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들꿩은 몸길이 35~39cm의 작은 꿩으로, 유라시아 대륙 북부의 삼림과 사할린, 홋카이도에 분포한다. 수컷은 검은색 목과 흰색 테두리가 있으며, 암컷은 볏이 짧고 목에 검은색이 없다. 11개의 아종이 있으며, 주로 식물성 먹이를 먹고 땅에 둥지를 튼다. 에조라이초는 한때 흔했지만, 수렵과 환경 변화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전 상태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유럽의 새 - 청둥오리
청둥오리는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녹색 머리를 가진 수컷과 갈색 깃털의 암컷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류로, 잡식성이며 집오리의 조상이고, 사육 및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보전 문제가 있는 관심대상종이다. - 1758년 기재된 새 - 코뿔새
코뿔새는 검은 깃털과 흰 꼬리,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큰 새로, 열대우림에 살며 특이한 번식 습성을 가지고 말레이시아의 국조이자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58년 기재된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대한민국의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 가마우지
가마우지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녹색 광택이 나는 검은 깃털과 부리 기부 주변의 흰색, 노란색 피부가 특징인 바닷새로, 암초 해안에 서식하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일본에서는 우카이 어업에 이용되며 일부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 들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Tetrastes bonasia |
| 명명자 | Linnaeus, 1758 |
| 이전 학명 | Tetrao bonasia Linnaeus, 1758 |
| 이전 학명 참고 | Bonasa bonasia (Linnaeus, 1758) |
| 영어 이름 | Hazel Grouse |
| 일본어 이름 | 에조라이초 (エゾライチョウ) |
| 분포 | |
![]() | |
| 서식지 | 유라시아 |
| 보전 상태 | |
| IUCN | LC (관심 필요) |
| IUCN 참고 | BirdLife International (2016). "Bonasa bonasi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2679494A85936486. doi:10.2305/IUCN.UK.2016-3.RLTS.T22679494A85936486.en. 2022년 6월 4일에 확인함. |
| 참고 자료 | |
2. 형태
몸길이는 35cm에서 39cm 사이로 비교적 작은 꿩과에 속한다. 통통한 체형을 가졌으며, 깃털은 섬세한 무늬가 특징이다. 몸 윗부분은 기본적으로 회색이고 날개는 갈색이며, 아랫부분은 흰색 바탕에 밤색 반점이 있다. 전신은 황토색, 갈색, 흰색의 얼룩무늬로 덮여 있으며, 다리에는 흰 깃털이 나 있다. 부리는 검은색이다. 몸무게는 암수 간에 큰 차이가 없으며 대략 350g에서 400g 정도이다. 날개 길이는 약 17cm로 메추라기보다는 크다.
들꿩은 여러 아종으로 분류되며[4], 분류 방식에는 다양한 견해가 있다. 세계적으로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한반도에 이르는 유라시아 대륙 북부의 삼림과 사할린까지 넓게 분포한다. 들꿩이 속하는 ''Tetrastes'' 속에는 총 3종이 있으며, 다른 두 종은 중국 쓰촨성, 간쑤성, 칭하이성, 윈난성, 티베트 등 비교적 높은 고도 지역의 삼림에 서식하는 검은가슴뇌조 (''Bonasa sewerzowi'')와 북아메리카 북부에 서식하는 영국뇌조 (''Bonasa umbellus'')이다.
수컷은 짧은 깃털 볏이 있고 목 부분은 검은색이며 그 주위를 흰색 테두리가 감싸고 있다. 반면 암컷은 수컷보다 볏이 더 짧고 목에 검은색 부분이 없다. 비행 시에는 끝부분이 검은색인 회색 꼬리가 보인다.
수컷은 높은 음의 ''ti-ti-ti-ti-ti'' 소리를 내고, 암컷은 액체처럼 부드러운 ''tettettettettet'' 소리를 낸다. 들꿩은 수줍음이 많고 빽빽한 숲에 서식하기 때문에 직접 관찰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울음소리나 날아갈 때 날개에서 나는 부르르 소리가 들꿩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유일한 단서가 되는 경우가 많다.
3. 분류
미토콘드리아 DNA의 하플로타입 분석 등에 따르면, 대륙에 서식하는 계통과 홋카이도에 서식하는 계통은 약 4만 년 전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유전적 다양성은 잘 유지되어 양호한 상태로 생존해 온 것으로 보인다.[6] 유전적으로는 검은가슴뇌조와 가장 가까우며, 홍적세 중기 또는 후기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영국뇌조와는 더 오래전에, 신생대 플리오세에 분기된 것으로 여겨진다.
3. 1. 아종
들꿩은 11개의 아종이 인정된다:[4]
4. 분포
세계적으로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한반도까지 이르는 유라시아 대륙 북부의 삼림 지대와 사할린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들꿩이 속하는 Tetrasteslat 속에는 총 3종이 있으며, 들꿩 외에 중국의 쓰촨성, 간쑤성, 칭하이성, 윈난성, 티베트 등 비교적 고도가 높은 지역의 삼림에 서식하는 검은가슴뇌조(Bonasa sewerzowilat)와 북아메리카 북부에 서식하는 영국뇌조(Bonasa umbelluslat)가 있다. 들꿩은 서식 범위가 넓어 여러 아종으로 나뉘지만, 그 분류는 4아종에서 11아종까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하플로타입 분석 등에 따르면, 유라시아 대륙 본토에 서식하는 계통과 일본 홋카이도에 서식하는 계통은 약 4만 년 전에 갈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유전적 다양성은 잘 유지되어 양호한 상태로 생존해 온 것으로 보인다.[6] 유전적으로는 검은가슴뇌조와 가장 가까우며, 홍적세 중기 또는 후기에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미국들꿩(영국뇌조)과는 더 오래전에 갈라져 신생대 플리오세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만 분포한다.[7]
5. 생태
몸길이가 35cm에서 39cm 정도로 비교적 작은 꿩과 새이다.[7] 통통한 몸집에 섬세한 무늬가 있는 깃털을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윗부분은 회색, 날개는 갈색이며, 아랫부분은 흰색 바탕에 밤색 반점이 있다.
수컷은 짧은 깃털 볏이 있고 목 부분은 검은색이며 흰색 테두리가 있다. 암컷은 수컷보다 볏이 더 짧고 목에 검은색 부분이 없다. 날 때는 검은색 끝부분이 있는 회색 꼬리가 보인다.
수컷은 높고 날카로운 ''ti-ti-ti-ti-ti'' 소리를 내고, 암컷은 부드럽고 물 흐르는 듯한 ''tettettettettet'' 소리를 낸다. 들꿩은 수줍음이 많고 빽빽한 숲에 서식하여 직접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울음소리와 날아갈 때 날개에서 나는 부르르 소리가 들꿩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유일한 단서가 되기도 한다.
주로 땅 위에서 먹이를 찾으며 식물성 먹이를 먹는다. 수목의 싹, 가지, 잎, 열매, 씨앗 등을 먹고, 번식기에는 곤충과 같은 동물성 먹이도 섭취한다.[7] 계절에 따른 이동을 거의 하지 않는 텃새이다.[7] 대륙에 서식하는 아종은 10마리 이상의 무리를 이루기도 하지만, 홋카이도에 서식하는 아종(에조들꿩)은 보통 10마리 미만의 작은 무리를 형성한다.[7]
홋카이도에서는 주로 해발 200m에서 800m 사이의 아고산대 이하 지역에 서식하며, 침엽수 인공림에 활엽수가 섞인 침활혼교림이나 낙엽활엽수림을 선호한다. 다만, 낙엽송 인공림은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7]
번식기는 5월경이다. 수컷은 3월 말부터 영역을 확보하고 암컷과 짝을 이루는데, 한 마리의 암컷과 짝을 이루는 "일부일처" 형태와 여러 마리의 암컷과 관계를 맺는 "일부다처" 형태가 모두 관찰된다.[7] 땅 위에 둥지를 만들고 보통 3개에서 7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알은 암컷 혼자 품으며, 부화까지는 약 23일이 걸린다.[7] 사냥 조류의 일반적인 특징처럼, 암컷이 알을 품고 새끼를 돌본다. 부화 후에는 둥지로 돌아가지 않는다.[7] 수컷은 암컷이 알을 낳으면 짝 관계를 해소하고 떠나며, 암컷이 홀로 새끼를 키운다.[7] 어린 새끼들은 가을까지 어미와 함께 "가족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7]
눈이 내리지 않는 시기에는 나무 위에서 잠을 자지만, 눈이 쌓이는 겨울철에는 눈 속에 얕은 구멍을 파고 들어가 잠자리로 삼는다.[7]
6. 인간과의 관계
들꿩은 맛이 좋아 오랫동안 수렵의 대상이 되어 왔다. 특히 칠면조가 널리 보급되기 전 서양에서는 들꿩 구이가 크리스마스의 주요 요리로 큰 인기를 끌었다. 이러한 인기로 인해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일본 홋카이도에서는 에조라이초(들꿩의 아종)가 매년 5만에서 6만 마리 가량 포획되어 수출되기도 했다.[8]
6. 1. 보전 상태
에조라이초는 한때 흔한 야생 조류였으나, 최근에는 수렵, 자연 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서식 개체 수가 급감하고 있다. 그러나 맛이 좋다는 이유로 수렵 조류 지정에서 제외하는 것에 대한 반대가 있어, 현재도 수렵이 가능한 조류로 지정되어 있다.칠면조가 일반화되기 전까지 서양에서는 들꿩 구이가 크리스마스 최고의 진미로 여겨졌다. 이 때문에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일본 홋카이도의 에조라이초는 연간 5만에서 6만 마리가 포획되어 수출되기도 했다. 최근 개체 수 감소에는 여우에 의한 포식도 큰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8]
참조
[1]
간행물
"''Bonasa bonasia''"
2022-06-04
[2]
웹사이트
Birds of the World — current valid scientific avian names
http://www.zoonomen.[...]
2010-01-27
[3]
웹사이트
Chapter XXIV
http://digital.libra[...]
[4]
간행물
"Pheasants, partridges, francolins"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1-07
[5]
서적
新訂 日本の鳥550 山野の鳥
文一総合出版
[6]
논문
日本産エゾライチョウ Bonasa bonasia の遺伝的多様性と遺伝子流動
http://www.journalar[...]
[7]
서적
日本鳥類目録 改訂第7版
日本鳥学会
[8]
논문
北海道における最近のエゾライチョウの減少
https://doi.org/10.3[...]
[9]
JIB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