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우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라우그는 고대 노르드어로 "유령" 또는 "고분"에 사는 죽은 자를 의미하며, 되살아난 시체로 여겨지기도 한다. 드라우그는 초인적인 힘과 변신, 날씨 조종 등의 능력을 지니며, 탐욕과 질투심으로 산 자를 공격한다. 아이슬란드 사가와 북유럽 민속에서 드라우그는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바다 드라우그는 어부의 유령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드라우그를 막기 위한 방법으로는 머리를 자르거나, 무덤 결속 비문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전해진다. 현대 대중문화에서는 소설, 영화, 비디오 게임 등에서 드라우그가 등장하며, 북유럽 신화의 언데드 존재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슬란드 민속 - 세이드
세이드(Seiðr)는 고대 노르드 마법의 한 형태로, 주로 여성인 볼바가 시술했지만 남성도 행했으며, 점술과 조작 마법을 포함하는 종교적 의식으로, 바이킹 시대에는 남성이 행하는 것이 남성답지 못하다고 여겨졌으나, 프레이야 여신과 오딘 신도 관련되어 현대 이교주의에서도 재해석된다. - 아이슬란드 민속 - 갈드
갈드는 고대 노르드어와 고대 영어에서 유래된 노래나 주문을 의미하며, 출산이나 광기를 불러일으키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 좀비 - 철학적 좀비
철학적 좀비는 겉으로는 일반인과 같지만 내면적 경험이 없는 가상의 존재로, 물리주의에 대한 반론으로 제시되며 의식의 본질과 물리적 세계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좀비 - 좀비 (칵테일)
좀비는 돈 비치가 개발한 여러 럼 기반 칵테일로, 높은 도수를 과일 맛으로 가리는 특징을 가지며, 티키 문화 유행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생겨났고, 최근에는 재료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 흡혈귀 - 로쿠로쿠비
로쿠로쿠비는 일본의 요괴로, 목이 자유자재로 늘어나거나 몸에서 분리될 수 있으며, 목이 분리되어 날아다니는 분리비행형과 목이 신축적으로 늘어나는 신축인장형으로 나뉜다. - 흡혈귀 - 바반 시
바반 시는 스코틀랜드 민간 전승에 등장하는 흡혈귀로, 아름다운 여성의 모습으로 나타나 사슴 발굽을 하고 사냥꾼을 공격하며, 다양한 작품에 등장한다.
드라우그 | |
---|---|
개요 | |
![]() | |
유형 | 언데드 |
문화적 기원 | 노르드 신화 |
서식지 | 무덤, 바다 |
지역 | 스칸디나비아 |
명칭 및 어원 | |
언어별 명칭 | 고대 노르드어: draugr (남성형), draug (남성 단수형) 아이슬란드어: draugur 페로어: dreygur 노르웨이어: draug 스웨덴어: dröger |
관련 명칭 | haugbúi (고대 노르드어) aptrganga (고대 노르드어) afturganga (아이슬란드어) gengångare (스웨덴어) |
특징 | |
외형 | 팽창된 검은 형체, 바다에서는 해초로 뒤덮인 모습으로 나타남 |
능력 | 초인적인 힘 형상 변환 날씨 조종 미래 예지 저주 |
문화적 영향 | |
현대 매체 | 다양한 판타지 작품에 등장 (예: 반지의 제왕, 엘더 스크롤 V: 스카이림) |
2. 어원 및 용어
'드라우그(Draugr)'라는 단어는 "유령", "정령", 특히 고분에 사는 죽은 자를 의미하는 고대 노르드어 ''draugrnon''에서 유래했으며,[3] '되살아난 시체'를 뜻하기도 한다. 1869년 ''그레티르의 사가'' 번역본에서는 드라우그를 "고분 유령"이라고 불렀는데,[4] 이는 haugbúinnnon (고분 거주자)를 번역한 것이다.[4][5][6]
고대 노르드어에서 드라우그는 나무 줄기나 마른 나무를 의미하기도 했으며, 시에서는 사람이나 전사를 지칭하기도 했다.[7] 언데드 생물로서의 드라우그는 기록되지 않은 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속이다"라는 의미의 인도유럽조어에서 비롯되었다.[8]
현대 스웨덴어 단어 ''draug''는 서부 노르드어 ''draugʀ''에서 유래한 차용어이다.[10] 스웨덴어 ''drög''는 "멍청이"라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10] 영국 민속의 "shag-boys"와 "hogboons" 같은 존재들은 ''haugbui''에서 이름을 따왔다.[12]
2. 1. 어원
고대 노르드어 ''draugrnon''는 "유령, 정령, 특히 고분에 사는 죽은 자"로 정의된다.[3] 종종 ''드라우그''는 유령이라기보다는 되살아난 시체로 여겨진다. 즉, 매장된 무덤 안에서 되살아난 죽은 자의 시체 (예를 들어, ''그레티르의 사가''에 나오는 Kárr inn gamli의 경우).드라우그는 J. R. R. 톨킨이 그의 소설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기 훨씬 전인 1869년 ''그레티르의 사가'' 번역본에서 "고분 유령"이라고 불렸다.[4] "고분 유령"은 haugbúinnnon "howe-dweller"(고분 거주자)의 번역이다.[4][5][6]
고대 노르드어에서 드라우그는 나무 줄기나 마른 나무를 의미하기도 했다. 고대 노르드 시가에서 나무 용어를 사용하여 사람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케닝에서 신 오딘과 그의 형제들이 나무로 최초의 인간 아스크와 엠블라를 창조했다는 신화를 언급했기 때문에, 시에서는 사람이나 전사를 지칭하기도 했다.[7] 따라서 쓰러진 나무의 줄기와 죽은 자의 시체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었다.
언데드 생물이라는 의미의 고대 노르드어 ''draugʀ''는, 기록되지 않은 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환상, 착각, 신기루" 등을 의미하며, ''*dreuganą'' ("오도하다, 속이다")에서 유래했고, 궁극적으로는 인도유럽조어 어근 ("유령")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 ("속이다")에서 유래했다.[8]
관련 단어는 다음과 같다:
- ("속이다")
- ("사기꾼, 불량배")
- dregennds ("속이다")
- ("환상")
- gitroggoh ("환상, 신기루, 유령")
- ("속임수, 환상, 착각")
- ("기만, 속임수")
- ("환상")
- ("나쁜, 사악한")
- ("나쁜, 사악한")
- , droukbr ("나쁜, 사악한")
- , ''drúh'' ("상해, 해악, 위반")
- द्रोघsa, ''drógha'' ("사기적인, 진실되지 않은, 오도하는")
- , ''drauga'' ("기만, 속임수")
- 𐎭𐎼𐎢𐎩𐎴peo, ''draujana'' ("속이는, 기만적인, 오도하는")
위 단어들은 궁극적으로 '꿈'과 동일한 어근에서 유래했으며, 인도유럽조어 ''*dʰrowgʰ-mos'' ("기만, 환상")에서 유래했다.[10][9]
노르드 사가에 등장하는 언데드 생물을 지칭하는 현대 스웨덴어 단어는 ''draug''이며, 이는 서부 노르드어 ''draugʀ''에서 유래한 현대 차용어이다. 스웨덴어에서 살아남은 고대 노르드어 단어의 고유 형태는 ''dröger''와 ''drög''이며, Närke 지방의 고어 형태인 ''draugr''도 포함되어 있는데, 오래된 사전들에 따르면 "창백하고, 무력하며, 느린 인간, 앞으로 나아가는", 또는 단순한 유령이나 언데드를 의미한다.[10] , ''drauv'', ''drog'' ("유령, 언데드")와 비교해 볼 수 있다.
drowsco, trowsco ("악령, 트롤")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기록되지 않은 ("드라우그")를 통해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당시에는 오늘날과 다르게 더 모호했으며, 드라우그에 비유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악의적인 마법 생물과 유사한 의미였던 ("트롤")의 영향도 받았다. 스웨덴어 ''drög''는 또한 "멍청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는데,[10] 이는 ("쓸모없는 것"), , draichsco, draicksco ("게으르고, 둔하고, 쓸모없는 사람"), draichsco ("느리고, 생기 없는")과 비교할 수 있다.[10][11]
영국 민속에 등장하는 "shag-boys"와 "hogboons"과 같은 존재들은 ''haugbui''에서 그들의 이름을 파생한다.[12]
2. 2. 관련 용어
고대 노르드어 ''draugrnon''는 "유령, 정령, 특히 고분에 사는 죽은 자"로 정의된다.[3] 종종 ''드라우그''는 유령이라기보다는 되살아난 시체로 여겨진다. 즉, 매장된 무덤 안에서 되살아난 죽은 자의 시체 (예를 들어, ''그레티르의 사가''에 나오는 Kárr inn gamli의 경우와 같이).드라우그는 J. R. R. 톨킨이 그의 소설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기 훨씬 전인 1869년 ''그레티르의 사가'' 번역본에서 "고분 유령"이라고 불렸다.[4] "고분 유령"은 haugbúinnnon "howe-dweller"(고분 거주자)를 번역한 것이다.[4][5][6]
고대 노르드어에서 드라우그는 나무 줄기나 마른 나무를 의미하기도 했다. 고대 노르드 시가에서 나무는 사람을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되었고, 특히 케닝에서 신 오딘과 그의 형제들이 나무로 최초의 인간 아스크와 엠블라를 창조했다는 신화를 언급했기 때문에, 시에서는 사람이나 전사를 지칭하기도 했다.[7] 따라서 쓰러진 나무의 줄기와 죽은 자의 시체 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었다.
언데드 생물이라는 의미의 고대 노르드어 ''draugʀ''는, 기록되지 않은 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단어는 "환상, 착각, 신기루" 등을 의미하며, ''*dreuganą'' ("오도하다, 속이다")에서 유래했고, 궁극적으로는 인도유럽조어 어근 ("유령")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 ("속이다")에서 유래했다.[8]
노르드 사가에 등장하는 언데드 생물을 지칭하는 현대 스웨덴어 단어는 ''draug''이며, 이는 서부 노르드어 ''draugʀ''에서 유래한 현대 차용어이다. 하지만, 스웨덴어에서 살아남은 고대 노르드어 단어의 고유 형태는 ''dröger''와 ''drög''이며, Närke 지방의 고어 형태인 ''draugr''도 포함되어 있는데, 오래된 사전들에 따르면 "창백하고, 무력하며, 느린 인간, 앞으로 나아가는", 또는 단순한 유령이나 언데드를 의미한다.[10] 스웨덴어 ''drög''는 또한 "멍청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는데,[10] 이는 ("쓸모없는 것") 등과 비교할 수 있다.[10][11]
영국 민속에 등장하는 "shag-boys"와 "hogboons"과 같은 존재들은 ''haugbui''에서 그들의 이름을 파생한다.[12]
3. 특징
드라우그는 단순한 유령이 아니라, "육체를 가진 유령"으로 묘사된다. 이들은 물리적이고 실체적인 몸을 가지고 있으며, 이야기 속에서는 살아 움직이는 시체가 파괴되면서 "두 번째 죽음"을 맞이하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드라우그를 뱀파이어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13] 이들은 드라우그가 흡혈을 하는지 여부보다는, 뱀파이어처럼 희생자를 다른 뱀파이어로 만드는 전염성에 주목한다. 예를 들어, 토롤프 절름발이(Þórólfr bægifótr)나 토르구나(Þórgunna)의 사례는 "유행병"과 같은 전염 사슬을 보여준다.[14][15][16][17]
드라우그는 변신, 날씨 조종, 미래 예지 등 살아있는 마법사와 유사한 다양한 마법 능력(trollskapnon)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다.[30] 예를 들어, 망자 비가-흐라프르 수마를리다손(Víga-Hrappr Sumarliðason)은 흐라프스타디르(Hrappstaðir) 농장을 돌아다니며 사람들을 위협했으며,[31] 현대 민담에 등장하는 드라우그는 황소, 말, 고양이 등으로 변신하기도 한다.[33]
드라우그는 산 자의 꿈에 나타나 선물을 남기거나,[30] 희생자를 저주하고, 마을에 질병을 가져올 수도 있다.[34] 언데드 비가-흐라프르는 땅속으로 가라앉는 능력도 보였다.[36] 일부 드라우그는 무기에 면역을 가지며, 영웅만이 이들을 상대할 수 있다. 드라우그를 물리치는 일반적인 방법은 머리를 자르고 시체를 불태운 후 재를 바다에 버리는 것이다.[38]
드라우그의 존재는 여우불(foxfire)처럼 언덕에서 빛나는 강렬한 빛으로 나타나기도 한다.[34] 이 빛은 산 자와 죽은 자의 땅 사이의 경계를 형성한다.[35]
드라우그의 변종 중 하나는 고분에서 유래한 "호그부이"인데, 이들은 무덤 거주자로서 자신의 무덤 부지를 떠날 수 없으며 그들의 영역을 침범하는 자들만 공격한다는 것이다.[41]
3. 1. 외형
드라우그는 "육체를 가진 유령"으로, 물리적이고 실체적인 몸을 가지고 있으며 "이마고"는 아니다. 이야기 속에서 드라우그는 종종 살아 움직이는 시체의 파괴를 통해 "두 번째 죽음"을 맞이한다.드라우그는 1897년 말 민담 연구가 앤드루 랭에 의해 일종의 뱀파이어로 여겨지기도 했다. 이러한 생각은 현대의 논평가들에 의해 더욱 탐구되었다. 여기서 초점은 드라우그에게 증명되지 않은 흡혈이 아니라, 뱀파이어의 전염성 또는 전파 가능한 본질, 즉 뱀파이어가 공격한 희생자를 같은 종류로 만들면서 다른 뱀파이어를 낳는 방식에 맞추어져 있다. 때로는 전염 사슬이 발병이 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Þórólfr bægifótr(토롤프 절름발이 또는 꼬인 발)의 경우,[14][15] 심지어 Þórgunna(토르구나)에 관해서는 "유행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6][17]
더 추측적인 뱀파이어 사례는 Glámr(글람르)의 경우인데, 그는 유령이 나오는 농장의 양을 돌봐달라는 요청을 받고 결국 목과 몸의 모든 뼈가 부러진 채로 죽은 채 발견되었다.[18] 논평가들은 글람르가 농장을 괴롭히는 어떤 존재에 의해 "오염"되어 언데드(드라우그)로 변했다고 추측했다.[20]
3. 2. 능력
드라우그는 초인적인 힘을 지녔으며,[30] 흉측한 외모에 검거나 푸른 부패한 시체 색깔을 띤다. hel-blárnon (죽음-푸른non) 또는 nár-fölrnon (시체-창백한non)라고 불렸다.[22] 또한, "부패의 악취"와 연관되거나, 더 정확히는 악취를 풍기는 거주지와 연관되었다.[28]발란드의 광전사 트라인은 dólgrnon(괴물)로 변신했는데, "검고 거대하며...크게 포효하며 불을 뿜고" 긴 할퀴는 발톱을 가졌다.[24]
드라우그는 변신, 날씨 조종, 미래 예지 능력인 trollskapnon 등 마법 능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30] 망자 비가-흐라프르 수마를리다손(Víga-Hrappr Sumarliðason)은 흐라프스타디르(Hrappstaðir) 농장을 돌아다니며 사람들을 위협했고,[31] 현대 민담 속 드라우그는 황소, 말, 고양이 등으로 변신할 수 있다.[33]
드라우그는 산 자의 꿈에 들어가 선물을 남기기도 하고,[30] 희생자를 저주하거나 마을에 질병을 가져오기도 한다.[34] 언데드 비가-흐라프르(Víga-Hrappr)는 땅속으로 가라앉는 능력을 보였다.[36] 일부 드라우그는 무기에 면역이며, 영웅만이 상대할 수 있다. 드라우그를 물리치는 방법은 머리를 자르고 시체를 불태운 다음 재를 바다에 버리는 것이다.[38]
3. 3. 행동 및 성격
드라우그는 "육체를 가진 유령"으로, 물리적이고 실체적인 몸을 가지고 있으며 "이마고"가 아니다.[5] 이야기 속에서 드라우그는 종종 살아 움직이는 시체의 파괴를 통해 "두 번째 죽음"을 맞이한다.드라우그는 1897년 말 민담 연구가 앤드루 랭에 의해 일종의 뱀파이어로 여겨지기도 했다.[13] 이러한 생각은 현대 논평가들에 의해 더욱 탐구되었는데, 드라우그에게는 증명되지 않은 흡혈보다는 뱀파이어의 전염성, 즉 뱀파이어가 공격한 희생자를 같은 종류로 만들면서 다른 뱀파이어를 낳는 방식에 초점이 맞춰졌다.[14] 때로는 전염 사슬이 발병이 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토롤프 절름발이(Þórólfr bægifótr)의 경우,[14][15] 심지어 토르구나(Þórgunna)에 관해서는 "유행병"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6][17]
드라우그는 살아있는 마녀와 마법사의 능력과 유사한 변신, 날씨 조종, 미래 예지 능력인 ''트롤스카프''(trollskap)로 알려진 수많은 마법 능력을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30] 망자 비가-흐라프르 수마를리다손(Víga-Hrappr Sumarliðason)은 보물 은닉처의 전형적인 수호자와 달리, 매장된 장소에 머물지 않고 흐라프스타디르(Hrappstaðir) 농장을 돌아다니며 살아있는 사람들을 위협했다.[31] 비가-흐라프르의 유령은 배를 타고 항해하던 토르스테인 스바르티/수르트(Þorsteinn svarti/surt, 검은 토르스테인) 앞에 나타나 가족들이 흐라프스타디르에 도착하는 것을 막기 위해 배를 침몰시킨, 사람의 눈을 가진 물개로 변신할 수 있었다고 한다.[32]
현대에 수집된 아이슬란드 민담 속 드라우그는 껍질이 벗겨진 거대한 황소, 등뼈가 부러졌지만 귀나 꼬리가 없는 회색 말, 잠자는 사람의 가슴 위에 앉아 희생자가 질식할 때까지 점점 더 무거워지는 고양이로 변할 수도 있다.[33]
드라우그는 산 자의 꿈에 들어갈 수 있으며,[30] 흔히 "산 자가 방문의 실질적인 성격을 확신할 수 있도록" 선물을 남긴다. 또한 희생자를 저주할 수 있는데, 《그레티르의 사가》에서 그레티르가 더 강해질 수 없도록 저주받은 것이 그 예이다. 드라우그는 마을에 질병을 가져오고, 낮 동안 일시적인 어둠을 만들 수 있었다. 다른 부활자들처럼 햇빛에 취약해 보이지는 않았지만, 밤에 활동하는 것을 선호했다. 또한 불운으로 사람을 죽일 수도 있다.
드라우그의 존재는 여우불(foxfire)처럼 언덕에서 빛나는 강렬한 빛으로 나타날 수 있다.[34] 이 불은 산 자의 땅과 죽은 자의 땅 사이의 장벽을 형성했다.[35] 언데드 비가-흐라프르(Víga-Hrappr)는 오라프 호스쿨드손 공작(Óláfr Hǫskuldsson the Peacock)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땅속으로 가라앉는 능력을 보였다.[36]
일부 드라우그는 무기에 면역이며, 오직 영웅만이 강력한 상대를 상대할 힘과 용기를 가지고 있다. 전설에서 영웅은 무기가 소용없기 때문에 드라우그를 무덤으로 다시 레슬링하여 물리치는 경우가 많다. 철은 많은 초자연적인 생물처럼 드라우그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막기 어렵다.[37] 때때로 영웅은 관례에 벗어난 방법으로 시체를 처리해야 한다. 선호되는 방법은 드라우그의 머리를 자르고 시체를 불태운 다음 재를 바다에 버리는 것이다.[38]
어떤 비열하고, 험악하고, 탐욕스러운 사람이라도 드라우그가 될 수 있다. 아르만 야콥손은 "대부분의 중세 아이슬란드 유령은 사악하거나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이다. 불만을 품거나 사악하지 않더라도, 그들은 인기가 없다."라고 언급했다.
드라우그의 동기는 주로 질투와 탐욕이었다. 탐욕은 드라우그가 무덤을 파헤치려는 자들을 맹렬하게 공격하게 만들지만, 한때 가졌던 삶의 것들에 대한 갈망에서 비롯된 산 자에 대한 타고난 질투심을 드러내기도 한다. 또한 아란과 아스문드의 만남에서 보여지듯이 거대하고 거의 채울 수 없는 식욕을 나타낸다. 이들은 한 명이 죽으면 다른 한 명이 묘지 안에서 3일 동안 시신을 지키기로 맹세한 검의 형제였다. 아란이 죽자, 아스문드는 그의 소지품(깃발, 갑옷, 매, 사냥개, 말)을 무덤으로 가져간 다음 3일을 기다렸다.
드라우그의 희생자는 드라우그의 집에 침입한 자에 국한되지 않았다. 떠돌아다니는 언데드는 가축을 타거나 끔찍한 반쯤 벗겨진 모습으로 쫓아 가축을 죽임으로써 가축을 황폐화시켰다. 양치기는 밤에도 밖에서 일해야 했고, 언데드의 배고픔과 증오의 특별한 대상이 되었다.
드라우그의 무덤 근처에서 먹이를 먹는 동물은 그 생물의 영향으로 미칠 수 있다.[41] 미쳐서 죽을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토롤프는 그의 사발형 고분 위를 날아가는 새들을 죽게 만들었다.
4. 북유럽 전설과 민속
아이슬란드 사가와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 드라우그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그 의미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해왔다. 드라우그의 변종 중 하나는 고분에서 살며 자신의 영역을 침범하는 자들만 공격하는 "호그부이"(고대 노르드어 "호그"에서 유래)이다.[41]
4. 1. 아이슬란드 사가
''그레티르의 사가''에 등장하는 늙은 카르(Kárr inn gamli)는 드라우그로 명확히 언급된다.[5] 반면 같은 사가에 등장하는 글람르는 텍스트에서 명시적으로 드라우그로 불리지 않고 "트롤"로 불린다. 그러나 글람르는 현대 학자들에 의해 여전히 ''드라우그''로 통칭된다.중세 사가에서 aptrgǫngurnon "망령"(aptrganganon의 복수) 및 reimleikarnon "유령"으로만 언급되는 존재들은 다양한 학문적 연구에서 흔히 draugrnon로 논의되거나, 드라우그와 ''하우그부아르''(haugbúar)가 하나로 묶인다.
''드라우그''라는 용어의 적용은 중세 시대의 엄격한 의미를 따르지 않을 수 있으며, 욘 아르나손의 수집본과 같이 "드라우가사가"로 분류된 아이슬란드 민담에 등장하는 유령에 대한 현대적 정의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
망자 비가-흐라프르 수마를리다손(Víga-Hrappr Sumarliðason)은 보물 은닉처의 전형적인 수호자와 달리, 매장된 장소에 머물지 않고 흐라프스타디르(Hrappstaðir) 농장을 돌아다니며 살아있는 사람들을 위협한다. 비가-흐라프르의 유령은 사람의 눈을 가진 물개로 변신하여 배를 침몰시키기도 했다.[31] 변신 능력은 일반적으로 아이슬란드 유령에게, 특히 물개의 모습으로 변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2]
현대에 수집된 아이슬란드 민담 속 드라우그는 껍질이 벗겨진 거대한 황소, 등뼈가 부러졌지만 귀나 꼬리가 없는 회색 말, 그리고 잠자는 사람의 가슴 위에 앉아 질식시키는 고양이 등으로 변신할 수 있다.[33]
드라우그는 산 자의 꿈에 들어가거나,[30] 희생자를 저주할 수 있다. 《그레티르의 사가》에서 그레티르는 더 강해질 수 없도록 저주받았다. 드라우그는 또한 마을에 질병을 가져오거나, 낮 동안 일시적인 어둠을 만들 수 있었다. 그들은 밤에 활동하는 것을 선호했다. 드라우그는 또한 불운으로 사람을 죽일 수 있다.
드라우그의 존재는 여우불처럼 언덕에서 빛나는 강렬한 빛으로 나타날 수 있다.[34] 이 불은 산 자의 땅과 죽은 자의 땅 사이의 장벽을 형성했다.[35]
언데드 비가-흐라프르는 오라프 호스쿨드손 공작으로부터 도망치기 위해 땅속으로 가라앉는 능력을 보였다.[36]
일부 드라우그는 무기에 면역이며, 오직 영웅만이 강력한 상대를 상대할 힘과 용기를 가지고 있다. 전설에서 영웅은 무기가 소용이 없기 때문에 드라우그를 무덤으로 다시 레슬링하여 물리치는 경우가 많다. 철은 드라우그에게 상처를 입힐 수 있지만, 그것을 막기에 충분하지 않다.[37] 드라우그를 완전히 없애기 위해서는 머리를 자르고 시체를 불태운 다음 재를 바다에 버려야 했다.[38]
사가에서 가장 잘 알려진 되살아난 존재 중 하나는 ''글람르''인데, ''그레티르의 사가''의 영웅에게 패배했다. 글람르가 크리스마스 이브에 죽은 후, 사람들은 그가 평화롭게 쉬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큰 피해를 입혔고, 그레티르는 그와 싸워 이겼지만 글람르에게 저주를 받았다.
''냤라 사가''의 군나르 하문다르손의 예시는 드라우그에 대한 모호하고 대안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고분 안에서 네 개의 빛이 보였고, 군나르는 기뻐하며 즐거운 얼굴을 하고 있었다.[44]
''에르비갸 사가''에서 한 양치기는 푸르스름한 검은색 드라우그에게 공격을 받고 목이 부러진다. 양치기는 다음 날 밤 드라우그로 일어선다.[41]
4. 2. 바다 드라우그

후기 스칸디나비아 민속에서 '드라우그' (대륙 스칸디나비아 철자) 또는 고어 스웨덴어 ''dröger''와 ''drög''는 일반적인 유령과 동의어가 되었고, 때로는 아무런 차이도 없이 일반 유령을 가리키기도 했다.[46]
하지만 노르웨이에서는 드라우그라는 용어가 바다에서 죽은 사람의 유령과 연관되기 시작했고, 때로는 "육지 드라우그"와 구별하기 위해 "바다 드라우그"(, ''sjødraug'')로 특정되었다. 바다 드라우그는 노르웨이 해안을 따라 바다나 해변가에서 전설로 나타난다. 후기 민속에서 이 존재는 바다에서 표류하여 기독교 땅에 묻히지 못한 죽은 어부의 유령으로 제한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는 가죽 재킷을 입거나 기름옷을 입었고, 머리 대신 해초 화분을 가지고 다녔다고 한다. 그는 돛이 막힌 반쪽 배를 타고 다니며(노르웨이 뵈 시는 문장에 이 반쪽 배를 가지고 있다) 그를 보거나 심지어 그를 끌어내리려는 사람들에게 죽음을 예고했다. 이러한 특징은 노르웨이 최북단에서 흔히 나타나는데, 이곳은 다른 어떤 지역보다 어업에 기반을 둔 삶과 문화가 발달했다. 어부들이 종종 대규모로 익사했고, 바다에서 떠돌아다니는 죽은 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노르웨이 북부에서 다른 어떤 지역보다 흔했기 때문일 수 있다.
트뢰넬라그에서 기록된 전설은 해변에 누워 있는 시체가 두 종류의 드라우그(머리가 없는 드라우그와 해초 머리를 가진 드라우그) 사이의 싸움의 대상이 되었다고 전한다. 비슷한 출처는 심지어 세 번째 유형인 ''글레이프''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는데, 그들은 해안을 걷는 뱃사람들에게 달라붙어 젖은 바위에서 미끄러지게 만든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드라우그는 보통 죽음을 예고하지만, 노르웨이 북부에는 그를 속인 북부 사람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5. 드라우그를 막는 방법
전통적으로 아이슬란드에서는 드라우그를 막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방법을 사용했다.
- 최근 사망자의 가슴에 짝을 이룬 열린 쇠 가위를 올려놓고, 옷 사이에 짚이나 잔가지를 숨겨두었다.[43]
- 망자가 걸어 다니지 못하도록 큰 발가락을 묶거나 발바닥에 바늘을 꽂았다.
- 드라우그가 방향 감각을 잃도록 하기 위해 관을 집에서 옮길 때 세 방향으로 들어 올리고 내렸다.
- 죽은 자의 귀환을 막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시신 문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시신 문은 시신을 발부터 먼저 밖으로 옮기는 특별한 문으로, 주변 사람들이 시신이 어디로 가는지 볼 수 없도록 한 후 벽돌로 막아 돌아오지 못하게 했다. 이러한 믿음은 덴마크에서 시작되어 죽은 자는 들어온 길로만 나갈 수 있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노르드 문화 전반으로 퍼져나갔다고 추측된다.
- "에르뷔갸 사가"에서는 "문 심판"을 통해 드라우그를 쫓아냈다. 문 심판에 하나씩 소환하여 심판을 받고 집 밖으로 쫓아낸 후, 성수로 집을 정화하여 다시는 돌아오지 못하게 했다.
6. 현대 대중문화 속 드라우그
드라우그는 현대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요나스 리와 레기네 노르만 등의 작가들은 작품에서 바다 드라우그의 전통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테오도르 키텔센의 그림은 드라우그를 묘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8]
아르네 가르보르는 묘지에서 갓 나온 육지 드라우그를 묘사했으며, '드라우그'라는 용어는 뱀파이어에도 사용된다. 헨리크 입센과 아스문 올라브손 비녜의 작품에는 산에 사는 드라우그가 등장한다. 톨킨의 ''반지의 제왕'' 뉘노르스크어 번역본에서는 나즈굴과 던하로우의 죽은 자들에게 드라우그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톨킨의 무덤 유령은 하우그부이(Haugbu)와 유사성을 보인다.[34]
엘더스크롤 시리즈, 갓 오브 워, 이브 온라인, 발헤임 등의 비디오 게임에서도 드라우그가 등장한다. ''엘더스크롤'' 시리즈에서 드라우그는 북유럽에서 영감을 받은 인간 종족의 고대 매장지에 서식하는 언데드 전사로 나타난다. ''갓 오브 워''에서는 다양한 힘과 능력을 가진 적으로, ''이브 온라인''에서는 우주선으로, ''발헤임''에서는 해초로 만들어진 모습으로 등장한다.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리톨드''에서는 울르와 연관된 신화 유닛으로 등장하여 활과 화살로 싸운다.[48]
영화 ''드라우그 (영화)''에서는 마법 능력을 가진 살아있는 시체로, ''노스맨''에서는 주인공이 마법 검 '드라우그'를 얻기 위해 싸우는 상대로 묘사된다.
힐다 시즌 2 에피소드 2 '드라우겐'에서는 바다에서 죽은 선원들의 유령으로 등장한다.
외계 행성 PSR B1257+12 A는 "드라우그"로 명명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raugr VS Draugen: A Norwegian Fairytale of Sea Trolls and Viking Zombies
https://www.youtube.[...]
Kim Diaz Holm
2024-12-16
[2]
웹사이트
God of War is wrong...
https://www.youtube.[...]
Kim Diaz Holm
2024-12-16
[3]
서적
An Icelandic-English dictionary
https://books.google[...]
1974
[4]
서적
https://books.google[...]
1869
[5]
서적
https://books.google[...]
1900
[6]
웹사이트
Pre-Christian Religions of the North: Sources : [excerpt from] Gr ch. 18b: Living in gravemounds
https://skaldic.abdn[...]
2020-11-17
[7]
웹사이트
Draugr
https://en.wiktionar[...]
2024-02-11
[8]
백과사전
Spirit
Taylor & Francis
[9]
웹사이트
bedraga v.3
https://www.saob.se/[...]
Svenska Akademiens ordbok
2024-12-02
[10]
문서
Svenskt dialektlexikon
[11]
웹사이트
DRAICH, Draick
https://www.dsl.ac.u[...]
Scottish National Dictionary (1700–)
2024-12-02
[12]
웹사이트
shag-boy
https://en.wiktionar[...]
2023-01-12
[13]
문서
2006
[14]
문서
2009
[15]
문서
Eyrbyggja Saga
1973
[16]
문서
1996
[17]
문서
Eyrbyggja Saga
1973
[18]
문서
Grettis saga
https://books.google[...]
1869
[19]
문서
Eyrbyggja Saga
1973
[20]
문서
2011
[21]
문서
Grettis saga
https://books.google[...]
1900
[22]
문서
1973
[23]
문서
Laxdaela Saga
1969
[24]
문서
The Saga of Hromund Greipsson
https://books.google[...]
1921
[25]
문서
https://books.google[...]
1959
[26]
문서
https://books.google[...]
1912-1913
[27]
문서
https://books.google[...]
1987
[28]
문서
Grettis saga
https://books.google[...]
1900
[29]
문서
2011
[30]
서적
The Road to Hel: A Study of the Conception of the Dead in Old Norse Literatur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1]
문서
Laxdaela Saga
https://books.google[...]
1969
[32]
문서
1969
[33]
서적
Icelandic Folktales and Legen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4]
문서
Grettir's Saga
1974
[35]
문서
The Road to Hel
1943
[36]
서적
Laxdaela Saga
1969
[37]
서적
Icelandic Folktales and Legends
[38]
웹사이트
Viking Answer Lady Webpage - The Walking Dead: Draugr and Aptrgangr in Old Norse Literature
http://www.vikingans[...]
Vikinganswerlady.com
2005-12-14
[39]
서적
Gautrek's Saga and Other Medieval Tales
[40]
서적
Eyrbyggja Saga
1973
[41]
서적
2005
[42]
서적
Witchcraft and Magic in the Nordic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3]
서적
Encyclopedia of Vampire Mythology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44]
서적
Njal's saga
Penguin
2001
[45]
서적
Weird Tales from the Northern Seas
http://www.gutenberg[...]
[46]
간행물
[47]
서적
Norwegian-American Studies and Records - Volume 12
https://books.google[...]
Norwegian-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1941
[48]
웹사이트
Comprar o Age of Mythology: Retold - New Gods Pack: Freyr - Xbox
https://www.xbox.com[...]
2024-09-11
[49]
서적
The function of the living dead in medieval Norse and Celtic literature : death and desire
Edwin Mellen Press
2007
[50]
서적
Vampires: A Field Guide to the Creatures that Stalk the Night
http://books.google.[...]
Career Press
[51]
서적
Eyrbyggja Saga
[52]
서적
Floamanna Saga
[53]
서적
The Road to Hel: A Study of the Conception of the Dead in Old Norse Literatur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4]
서적
Eyrbyggja Saga
[55]
서적
Laxdaela Saga
[56]
서적
Icelandic Folktales and Legends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