금연향유
노-닉타
엑스—터
당기원
훼미린 스피디칼라
키스미
세븐베스트
비가졸 액
파온칼라크림
모드젤 코밍헤어칼라
아토클리어
반질크림(옛, 삼공제약의 제품명)
동성 정로환
정로환당의정


5. 사업장 현황

동성제약의 주요 사업장은 다음과 같다.

종류주소
본사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83 (방학동)
아산공장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관대안길 45
대구암센터대구광역시 동구 첨복로 85 (동내동)


5. 1. 본사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683 (방학동)

5. 2. 아산공장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관대안길 45에 있다.

5. 3. 대구암센터

대구광역시 동구 첨복로 85 (동내동) 동성제약 연구소 대구암센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