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린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린강은 알바니아 북동부에서 흑드린강과 백드린강이 합류하여 시작하여 서쪽으로 흐르는 강으로, 아드리아해로 흘러든다. 드린강은 알바니아 경제, 특히 전력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발칸 반도에서 가장 큰 수력 발전소 그룹이 위치해 있다. 고대 그리스어로는 Drilon, 라틴어로는 Drinus로 불렸으며, 알바니아어 음운 변화를 거쳐 현재의 Drin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케도니아의 강 - 흑드린강
    흑드린강은 일리리아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불리며, 알바니아의 주요 농업 지역을 흐르고 일부 구간에서는 오흐리드 송어가 발견된다.
  • 북마케도니아의 강 - 바르다르강
    바르다르강은 북마케도니아에서 발원하여 그리스를 거쳐 에게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으로, 북마케도니아 영토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유역을 가지며 주요 도시를 지나고, 바르다리스라는 지균풍과 다뉴브강 연결 운하 구상과 관련되어 있다.
  • 알바니아의 강 - 슈쿰빈강
    슈쿰빈강은 알바니아를 가로지르는 강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리적 경계선이자 교통로였으며, 고대 일리리아인들의 터전, 로마 제국의 비아 에그나티아 통로, 여러 제국 간 경계, 오스만 제국 통상로, 알바니아 민족 부흥 운동 상징, 토스크 알바니아어와 게그 알바니아어의 언어적 경계 역할을 했다.
  • 알바니아의 강 - 흑드린강
    흑드린강은 일리리아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불리며, 알바니아의 주요 농업 지역을 흐르고 일부 구간에서는 오흐리드 송어가 발견된다.
드린강
지리 정보
슈코더르에서 흐르는 드린강
슈코더르를 흐르는 드린강 삼각주
기본 정보
다른 이름Drin (영어)
Drini (알바니아어)
Drim (마케도니아어)
Дрим (마케도니아어)
어원알 수 없음
위치남유럽
흐르는 국가알바니아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주요 도시프리즈렌
슈코더르
쿠커스
레저
스트루가
데바르
페슈코피
마첼라러
길이285km
평균 방류량352 m³/s
최대 방류량1800 m³/s
분지 면적19,686 km²
수계아드리아해
하구대드린강: 부나강
소드린강: 드린만
하구 위치대드린강: 슈코더르주, 알바니아
소드린강: 레저주, 알바니아
하구 표고5m
발원지 정보
발원지백드린강 (라다브츠 근처 즐렙산맥)
흑드린강 (스트루가 근처 오흐리드호)
발원지 위치백드린강: 코소보, 페야구
흑드린강: 북마케도니아, 스트루가시
합류 지점쿠커스 근처
합류 지점 위치쿠커스주, 알바니아
지류 정보
왼쪽 지류흑드린강
미루샤강
프리즈렌강
토플루하강
오른쪽 지류백드린강
사테스카강
라디카강
페로강
부슈트리차강
백드린강 지류: 페야강, 데찬강, 에레니크강
흑드린강 지류: 발보나강, 샬라강, 키르강, 메르투르강
추가 정보
위치 (일본)[[File:Drin.jpg|300px]]
추가 정보 (일본)일본어 위키백과에 따르면 길이는 285km임
유역은 알바니아, 코소보, 마케도니아 공화국에 걸쳐 있음

2. 어원

드린강의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로는 ''Drilon'' (Δρίλων), 라틴어로는 ''Drinus''로 기록되어 있다.[1] 이 이름은 일리리아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진다.[1] ''Drin-'' 형태는 대 플리니우스 (1세기)에 의해 증명되었으며, 가장 기본적인 형태일 가능성이 높다. 고대 이름 ''Drinus''는 알바니아어 음운 변화를 거쳐 현재의 알바니아어 형태인 ''Drin''이 되었다.[2][1] 마케도니아어로 이 강은 Дрим, 즉 ''Drim''이라고 불린다. 동음이의어 강으로는 알바니아 남부와 그리스 북서부 사이에 있는 드리노 강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세르비아 사이에 있는 드리나 강이 있다.

3. 지리

알바니아 북부 아드리아 해안의 드린강 하구와 드린 만


드린강은 알바니아 북동부 쿠커스 마을 근처에서 흑드린강과 백드린강 두 지류가 합류하면서 시작된다. 이후 서쪽으로 흘러 알바니아 알프스와 피에르자를 통과하고, 두카지니 고원에 도달하여 아프리페 에 구리트, 토플라네, 두쉬만, 코만, 비에르데 마즈레크, 라감, 팔레 라레지 등을 거쳐 남쪽으로 흐른다. 보우-데예스에서 저지대인 슈코더 평원으로 들어가 두 개의 분기점으로 나뉜다.[13] 하나는 레자 남서쪽의 아드리아 해로 흘러 들어가 드린 만을 형성하며, 다른 하나는 로자파 성 근처의 부나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부나강은 알바니아와 몬테네그로 사이의 국경을 이루는 강으로, 이 합류 지점에서 약 32km 떨어진 곳에서 아드리아해로 흘러 들어간다.

블랙 드린강은 오흐리드 호에서 나와 서부 북마케도니아를 거쳐 동부 알바니아로 흐른다. 화이트 드린강은 코소보메토히야 지역에 있는 페야 마을 북쪽의 젤레브 산에서 발원하여 알바니아로 흘러간다.[13]

드린강 유역은 슈코더 호 (남유럽에서 가장 큰 호수)[14], 오흐리드 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대 호수 중 하나)[15], 프레스파 호, 소 프레스파 호의 국경을 넘는 하위 유역과 흑드린강, 백드린강, 보야나강을 포함한다. 이 모든 하위 유역과 지류는 수많은 종의 포유류, 관다발 식물, 곤충, 양서류, 어류, 조류의 서식지이다.

1858년 산사태로 인해 드린강의 흐름이 바뀌면서, 알바니아 북부 해안 근처에서 두 개의 분류로 갈라지게 되었다.

3. 1. 지류


  • 드리니
  • * 흑드리니
  • ** (왼쪽): 발리치케와 야블라니체 개울
  • ** (오른쪽): 달가쉬 개울
  • ** 라디케 강, 마브로브와 차라케 개울, 잘리 이 불치제 강

(왼쪽): 반제, 데샤트, 그라메, 테푸즈, 벨레쉬체, 프리루쉬, 테르샨 개울
(오른쪽): 무르, 세테, 몰레, 루레 개울

  • * 백드리니
  • ** 루메 강

오르지오스트와 토포얀 개울

  • ** (오른쪽): 페야 비스트리차 강
  • ** (오른쪽): 데차니 비스트리차 강
  • ** (오른쪽): 에레니크 강
  • ** (왼쪽): 프리즈레니 비스트리차 강
  • ** (왼쪽): 미루샤 강
  • ** (왼쪽): 토플루하, 클리네 강
  • ** (왼쪽): 이스토크 강
  • * 발보네
  • ** 페크마레, 브룰라 e 쇼샤니, 가시, 트로포예 개울
  • * 샬레
  • ** 오콜과 슈트라제 개울
  • ** 테트 강

카프레이와 마자 e 제제 개울

  • ** 비게, 구라 e 레카이트, 코산, 셰후 이 아바티트 개울
  • ** 스투프제 개울

레스니케 강

  • * 니카이
  • ** (왼쪽): 쿠라지 개울

쿠치 개울

  • ** (오른쪽): 니카이 개울
  • * 자드르와 키르 강

3. 2. 분기

쿠커스에서 흑드린강과 백드린강이 합류하여 드린강이 된다. 1858년 산사태로 인해 흐름이 바뀌면서, 알바니아 북부 해안 근처에서 드린강은 두 개의 분류로 갈라진다. 예전의 본류였던 작은 강은 남쪽으로 흘러 레저 서쪽에서 드린만으로 흘러든다.

3. 3. 유역

알바니아 북동부 쿠커스 마을 근처에서 두 지류가 합류한 후, 드린강은 서쪽으로 흘러 알바니아 알프스와 피에르자를 통과한 후, 두카지니 고원에 도달하여 아프리페 에 구리트, 토플라네, 두쉬만, 코만, 비에르데 마즈레크, 라감, 팔레 라레지 등을 거쳐 남쪽으로 흐릅니다. 보우-데예스에서 저지대인 슈코더 평원으로 들어가 두 개의 분기점으로 나뉩니다. 하나는 레자 남서쪽의 아드리아 해로 흘러 들어 드린 만을 형성하며, 다른 하나는 로자파 성 근처의 보야나강으로 흘러 들어갑니다.[13]

블랙 드린강은 오흐리드 호에서 나와 서부 북마케도니아를 거쳐 동부 알바니아로 흐릅니다. 화이트 드린강은 코소보메토히야 지역에 있는 페야 마을 북쪽의 젤레브 산에서 발원하여 알바니아로 흘러갑니다.[13]

유역은 슈코더 호 (남유럽에서 가장 큰 호수)[14], 오흐리드 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대 호수 중 하나)[15], 프레스파 호, 소 프레스파 호의 국경을 넘는 하위 유역과 블랙 드린강, 화이트 드린강, 보야나강을 포함합니다. 이 모든 하위 유역과 지류는 수많은 종의 포유류, 관다발 식물, 곤충, 양서류, 어류, 조류의 서식지입니다.

하위 유역 및 지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본류지류세부 지류
드리니흑드리니발리치케mk와 야블라니체mk 개울 (왼쪽)
달가쉬mk 개울 (오른쪽)
라디케mk 강, 마브로브mk와 차라케mk 개울, 잘리 이 불치제 강
반제, 데샤트, 그라메, 테푸즈, 벨레쉬체, 프리루쉬, 테르샨 개울 (왼쪽)
무르, 세테, 몰레, 루레 개울 (오른쪽)
백드리니루메 강
오르지오스트와 토포얀 개울
페야 비스트리차 (오른쪽)
데차니 비스트리차 (오른쪽)
에레니크 (오른쪽)
프리즈레니 비스트리차 (왼쪽)
미루샤 (왼쪽)
토플루하, 클리네 (왼쪽)
이스토크 (왼쪽)
발보네페크마레, 브룰라 e 쇼샤니, 가시, 트로포예 개울
샬레오콜과 슈트라제 개울
테트 강
카프레이와 마자 e 제제 개울
비게, 구라 e 레카이트, 코산, 셰후 이 아바티트 개울
스투프제 개울레스니케 강
니카이쿠라지 개울 (왼쪽)
쿠치 개울니카이 개울 (오른쪽)
자드르키르


4. 경제

드린강은 알바니아 경제, 특히 전기 생산에 매우 중요하다. 발칸 반도에서 가장 큰 수력 발전소 그룹이 드린강에 설치되어 있다.[16]

4. 1. 댐 및 수력 발전소

발칸 반도에서 가장 큰 수력 발전소 그룹이 드린강에 설치되어 있다.[16] 드린강은 알바니아 경제, 특히 전기 생산에 매우 중요하다. 3개의 가장 큰 수력 발전소는 알바니아 전력의 70.6%를 생산하며, 총 설치 용량은 약 1400MW이다. 북마케도니아는 블랙 드린강에 글로보치차(42MW)와 스필제 수력 발전소(84MW) 두 개의 수력 발전소를 건설했다.[17]

피에르제 댐으로 만들어진 인공 피에르자 호는 표면적이 73km2로 알바니아에서 가장 큰 인공 호수이다. 두 번째로 큰 인공 호수인 보이 데예스 호도 이 강에 건설되었으며 면적은 25km2이다. 피에르자 발전소 건설은 1980년대에 약간의 논란을 일으켰다. 알바니아 정부는 어떤 합의도 없이 저수지를 물로 채우라고 명령했고, 이는 당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였던 코소보의 일부 국경 지역을 침수시켰다.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항의했지만 해결책은 합의되지 않았다. 따라서 오늘날 피에르자 호는 알바니아와 코소보가 공유하고 있다.

알바니아 국내 드린강 유역에는 3곳의 이 있으며, 수력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알바니아 국내에 공급되고 있다.

5. 역사

드린강의 고대 이름은 ''드리론''이었다. 강의 계곡에는 여러 일리리아인 부족이 거주했다. 이는 아마도 어느 시점과 어느 정도까지 엔켈레의 지배를 받았을 것이다.[18] 타울란티족과 라베아테족의 부족 영토는 강 근처에 위치했을 가능성이 높다.

참조

[1] 서적 Small Water Bodies of the Western Balkans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 서적 Gjeografia Fizike e Shqipërisë 1 Akademia e Shkencave e RPS të Shqipërisë
[3] 웹사이트 ALBANIA http://www.fao.org/d[...]
[4] 웹사이트 HYDROLOGY OF THE TRANSBOUNDARY DRIN RIVER BASIN http://www.ce.utexas[...]
[5] 웹사이트 Drin http://www.dictionar[...]
[6] 웹사이트 Internationally Shared Surface Water Bodies in the Balkan Region http://www.inweb.gr/[...]
[7] 웹사이트 Drin Basin http://drincorda.iwl[...]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lba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9] 서적 Gjeografia Fizike e Shqipërisë 1 Akademia e Shkencave e RPS të Shqipërisë
[10] 웹사이트 The natural wealth and legacy of the Drin River Basin: inspiring our collective actions http://act4drin.net/[...]
[11] 웹사이트 Drin River Basin The blue heart of the Balkans http://mio-ecsde.org[...]
[12] 웹사이트 Drini Delta http://datazone.bird[...]
[13] 서적 Rivers of Europe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09-01-31
[14] 논문 A new freshwater snail genus (Hydrobiidae, Gastropoda) from Montenegro, with a discussion on gastropod diversity and endemism in Skadar Lake https://zookeys.pens[...] 2013
[15] 웹사이트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of the Ohrid region https://whc.unesco.o[...]
[16] 웹사이트 Albania Upgrades Electrical Grid in the Balkans https://e.huawei.com[...]
[17] 뉴스 Sustainable Nexus solutions for Drin river basin https://balkangreene[...] 2022-10-05
[18] 서적 The Illyrians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19] 서적 Albania in Pictures https://books.google[...] Twenty-First Century Books
[20] 문서 Drin river sub-basin http://www.inweb.g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