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딩카어는 주로 남수단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20개의 자음 음소와 13개의 단모음을 포함하는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 딩카어는 성조 언어이며, 모음의 길이와 발성, 그리고 형태론적 변화가 특징이다. 딩카어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5개의 방언군으로 나뉘며, 여러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일어족 - 마사이어
마사이어는 케냐 남부와 탄자니아의 마사이족이 사용하는 성조 언어로, 삼부루어와 계통이 가깝고 설근 전진 모음 조화 체계를 지니며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하고 VSO 어순을 가진다. - 수단의 언어 - 베자어
베자어는 화자들이 Bidhaawyeet 또는 Tubdhaawi라고 부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의 언어로, 북쿠시어 아속의 유일한 구성원이며 로마자와 아랍 문자로 표기되고 명사와 형용사는 성, 수, 격에 따라, 동사는 강동사와 약동사로 나뉘어 활용된다. - 수단의 언어 - 차드 아랍어
차드 아랍어는 차드와 인근 국가에서 사용되는 아랍어 방언으로, 바가라족의 언어에서 비롯되었으며, 수단 아랍어와 함께 이집트-수단어 그룹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독자적인 특징을 지니고 차드 남부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나타낸다.
딩카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딩카어 |
고유 이름 | Thuɔŋjäŋ |
발음 | /t̪uɔŋ.ɟa̤ŋ/ |
다른 이름 | Thuɔŋ ë Jieŋ Jieŋ |
사용 국가 | 남수단 |
사용자 | 딩카족 |
추정 화자 수 | 423만 8400명 (2017년 기준)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나일사하라어족 |
어파 | 동수단어파 |
어군 | 남동수단어군 |
어족 | 나일어족 |
분파 | 서나일어파 |
어군 | 딩카-누에르어군 |
문자 체계 | |
문자 | 로마자 |
언어 코드 | |
ISO 639-1 | din |
ISO 639-2 | din |
ISO 639-3 | din |
방언 | |
방언 목록 | dip - 북동부 딩카어 (Padang) diw - 북서부 딩카어 (Ruweng) dib - 중남부 딩카어 (Gok, Agar, Ciec, Apaak, Aliap) dks - 남동부 딩카어 (Bor, Nyarweng, Hol, Twi) dik - 남서부 딩카어 (Rek, Twic) |
Glottolog | dink1262 |
Glottolog 설명 | 딩카어 |
2. 언어적 특징
딩카어는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 다양한 측면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딩카 문자도 참고.
딩카어는 20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딩카어는 13개의 단모음을 가지는 풍부한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7개의 모음 음질과 발성의 두 가지 구분이 있다. 점이 찍힌 기호는 딩카어 정서법에서 분음 기호로 표현되는 거친 소리 계열을 나타낸다. 표시되지 않은 모음은 모달 보이스이거나 쉰 소리이다.[1]
딩카어 모음에서는 네 가지의 음성적 발성, 즉 모달 보이스, 거친 소리, 인두화된 소리, 거친 소리가 묘사되었다. 모달 계열은 특정 환경에서 쉰 소리 또는 거친 소리로 실현되며, 거친 소리 모음은 중설 모음화되고 속이 빈 소리(인두화된 소리)로 묘사되었다. 이는 성조와는 무관하다.[1]
딩카어에는 세 가지 음운론적으로 대립하는 모음 길이가 있는데, 이는 매우 드문 언어에서 발견되는 특징이다.[1]
딩카어는 성조 언어이며, 모든 방언에서 성조의 광범위한 사용과 형태론과의 상호 작용은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1] 보르 방언은 음절 수준에서 저, 고, 중, 하강의 4가지 성조소를 모두 가지고 있다.[1]
딩카어는 모음 음성 변화 또는 아포포니 현상을 보이며, 내부 모음의 변화가 일어난다(영어의 "goose/geese"와 유사하다).[4]
단수 | 복수 | 의미 | 모음 교체 |
---|---|---|---|
dom|돔din | dum|둠din | 밭/밭들 | o–u|오–우din |
kat|캇din | kɛt|켇din | 틀/틀들 | a–ɛ|아–에din |
2. 1. 음운론
딩카어는 복잡한 자음 및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모음은 다양한 발성 유형과 길이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자음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2. 1. 1. 자음
딩카어에는 20개의 자음 음소가 있다.
2. 1. 2. 모음
딩카어는 풍부한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음운론적으로 대립하는 13개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다. 7개의 모음 음질과 발성의 두 가지 구분이 있다. 점이 찍힌 기호는 딩카어 정서법에서 분음 기호로 표현되는 거친 소리 계열을 나타낸다. 표시되지 않은 모음은 모달 보이스이거나 쉰 소리이다.[1]
딩카어 모음에서는 네 가지의 음성적 발성, 즉 모달 보이스, 거친 소리, 인두화된 소리, 거친 소리가 묘사되었다. 모달 계열은 특정 환경에서 쉰 소리 또는 거친 소리로 실현되며, 거친 소리 모음은 중설 모음화되고 속이 빈 소리(인두화된 소리)로 묘사되었다. 이는 성조와는 무관하다.[1]
이 외에도, 딩카어에는 세 가지 음운론적으로 대립하는 모음 길이가 있는데, 이는 매우 드문 언어에서 발견되는 특징이다.[1]
2. 1. 3. 성조
딩카어는 성조 언어이며, 모든 방언에서 성조의 광범위한 사용과 형태론과의 상호 작용은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1] 보르 방언은 음절 수준에서 저, 고, 중, 하강의 4가지 성조소를 모두 가지고 있다.[1]보르 본토에서는 하강조가 현재 시제의 수동태 굴절을 제외하고 짧은 모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냐르웽과 트윅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2] 보르 본토에서는 다른 방언에서도 마찬가지일 수 있지만, 하강조는 구문 구절의 끝에서만 실제로 나타난다. 다른 곳에서는 고조가 된다.
보르 본토와 다른 방언에서도 저조는 다른 저조 뒤에서만 음성학적으로 낮다. 다른 곳에서는 하강하지만 하강조와 동일하지 않다. 구절 중간에서 고조가 되지 않으며, 화자는 동일한 음고 범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하강조를 구별할 수 있다. 차이점은 타이밍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강조에서는 높은 평탄조가 들린 다음 하강하는 반면, 저조의 하강 이음은 하강하기 시작하여 평탄해진다. 즉, 하나는 모음의 첫 번째 모라에서 하강하고, 다른 하나는 두 번째 모라에서 하강한다. 이러한 타이밍 차이가 음소론적이지 않다고 이론화되었기 때문에 이는 드문 일이다.[3]
2. 2. 형태론
딩카어는 모음 음성 변화 또는 아포포니 현상을 보이며, 내부 모음의 변화가 일어난다(영어의 "goose/geese"와 유사하다).[4]단수 | 복수 | 의미 | 모음 교체 |
---|---|---|---|
dom|돔din | dum|둠din | 밭/밭들 | o–u|오–우din |
kat|캇din | kɛt|켇din | 틀/틀들 | a–ɛ|아–에din |
딩카어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크게 5개의 방언군으로 나뉜다. 각 방언군은 톤의 문법적 기능에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3. 방언
5개의 방언군은 다음과 같다:
방언의 자세한 위치는 https://www.ethnologue.com/show_map.asp?name=SD&seq=10 Ethnologue 온라인 수단 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북동부 방언군
3. 2. 북서부 방언군
응옥 데 조크 아투오르콕(Abiei), 응옥 데 조크 데 아웨트, 쿠엘 데 루윙(Panaru, Aloor ku Paweny)이 이 방언군에 속한다.
3. 3. 남중부 방언군
3. 4. 남동부 방언군
보르, Twi|트윅din, 냐르웽, 홀 방언이 있다.[1]
3. 5. 남서부 방언군
이름 | 하위 방언 |
---|---|
마루알-지엘냐앙 | Abiëm, Paliëët, Aroyo, Paliëupiny ku Pajok |
루안쟈앙 | |
트윅 볼 | |
레크 | |
아구옥 | |
아푸크 | |
아완 챈 쿠 아완 뫼우 | |
쿠악 아요옥 | |
아비엠 마야르 | |
아비옹 아욤 | |
뇌이 아이이 | |
냐앙 아쾨크 | |
아토크 북 | |
레르 아켄 | |
아완 파레크 | |
론 아리크 | |
론 파게르 | |
콩고르 아롭 | |
아푸크 파도크 | |
무옥 아쾨트 웃 | |
야르 아이에에이 | |
아푸크 주르위르 | |
톤 아뫼우 | |
루안 말렉 | |
아쾨크 뎅 | |
티크/팅 마족 | |
콩-뇌르 아쿠에츠베니 | |
파코르 | |
아되르 마비오르 | |
바크 |
다른 자료에 따르면 남서부(레크, Rek) 방언은 레크(Rek), 아비엠(Abiem), 아구오크(Aguok), 아푸크(Apuk), 아완(Awan), 콰크(Kuac), 라우(Lau), 루악/루양(Luac/Luanyang), 말루알(Malual), 팔리에트(Paliet), 팔리우피니(Palioupiny), 트위크(Twic)로 구성된다.[1]
4. 문자 체계
딩카어는 20세기 초부터 여러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었다. 현재 사용되는 문자는 다음과 같다.
: a ä b c d dh e ë ɛ ɛ̈ g ɣ i ï j k l m n nh ny ŋ t th u w o ö ɔ ɔ̈ p r y
다른 알파벳의 변형은 다음과 같다.
현재 문자 | 대안 |
---|---|
ɛ | ė ("e" 위에 점) |
ɣ | h, x, q |
ŋ | ng |
ɔ | ȯ ("o" 위에 점) |
알레우 마족 알레우가 나일 문자를 기반으로 한 딩카어 문자를 만들었다.[5]
2020년에는 뎅 콜이 고대 메로에 문자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딩카어 표기 체계(Nilotic Script)를 도입했다.
5. 샘플 텍스트
Raan thök eben aye dhëëth ka lau nhöm kua thöŋ nhiim eyithiic, kua thɛ̈kic, kua ci yëknhiethku puou, ku bik cëŋ ka ke ye mith etik.din 세계 인권 선언 제1조[6]
참조
[1]
논문
Tonal alignment is contrastive in falling contours in Dinka
https://www.pure.ed.[...]
2013
[2]
서적
Reports on the Finance, Administration, and Condition of the Sudan
https://books.google[...]
F. Nimr
1912
[3]
논문
Tone sandhi in Comaltepec Chinantec
1997
[4]
문서
[5]
웹사이트
The New Muonyjang (Dinka) Script
https://pioockuthuon[...]
[6]
웹사이트
Omniglot
https://www.omniglot[...]
2023-08-13
[7]
서적
Sudan's Blood Memo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Rochester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