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리야 토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리야 토후국은 1727년 사우드 가문의 무함마드 빈 사우드와 종교 지도자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 와하브의 동맹으로 건국되었다. 와하비즘을 국교로 삼아 세력을 확장했으며, 1801년에는 시아파의 성지인 카르발라를 공격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다. 1803년에는 히자즈를 점령하고 메카와 메디나를 함락시켜 오스만 제국과 대립했다. 오스만 제국은 무함마드 알리를 파견하여 1811년부터 1818년까지 전쟁을 벌였고, 1818년 수도 디리야가 함락되면서 멸망했다. 디리야 토후국은 멸망했지만, 사우드 가문은 리야드로 근거지를 옮겨 제2차 사우드 왕국을 건설했고,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건국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8년 폐지 - 뒤스부르크-에센 대학교
    뒤스부르크-에센 대학교는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에 위치하며 2003년 뒤스부르크 대학교와 에센 대학교의 통합으로 설립되었고, 약 4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루르 대도시 연합 대학교의 일원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는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옛 나라 - 자발 샴마르 토후국
    자발 샴마르 토후국은 1836년부터 1921년까지 하일을 중심으로 아라비아 반도 북부에 존재했던 토후국으로, 사우디 제2왕국의 가신국으로 건국되었으나 사우드 가문과 네지드 지역 지배권을 두고 갈등하다 이븐 사우드가 이끄는 사우디 가문에 의해 멸망했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옛 나라 - 헤자즈 왕국
    헤자즈 왕국은 1916년 메카의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에 의해 건국되었으나, 영국의 지원을 받은 이븐 사우드에게 정복당하여 1932년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에 통합되었다.
  • 아시아의 옛 토후국 - 아프가니스탄 토후국
    아프가니스탄 토후국은 1826년 도스트 무함마드 칸이 건립하여 1926년 아마눌라 칸이 아프가니스탄 왕국을 선포할 때까지 존속한 국가로, 영국의 침략과 내분 속에서도 중앙집권화와 근대화를 추구하며 1919년 영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쟁취했다.
  • 아시아의 옛 토후국 - 네지드 토후국
    네지드 토후국은 1824년 투르키 빈 압둘라가 리야드를 중심으로 건국한 사우디 왕조의 두 번째 왕국으로, 와합파 이맘이 국왕을 겸임하며 파이살 빈 투르키 통치 시기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왕위 계승 분쟁과 알 라시드 가문의 압력으로 1891년 멸망하여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통일의 전환점이 되었다.
디리야 토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1744년부터 1814년까지 디리야 토후국의 확장
1744년부터 1814년까지 디리야 토후국의 확장
기본 정보
통용 명칭디리야
건국1727년
멸망1818년
건국 사건디리야 설립
주요 사건디리야 협약 (1744년)
멸망 사건디리야 공성전
이전 국가디리야 토후국
다음 국가이집트 속주
네지드 토후국
무암마르 이마국
수도디리야
공용어아랍어
정치 체제토후국
통치자에미르
종교수니파 이슬람교
인종아랍인
통화디리야 리얄
로마자 표기Al-Dawla al-Saudiyya al-Ūlā
통치자
에미르무함마드 1세 (1727년–1765년)
에미르압둘아지즈 1세 (1765년–1803년)
에미르사우드 2세 (1803년–1814년)
에미르압둘라 1세 (1814년–1818년)
국기
디리야 토후국 국기
디리야 토후국 국기
이전 국가
이전 국가 1디리야 토후국
이전 국가 2바니 칼리드 토후국
이전 국가 3오만 제국
이전 국가 4카시미드 국가
다음 국가
다음 국가 1이집트 속주
다음 국가 2네지드 토후국
다음 국가 3무암마르 이마국

2. 역사

사우드 가문과 그 동맹 세력들의 왕국 영토는 처음에는 네지드에 국한되었으나, 동쪽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현재의 쿠웨이트에서 오만 국경에 이르렀다. 무함마드 이븐 아브드 알 와합은 각지의 사람들과 학자들에게 성전(지하드)에 참여할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보냈고, 그 결과 아시르 고지가 복속되었다. 여러 차례의 군사 작전 끝에 1795년 무함마드 이븐 사우드가 사망하고 아들 아브드 알 아지즈 빈 무함마드가 계승하였다.

디리야 토후국은 북쪽으로는 이라크시리아 국경 부근까지 확장되었고, 1801년에 시아파의 성지인 카르발라나자프를 함락시키면서 정점에 달했다. 이 과정에서 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의 묘소 등 시아파 성지가 파괴되고 주민들이 학살당했다.[14] 1802년 왕국 군대는 히자즈 지방으로 진출했으나, 1803년 아브드 알 아지즈 빈 무함마드는 시아파 청년에게 암살당했다.

1792년 무함마드 이븐 아브드 알 와합이 사망하고, 11년 후인 1803년 사우드 빈 아브드 알 아지즈 빈 무함마드 빈 사우드가 히자즈에 군대를 보내 타이프를 점령하고, 이슬람의 두 성지인 메카메디나를 함락시켰다.[15] 이는 1517년 이래 성지 수호자를 자처했던 오스만 제국에 큰 충격을 주었다. 또한, 와합파는 이슬람 원리주의 성향으로 성인 숭배 등을 인정하지 않아 성지 메카의 많은 사당을 파괴하여 다른 종파로부터 반감을 샀다.

2. 1. 건국과 발전

1727년, 사우드 가문의 수장 무함마드 빈 사우드는 종교 지도자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 와하브와 동맹을 맺고 디리야 토후국을 건설했다. 이 동맹은 제1차 사우드 왕국의 건국으로 이어졌다.[5] 와하비즘을 국교로 삼아 주변 지역으로 영토를 빠르게 확장했다. 사우드 군대는 아시르 고원을 점령했고, 무함마드 이븐 압드 알 와하브는 사람들과 학자들에게 성전에 참여하라는 편지를 썼다.[5]

1801년, 사우드 군대는 시아파 성지 카르발라를 공격하여 성인들의 사당과 기념물을 파괴하고 5,000명이 넘는 민간인을 살해했다.[5] 이는 시아파 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슬람 세계 내 종파 갈등을 심화시켰다. 1803년, 압둘아지즈 빈 무함마드가 네즈드로 돌아가는 길에 젊은 시아파에게 암살당했다.[5] 같은 해,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빈 무함마드 빈 사우드는 군대를 파견하여 헤자즈 지역을 점령했다.[6] 타이프가 첫 번째로 함락되었고, 그 후 메카메디나를 점령하여 오스만 제국의 권위에 도전했다.[6]

2. 2.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과 멸망

오스만 제국은 이집트 총독 무함마드 알리에게 사우드 왕조의 왕국을 멸망시키라는 공격 명령을 내렸다. 무함마드 알리는 군대를 이끌고 해로를 통해 히자즈 지방으로 급습하여 (얀부 전투, 알사프라 전투, 메디나 전투 (1812), 제다 전투 (1813), 1813년 메카 탈환) 1813년 1월에는 성지 메카 탈환에 성공했다.[8]

1817년, 무함마드 알리의 아들 이브라힘 파샤는 군대를 나즈드 중심부로 진격시켜 차례로 도시들을 점령했다(나즈드 원정).[7] 1818년 4월, 수도 디리야를 포위했다. 수도에서의 포위전은 수개월에 걸쳐 9월 18일 이집트군의 승리로 끝났고, 사우드 왕조와 와하브 운동을 전개한 주요 구성원들은 이집트 또는 오스만 제국의 수도 이스탄불로 압송되었다. 디리야는 완전히 파괴되어 현재는 왕국이 존재했던 당시의 모습은 남아있지 않다. 마지막 이맘 압둘라 빈 사우드는 이후 이스탄불에서 처형되었고, 그의 목은 보스포루스 해협에 버려졌다.[8]

3. 통치자 목록

압둘라 빈 사우드


압둘라 빈 사우드


이름재위 기간
무함마드 빈 사우드1727년–1765년
압둘아지즈 빈 무함마드1765년–1803년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1803년–1814년
압둘라 빈 사우드1814년–1818년


4. 유산

제1차 사우드 왕국은 비록 단명했지만, 와하브 운동이 아라비아 반도에 남았고,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건국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4. 1. 제2차 사우드 왕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건국

제1차 사우드 왕조가 멸망했으나, 와하브 운동의 불씨는 아라비아 반도에 남아 있었다. 사우드 가문의 생존자들은 리야드를 거점으로 제2차 사우드 왕국을 건설하여 1824년부터 1891년까지 존속했다.

제2차 사우드 왕국 멸망 후, 생존자였던 이븐 사우드 왕자가 다시 왕국을 재건하여 1931년에 국왕에 즉위하였고, 현재의 사우디아라비아가 되었다. 이 때문에 사우디아라비아를 제3차 사우드 왕국으로 보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The Kingdom of Saudi Arabia Stacey International
[2] 웹사이트 Saudi Arabia to commemorate 'Founding Day' on Feb. 22 annually: Royal order https://english.alar[...] 2022-02-15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Kingdom kingdom of Saudi Arabia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ttps://www.mofa.gov[...] 2022-02-15
[4] 서적 A History of Saudi Arab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Karbala http://www.iranicaon[...] 2017-11-14
[6] 웹사이트 Sauds's campaign for Hejaz and the two holy cities http://www.islamlife[...] 2010-09-14
[7] 웹사이트 Abdullah bin Saud's capture http://www.ibnsaud.i[...] 2010-01-06
[8] 웹사이트 Abdullah bin Saud's execution http://www.ibnsaud.i[...] 2010-01-06
[9] 웹사이트 House of Saud Revivals http://www.ibnsaud.i[...] 2010-01-07
[10] 서적 The Kingdom of Saudi Arabia Stacey International
[11] 웹사이트 Reform Movements http://shodhganga.in[...] 2017-10-17
[12] 웹사이트 Muslim Religious Movements http://en.banglapedi[...] 2017-10-17
[13] 서적 A History of Saudi Arabia
[14] 웹사이트 Karbala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7-11-14
[15] 웹사이트 Sauds's campaign for Hejaz and the two holy cities http://www.islamlife[...] 2010-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